KR19980702123A - 자동차 창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자동차 창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2123A
KR19980702123A KR1019970705518A KR19970705518A KR19980702123A KR 19980702123 A KR19980702123 A KR 19980702123A KR 1019970705518 A KR1019970705518 A KR 1019970705518A KR 19970705518 A KR19970705518 A KR 19970705518A KR 19980702123 A KR19980702123 A KR 19980702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wiper blade
glass
head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울 크리엘
Original Assignee
랄프 홀거, 베렌스; 만프레드 크네취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랄프 홀거, 베렌스; 만프레드 크네취,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랄프 홀거, 베렌스; 만프레드 크네취
Publication of KR19980702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12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1/00Machines or devices for shearing or cutt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6Cutting rods or tubes transversely
    • B26D3/164Cutting rods or tubes transversely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orting the tube from the in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17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backing strip to aid mounting of squeegee in support
    • B60S2001/38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backing strip to aid mounting of squeegee in support the backing strip being an essentially planar reinforcing strip, e.g.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27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 B60S2001/3829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squeegee or coa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27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 B60S2001/3841Squeegee modifications to prevent longitudinally sliding of squeegee in support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pring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Blinds (AREA)

Abstract

스프링 엘리먼트로서 유일한 스프링 레일이 헤드 바아내에 배치되어 있는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개량하여, 불식시에, 헤드 바아가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유리 윤곽에 대해 접촉부하의 분산을 양호하게 행할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스프링 수단이, 불식 평면에 대해 적어도 거의 평행한 평면상에서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 바아형의 둘 이상의 스프링 엘리먼트에 의해 형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창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
그러나 불식(佛拭) 바아 때문에, 예를 들면 연한 재료 혼합물이 설치되지 않으면 안되므로 이로 인해, 특히 충분히 젖어있지 않은 유리표면을 따라 불식하는 불식 운전중에, 헤드 바아가 다른 바아 영역에 대해 불합리하게 크게 나사만곡되어 버리고, 따라서 스트립 바아가 유리 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유리와 불식 바아 사이의 마찰이 증대하므로써, 헤드 바아가 지지프레임으로부터 벗어날 가능성이 있고, 따라서 와이퍼 장치는 자신의 임무를 이미 수행할수 없다. 스프링 레일의 폭을 넓혀도, 불합리함을 발생시키지 않고 상기 결점을 배제할수 없다. 즉 스프링 레일의 증폭과 관련하여 스프링 레일의 강성이 증대하므로, 연속적으로 변하는 유리윤곽에 대한 불식 바아의 적합이 손상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동시에, 스프링 레일의 두께를 감소시키면, 스프링 레일을 용이하게 조립부착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공지의 와이퍼 블레이드(독일 특허출원 공개 제 4319139호 명세서)로서, 접촉부하를 분산시키기 위해, 스프링 엘리먼트로서 유일한 스프링 레일이 헤드 바아 내에 배치되어 있는 형식의 것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도1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부분적인 측면도이다.
도2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도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 확대 도시도이다.
도3은 도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다른 치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4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소속되는 스프링 엘리먼트를 다른 치수관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하면, 상기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프링 수단이, 불식 평면에 대해 적어도 거의 평행한 일평면상에 위치하고,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 바아형의 복수의 (둘이상의) 스프링 엘리먼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이들 바아형 일레먼트를, 각각 개별적으로, 헤드바아의, 지지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여 파지된 종방향 에지부 영역에 배치할수 있다. 이와 관련한 보강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가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벗어날 위험이 회피된다. 헤드바아의 보강에 유효한, 양 스프링 엘리먼트의 전체폭은, 불식 바아를 유리 윤곽에 적합하게 한다는 중요한 요구에 용이하게 적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스프링 엘리먼트가 횡단면으로 보아서 사각형(方形)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유리하다. 이로 인하여 세장형(가늘고 긴 형상) 판스프링이 얻어지고, 이 판스프링은 극히 간단하고, 예를 들면 강철띠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구성에서는, 주위를 폐쇄시킨 종방향 통로내에 스프링 엘리먼트가 위치하고 있으면, 스프링 엘리먼트는 특히 간단히, 경우에 따라서는 자동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종방향 통로는 헤드바아내에 설치되어 있고 헤드 바아의 양단면으로 개구하고 있다.
