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4710A - 콜레스테롤 저하 약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콜레스테롤 저하 약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4710A
KR19980074710A KR1019970010651A KR19970010651A KR19980074710A KR 19980074710 A KR19980074710 A KR 19980074710A KR 1019970010651 A KR1019970010651 A KR 1019970010651A KR 19970010651 A KR19970010651 A KR 19970010651A KR 19980074710 A KR19980074710 A KR 19980074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lesterol
pharmaceutical composition
cholesterol lowering
glucose
lipid metabol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0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구
계홍석
조희재
이철훈
김영훈
신재규
Original Assignee
손경식
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경식, 제일제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경식
Priority to KR1019970010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4710A/ko
Priority to PCT/KR1997/000127 priority patent/WO1998042350A1/en
Priority to AU31923/97A priority patent/AU3192397A/en
Publication of KR19980074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471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4Esters of 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학적 유효량의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함유하는 혈중 콜레스테롤의 저하 또는 지질대사 촉진에 유용한 약제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발명의명칭]
콜레스테롤 저하 약제 조성물
[발명의상세한설명]
[발명의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고 콜레스테롤 혈증의 치료 또는 지질대사 촉진 또는 동맥경화증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한 신규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이속하는기술분야및그분야의종래기술]
콜레스테롤은 동물 세포막의 구성성분이면서 담즙산, 스테로이드호르몬, 비타민 D 등의 전구체로써 중요한 지질이다. 그러나, 혈중에 과잉으로 존재하는 콜레스테롤은 동맥벽에 침착하여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을수록 관상동맥경화증에 걸리기 쉬우며, 이것이 원인이 되어 심근경색, 뇌졸증 등의 위험성이 높아진다는 것이 면역학 조사에 의해서 밝혀지고 있다. 생체내의 콜레스테롤 레벨은 외부로부터 섭취하여 흡수되는 외인성 콜레스테롤과 체내에서 생합성되는 내인성 콜레스테롤 및 대소변으로 배출되는 담즙산으로 규정할 수 있다. 성인에 있어서 외인성 콜레스테롤이 약 3분의 1인데 반해, 내인성 콜레스테롤은 약 3분의 2가 된다. 압도적으로 체내에서 합성되는 콜레스테롤 량이 많으며, 이것은 대부분이 간장에서 생합성된다.
고 콜레스테롤 혈증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맥경화 등의 혈관장해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므로 일반적으로는 식이요법, 치료적 운동 및 약물요법 등의 여러 가지 치료법이 있다. 약물요법에 사용되는 약제로는 콜레스테롤의 체내 흡수 저해제, 지질대사 촉진제 및 콜레스테롤 생합성 저해제 등이 있다. 흡수 저해제(콜레스티라민 등), 지질대사 촉진제(헤파린 등) 및 콜레스테롤 생합성 저해제(로바스타틴 등)들은 경미하지만 간장 장해, 신장 장해, 담석증 및 소화기 증상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3-히드록시-3-메틸글루타릴 조효소 A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인 콤팩틴 등의 기초적인 연구로부터 동물세포의 생육에 있어서, 콜레스테롤 이상으로 메바론산 이후의 이소펜테닐피로인산 및 파르네실피로인산에서 생합성되는 돌리콜, 햄 A, 유비퀴논 등의 비스테로이드 산물도 중요함이 지적되고 있다(참고: J.L. Goldstein 등, Nature, 343, 425 (1990)).
