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6648A - 관상 블랭킷 및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인쇄기 - Google Patents

관상 블랭킷 및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인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6648A
KR19980086648A KR1019980014961A KR19980014961A KR19980086648A KR 19980086648 A KR19980086648 A KR 19980086648A KR 1019980014961 A KR1019980014961 A KR 1019980014961A KR 19980014961 A KR19980014961 A KR 19980014961A KR 19980086648 A KR19980086648 A KR 19980086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nket
tubular
web
main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5631B1 (ko
Inventor
다카오 하라다
Original Assignee
마스다 노부유키
미쓰비시 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스다 노부유키, 미쓰비시 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스다 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19980086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0Blankets or like coverings; Coverings for wipers for intaglio printing
    • B41N10/02Blanket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2210/00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in multi-layer blankets or like coverings
    • B41N2210/02Top layers

Landscapes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Rotary Pr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되는 웨브(2)와 접촉하는 부분을 적어도 갖는 주 블랭킷 부분(8a, 8a')과, 이 주 블랭킷 부분(8a, 8a') 이외의 잔여 블랭킷 부분(8b, 8b')을 포함하는 관상 블랭킷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잔여 블랭킷 부분(8b, 8b')의 두께는 주 블랭킷 부분(8a, 8a')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따라서 관상 블랭킷의 원주 표면상의 웨브(2) 부재(不在)의 영역에 잉크나 종이 입자가 부착하더라도, 그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웨브 절단의 발생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서, 관상 블랭킷의 사용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경제성과 작업 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상 블랭킷 및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인쇄기
본 발명은 인쇄기의 블랭킷 배럴(실린더)에 사용되는 관상 블랭킷, 및 이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인쇄기에 관한 것이다.
옵셋 인쇄기의 인쇄 유닛은 주로 블랭킷과 인쇄 실린더로 구성되며, 최근에는 이 블랭킷으로서 관상 블랭킷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관상 블랭킷을 설명하기 위하여, 웨브의 양면에 옵셋 인쇄를 실시하는 블랭킷쌍 블랭킷 인쇄기의 인쇄 유닛을 예로 들지만, 설명은 그의 블랭킷 부분만에 국한될 것이다. 도 9는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블랭킷쌍 블랭킷형 인쇄기의 요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블랭킷 배럴(1)이 웨브(2)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관계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이들 블랭킷 배럴(1)의 단부 부근의 원주 표면에는 복수개의 압축공기 토출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고, 블랭킷 배럴(1)의 원주 전 둘레에 걸쳐서 관상 블랭킷(3)이 그 압축공기 토출구를 덮도록 각기 끼워맞춤되어 있다. 또, 이 관상 블랭킷(3)의 각각은 금속 등의 강도가 높은 탄성재로 이루어진 슬리브 상에 고무, 섬유, 수지, 접착제 등으로 이루어진 블랭킷층을 겹쳐 쌓음으로써 구성되는 탄성층이다. 관상 블랭킷(3)은 사용시 항상 상기 압축공기 토출구를 덮고 있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적어도 관상 블랭킷(3)에 있어서의 슬리브의 축방향 길이는, 블랭킷 배럴(1)의 원주 표면면의 축방향 길이와 거의 같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블랭킷 배럴(1)은 관상 블랭킷(3)이 웨브(2)를 끼워 누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 블랭킷 배럴(1)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에 의해서 각기 화살표(a, b) 방향으로 동기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웨브(2)의 상측 및 하측의 부분에는, 도시하지 않은 인쇄 실린더가 양쪽에서 각기 관상 블랭킷(3)과 접촉하면서 동기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인쇄용 도안을 위한 잉크와 물이 이 인쇄 실린더의 원주 표면상에 도포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웨브(2)를 상하의 관상 블랭킷(3) 사이의 간극에 삽입하여 화살표(c) 방향으로 통과시키면, 상하 각각의 관상 블랭킷(3)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인쇄 실린더가 관상 블랭킷(3)과 접촉하면서 동기 회전함으로써, 인쇄 실린더의 원주 표면상에 도포된 잉크가 상하 각각의 관상 블랭킷(3)의 원주 표면상으로 각기 전사된다.
웨브(2)의 상하측의 위치에 대하여 대향 관계에 있도록 배치된 한 쌍의 관상 블랭킷(3)이 웨브(2)의 이동에 따라 그것을 가압하면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이 관상 블랭킷(3)에 전사된 잉크가 웨브(2)로 전사되어, 웨브(2) 상에의 옵셋 인쇄가 행해진다.
또, 블랭킷 배럴(1) 상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관상 블랭킷(3)을 이탈시키는 때 또는 그 위에 부착하는 때에는, 블랭킷 배럴(1)의 단부 부근의 원주부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복수개의 압축공기 토출구로부터, 관상 블랭킷(3)과 블랭킷 배럴(1) 사이의 간극으로 압축공기를 토출하는 방식에 의하여 관상 블랭킷(3)의 내경을 확대하여, 관상 블랭킷(3)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상 블랭킷의 경우에는, 웨브(2)의 폭에 비해 관상 블랭킷(3)의 축방향 길이 쪽이 길어진다. 그 때문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웨브 폭이 A 또는 B라고 가정한 경우에, 웨브(2)의 상하에 위치하는 관상 블랭킷(3)이 그 원주 표면상에 웨브(2) 부재(不在)의 접촉 영역(4 또는 4')을 갖게 된다. 즉, 그들 관상 블랭킷(3)의 원주 표면상의 웨브(2) 부재의 접촉 영역(4, 4')에 있어서는, 관상 블랭킷(3)의 사이에 웨브(2)가 개재함에도 불구하고, 웨브(2)의 상하측에 배치된 관상 블랭킷(3)이 웨브(2)를 사이에 두지 않고 서로 직접 접촉하게 된다. 게다가, 웨브(2)의 폭이 좁을수록, 이 관상 블랭킷(3)의 원주 표면상의 웨브(2) 부재의 접촉 영역(4, 4')이 넓어진다.