또한, 바아형의 세장형 스프링 엘리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측방 오목부를 구비하면, 스프링 엘리먼트가 헤드 바아 내에서 종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목부는, 헤드바아를 둘러싸서 파지하는, 지지프레임의 유지 폴에 배속되어 있다.
동시에, 지지프레임에 대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종방향 미끄럼 방지를 얻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말할필요도 없는 구성에서는, 지지프레임의 유지 폴이, 종방향 통로의 벽을 형성하는 헤드바아의, 유지 폴에 의해 둘러싸여 파지되는 영역을, 세장형 스프링 엘리먼트의 측방의 오목부내로 가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구성 및 개선은, 부속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이하의 설명에 개시되어 있다.
도1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와이퍼 블레이드(10)는, 공지의 형식으로,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세장형 지지 프레임(12)을 갖고 있다. 이들 지지 프레임 부재는, 본 실시예에서는, 주(主)만곡부재(15)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주만곡부재(14)는, 구동되는 와이퍼 아암(16)의 자유단부에 피봇부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2)에는, 다른 만곡부재, 소위 하측 만곡부재 또는 파지 만곡부재(18)가 소속하고 있다. 이들 하측만곡부재 또는 파지만곡부재(18)는 상호 힌지 결합되어 있다. 파지 만곡부재(18) 자체도, 마찬가지로, 주만곡부재(14)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파지 만곡부재(18)는, 그 자유단부에 배치된 유지 폴(20)에서, 세장형 탄성적인 불식 바아(22)를 파지하고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10)는, 와이퍼 아암(16)에 의해 화살표24 (도1 참조)의 방향으로, 불식해야할 유리 표면에 대해 부하되어 있다. 불식운전중, 와이퍼 블레이드(10)는, 그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불식할 유리(29)의 표면(28)을 따라 움직인다.
불식 바아(22)의 구조는, 특히 도2에 도시되어 있다. 불식 바아(22)는, 횡단면에서 보아 사각형의 헤드 바아(26)를 갖고 있고, 이 헤드 바아(26)는, 유리 표면(28)을 향하여 오목한 부분(30)으로 이행하고 있다. 이 오목한 부분(30)에 이어서, 헤드 바아(26)로부터 간격을 두고 광폭부(32)가 설치되어 있다. 광폭부(32)는 스트립 바아로도 지칭된다. 폭이 좁은 경도(傾倒) 웨이퍼(34)를 거쳐, 상기 스트립 바아(32)에는 와이퍼 리프 바아(36)가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도2로부터 다시 판단되듯이, 불식 바아(22)의 이미 기술한 구성에 의해, 헤드 바아(26)와 스트립 바아(32)와의 사이에, 상호 대향하여 위치하는 두 개의 종방향 홈(38)이 얻어진다. 이들 종방향 홈(38)에 의해, 지지프레임(12)의 유지 폴(20)은, 헤드바아(26)를 확실하게 둘러싸서 파지할수 있다. 그리고 최후에, 도2에 도시하듯이, 헤드바아(26)의 내부에는, 스프링 수단(42)을 수용하기 위해 도움이 되는 종방향 통로(4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수단(42)은, 이 실시예에서는, 횡단면에서 보아 사각형의 가늘고 길게 연장된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바아형의 두 개의 스프링 엘리먼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스프링 엘리먼트는, 예를 들어 스프링 강철띠로 제조되는 것도 좋으므로, 상기 스프링 수단(42)은 스프링 레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3에 도시하듯이, 종방향 통로(40)가 불식 바아(22)의 양단면(44)으로 개구하고 있다. 도3에서는 불식 바아(22)의 한쪽 단부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 불식 바아(22)의 다른 쪽 단불도 상응하여 형성되고 있다.
