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4544A - 한영 자동 변환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한영 자동 변환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4544A
KR19980074544A KR1019970010419A KR19970010419A KR19980074544A KR 19980074544 A KR19980074544 A KR 19980074544A KR 1019970010419 A KR1019970010419 A KR 1019970010419A KR 19970010419 A KR19970010419 A KR 19970010419A KR 19980074544 A KR19980074544 A KR 19980074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tring
english
korean
input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3910B1 (ko
Inventor
김재오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0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910B1/ko
Priority to JP9238771A priority patent/JPH10275145A/ja
Priority to US09/048,337 priority patent/US7080002B1/en
Publication of KR19980074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4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9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26Character en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3Language ident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영문자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워드 프로세서(word processor)에서 입력 문자열의 나열 규칙과 문자열의 발음 규칙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문자 자동 변환을 제공하는 한영자동변환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열 중 스페이스(space)가 존재하고 자동 변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입력 문자열이 규칙적으로 나열되어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문자열이 규칙적으로 나열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입력 문자열의 발음 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 문자열을 변환시키는 문자 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의 나열 규칙과 문자의 발음 규칙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문자 자동 변환을 제공함에 따라 빠른 문서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문서 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한영 자동 변환기 및 방법
본 발명은 한영자동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영문자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워드 프로세서(word processor)에서 입력 문자열의 나열 규칙과 문자열의 발음 규칙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문자 자동 변환을 제공하는 한영자동변환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컴퓨터 기술이 폭 넓게 확산됨에 따라 그 응용 분야도 다양하게 증가되고 있다. 그 응용 분야 중 하나가 바로 워드 프로세서이다.
워드 프로세서를 수행하기 위한 일반적인 컴퓨터 하드웨어의 구조는 도 1과 도 2와 같으며, 이 컴퓨터가 수행하는 기능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입력, 데이터 처리 및 데이터 출력 기능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분화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지식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워드 프로세서는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으며 그 중 최근에 문자 자동 변환 및 오탈자 자동 검사 기능이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한영자동변환 기능이 중요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한글을 영문으로, 영문을 한글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먼저, 오토마타(automata)를 이용해서 한/영 자동 변화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즉, 초성 다음에는 중성이, 그리고 종성이 오듯이 음소의 순서에 따라서 음소가 오는 규칙이 있는데 이러한 규칙에서 틀린 것을 판단한 후 문자들을 영어로 또는 영어에서 한글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이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간이라는 한글 문자는 초성 : ㄱ → 중성 : ㅏ → 종성 : ㄴ으로 각각의 음소들을 입력받아 한 문자가 형성된다. 만일, 한글의 음소들의 입력 순서가 ㄴㅁㅍㄷ이면 이는 영문 save로 자동 변환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틀린 문장을 입력한 경우에는 틀린 부분을 바로 잡기 위해서 사용자가 이 부분을 지정한다. 이때에 지정된 범위 내에서 한글은 영문으로, 영문은 한글로 전술한 규칙에 의해 자동으로 변환한다.
이 방법은 한/영 변환이 사용자가 지정한 범위 내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변환 문자의 정확성은 매우 높다.
그러나, 전술한 첫 번째 방법은 오토마타를 이용하여 한글과 영어가 결합된 경우(즉, 도 4에 예시된 한·영 혼합문자 : 컴퓨터S/W )에 전체를 합해서 변환하고, 또한 두 번째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영역에 대해 첫 번째 방법과 동일하게 한영 변환한다.
전술한 두 가지 방법에서는 오토마타를 이용하여 분석한 문자들에 결합 규칙을 적용하여 오타를 판단하여 문자 변화를 수행하지만 상기 결합 규칙에서 벗어난 문자들의 경우에는 처리를 하지 못한다. 따라서 전술한 두 가지 방법은 연속적인 단어나, 연속적인 자음, 모음인 경우에 한영 자동 변환이 부정확하다.
즉, 음소가 연속적으로 입력될 때 비록 입력 문자가 결합 규칙에 위배되지만 그 의미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입력 문자를 강제로 변환시키다.