아울러, 이 관상 블랭킷(3)의 원주 표면상의 웨브(2) 부재 부분에 주변으로부터 날아온 잉크나 종이 입자가 부착한 경우에는, 이들 관상 블랭킷(3)의 원주 표면상의 웨브(2) 부재 영역(4, 4')에 웨브(2)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거기에 부착한 잉크나 종이 입자가 웨브(2)상으로 이동될 수 없으므로, 그들을 웨브(2)상에 점착하는 상태로 이동시키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그 때문에, 이들 관상 블랭킷(3)의 원주 표면상의 웨브(2) 부재 영역(4, 4')에 부착한 잉크나 종이 입자가 그대로 그 내에 퇴적하여, 웨브(2)의 상하로 위치하는 관상 블랭킷(3)의 사이에서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건조 및 발열하고, 그 결과 관상 블랭킷(3)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더우기, 웨브(2)가 사행(蛇行)한 경우에는, 이 관상 블랭킷(3)의 원주 표면상의 웨브(2) 부재 영역(4, 4')에 퇴적한 잉크에 웨브(2)가 점착하고, 그 결과 웨브(2)가 블랭킷 배럴(1) 둘레로 휘감겨서 웨브가 절단될 우려도 있다.
더구나, 이 웨브 휘감김에 의한 웨브 절단이 인쇄기의 고속 운전시에 일어난 경우에는, 그 웨브 절단을 감지하여 운전을 정지시킬 때까지, 블랭킷 배럴(1) 둘레에 웨브(2)가 대량으로 감기고, 또한 상하의 관상 블랭킷(3) 사이의 간극에도 웨브(2)가 대량으로 퇴적함에 의해 관상 블랭킷(3)의 사용에 지장을 초래하여, 인쇄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관상 블랭킷(3)은 고속인쇄 성능은 좋지만 고가이고, 또한 교환시에 손이 많이 가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관상 블랭킷(3)의 사용에 지장을 초래한 경우에는 경제적으로 그리고 작업 능률면에서 보더라도 손실이 커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관상 블랭킷의 원주 표면상의 웨브 부재의 영역에 잉크나 종이 입자가 부착하더라도, 그들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또한 웨브 절단의 발생을 어렵게 하여, 관상 블랭킷의 사용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경제적이면서 아울러 작업능률도 향상시키도록 한 관상 블랭킷과, 그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인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상 블랭킷은 인쇄기의 블랭킷 배럴에 사용되는 관상 블랭킷이고, 인쇄되는 웨브와 접촉하는 부분을 적어도 갖는 주 블랭킷 부분과, 이 주 블랭킷 부분 이외의 잔여 블랭킷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잔여 블랭킷 부분은 상기 주 블랭킷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다.
관상 블랭킷에 있어서, 주 블랭킷 부분의 두께는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상 블랭킷에 있어서, 주 블랭킷 부분과 잔여 블랭킷 부분 사이의 경계 부분은 사실상 수직의 벽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주 블랭킷 부분과 잔여 블랭킷 부분 사이의 경계 부분은 주 블랭킷 부분으로부터 잔여 블랭킷 부분까지의 두께가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관상 블랭킷에 있어서, 상기 주 블랭킷 부분의 폭은 상기 웨브의 폭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인쇄기는, 웨브의 일 표면상에 인쇄를 행하는 제 1 관상 블랭킷을 구비한 제 1 블랭킷 배럴과, 웨브의 다른 표면상에 인쇄를 행하는 제 2 관상 블랭킷을 구비하는 제 1 블랭킷 배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블랭킷 배럴은 서로 대향하는 관계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관상 블랭킷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웨브와 접촉하는 부분을 적어도 갖는 주 블랭킷 부분과, 상기 주 블랭킷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주 블랭킷 부분 이외의 잔여 블랭킷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인쇄기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 관상 블랭킷의 각각이, 웨브와 접촉하는 부분을 적어도 갖는 주 블랭킷 부분과, 이 주 블랭킷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주 블랭킷 부분 이외의 잔여 블랭킷 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관상 블랭킷을 사용한 인쇄기에 있어서는, 주 블랭킷 부분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인쇄기에 있어서, 주 블랭킷 부분과 잔여 블랭킷 사이의 경계 부분은 사실상 수직의 벽부로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주 블랭킷 부분과 잔여 블랭킷 부분 사이의 경계 부분은 잔여 블랭킷 부분으로부터 주 블랭킷 부분까지 두께가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인쇄기는, 웨브상의 일 표면상에 인쇄를 행하기 위하여 표면에 관상 블랭킷을 갖는 블랭킷 배럴을 구비하고, 이 관상 블랭킷은 웨브와 접촉하는 부분을 적어도 갖는 주 블랭킷 부분과, 두께가 상기 주 블랭킷 부분의 두께보다 얇도록 형성된 주 블랭킷 부분 이외의 잔여 블랭킷 부분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인쇄기에 있어서는, 주 블랭킷 부분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인쇄기에 있어서, 주 블랭킷 부분과 잔여 블랭킷 부분 사이의 경계 부분은 사실상의 수직의 벽부로서 구성될 수 있고, 주 블랭킷 부분과 잔여 블랭킷 부분 사이의 경계 부분은 잔여 블랭킷 부분으로부터 주 블랭킷 부분까지 두께가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블랭킷쌍 블랭킷형 인쇄기의 요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관상 블랭킷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관상 블랭킷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5는 블랭킷쌍 블랭킷형 인쇄기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인쇄기의 변경예의 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인쇄기의 요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인쇄기의 요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도 9는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블랭킷쌍 블랭킷형 인쇄기의 요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대응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블랭킷 배럴 2: 웨브
3: 관상 블랭킷 4, 4': 웨브 부재의 접촉 영역
5, 5': 웨브 부재의 극간 영역 6: 슬리브
7: 블랭킷층 8, 8': 관상 블랭킷
8a, 8a': 주 블랭킷 부분 8b, 8b': 잔여 블랭킷 부분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설명〕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종래의 관상 블랭킷 뿐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상 블랭킷은 웨브 상에 인쇄를 행하는 블랭킷쌍 블랭킷형 인쇄기의 인쇄 유닛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이하에서는 블랭킷쌍 블랭킷형 인쇄기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랭킷쌍 블랭킷형 인쇄기는 블랭킷 배럴(1, 1)과 인쇄 실린더(12, 12)와 물 공급 로울러(13, 13)와 잉크 공급 유닛(14, 14)을 각기 포함하고 있는데, 이들은 웨브(2)에 대하여 대향하는 관계로 각기 대칭 배치되어 있다.