불식 바아(22) 자체는, 독일 특허출원 공개 제 4,319,139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압출 성형법에 의해 제조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인쇄물의 기술(記述)을 인용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문헌의 개시 내용을, 이 특허출원의 개시에 이용한다. 상기 압출성형법은, 불식 바아(22)가 종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 일정한 횡단면을 갖는 것을 보증한다. 이것은, 양 종방향 통로(40)에도 적합하다.
양 종방향 통로(40)는 헤드바아(26)에 있어서, 불식 평면에 대해 적어도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일평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2에서는, 불식 평면은 유리 표면(28)에 의해 개시되어 있는 것에 대해, 양 종방향 통로(40)용의 배치평면은, 일점쇄선(46)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되어 있듯이, 양 스프링 레일(42)용의 수용통로로서 형성된 양 종방향 통로(40)는, 상호 간격(48)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스프링 레일(42)의 횡단면이 모두에 기술된 요구에 적합해질 수 있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이점은, 전술한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중공압출성형에 일반적인 범위로, 통로폭(50)(도3참조)을 유지할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종방향 통로(40)의 간격(48)과, 스프링 레일(42)의 폭에 맞추어진 폭(50)을 적당히 규정하므로써, 헤드바아(26)의 소망의 강성은, 요구에 적합해진다.
도4는 스프링 레일(42)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스프링 레일(42)은 양단부에, 각 한 개의 측방 오목부(52)를 갖고 있다. 이 오목부(52)는, 스프링 레일(42)이 헤드바아(26)내에서 종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종방향 통로(40)내에 끼워넣어진 스프링 레일(42)(우측 스프링 레일)이 종방향 통로(40)내에 어떤 양태로 위치하고 있는지는, 도3에서 보아 해석할 수 있다. 스프링 레일(42)을 종방향 통로(40)내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유지 폴(20)이 화살표(54)의 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가압 (좌측 스프링 레일 참조)되므로, 유지 폴(20)에 의해 포괄되는 영역을, 스프링 레일(42)의 측방의 오목부(52)내로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한편으로는 스프링 레일(42)의 불식 바아(22) 내에서의 고정이 달성된다. 또한, 불식 바아(22)가, 이 불식 바아(22)의 헤드 바아(26)내에 위치하는 스프링 레일(42)과 함께 분실하지 않고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지지 프레임(12)에 결합되는 것도 보증된다. 이를 위해서는, 단지 한쌍의 유지 폴(20)이 기재된 형식으로 함께 가압되어 맞추어지면 (화살표 54 참조) 충분하고, 따라서, 각 유지 폴은, 대응하는 벽 영역을 각 스프링 레일(42)의 오목부(52)내로 가압한다.