예를 들어, 종래의 한영자동 변환을 사용하는 경우 어떤 순서적 의미를 갖는 문자열(나열성 단어) 즉, ㄱㄴㄷㄹ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rsef로 변환시킨다.
이와 같이 초성, 중성, 종성의 배치가 틀릴 때 입력 문자는 영문으로 자동 변환된다.
한편, 두 번째로 사용하는 방법은 커서가 위치한 곳에서 한 단어만을 변환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도 잘못 쓴 부분을 변환하기 위해서 일일이 범위를 선택해야 된다는 점과 또한 커서가 위치한 부분의 단어만 변화를 시켜도 영문이 한글로, 한글이 영문으로 모두 변환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은 비록 단어가 제대로 연결되지 않을지라도 강제 변환시키므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열의 나열 규칙과 문자열의 발음 규칙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문자 자동 변환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를 나타내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컴퓨터의 하드웨어 블록도이고,
도 3은 일반적인 컴퓨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4는 한글, 영문 및 한·영 혼합문의 예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영 자동 변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편집창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이 실행되는 전체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S : 스페이스(space)E : 영문 C : 한·영 혼합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영 자동 변환기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열 중 스페이스(space)가 존재하고 자동 변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입력 문자열이 규칙적으로 나열되어있는지를 판단하는 수단과, 상기 입력 문자열이 규칙적으로 나열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입력 문자열의 발음 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 문자열을 변환시키는 문자 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문자 변환 수단은 상기 입력 문자열이 한글이고 상기 입력 문자열이 한글 발음 규칙을 따르지 않으면 상기 입력 문자열을 영문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상기 입력 문자열이 영문이고 상기 입력 문자열이 영문 발음 규칙을 따르지 않으면 상기 입력 문자열을 한글로 변환하는 수단과, 상기 입력 문자열이 한·영 혼합문이면 기설정된 우선 순서에 따라 입력 문자를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영 자동 변환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열 중 스페이스(space)가 존재하고 자동 변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입력 문자열이 규칙적으로 나열되어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문자열이 규칙적으로 나열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입력 문자열의 발음 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 문자열을 변환시키는 문자 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을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영 자동 변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키보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S41)와, 상기 입력된 문자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42)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열 중 스페이스(space)가 존재하고 자동 변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입력 문자열이 규칙적으로 나열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43, S44, S45)와, 상기 입력 문자열이 규칙적으로 나열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입력 문자열의 발음 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 문자열을 변환시키는 문자 변환 단계(S100)를 포함한다.
이때, 문자 변환 단계(S100)는 상기 입력 문자열이 한글이고 상기 입력 문자열이 한글 발음 규칙을 따르지 않으면 상기 입력 문자열을 영문으로 변환하는 단계(S46, S47, S48)와, 상기 입력 문자열이 영문이고 상기 입력 문자열이 영문 발음 규칙을 따르지 않으면 상기 입력 문자열을 한글로 변환하는 단계(S46, S49, S50)와, 상기 입력 문자열이 한·영 혼합문이면 우선 순서에 따라 상기 입력 문자열을 변환하는 단계(S46, S51)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편집창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영 자동 변환기를 이용한 워드 프로세서의 수행 환경을 나타낸다.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영자동변환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키보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한다(단계 : S41, S42).
상기 입력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열(character stream) 중 스페이스(space)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단계 : S43).
판단 결과, 스페이스(space)가 존재하지 않으면 계속해서 키보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받는다(단계 : 41).
상기 판단 결과, 만일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열 중 스페이스(space)가 존재하면 도 6에 도시된 메뉴바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자동 변환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 S44).
만일, 자동 변환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계속해서 키보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받는다(단계 : 41).
한편, 만일 자동 변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입력 문자열이 규칙적으로 나열되어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 S45).
이때, 입력 문자열이 규칙적으로 나열되어 있으면 단계 S52로 분주하여 엔터키 입력 유무를 판단한다.
만일, 입력 문자열이 규칙적으로 나열되어있는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입력 문자열이 규칙적으로 나열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입력 문자열의 발음 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 문자열을 변환시킨다(단계 : S100).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입력 문자열이 한글, 영문 또는 한·영 혼합문인지를 판단한다(단계 : S46).