또한, 쌍으로 된 블랭킷 배럴(1, 1)은, 그들 사이에 웨브(2)를 개재하도록 서로 대향하는 관계에 있는 위치에서, 웨브(2)를 그들 사이에서 끼워 누르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또 웨브(2)가 관상 블랭킷 사이에 유지되는 상태로 눌려지도록 관상 블랭킷(도 5에 도시하지 않음)이 블랭킷 배럴(1, 1)의 원주 표면상에 각기 끼워맞춤되어 있다. 또한 블랭킷 배럴(1, 1)은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화살표(a, b) 방향으로 동기 회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게다가, 블랭킷 배럴(1, 1)의 원주 표면의 외측에서 인쇄 실린더(12, 12)는 블랭킷 배럴(1, 1) 상에 끼워맞춤된 관상 블랭킷과 접촉하면서 화살표(d, e) 방향으로 동기 회전하도록 각기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인쇄 실린더(12, 12)의 원주 표면상에서 물 공급 로울러(13, 13)는 그것과 접촉하면서 화살표(f, g) 방향으로 동기 회전하도록 배치되어서, 인쇄 실린더(12, 12)의 원주 표면상으로 물을 공급하고 있다. 더구나, 인쇄 실린더(12, 12)의 원주 표면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잉크 공급 유닛(14, 14)은 도안 패턴에 대응하는 잉크를 공급하도록 위치되어 인쇄 실린더(12, 12)의 원주 표면상에 인쇄를 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물 공급 로울러(13, 13)가 각기 인쇄 실린더(12, 12)와 접촉하면서 동기 회전하는 방식에 의하여, 물이 인쇄 실린더(12, 12)의 원주 표면상에 부착되고, 또한 잉크 공급 유닛(14, 14)이 도안 패턴에 대응하는 잉크를 공급하여 인쇄 실린더(12, 12)의 원주 표면상에 각기 인쇄를 행하게 된다.
이 경우에, 웨브(2)가 상하의 블랭킷 배럴(1, 1) 사이의 간극으로 삽입되어 화살표(c) 방향으로 전진한 때, 그 위에 각기 관상 블랭킷을 갖는 블랭킷 배럴(1, 1)과 인쇄 실린더(12, 12)는 접촉하는 상태로 동기 회전 구동되어, 인쇄 실린더(12, 12)의 원주 표면상으로 공급된 잉크를 블랭킷 배럴(1, 1)상의 관상 블랭킷의 원주 표면상으로 각기 전사시킨다.
게다가, 웨브(2)를 개재한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관계로 배치된 블랭킷 배럴(1, 1) 쌍은 웨브(2)의 이동에 따라 그 사이에서 웨브(2)를 끼워 누르면서 화살표(a, b) 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때 관상 블랭킷으로 전사된 잉크는 웨브(2)상으로 전사되어, 웨브(2)에 대한 옵셋 인쇄를 행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인쇄기에 있어서는, 한쌍의 블랭킷 배럴(1)이 그 사이에 웨브(2)를 개재하도록 서로 대향하는 관계로 배치되고, 복수개의 압축공기 토출구(10)가 블랭킷 배럴(1)의 원주 표면의 부분에서 그들의 단부 근방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며, 관상 블랭킷(8)이 블랭킷 배럴(1)의 전체 원주에 걸쳐서 압축공기 토출구(10)를 덮도록 끼워맞춤되어 있다.
게다가, 블랭킷 배럴(1)은 그들의 관상 블랭킷(8)이 그 사이에서 웨브(2)를 끼워 누르도록 위치설정되며, 또한 웨브(2)의 상하측에 위치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에 의하여 화살표(a, b) 방향으로 각기 동기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기술의 것과 거의 동일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상 블랭킷(8)의 각각은 웨브(2)와 접촉하는 부분을 갖는 주 블랭킷 부분(8a)과, 그 이외의 잔여 블랭킷 부분(8b)으로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이 주 블랭킷 부분(8a)은 균일한 블랭킷 두께(t)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한편 잔여 블랭킷 부분(8b)은 주 블랭킷 부분(8a)의 두께보다도 얇은 블랭킷 두께(t')(<t)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이 관상 블랭킷(8)은, 금속 등 강도가 높은 탄성재로 이루어진 슬리브(6) 위에, 고무, 섬유, 수지, 접착제 등에 의해 구성되는 블랭킷층(7)을 겹쳐 쌓는 것에 의하여 구성되는 탄성층이다. 관상 블랭킷(8)에 있어서의 슬리브(6)의 축방향 폭은, 최대 시트폭에 대응하는 인쇄판(도시하지 않음)의 폭에 대응하도록 설정되고, 일반적으로는 블랭킷 배럴(1)의 원주 표면상에 형성된 압축공기 토출구를 덮을 수 있는 폭과 거의 동일한 폭이 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관상 블랭킷(8)의 형상의 경우에는, 사용하는 시트〔웨브(2)〕의 폭이 결정되면, 웨브(2)와 접촉하는 범위보다 약간 넓은 영역, 즉 블랭킷 배럴(1)의 축방향에 있어서 그 시트 폭보다 약간 넓은 (예를 들면 5∼10mm 넓은) 양쪽 위치까지의 범위를 점유하도록 주 블랭킷 부분(8a)을 설정해서, 그 두께가 균일한 블랭킷 두께(t)로 되도록 형성하고, 주 블랭킷 부분(8a) 이외의 잔여 블랭킷 부분(8b)(즉, 이 시트 폭보다 약간 넓은 범위를 규정하는 양쪽 위치로부터 양단부까지 존재하는 부분)의 두께가 블랭킷 두께(t)보다도 얇은 두께(t')가 되도록 형성한다.
