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957B1 - 한글 문자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한글 문자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957B1
KR890002957B1 KR1019840008225A KR840008225A KR890002957B1 KR 890002957 B1 KR890002957 B1 KR 890002957B1 KR 1019840008225 A KR1019840008225 A KR 1019840008225A KR 840008225 A KR840008225 A KR 840008225A KR 890002957 B1 KR890002957 B1 KR 890002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phoneme
hangul
code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8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699A (ko
Inventor
다까오 스즈끼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제이.에이취.그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제이.에이취.그래디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50007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한글 문자 입력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글문제 입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한글문자의 6종류의 문자형식을 나타낸도.
제3도는 한글문자를 구성하는 모든 자소를 나타낸도.
제4도는 복합자소의 구성규칙을 나타낸도.
제5도는 한글문자의 구성을 나타낸도.
제6도는 입력 키 보드상에 배열되는 자소의 종류를 나타낸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입력 키보드의 구성을 나타낸도.
제8도는 자소코드발생기구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소코드의 예를 나타낸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문자 코드 발생판정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문자 조립 프로세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11a도 내지 제11c도는 본 발명의 문자 조립수단에 의하여 실행되는 각 스테이지의 유형화된 처리양식을 나타낸도.
제12도는 한글문자의 2바이트, 코드구성의 예를 나타낸도.
제13도는 2바이트의 조립문자코드를 구성하는 자소코드의 예를 나타낸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문자 셋트판정 프로세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문자코드 발생, 판정 기구에 있어서의 각 기능과 문자조립 스테이지의 천이 상태를 나타낸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한글 문자 입력과정의 개념적인 흐름을 나타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입력키보드 4 : 문자코드발생기구
6 : 문자코드발생, 판정기구 8 : 표시장치
본 발명은 한글 문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타건입력된 한글자소를 순차로 조립하여 한글문자를 구성하도록 된 형식의 한글문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글문자는 한개이상의 한글자소(이하「자소」라 칭함)로 구성되는 문자이다. 일반적으로, 입력키보드상에 있는 자소키의 타건만으로 한글문자를 조립하여 입력하는 방식이 조작상 가장 유리하지만 차례로 입력되는 자소열만으로부터 한글문자의 구획을 판정하기는 곤란하다. 즉, 하나의 한글문자를 구성하는 자소가 모두 입력된 경우라도 바로 한글문자의 구획을 판정할 수가 없고 후속의 자소열에 모음자소가 나타나는 것을 기다려 이것에 선행하는 자음자소의 직전이 한글문자의 구획으로 판정되고, 그 시점에서 비로소 한글문자의 조립을 완료할 수가 있는 것이다.
종래의 한글문자 입력방식에서는, 한글문자의 구획이 판정될때까지 조립 입력과정을 차례로 표시하기 위하여 논리적으로 가능한 자소의 모든 조합으로부터 구성되는 모든 한글문자를 준비한다라고 하는 것이 있었다. 이 방식은, 자소키의 조작만으로 입력조작을 완료할 수가 있고, 또, 한개의 한글문자의 입력처리를 그 한글문자의 위치만으로서 실행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유리하지만, 그 반면, 한글문자의 판정을 자소상호의 관계에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일만자 이상에 미치는 출력가능한 한글문자를 필요로 한다. 그 결과, 입력과정에서 불필요한 중간 천이 문자가 많이 출현하고, 조작원에 위한 입력과정의 확인을 곤란하게 하고 있었다. 더우기, 사용상 필요 충분하게 되는 2천자 전후의 한글문자에 더하여 본래 불필요한 8천자 이상의 한글문자를 처리하기 위하여, 문자발생기구나 문자코드정의기구의 구성이 현저히 복잡하게 되어 있었다.