[발명이이루고자하는기술적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공지 물질을 대신하여 고 콜레스테롤 및 지단백질등의 혈중 레벨을 저하시킬 수 있는 새로운 물질을 발견하고 이를 이용하여 고 콜레스테롤 혈증 또는 지질대사 촉진에 유용한 약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발명의구성및작용]
본 발명자들은 각종의 식물중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물질을 스크리닝하는 과정에서 목단피중에 함유되어 있는 저해활성물질을 순수분리하여 그 구조의 규명과 동물실험에 의한 약효평가를 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목단피는 목단(Paeonia moutan, Paeoniaceae)의 뿌리껍질을 말린 것으로 계지복령환, 대황목단피탕 등의 구어혈 방제로 조제되어 온 생약이다(久保道德 等; 生藥, 33, 178, 1979). 그 약리작용으로는 목단피가 한방으로 구어혈약제로 사용되고 있는 것에 착목하여 이미 항염증 작용, 혈소판응집 작용, 지혈 작용, 진통 작용, 하혈 작용, 항마비 작용, 위액 분비 작용 및 항균 작용 등이 보고 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고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이 있다는 보고는 없다.
본 발명은 목단피 추출물에서 분리되는 하기 구조식의 펜타갈로일 글루코오스 화합물을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함유함을 특징으로하는 고 콜레스테롤 혈증의 치료 또는 지질대사의 개선에 유용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된 펜타갈로일 글루코오스를 함유하여 생체내의 생합성의 경로의 스쿠알렌 합성을 저해시켜 혈중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 지단백질의 농도를 저하시키는 콜레스테롤 저하 약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 성분인 펜타갈로일 글루코오스는 화합물 그 자체로 경구, 주사 또는 주입 투여 해도 좋으나 통상 제제용 담체와 함께 조제하는 형태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투여 방식으로는 정제, 액제, 캡슐제, 과립제, 세립제, 산제, 시럽제, 주사제 등이 있다.
경구용 제제의 담체로는 전분, 만니톨, 결정 셀룰로오스, CMC Na, 물, 에탄올등 제제분야에 있어서 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과 반응하지 않는 물질이 사용되어 진다. 주사용 담체로서는 물, 생리식염수, 글루코오스액, 수액제 등의 주사제 분야에 상용되는 담체등이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저해활성물질의 순수분리
약 200여 종의 식물을 80% 메탄올로 추출하여 그 추출용액 일정량을 반응액에 첨가한 후 콜레스테롤 합성 저해활성과 스쿠알렌 합성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대조군의 저해활성과 비교함으로써 스크리닝을 실시하였다. 이들 중 강한 저해활성을 보인 목단피 추출물에 대해 저해활성물질을 순수분리 하였다. 목단피 분말을 80% 메탄올용액으로 70℃에서 3시간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감압 하에서 메탄올을 제거한 후 노르말부탄올로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노르말헥산-에탄올계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활성분획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순수분리하였다. 이 화합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질량분석기(MS), 핵자기공명기(NMR) 등의 각종 기기분석의 결과와 문헌자료를 참고하여 동정한 결과, 5개의 몰식자산(gallic acid)이 D-글루코오스에 에스테르 결합을 한 1,2,3,4,6-O-펜타갈로일 글루코오스임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성상은 다음과 같다.
화학명: 1,2,3,4,6-O-펜타갈로일 글루코오스(1,2,3,4,6-O-pentagalloylglucose)
분자식: C41H32O26
분자량: 940.70
구조식:
성 상: 연노랑색의 분말
UV흡수: 280nm(EtOH, max)
용해성 : 헥산· 클로로포름·에테르에 불용이며, 아세톤·알콜에 잘 용해됨.
실시예 2. 콜레스테롤 합성 저해효과
각 시험화합물을 쥐의 간 미크로솜 분획(0.1mg의 단백질 함유) 및 세포질 분획(0.1mg의 단백질 함유)에 1 mM ATP, 6 mM 글루타티온, 5 mM 글루코오스-1-인산, 0.04 mM 조효소 A, 0.25 mM NAD, 0.25 mM NADP 및 0.2 mM [1-14C]초산 나트륨을 함유한 0.1 mM 인산 칼륨 완충액(pH 7.4)을 가해 전체 용량을 100 마이크로 리터로 조정한 다음, 반응을 시작한다. 반응액을 37℃에서 2시간 반응을 시킨 후, 15% 수산화칼륨(95% 에탄올 용액)을 250마이크로 리터를 가해 반응을 정지시킨다. 이어서 75℃에서 1시간동안 경화를 시켜 빙냉위에서 반응액에 증류수 250 마이크로 리터와 석유에테르 500 마이크로 리터를 가해 생성된 콜레스테롤을 추출한다. 농축 건조시켜 얻어진 잔류물을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기를 사용하여 방사활성을 측정한다.