또, 웨브 폭이 크게 변하는 경우에는, 관상 블랭킷(8)도 그 폭에 대응하는 것으로 교환한다. 예를 들면 사용하는 웨브 폭이 두가지이면 관상 블랭킷(8)도 두종류 준비한다.
하기에서는 웨브(2)가 서로 다른 웨브 폭(A 및 B)을 갖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웨브 폭(A)을 갖는 웨브(2)에 인쇄하는 경우의 관상 블랭킷(8)의 형상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 블랭킷 부분(8a)을, 그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거의 중앙 위치에서 웨브(A)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범위의 양쪽에 약간 넓은 범위(4)를 추가함으로써 얻어진 영역을 점유하도록 설정하고, 이 주 블랭킷 부분(8a)은 균일한 블랭킷 두께(t)를 갖도록 형성하며, 한편 주 블랭킷 부분(8a) 이외의 잔여 블랭킷 부분(8b)의 두께는 블랭킷 두께(t)보다도 얇은 블랭킷 두께(t')를 갖도록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서, 상하의 관상 블랭킷(8)이 그 사이에서 웨브(2)를 끼워 누를 때에, 상하의 관상 블랭킷(8)의 잔여 블랭킷 부분(8b)의 사이에는 간극 영역(5)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웨브 폭(A)보다도 좁은 웨브 폭(B)을 갖는 웨브(2) 상에 인쇄하는 경우의 관상 블랭킷(8')의 형상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블랭킷 부분(8a')을, 그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 위치에서 웨브 폭(B)과 동일한 폭을 갖는 범위의 양쪽에 약간 넓은 범위(4')를 각기 추가함으로써 얻어진 영역을 점유하도록 설정하고, 이 주 블랭킷 부분(8a')의 두께는 균일한 블랭킷 두께(t)를 갖도록 형성하며, 한편 주 블랭킷 부분(8a') 이외의 잔여 블랭킷 부분(8b')은 블랭킷 두께(t)보다도 얇은 블랭킷 두께(t')를 갖도록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서, 상하의 관상 블랭킷(8')이 그 사이에서 웨브(2)를 끼워 누를 때에, 상하의 관상 블랭킷(8')의 잔여 블랭킷 부분(8b') 사이에는 간극 영역(5')이 형성된다.
이 결과, 웨브(2)를 끼워 누르는 상하의 관상 블랭킷(8, 8')의 사이에서, 잔여 블랭킷 부분(8b, 8b')은 웨브(2) 부재의 간극 영역(5, 5')을 형성하므로, 웨브(2)를 끼워 누르는 상하의 관상 블랭킷(8, 8')의 사이에서 웨브(2) 부재의 접촉 영역은 약간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관상 블랭킷이라 부르는 것은, 부호(8)로 나타내는 관상 블랭킷 뿐만 아니라 부호(8')로 나타내는 관상 블랭킷도 포함하지만, 대표하여 모두 관상 블랭킷(8)이라 표기한다. 마찬가지로 주 블랭킷 부분이라 부르는 것은 부호(8a)로 나타내는 주 블랭킷 부분 뿐만 아니라 부호(8a')로 나타내는 주 블랭킷 부분도 포함하지만, 대표하여 모두 주 블랭킷 부분(8a)이라 표기하고, 또한 잔여 블랭킷 부분이라 부르는 것은 부호(8b')로 나타내는 잔여 블랭킷 부분도 포함하지만, 대표하여 모두 잔여 블랭킷 부분(8b)이라 표기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웨브(2) 부재의 간극 영역(5)을 만들도록 관상 블랭킷(8)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한 관상 블랭킷(8)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에 나타내는 관상 블랭킷(8)의 경우에는, 블랭킷층(7)의 하부의 층을 슬리브(6)상의 축방향의 단부에까지 연장시키고, 블랭킷층(7)의 상부의 층의 일부를 절결하는 것에 의해 블랭킷 두께(t)보다도 얇은 블랭킷 두께(t')를 형성한다.
또한, 도 4b에 나타내는 관상 블랭킷(8)의 경우에는 블랭킷 두께(t)보다도 얇은 블랭킷 두께(t)를 갖는 부분을 슬리브(6)의 두께에 의해서만 형성하고, 그 슬리브(6) 상부에 적층되는 블랭킷층(7)의 축방향 말단 표면이, 하층부쪽〔슬리브(6)에 접하고 있는 쪽〕을 향해 넓어지는 경사(테이퍼)부를 갖도록 형성한다.