또, 다른 한글문자 입력방식에는, 모음자소에 이어지는 자음자소를 일율적으로 다음의 한글문자의 일부로서 처리 표시하고, 그리고 후속하는 소자와의 관계로부터 판정하고 먼저의 한글문자를 필요에 따라 갱신한다고 하는 것이 있었다. 이 방식은 중간천이 문자의 출현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유리하지만, 본래 후자음자소로서 혹은 한글문자의 일부를 구성하여야 할 소자까지도 일율적으로 다음의 한글문자로서 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1) 이미 입력되고 있는 한글문자를 교정할때 필요한 다음의 한글문자까지도 소거해 버리는 것이 있고, (2) 후자음자소에서 완료하는 입력조작시, 그 최후에 입력된 자소를 후자음자소로서 판정하기 위하여 무엇인가의 문자 완료정보의 입력을 필요로 하고 또, (3) 일단 다음의 한글문자의 일부로서 입력 표시된 자소를 이것에 이어지는 입력자소의 여하에 따라서 선행한글문자의 후자음 자소로서 이동하지 않으면 아니된다고 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한글문자 입력방식이 가지고 있었던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중간천이 문자를 출현시키지 않고, 자소의 입력조작에 따라서 차례로 적정하게 조립되는 한글문자를 입력표시함과 동시에, 하나의 한글문자의 조립으로 입력과정을 하나의 문자입력 위치만으로서 완료하여, 한글문자의 문자코드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한 한글문자 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한글문자 입력장치는, 한글문자를 구성하는 자소를 배열한 입력 키보드와 상기 입력 키보드상의 타건된 자소키에 대응하는 자소코드를 차례로 발생하기 위한 자소코드 발생기구와, 상기 자소 코드발생기구로부터 차례로 공급되는 자소코드에 응답하여 한글문자의 조립처리를 실행하고, 그 한글문자 코드를 생성함과 동시에 문자의 구획을 판정하기 위한 문자코드발생, 판정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문자 코드발생, 판정기구는 이미 생성되어 있는 현재의 한글문자 코드와 다음의 상기 자소코드에 응답하여 한글문자의 조립, 다음 한글 문자코드의 생성 및 문자의 구획의 판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한글문자의 특징과 관계가 깊기 때문에, 우선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는 한글문자의 특징을 개설한다. 주지된 바와같이, 한국의 표음문자인 한글문자는, 14개의 단자음자소(C) 및 10개의 단모음자소(V)를 나타내는 24개의 기본자소로 이룬다. 한글문자를 구성하는 자소의 조합은, 2자소 형식으로 부터 7자소 형식까지 있고, C+V, C+V+C, …C+C+V+V+V+C+C로 나타낼 수 있지만, 이들을 정리하여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전자음자소(CI)+모음자소(V)+후자음자소(CF) 단, 전자음자소(CI)=(C, C+C)모음자소(V)=(V, V+V, V+V+V) 후자음자소(CF)=(공, C, C+C) 한글문자를 구성할때, 각 자소의 위치는 모음자소(V)의 성질에 따른다. 즉, 모음자소(V)에는, 종형모음(VV, 횡형모음(VH), 혼합형모음(VVH)이 있고, 이들과 후자음자소(CF)의 유무에 의하여 제2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한글문자의 형식(자형)이 정해진다. C+C이나 V+V와 같은 기본자소의 조합으로부터 구성되는 것을, 이하에서는 「복합자소」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들의 복합자소를 포함하여, 실제의 한글문자를 구성하는 모든 자소를 제3도에 나타낸다.
복합자소는 제4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기본자소 내지 복합자소로 구성되고, 이들 이외의 조합은 복합자소를 구성치 않는다. 또, 전자음자소(CI)로서 사용되는 중자음자소는, 기본자소에 준한 취급이 통예이다.
제5도에 나타내는 바같이, 한글문자의 필순은 발음의 순, 즉 전자음자소(CI), 모음자소(V), 후자음자소(CF)의 순이고, 이들의 자소의 어느 것인가가 복합자소에 해당하는 경우는, 제4도에 나타내는 자소의 조합이 좌로부터 우의 순으로 조립된다.
이상이 한글문자를 구성하는 경우의 규칙이다. 이 규칙상, 자소의 가능한 조합에 의하여 구성되는 한글 문자의 총수는,
19 × 21 × (27+1) =11172로 된다.
전자음자소 모음자소 후자음자소 후자음자소 없음
한편, 실제로 필요로 되는 한글문자는 2천자정도이고, 한국공업규격에서는 한국표준한글문제 셋트로서 1316문자가 선정되고 있다.
1. 실시예의 개요
제1도는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글문자 입력장치는, 자소키나 문자셋트, 시프트, 키가 배열된 입력키보드(2)와 타건된 자소키와 시프트.키에 대응하는 자소코드를 발생시키기 위한 자소코드발생기구(4)와, 이 자소코드에 따라서 한글문자코드를 생성하고, 이것을 표시장치(8)의 입력 혹은 공급함과 동시에, 문자위치의 전진/보류를 관리하기 위한 문자코드발생. 판정기구(6)로 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글문자를 구성하는 자소는 전부해서 51개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입력의 조작성을 고려하여 이중 제6도에 도시한 32개의 자소를,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입력 키보드(2)에 배열하고 있다. 입력 키보드(2)상의 자소키중 3개의 복합모음 자소키는 본래 필요치 않지만, 사용빈도가 비교적 크다고 예상되기 때문에, 조작성 향상을 위하여 추가한 것이다. 그리고, 도면의 내용을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제7도에는 영숫자 키나 특수키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자소코드발생기구(4)는 주지의 것이며, 타건된 한글자소키에 대응하는 그 바이트의 자소코드를 제8도의 자소코드표에 따라서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제8도의 기호 는 입력 키보드(2)로 부터 직접 입력되지 않은 자소를 나타낸다.