대조군은 시험화합물을 넣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화합물에서 얻어진 콜레스테롤 생합성 저해효과는 대조군의 방사활성과 비교하여 다음의 식으로부터 저해율(%)이 계산된다.
저해율(%) = (가) - (나) / (가) × 100
(식 중에서, (가)는 대조군의 방사활성이며, (나)는 시험군의 방사활성이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표 1]
펜타갈로일 글루코오스의 콜레스테롤 합성에 대한 저해효과
실시예 3. 스쿠알렌 합성 저해효과
각 시험화합물을 쥐의 간 미크로솜 분획(0.05mg의 단백질 함유)에 5 mM 염화칼륨, 10mM 불화칼륨, 1mM NADPH, 30mM 니코틴아미드, 0.01mM 톨나프테이트 및 0.01mM [1-3H]팔레실피로인산 암모늄을 함유한 0.1mM 인산칼륨 완충액(pH 7.4)을 가해 전체 용량을 100 마이크로 리터로 조정한 다음, 반응을 시작한다. 반응액을 37℃에서 20분간 반응을 시킨 후, 20% 수산화나트륨(95% 에탄올 용액)을 400 마이크로 리터를 가해 반응을 정지시킨다. 이어서 75℃에서 30분간 경화를 시키고 빙냉 위에서 반응액에 증류수 200 마이크로 리터와 석유에테르 500 마이크로 리터를 가해 생성된 스쿠알렌을 추출한다. 농축건조시켜 얻어진 잔류물을 소량의 클로로포름 용액에 녹여 실리카 겔 박막 그라피(전개용매: 클로로포름)로 스쿠알렌을 단리하여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기를 사용하여 방사활성을 측정한다.
대조군은 시험화합물을 넣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화합물에서 얻어진 스쿠알렌 생합성 저해효과는 대조군의 방사활성과 비교하여 다음의 식으로부터 저해율(%)이 계산된다.
저해율(%) = (다) - (라) / (다) × 100
(식 중에서, (다)는 대조군의 방사활성이며, (라)는 시험군의 방사활성이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표 2]
펜타갈로일 글루코오스의 스쿠알렌 합성에 대한 저해효과
실시예 4. 실험적 고 콜레스테롤 햄스터에 대한 혈청콜레스테롤 저하작용
1) 동물 : 체중 120±5g의 수컷 햄스터(syrian golden, 10-12주령)를 1군 6마리씩 사용하였다.
2) 사료 : 예비사육 기간에는 마우스 일반 고형사료(제일제당사 제품)로 사육하였으며 본 시험 기간동안에는 고 콜레스테롤 고형사료(콜레스테롤 1%, 콜릭산 0.5% 및 올리브유 5% 함유의 고형사료, 일본 오리엔탈 효모사 제품)로 사육하였다.