각 스프링 레일이 상호 대향하여 위치하는 두 개의 오목부(52)를 구비하고 있으면, 스프링 레일(42)을 그 종방향 통로(40)내로 자동적으로 조립하는 것으로서 유리하다. 스프링 레일의 그러한 구성은, 도4에 있어서 부가적으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오목부(53)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Claims (5)

  1. 자동차의 유리용의 와이퍼 블레이드(10)로서,
    세장형 불식 바아(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불식 바아(22)가 지지 프레임(12)에 의해 유지되어 있고 불식되는 유리(28)에 대해 부하되어 상기 불식 바아(22)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유리(28)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횡단면에서 보아 상기 불식 바아(22)가, 상기 지지 프레임(12)에 의해 파지된 세장형 헤드 바아(26)와, 상기 헤드 바아(26)에 결합된 세장형 스트립 바아(32)를 갖고 있고, 상기 스트립 바아(32)의 상기 헤드 바아(26)와는 반대측에, 세장형 경도 웨브(34)를 거쳐, 상기 유리(28)에 맞닿는 세장형 와이퍼 리프 바아(36)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헤드 바아(26)의 내부에 탄성적인 재료로 이루어지는 세장형 스프링 수단(42)이, 접촉부하(24)를 분산시키기 위해 배치되어 있는 형식의, 자동차 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스프링 수단이, 불식 평면(28)에 대해 적어도 거의 평행한 일평면(46)상에서 상호 간격(48)을 두고 배치된, 바아형의, 둘 이상의 스프링 엘리먼트(42)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창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42)는 횡단면에서 보아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창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42)는 헤드 바아(26)내에 설치되어 주위를 폐쇄된 종방향 통로(40)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종방향 통로(40)는 상기 헤드 바아(26)의 양단면(44)에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창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세장형 바아형상의 스프링 엘리먼트(42)가 적어도 하나의 측방의 오목부(52, 53)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오목부(52, 53)는 헤드 바아(26)를 둘러싸서 파지하는 지지 프레임(12)의 유지 폴(20)에 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창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
  5. 제4항에 있어서, 종방향 통로(40)의 벽(56)을 형성하는 헤드 바아(26)의, 지지 프레임(12)의 유지 폴(20)에 의해 둘러싸여 파지된 영역이, 상기 유지 폴(20)에 의해 세장형 스프링 수단(42)의 측방 오목부(52, 53)내로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19970705518A 1995-12-12 1996-10-31 자동차 창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99807021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46256.4 1995-12-12
DE19546256A DE19546256A1 (de) 1995-12-12 1995-12-12 Wischblatt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123A true KR19980702123A (ko) 1998-07-15

Family

ID=7779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518A KR19980702123A (ko) 1995-12-12 1996-10-31 자동차 창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02663A (ko)
EP (1) EP0810936B1 (ko)
JP (1) JPH11500390A (ko)
KR (1) KR19980702123A (ko)
DE (2) DE19546256A1 (ko)
WO (1) WO19970215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0116B2 (en) * 2003-08-26 2010-04-06 Alberee Products, Inc. Backing strip for windshield wiper
US7350259B2 (en) * 2005-07-28 2008-04-01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Relative axial translation prevention system for wiper blade assemblies
WO2012040415A2 (en) * 2010-09-22 2012-03-29 Trico Products Corporation Beam blade windshield wiper assembly having a fluid manifold mounting system
US9950694B2 (en) * 2010-09-30 2018-04-24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MX348756B (es) * 2011-04-07 2017-06-28 Federal Mogul Sa Dispositivo limpiaparabrisas.
US9580047B2 (en) * 2011-04-13 2017-02-28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MX350048B (es) * 2011-04-13 2017-08-24 Fed Mogul Sa Dispositivo limpiaparabrisas.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CA2843527C (en) 2011-07-28 2018-11-27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8806700B2 (en) 2011-07-29 2014-08-19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per blade connector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CA2865292C (en) 2012-02-24 2018-03-1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USD777079S1 (en) 2014-10-03 2017-01-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ame