게다가, 도 4c에 나타내는 관상 블랭킷(8)에서는 블랭킷 두께(t)보다도 얇은 블랭킷 두께(t)를 갖는 부분을 슬리브(6) 두께에 의해서만 형성하고, 그 슬리브(6) 상부에 적층되는 블랭킷층(7)의 축방향 말단 표면이 수직 상태가 되도록 형성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관상 블랭킷(8)과 동기 회전하는 인쇄 실린더(12)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상 블랭킷(8)에 접촉하도록 각기 배치되어 있다. 이들 인쇄 실린더(12)가, 그의 원주 표면에 도안 패턴을 위한 잉크와 물이 도포된 후, 관상 블랭킷(8)과 접촉하면서 동기 회전함에 의해, 관상 블랭킷(8)의 원주 표면으로 잉크가 전사된다. 또한, 원주 표면 상으로 잉크가 전사된 관상 블랭킷(8)이 웨브(2)와 접촉하면서 회전함에 의해, 웨브(2)에의 인쇄가 행하여지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웨브(2)를 상하의 관상 블랭킷(8)의 주 블랭킷 부분(8a) 사이의 간극에 삽입하여 화살표(c) 방향으로 전진시키면, 상하 각각의 관상 블랭킷(8)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인쇄 실린더(12)가 관상 블랭킷(8)과 접촉 상태로 동기 회전함에 의해, 인쇄 실린더의 원주 표면상에 도포된 도안 패턴을 위한 잉크가 관상 블랭킷(8)의 주 블랭킷 부분(8a)의 원주 표면상으로 전사된다.
게다가, 관상 블랭킷(8)이, 웨브(2)의 이동에 따라 그 사이에서 웨브(2)를 끼워 누르면서 회전함에 의해, 웨브(2)의 상하측에 배치된 관상 블랭킷(8)의 주 블랭킷 부분(8a) 사이의 간극에서, 관상 블랭킷(8)의 주 블랭킷 부분(8a)의 원주 표면상으로 전사된 잉크가 웨브(2)로 전사되어, 웨브(2)에의 옵셋 인쇄를 행한다.
또, 블랭킷 배럴(1) 상에 끼워맞춤된 관상 블랭킷(8)을 이탈시키는 때 또는 그것을 부착하는 때에는, 블랭킷 배럴(1)의 축방향 단부 부근의 원주부에 형성된 압축공기 토출구(10)로부터 관상 블랭킷(8)과 블랭킷 배럴(1) 사이의 간극으로 압축공기를 분출함에 의해서, 관상 블랭킷(8)의 내경이 확대되어, 관상 블랭킷(8)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관상 블랭킷과 이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인쇄기에 있어서는, 웨브(2)의 폭이 주 블랭킷 부분(8a)의 폭과 거의 같기 때문에, 주 블랭킷 부분(8a)의 원주 표면상의 웨브(2) 부재의 접촉 영역(4, 4')이 약간 밖에 존재하지 않아, 이 웨브(2) 부재의 접촉 영역(4, 4')에 주변으로부터 날아 온 잉크나 종이 입자가 부착하는 일은 거의 없다.
또한, 웨브(2) 부재의 간극 영역(5, 5')〔즉, 잔여 블랭킷 부분(8b)〕에 이들의 주변으로부터 날아 온 잉크나 종이 입자가 부착하더라도, 상하의 잔여 블랭킷 부분(8b)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의 주변으로부터 날아 온 잉크나 종이 입자가 잔여 블랭킷 부분(8b)의 사이에서 가압되는 일이 없어서, 잉크나 종이 입자가 건조나 발열하는 일이 없어, 그것에 의해 관상 블랭킷(8)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한, 웨브(2)가 사행하는 것과 같은 일이 있더라도, 이 관상 블랭킷(8)의 원주 표면상에는 웨브(2) 부재의 접촉 영역(4, 4')이 약간 밖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 웨브(2) 부재의 영역(4, 4')에 퇴적한 잉크에 웨브(2)가 점착하는 일이 없어, 웨브(2)가 블랭킷 배럴(1)의 둘레에 휘감겨 절단되는 일도 없다.
또한, 웨브 부재의 간극 영역(5, 5')〔즉, 잔여 블랭킷 부분(8b)〕에 이들의 주변으로부터 날아 온 잉크나 종이 입자가 퇴적하더라도, 상하의 잔여 블랭킷 부분(8b)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웨브(2)가 이 퇴적한 잉크에 점착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이 관점으로부터도 웨브(2)가 블랭킷 배럴(1) 둘레에 휘감김으로 인한 웨브 절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웨브 휘감김에 기인한 웨브 절단이 방지되므로, 관상 블랭킷(8)의 사용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도 없다.
(B)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경예의 설명
상기 실시예에서는, 관상 블랭킷을 블랭킷쌍 블랭킷형 인쇄기의 블랭킷 배럴의 양자와 관련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조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상 블랭킷(8)을 블랭킷쌍 블랭킷형 인쇄기의 단 하나의 블랭킷 배럴(1)에만 사용하는 것에 적용할 수도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블랭킷쌍 블랭킷형 인쇄기는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인쇄기이며, 이 관상 블랭킷(8)은 도 2에 도시한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웨브(2)가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관계로 배치된 한쌍의 블랭킷 배럴(1)중 단 하나에만 끼워맞춤되며, 한편 도 10에 도시한 종래기술의 것과 유사한 관상 블랭킷(3)이 다른 블랭킷 배럴(1)상에 끼워맞춤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웨브(2)가 대향 관계에 있는 블랭킷 배럴(1) 사이의 간극내로 삽입되어 그것을 통과하면, 웨브(2)상의 옵셋 인쇄가 행해진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경예에 따른 관상 블랭킷과 이것을 사용하는 인쇄기는 주변으로부터 날아온 잉크나 종이 입자가 퇴적, 건조 및 발열하는 일이 없으므로, 관상 블랭킷(8)의 손상과, 웨브(2)가 웨브(2) 부재의 영역내에 퇴적된 잉크에 점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웨브(2)가 블랭킷 배럴(1) 둘레에 휘감김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웨브 절단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더구나, 주변으로부터 날아온 잉크가 웨브 부재의 간극 영역(5, 5')〔즉 잔여 블랭킷 부분(8b)〕에 퇴적되더라도, 잔여 블랭킷 부분(8b)중 하나가 다른 것에 대하여 간극을 형성하기 때문에, 웨브(2)가 퇴적된 잉크에 점착되지 않는다. 또한 이 관점으로부터도, 웨브(2)가 블랭킷 배럴(1) 둘레에 휘감김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웨브 절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웨브 휘감김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웨브 절단을 방지하기 때문에, 관상 블랭킷(8)의 사용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일도 없다.