3) 사육조건 : 온도 25±1℃ 및 습도 55±5%의 사육실에서 12시간 주기로 명암을 바꾸어 주면서 예비사육을 2주간 시킨 후 4군으로 나눴다. 본 시험은 제1군을 통상사료, 제2, 3 및 4군은 고 콜레스테롤 사료를 사용하였으며, 사료와 물은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실험방법 : 2주간의 예비사육을 시킨 후, 제3군 및 4군에는 고 콜레스테롤 사료로 10일간 사육하면서 0.2% 메틸셀룰로오스에 현탁한 목단피 성분(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 그래피의 활성분획)을 100 mg/kg/5 ml와 300 mg/kg/5 ml 용량으로 1일 1회씩 10일간 졍구투여하였으며, 제1군 및 2군에는 0.2%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 만을 경구투여하였다. 시험 10일째에 절식시킨 후 햄스터를 희생시켜 혈액을 채취한 후 혈청을 분리하여 혈청내의 트리글리셀라이드(TG), 총 콜레스테롤(TC) 및 고밀도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HDL-D) 농도를 혈액 생화학 자동분석기(Ciba-corning사 제작)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한편, 저밀도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LDL-C) 농도는 다음의 계산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LDL-콜레스테롤 = 총 콜레스테롤 - (TG/5 + HDL - 콜레스테롤)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표 3]
고 콜레스테롤 햄스터에 대한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실시예 5. 정상 햄스터에 대한 혈청콜레스테롤 저하작용
1) 동물 : 체중 120±5g의 수컷 햄스터(syrian golden, 10-12주령)를 1군 6마리씩 사용하였다.
2) 사료 : 예비사육 및 본 시험 기간에 마우스 일반 고형사료(제일제당사 제품)로 사육하였다.
3) 사육조건 : 온도 25±1℃ 및 습도 55±5%의 사육실에서 12시간 주기로 명암을 바꾸어 주면서 예비사육을 2주간 시킨 후 3군으로 나눴다. 본 시험은 통상사료를 사용하였으며, 사료와 물은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실험방법 : 2주간의 예비사육을 시킨 후, 10일간 사육하면서 제1군에는 0.2% 메틸셀롤로오스 수용액 만을 경구투여하였으며, 제2군 및 3군에는 0.2% 메틸셀룰로오스에 현탁한 펜타갈로일 글루코오스 및 로바스타틴을 30 mg/kg/5 ml 용량으로 1일 1회씩 10일간 경구투여하였다. 시험 10일째에 절식시킨 후 햄스터를 희생시켜 혈액을 체취한 후 혈청을 분리하여 혈청내의 트리글리셀라이드(TG), 총 콜레스테롤(TC) 및 고밀도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HDL-C) 농도를 혈액 생화학 자동분석기(Ciba-corning사 제작)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한편, 저밀도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LDL-C) 농도는 다음의 계산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LDL-콜레스테롤 = 총 콜레스테롤 - (TG/5 + HDL - 콜레스테롤)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표 4]
정상 햄스터에 대한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발명의효과]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펜타갈로일 글루코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목단피성분은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 리포단백질의 혈중 농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킴이 밝혀졌다. 또한, 펜타갈로일 글루코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목단피성분이 일정기간동안 그 약리활성을 지속시킴에 따라 임상용의 고 콜레스테롤 혈증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Claims (2)

  1. 약제학적 유효량의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함유하는 혈중 콜레스테롤의 저하 또는 지질대사 촉진에 유용한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스쿠알렌 합성을 저해시킴을 특징으로하여 혈중 콜레스테롤의 저하 또는 지질대사 촉진에 유용한 약제학적 조성물.