CN104554170B (zh) * 2015-01-15 2016-05-04 陈学琴 三刮片柔性壁支承雨刷连杆叶片液压式雨刮器
CN104554163B (zh) * 2015-01-15 2016-08-10 陈学琴 三刮片柔性壁圆孔内支撑雨刷连杆叶片液压式雨刮器
CN104691504B (zh) * 2015-01-15 2016-06-01 陈学琴 叶片液压式雨刷驱动机构
CN104527587B (zh) * 2015-01-15 2016-08-17 陈学琴 双刮片柔性壁雨刷连杆叶片液压式雨刮器
CN104494566B (zh) * 2015-01-15 2016-08-17 陈学琴 双刮片柔性壁连杆线轮式雨刮器
CN104494569B (zh) * 2015-01-15 2016-08-24 陈学琴 双刮片柔性壁雨刷叶片液压式雨刮器
CN104527585B (zh) * 2015-01-15 2016-08-17 陈学琴 柔性壁支承雨刷连杆叶片液压式雨刮器
CN104608745B (zh) * 2015-01-15 2016-05-25 陈学琴 三刮片柔性壁圆孔内支撑雨刷软轴式雨刮器
CN104691503B (zh) * 2015-01-15 2016-05-25 陈学琴 连杆叶片液压式雨刷驱动机构
CN110170696A (zh) * 2019-06-24 2019-08-27 赵言 一种管状工件竖向切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92585A (en) * 1952-04-02 1957-05-21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wiper
US3094734A (en) * 1958-12-04 1963-06-25 Bosch Gmbh Robert Windshield wiper
DE1942345A1 (de) * 1969-08-20 1971-03-04 Rau Swf Autozubehoer Wischleiste fuer Scheibenwischblaetter,insbesondere fuer gebogene Windschutzscheiben von Kraftfahrzeugen
JPH0134911Y2 (ko) * 1984-10-11 1989-10-24
DE3903219C2 (de) * 1989-02-03 1999-05-06 Teves Gmbh Alfred Wischblatt
DE4319139A1 (de) * 1993-06-09 1994-12-15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aus einem elastischen Material bestehenden, langgestreckten Wischleiste für Scheibenwischer von Kraftfahrzeugen
DE4320637B4 (de) * 1993-06-22 2007-01-11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blatt mit einem mehrgliedrigen Tragbügelgestell
FR2716853B1 (fr) * 1994-03-01 1996-04-19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és d'immobilisation longitudinale de la raclette de renfort.
IT235894Y1 (it) * 1995-07-06 2000-07-18 Cooper Ind Inc Spazzola tergicristallo per veicol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10936A1 (de) 1997-12-10
DE59609066D1 (de) 2002-05-16
JPH11500390A (ja) 1999-01-12
WO1997021569A1 (de) 1997-06-19
US5802663A (en) 1998-09-08
EP0810936B1 (de) 2002-04-10
DE19546256A1 (de) 199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2123A (ko) 자동차 창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
US6055697A (en) Windshield wiper blade
JP4020978B2 (ja) 自動車の窓ガラスを掃除するためのワイパーブレード
US6668419B1 (en) Wiper blade for glass surfaces of motor vehicles
US6161248A (en) Wiper blade for vehicle window panes
KR100620259B1 (ko) 와이퍼 아암과 차량 윈드실드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링크식 연결 장치
US5228167A (en) Adjustable length windshield wiper
RU2143981C1 (ru)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ь
US4339839A (en) Windscreen wipers
CZ299497B6 (cs) List sterace skel
JP3961027B2 (ja) 自動車の窓ガラスの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
JP2002531325A (ja) 自動車の窓ガラス用のワイパブレード
JP2003503275A (ja) 細長いばね弾性的な支持エレメントを備えた、自動車のウィンドウガラスの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
KR20070115899A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CZ296865B6 (cs) List sterace skel, zejména vozidel
KR100783839B1 (ko) 와이퍼 블레이드
DE10025708A1 (de) Wischblatt zum Reinigen von Fahrzeugscheiben
KR20010099978A (ko)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핑 장치
JP2005521596A (ja) 駆動されるワイパアームと、該ワイパアームに枢着された、ガラス特に自動車のガラスを清掃する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とを備えたワイパレバー
KR20010030688A (ko)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아암에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
JP2002537168A (ja) 自動車の窓ガラス用のワイパーブレードとワイパーアームとのヒンジ結合のための装置
US5862567A (en) Windshield wiper for a car
ATE292568T1 (de) Wischanlage für eine scheibe eines kraftfahrzeugs sowie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r scheibenwischanlage
GB2254543A (en) Wiper blade for motor vehicles
US5243731A (en) Automatic self-cleaning windshield wip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