(C)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설명
전술한 실시예는 관상 블랭킷(8)을 블랭킷쌍 블랭킷형 인쇄기에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프레션 실린더(impression cylinder) 상의 웨브에 대하여 블랭킷을 가압하는 유형을 갖는 인쇄기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인쇄기는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인쇄기이며, 임프레션 실린더(11), 블랭킷 배럴(1), 인쇄 실린더(12), 물 공급 로울러(13) 및 임프레션 실린더(11)상의 웨브(2)에 일측면 인쇄를 행하는 잉크 공급 유닛(14)으로 구성된다.
블랭킷 배럴(1)은 웨브(2)에 대하여 임프레션 실린더(11)와 대향하는 관계에 있는 위치에서 임프레션 실린더(1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또한 이 블랭킷 배럴(1)은 도 2에 도시한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 관상 블랭킷(8)도 그 위에 달고 있다.
게다가, 블랭킷 배럴(1)과 임프레션 실린더(11)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를 사용하여 화살표(a, b) 방향으로 동기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인쇄 실린더(12)는 관상 블랭킷(8)의 원주 표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인쇄 실린더(12)는 화살표(d) 방향으로 블랭킷 배럴(1)과 동기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물 공급 로울러(13)는 인쇄 실린더(12)의 원주 표면과 접촉하도록 위치되며, 물 공급 로울러(13)가 화살표(f) 방향으로 동기 회전함에 따라 물이 인쇄 실린더(12)의 원주 표면상으로 공급된다. 또한 인쇄 실린더(12)의 원주 표면상에는 잉크 공급 장치(14)가 배치되어, 인쇄될 도안 패턴에 대응하는 잉크를 인쇄 실린더(12)의 원주 표면상에 도포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물 공급 로울러(13)가 인쇄 실린더(12)와 접촉하면서 동기 회전하는 방식에 의하여, 물이 인쇄 실린더(12)의 원주 표면상에 부착되고, 또한 인쇄될 도안 패턴에 대응하는 잉크가 잉크 공급 유닛(14)에 의하여 인쇄 실린더(12)의 원주 표면상에 부착된다.
웨브(2)가 블랭킷 배럴(1)과 임프레션 실린더(11) 사이의 간극으로 삽입되어 화살표(c) 방향으로 전진함에 따라, 인쇄 실린더(12)와 관상 블랭킷(8)이 서로 접촉하면서 동기 회전하여, 인쇄 실린더(12)의 원주 표면상에 도포된 잉크가 블랭킷 배럴(1)의 관상 블랭킷(8)의 원주 표면상으로 전사된다.
더구나, 블랭킷 배럴(1)과 사이에 웨브(2)를 개재하도록 서로 대향하는 관계로 배치된 임프레션 실린더(11)가 웨브(2)의 이동에 따라 그 사이에서 웨브(2)를 끼워 누르면서 화살표(a, b) 방향으로 회전하면, 관상 블랭킷(8)상으로 전사된 잉크가 웨브(2)상으로 전사되어 웨브(2) 상에 옵셋 인쇄를 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관상 블랭킷이 블랭킷을 임프레션 실린더상의 웨브에 대하여 누르는 유형을 갖는 인쇄기에 적용하더라도, 그것을 전술한 블랭킷쌍 블랭킷형 인쇄기에 적용하는 경우에 얻을 수 있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 기타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관상 블랭킷(8)을 웨브(2)의 폭이 크게 변하는 경우에 교환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그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웨브(2)의 폭이 다종 있는 경우에는, 웨브(2) 부재의 블랭킷 접촉 영역이 약간 넓어지는 것을 희생한다면, 준비하는 관상 블랭킷(8)의 종류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4a 내지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의 관상 블랭킷(8) 단면 형상을 보이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 관상 블랭킷(8)의 단면 형상과, 블랭킷층(7)간의 관계, 그것의 형상 등에 제한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이탈하지 한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 블랭킷 부분(8a)이 그의 축방향 중앙 부분에 형성되고 잔여 블랭킷 부분(8b)이 주 블랭킷 부분(8a)의 양쪽에 형성되도록 관상 블랭킷(8)을 설계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주 블랭킷 부분(8a)을 관상 블랭킷(8)상의 축방향의 어느 위치에 형성하여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관상 블랭킷과 이 관상 블랭킷을 사용한 인쇄기에 있어서는, 인쇄가 행해지는 웨브와 접촉하는 부분을 갖는 주 블랭킷 부분과, 이 주 블랭킷 부분 이외의 잔여 블랭킷 부분이 제공된다. 이 경우에, 주 블랭킷 부분은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잔여 블랭킷 부분의 두께는 주 블랭킷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따라서 웨브 부재의 접촉 영역은 작은 양으로 감소될 수 있고, 잔여 블랭킷 부분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관계로 배치된 관상 블랭킷의 사이에는 간극이 있기 때문에 주변으로부터 날아온 잉크나 종이 입자가 웨브 부재의 영역에 부착하게 되더라도, 부착한 잉크나 종이 입자가 관상 블랭킷을 손상시키게 되는 일은 없으므로 고가의 관상 블랭킷의 교환이 감소되어 경제성 및 작업 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웨브가 사행하더라도, 웨브 부재의 영역이 작기 때문에, 웨브 부재의 영역에 퇴적된 잉크에 웨브가 거의 점착되지 않으므로 웨브가 블랭킷 배럴 둘레에 휘감김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웨브 절단이 감소되고, 또한 이 관점으로부터도 고가의 관상 블랭킷의 교환이 감소되어 경제성 및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주 블랭킷 부분의 폭을 웨브의 폭보다도 약간 넓게 구성하면, 웨브 부재의 접촉 영역을 적은 양으로 할 수 있으므로, 그 결과 이 웨브 부재의 접촉 영역에 잉크나 종이 입자가 부착하는 일이 거의 없어, 상기의 효과 내지 이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Claims (16)

  1. 인쇄되는 웨브(2)와 접촉하는 부분을 적어도 갖는 주 블랭킷 부분(8a, 8a')과, 이 주 블랭킷 부분(8a, 8a') 이외의 잔여 블랭킷 부분(8b, 8b')을 포함하는 인쇄기의 블랭킷 배럴(1)을 위한 관상 블랭킷에 있어서, 상기 잔여 블랭킷 부분(8b, 8b')은 상기 주 블랭킷 부분(8a, 8a')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블랭킷.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블랭킷 부분(8a, 8a')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블랭킷.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블랭킷 부분(8a, 8a')과 상기 잔여 블랭킷 부분(8b, 8b') 사이의 경계 부분이 사실상 수직의 벽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블랭킷.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블랭킷 부분(8a, 8a')과 상기 잔여 블랭킷 부분(8b, 8b') 사이의 경계 부분이 상기 잔여 블랭킷 부분(8b, 8b')으로부터 상기 주 블랭킷 부분(8a, 8a')까지 두께가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블랭킷.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블랭킷 부분(8a, 8a')의 폭이 상기 웨브(2)의 폭보다 약간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블랭킷.