판단 결과, 상기 입력 문자열이 한글이면 상기 입력 문자열이 한글 발음 규칙을 따르는지를 판단한다(단계 : S47).
상기 입력 문자열이 한글 발음 규칙을 따르는지를 판단한 결과, 한글 발음 규칙을 따르지 않으면 상기 입력문자열을 영문으로 변환한다(단계 : S48).
한편, 단계 S46의 판단 결과, 상기 입력 문자열이 영문이면 상기 입력 문자가 영문 발음 규칙을 따르는지를 판단한다(단계 : S49).
상기 입력 문자열이 영문 발음 규칙을 따르는지를 판단한 결과, 영문 발음 규칙을 따르지 않으면 상기 입력문자열을 한글로 변환한다(단계 : S50).
만일, 단계 S46의 판단 결과, 상기 입력 문자열이 한·영 혼합문이면 상기 입력 문자열을 소정의 우선 순서에 따라 문자열 변환을 수행하고, 단계 S46으로 분기한다. 이때, 상기 우선 순서는 미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한·영 혼합문이 영문 + 한글의 연속으로 나열되어 있으며, 이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지 않으면 영문으로 상기 한·영 혼합문을 변환시킨다.
한편, 상기 한·영 혼합문이 한글 + 영문의 연속으로 나열되어 있으며, 이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지 않으면 한글로 상기 한·영 혼합문을 변환시킨다.
상기 입력 문자열이 한글 발음 규칙을 따르거나, 영문 발음 규칙을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엔터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 S52).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엔터키가 입력되었으면, 단계 S42로 분기하여 상기 엔터키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엔터키가 입력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S41로 분기하여 계속해서 사용자로부터 키보드를 통해 문자열을 입력 받는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의 나열 규칙과 문자의 발음 규칙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문자 자동 변환을 제공함에 따라 빠른 문서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문서 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한영 자동 변환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수단;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열 중 스페이스(space)가 존재하고 자동 변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입력 문자열이 규칙적으로 나열되어있는지를 판단하는 수단;
    상기 입력 문자열이 규칙적으로 나열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입력 문자열의 발음 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 문자열을 변환시키는 문자 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변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변환 수단은,
    상기 입력 문자열이 한글이고 상기 입력 문자열이 한글 발음 규칙을 따르지 않으면 상기 입력 문자열을 영문으로 변환하는 수단;
    상기 입력 문자열이 영문이고 상기 입력 문자열이 영문 발음 규칙을 따르지 않으면 상기 입력 문자열을 한글로 변환하는 수단;
    상기 입력 문자열이 한·영 혼합문이면 기설정된 우선 순서에 따라 입력 문자를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변환기.
  3. 한영 자동 변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열 중 스페이스(space)가 존재하고 자동 변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입력 문자열이 규칙적으로 나열되어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 문자열이 규칙적으로 나열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입력 문자열의 발음 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 문자열을 변환시키는 문자 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변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변환 단계는,
    상기 입력 문자열이 한글이고 상기 입력 문자열이 한글 발음 규칙을 따르지 않으면 상기 입력 문자열을 영문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입력 문자열이 영문이고 상기 입력 문자열이 영문 발음 규칙을 따르지 않으면 상기 입력 문자열을 한글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입력 문자열이 한·영 혼합문이면 기설정된 우선 순서에 따라 입력 문자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변환 방법.