KR1019970010651A 1997-03-21 1997-03-21 콜레스테롤 저하 약제 조성물 KR19980074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0651A KR19980074710A (ko) 1997-03-21 1997-03-21 콜레스테롤 저하 약제 조성물
PCT/KR1997/000127 WO1998042350A1 (en) 1997-03-21 1997-06-27 Cholesterol lower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AU31923/97A AU3192397A (en) 1997-03-21 1997-06-27 Cholesterol lower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0651A KR19980074710A (ko) 1997-03-21 1997-03-21 콜레스테롤 저하 약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710A true KR19980074710A (ko) 1998-11-05

Family

ID=19500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0651A KR19980074710A (ko) 1997-03-21 1997-03-21 콜레스테롤 저하 약제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9980074710A (ko)
AU (1) AU3192397A (ko)
WO (1) WO19980423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947A (ko) * 2002-03-19 2003-09-26 제네티카 주식회사 신 혈관형성을 억제하는 물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8987A (ja) * 2002-07-24 2005-12-22 オハイオ ユニバーシティー 真性糖尿病を処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CA2554190A1 (en) * 2004-01-23 2005-08-04 Ohio University Pgg separation and purif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8329A (ja) * 1983-01-07 1984-07-24 Yasuo Tanaka 抗ウィルス剤
JPS61100517A (ja) * 1984-10-19 1986-05-19 Nissan Chem Ind Ltd 新規齲蝕用剤
JPS61106515A (ja) * 1984-10-29 1986-05-24 Osaka Chem Lab ホルモンバランス調整食品
JPH0759515B2 (ja) * 1986-10-21 1995-06-28 株式会社ツムラ アルド−スリダクタ−ゼ阻害剤
WO1990004968A1 (en) * 1988-10-31 1990-05-17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Inhibition of human retroviruses
JP3156787B2 (ja) * 1990-04-24 2001-04-16 有限会社野々川商事 スーパーオキシド消去剤
JPH0436238A (ja) * 1990-06-01 1992-02-06 Takasago Internatl Corp 尋常性▲ざ▼瘡用皮膚外用剤
JPH0495020A (ja) * 1990-08-10 1992-03-27 Earth Chem Corp Ltd 酵素阻害剤
JPH06107555A (ja) * 1992-04-17 1994-04-19 Chong-Kook Kim 牛黄清心マイクロカプ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512118B2 (ja) * 1994-02-25 2004-03-29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血中脂質改善剤
JPH0987195A (ja) * 1995-07-13 1997-03-31 Showa Shell Sekiyu Kk 生薬を含有する抗エイズウイルス剤
JPH0971537A (ja) * 1995-09-05 1997-03-18 Pola Chem Ind Inc 3−ヒドロキシ−3−メチルグルタリルコエンザイムaリダクターゼ活性阻害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947A (ko) * 2002-03-19 2003-09-26 제네티카 주식회사 신 혈관형성을 억제하는 물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192397A (en) 1998-10-20
WO1998042350A1 (en) 199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1522B2 (en) Methods of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hypotriglyceridemically active stilbenoids
US6485760B2 (en) Method for inhibiting increase of blood sugar level or lowering blood sugar level with a lagerstroemia extract
US20100292178A1 (en) Method of treating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and related complications
Roholt Pharmacokinetic studies with mecillinam and pivmecillinam
JP2011512347A (ja) エネルギー利用疾病の治療
JPH11510521A (ja) サイトカイン産生阻害剤、その調合および薬剤への使用法、ならびにその同定法
WO1986005689A1 (en) Drug, preparation and use thereof
JPH1067656A (ja) 細胞接着抑制剤
AU636609B2 (en) Dehydrocholecalciferol derivatives
KR19980074710A (ko) 콜레스테롤 저하 약제 조성물
WO2002013809A2 (en) Compositions containing hypotriglyceridemically active stilbenoids
EP1762558A1 (en) Process for preparing transcription factors and their use
US20060293259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of derivatized flavanols
US6998422B2 (en) Lipid peroxide-lowering compositions
EP0448029A2 (en) Novel pharmaceutical uses of forskolin derivatives
JP2013227256A (ja) 血管内皮機能改善剤
Valls et al. Carbon-14 biolabeling of flavanols and chlorogenic acids in Crataegus monogyna cell suspension cultures
EP1621210B1 (en) Adiponectin production enhancer
US7026344B2 (en) Treating sickle cell disease
JP7210605B2 (ja) エモジンスクシニルエステル系化合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と用途
KR19980037405A (ko) 인삼으로부터 아실-코에이:콜레스테롤 아실트랜스퍼라제(acat) 활성저해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EP0429480A1 (en) Natriuretic hormone
CN1060465C (zh) 一种抗过敏、抗哮喘和抗炎症的新药
CN116115625A (zh) 一种复方药物组合物及其用途
WO2000002874A2 (en) Integrin dependent cell adhesion inhib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