  6. 웨브(2)의 일 표면상에 인쇄를 행하는 제 1 관상 블랭킷(8)을 구비하는 제 1 블랭킷 배럴(1)과, 상기 웨브(2)의 다른 표면상에 인쇄를 행하는 제 2 관상 블랭킷(8)을 구비하는 제 2 블랭킷 배럴(1)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블랭킷 배럴(1)은 서로 대향하는 관계로 배치되는,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관상 블랭킷(8)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웨브(2)와 접촉하는 부분을 적어도 갖는 주 블랭킷 부분(8a, 8a')과, 이 주 블랭킷 부분(8a, 8a')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주 블랭킷 부분(8a, 8a') 이외의 잔여 블랭킷 부분(8b, 8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블랭킷 사용 인쇄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관상 블랭킷(8)의 각각이, 웨브(2)와 접촉하는 부분을 적어도 갖는 상기 주 블랭킷 부분(8a, 8a')과, 이 주 블랭킷 부분(8a, 8a')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주 블랭킷 부분(8a, 8a') 이외의 상기 잔여 블랭킷 부분(8b, 8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블랭킷 사용 인쇄기.
  8. 웨브(2)상의 일 표면상에 인쇄를 행하기 위하여 표면에 관상 블랭킷(8)을 갖는 블랭킷 배럴(1)을 포함하는, 관상 블랭킷(8)을 사용하는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관상 블랭킷(8)이 상기 웨브(2)와 접촉하는 부분을 적어도 갖는 주 블랭킷 부분(8a, 8a')과, 두께가 상기 주 블랭킷 부분(8a, 8a')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상기 주 블랭킷 부분(8a, 8a') 이외의 잔여 블랭킷 부분(8b, 8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블랭킷 사용 인쇄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블랭킷 부분(8a, 8a')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블랭킷 사용 인쇄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블랭킷 부분(8a, 8a')과 상기 잔여 블랭킷 부분(8b, 8b') 사이의 경계 부분이 사실상 수직의 벽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블랭킷 사용 인쇄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블랭킷 부분(8a, 8a')과 상기 잔여 블랭킷 부분(8b, 8b') 사이의 경계 부분이, 상기 잔여 블랭킷 부분(8b, 8b')으로부터 주 블랭킷 부분(8a, 8a')까지 두께가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블랭킷 사용 인쇄기.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블랭킷 부분(8a, 8a')의 폭이 상기 웨브(2)의 폭보다 약간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블랭킷 사용 인쇄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블랭킷 부분(8a, 8a')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블랭킷 사용 인쇄기.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블랭킷 부분(8a, 8a')과 상기 잔여 블랭킷 부분(8b, 8b') 사이의 경계 부분이 사실상 수직의 벽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블랭킷 사용 인쇄기.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블랭킷 부분(8a, 8a')과 상기 잔여 블랭킷 부분(8b, 8b') 사이의 경계 부분이, 상기 잔여 블랭킷 부분(8b, 8b')으로부터 주 블랭킷 부분(8a, 8a')까지 두께가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블랭킷 사용 인쇄기.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블랭킷 부분(8a, 8a')의 폭이 상기 웨브(2)의 폭보다 약간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블랭킷 사용 인쇄기.