KR1019970010419A 1997-03-26 1997-03-26 한영 자동 변환기 및 방법 KR100213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0419A KR100213910B1 (ko) 1997-03-26 1997-03-26 한영 자동 변환기 및 방법
JP9238771A JPH10275145A (ja) 1997-03-26 1997-09-04 ワードプロセッサの二重言語自動変換方式
US09/048,337 US7080002B1 (en) 1997-03-26 1998-03-26 Bi-lingual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one language into another langu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0419A KR100213910B1 (ko) 1997-03-26 1997-03-26 한영 자동 변환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544A true KR19980074544A (ko) 1998-11-05
KR100213910B1 KR100213910B1 (ko) 1999-08-02

Family

ID=19500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0419A KR100213910B1 (ko) 1997-03-26 1997-03-26 한영 자동 변환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80002B1 (ko)
JP (1) JPH10275145A (ko)
KR (1) KR100213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309A (ko) * 2000-08-28 2000-12-05 이재학 언어 자동변환 입력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496B1 (ko) * 2003-06-16 2006-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언어모드 인식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입력언어모드 자동전환방법 및 장치
KR100643801B1 (ko) * 2005-10-26 2006-11-10 엔에이치엔(주) 복수의 언어를 연동하는 자동완성 추천어 제공 시스템 및방법
US8370126B2 (en) * 2009-01-30 2013-02-05 Facebook, Inc. Incorporation of variables into textual content
US8463592B2 (en) 2010-07-27 2013-06-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de supporting multiple language input for entering text
GB201216640D0 (en) * 2012-09-18 2012-10-31 Touchtype Ltd Formatting module, system and method for formatting an electronic character sequence
US9524293B2 (en) * 2014-08-15 2016-12-20 Google Inc. Techniques for automatically swapping languages and/or content for machine translation
US10175770B2 (en) 2016-10-13 2019-01-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active input method editor switchi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4843A (en) 1977-05-02 1978-11-07 Atex Corporation Multi-lingual input keyboard and display
JPS5723176A (en) 1980-07-18 1982-02-06 Sharp Corp Electronic translator
US4484305A (en) 1981-12-14 1984-11-20 Paul Ho Phonetic multilingual word processor
JPS6084667A (ja) 1983-10-17 1985-05-14 Mitsubishi Electric Corp 文章組立装置
US5091950A (en) 1985-03-18 1992-02-25 Ahmed Moustafa E Arabic language translating device with pronunciation capability using language pronunciation rules
US5384701A (en) 1986-10-03 1995-01-24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Language translation system
US4984177A (en) 1988-02-05 1991-01-08 Advanced Products And Technologies, Inc. Voice language translator
JP2734517B2 (ja) 1988-03-16 1998-03-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マルチリンガル機能を有する文書作成装置
US5047932A (en) 1988-12-29 1991-09-10 Talent Laboratory, Inc. Method for coding the input of Chinese characters from a keyboard according to the first phonetic symbols and tones thereof
JP2836159B2 (ja) 1990-01-30 1998-12-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同時通訳向き音声認識システムおよびその音声認識方法
JPH0512287A (ja) 1991-07-09 1993-01-22 Canon Inc 文書処理装置
US5477451A (en) 1991-07-25 1995-12-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Method and system for natural language transl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309A (ko) * 2000-08-28 2000-12-05 이재학 언어 자동변환 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80002B1 (en) 2006-07-18
JPH10275145A (ja) 1998-10-13
KR100213910B1 (ko)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8404B2 (en) Method for predicting the readings of japanese ideographs
KR100213910B1 (ko) 한영 자동 변환기 및 방법
JP3814000B2 (ja) 文字列変換装置および文字列変換方法
KR890002957B1 (ko) 한글 문자 입력장치
JPH0441399Y2 (ko)
JPH0350668A (ja) 文字処理装置
JPH08272780A (ja) 中国語入力処理装置及び中国語入力処理方法及び言語処理装置及び言語処理方法
JP3340124B2 (ja) かな漢字変換装置
KR960015316A (ko) 한·영 자동 전환 방법
JPH0441398Y2 (ko)
JPS61235978A (ja) 文字列訂正方式
Rehman et al. Urdu as interface design language—A novel approach
KR19990080199A (ko) 이중 언어 변환기 및 방법
JPH04156662A (ja) 文字処理装置
JPH05108615A (ja) 非優先学習日本語入力システム
JPH0785026A (ja) 辞書更生方法及び装置
JPH07141348A (ja) 文字処理装置
JPH0546612A (ja) 文章誤り検出装置
JPH02122367A (ja) かな漢字変換装置
JP2004152323A (ja) 仮名漢字変換装置及び方法
JPH03212762A (ja) かな漢字変換装置
JPH01128157A (ja) 日本語文書作成装置
JPS6337465A (ja) かな漢字変換装置
JPS63174165A (ja) ワ−ドプロセツサ
JPS6365566A (ja) カナ漢字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