KR1019980014961A 1997-05-13 1998-04-27 관상 블랭킷 및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인쇄기 KR100255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22634 1997-05-13
JP12263497A JP3510452B2 (ja) 1997-05-13 1997-05-13 印刷機,印刷ユニットおよび筒状ブランケットセ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648A true KR19980086648A (ko) 1998-12-05
KR100255631B1 KR100255631B1 (ko) 2000-05-01

Family

ID=14840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961A KR100255631B1 (ko) 1997-05-13 1998-04-27 관상 블랭킷 및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인쇄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48726A (ko)
EP (1) EP0878326B1 (ko)
JP (1) JP3510452B2 (ko)
KR (1) KR100255631B1 (ko)
CN (1) CN1096963C (ko)
CA (1) CA2236061C (ko)
DE (1) DE69816705T2 (ko)
TW (1) TW53572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7746B3 (de) * 2002-12-10 2004-06-24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Formzylinder einer Rotationsdruckmaschine, insbesondere einer Offsetdruckmaschine
DE19921388A1 (de) * 1999-05-10 2000-11-16 Roland Man Druckmasch Rotationsdruckmaschine mit einem Form-, einem Übertragungs- und einem Gegendruckzylinder
DE10257231A1 (de) * 2002-12-07 2004-06-24 Rieter Ingolstadt Spinnereimaschinenbau Ag Reibbelag für Reibwalze zum Antreiben einer Spule an einer Textilmaschine
AT501850B1 (de) * 2005-05-10 2011-01-15 Oebs Gmbh Drucktuch
DE102006046521A1 (de) * 2006-09-29 2008-04-03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Druckwerk einer Druckmaschine
ATE534526T1 (de) * 2007-10-19 2011-12-15 Khs Gmbh Vorrichtung zum bedrucken von flaschen oder dergleichen behältern an der behälteraussenfläche
US8307764B2 (en) * 2009-02-17 2012-11-13 Luminite Products Corporation Printing sleeve
US20120097057A1 (en) * 2010-10-22 2012-04-26 Manroland Ag Printing unit and a printing press and printing roller or impression cylinder of a printing press
KR20150029644A (ko) * 2012-05-18 2015-03-18 준 사카모토 블랭킷 세트, 전사 롤, 인쇄 장치
CN111169191B (zh) * 2020-01-22 2022-03-25 上海摩伽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双色桌面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8795A (en) * 1921-11-17 1922-09-12 Charles P Mezger Printing device
US1576726A (en) * 1924-04-24 1926-03-16 Arthur B Davis Printing roll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804139A (en) * 1926-01-16 1931-05-05 Frank W Adsit Printing blanket for offset work
US2447991A (en) * 1946-06-13 1948-08-24 Hoe & Co R Resilient bearer for offset presses
GB1091068A (en) * 1965-11-19 1967-11-15 Grace W R & Co A method joining superposed fabrics and the products of such method
US3750250A (en) * 1972-08-31 1973-08-07 Bingham S Co Printer{40 s roller and method of making same
DE2514294C2 (de) * 1975-04-02 1985-01-03 Continental Gummi-Werke Ag, 3000 Hannover Mantel einer Walze für die Druckbehandlung von Warenbahnen
DE3139494C2 (de) * 1981-09-30 1983-11-10 Herlitz Ag, 1000 Berlin Walze
EP0215033A1 (de) * 1985-03-20 1987-03-25 HUBER & SUHNER AG KABEL-, KAUTSCHUK-, KUNSTSTOFF-WERKE Austauschbare walze und deren verwendung in druckmaschinen
WO1991004157A1 (en) * 1989-09-19 1991-04-04 Kinyosha Co., Ltd. Compressible rubber blanket for offset printing
DE9203874U1 (ko) * 1992-03-23 1993-03-04 Eduard Kuesters Maschinenfabrik Gmbh & Co Kg, 4150 Krefeld, De
US5215013A (en) * 1992-07-07 1993-06-01 Heidelberg Harris Inc. Printing blanket with noise attenuation
DE4340915A1 (de) * 1993-02-23 1994-08-25 Heidelberger Druckmasch Ag Auswechselbare Andrückhülse
US5577443A (en) * 1995-02-08 1996-11-26 Luminite Products Corporation Printing sleeve construction
US5515781A (en) * 1995-08-08 1996-05-14 Luminite Products Corporation Nickel printing sleeve with protective hard rubber rims
US6062138A (en) * 1999-03-30 2000-05-16 Howard A. Fromson Offset printing having blanket cylinder with blanket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36061A1 (en) 1998-11-13
US6148726A (en) 2000-11-21
CN1096963C (zh) 2002-12-25
EP0878326A2 (en) 1998-11-18
TW535729U (en) 2003-06-01
EP0878326A3 (en) 1999-03-17
JP3510452B2 (ja) 2004-03-29
CN1198989A (zh) 1998-11-18
JPH10309880A (ja) 1998-11-24
EP0878326B1 (en) 2003-07-30
KR100255631B1 (ko) 2000-05-01
DE69816705T2 (de) 2004-03-11
CA2236061C (en) 2002-02-12
DE69816705D1 (de) 200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8784A (en) Covering for sheet-supporting cylinders and drums in rotary offset printing presses
US8834659B2 (en) Embossing device
KR100255631B1 (ko) 관상 블랭킷 및 관상 블랭킷을 사용하는 인쇄기
KR101228025B1 (ko) 음각 인쇄기용 잉킹 시스템
EP1824682B1 (en) Image transfer sleeve and offset printing press provided with an image transfer sleeve of this type
US6000336A (en) Applicator cylinder with sleeve having recesses therein to receive grippers in a sheet-fed press
JP3442372B2 (ja) 特にオフセットロール紙輪転印刷機のためのゴム胴スリーブ
JP3497534B2 (ja) オフセット・ゴムブランケットスリーブ
JPH0768736A (ja) オフセット印刷版およびオフセット印刷版の製造方法
US6289809B1 (en) Blanket for offset prin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414505B2 (ja) 単一の又は2つのウェブを印刷するための多色印刷機
US20060148631A1 (en) Manufacturing line for making corrugated cardboard
JP2010201812A (ja) 印刷機
US20030000403A1 (e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ubular printing blanket
US6779451B2 (en) Flexible tubular printing blanket
JP5465886B2 (ja) 印刷用ブラン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ブランケット胴並びに印刷機
JP2018008387A (ja) オフセット印刷用のブランケット及びオフセット印刷装置
JP4152176B2 (ja) オフセット印刷機下胴のゴム被覆布地用万能下胴貼り
JP5332017B2 (ja) 新聞印刷用ブランケット胴及びこのブランケット胴を備えた新聞印刷用オフセット輪転印刷機
JP4262459B2 (ja) 印刷機
KR20060104694A (ko) 요판 오프셋 인쇄 기계
JP4218810B2 (ja) 高精度多色印刷装置
WO2011104832A1 (ja) 印刷用ブラン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ブランケット胴並びに印刷機
JP2010036518A (ja) ブランケット胴
JP3956249B2 (ja) 多色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