제9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요부인 문자코드발생, 판정기구(6)는, 문자조립프로세서(10)과 문자셋트판정 프로세서(20)의 2개의 부분으로 이룬다. 전자의 분자 조립 프로세서(10)는, 자소코드발생기구(4)로부터 공급되는 자소코드를 입력하에 받아들이고, 이 자소코드와 현시점의 내부상태(문자조립 스테이지 값과 선행 스테이지의 조립문자코드)에 응답하여, 복합자소 및 한글문자의 조립을 실행함과 동시에, 한글문자의 구획도 자동적으로 판정한다. 문자조립 프로세서(10)의 이와같은 처리를 위하여, 상술의 한글문자의 구성규칙을 반영한 자소 클래스 값 및 문자조립 스테이지 값이 이용되지만, 이들의 상세에 대하여 후술한다.
또, 후자의 문자셋트판정 프로세서(20)는, 문자 조립 프로세서(10)으로부터 공급되는 조립(한글)문자 코드를 입력으로서 받아들이고, 이것을 문자셋트정의 정보와 대조 확인함에 의하여, 조립문자 코드가 시스템내의 문자셋트로서 정의 되어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에 따른 출력(한글)문자코드를 공급한다. 이하, 이들의 문자조립 프로세서(10) 및 문자 셋트판정 프로세서(20)에 대하여 상술한다.
2. 문자코드 발생.판정기구(6)의 설명
2, 1문자조립의 논리
본 발명의 한글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는, 한글문자의 조립은 제6도에 나타낸 자소로부터 제5도의 문자 구성을 조립시키는 형으로 행하여 지지만, 그경우, 자소의 입력마다 한글문자가 일의적으로 정해지고, 또 각자소자 제3도에 도시된 자소로부터 이루는 한 한글문자는 논리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문자코드발생. 판정기구(6)에 의하여 실현되는 문자조립의 논리는, 다음과 같다. (1) 입력은 전자음자소, 모음자소, 후자음자소의 순으로 행하여 진다. (2) 복합모음자소 및 복합/중후자음자소는, 제4도의 규칙에 따라서 입력된다. 또 자소열만으로부터 한글문자의 구획을 판정하기 위한 논리는, 다음 조건에 따른다. (3) 자음자소+자음자소 : 어떤 모음자소에 이어지는 이 형식의 자소의 조합이 제4도의 복합자음자소에 해당하지 않은 경우, 뒤의 자음자소는 다음의 한글문자의 전자음자소이라고 판단하고, 이들의 2대의 자음자소간으로 한글문자 구획을 판정한다.
Figure kpo00001
(4) 중가음자소 , , 가 모음자소에 계속될때, 이 중자음자소의 직전에서 한글문자의 구획을 판정한다.
Figure kpo00002
단, 전자음자소로서의 중자음자소는, 필히 중자음자소 키를 사용키로 한다.
(5) 자음자소+모음자소 : 모음자소는 선행하는 자음자소와 필히 조합되어서 한글문자를 구성한다. 따라서, 이 모음자소에 선행하는 자음자소의 직전에서 한글문자의 구획을 판정한다.
Figure kpo00003
어느 경우라도, 한글문자의 구획을 후속하여 입력되는 자소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어떤 한글문자의 조립 입력이 사실상 완료하고 있다하여도, 그대로서는, 한글문자의 구획을 판정할 수는 없다. 더우기, 복합자소의 조립과정을 포함하는 한글문자의 생성과정은 사후적으로 결정되는 과정이기 때문에, 한글문자의 생성. 판정 방식을 다음의 입력자소의 처리판정방식에 적합하도록 문자 코드발생.판정기구(6)의 처리방식을 설정하는 것이 장치 구성상 유리하다.
2.2자소 클래스정보
이 때문에, 문자코드발생, 판정기구(6)에 있어서의 처리를 위해 입력되는 자소를 그 한글문자 구성상의 기능에 따라서, 하기의 표-1 및 표-2에 나타내는 바같이 복수의 자소 클래스로 분류한다. 문자코드발생.판정기구(6)는, 이들의 표-1 및 표-2에 나타낸 자소 클래스값에 근거하여 그처리를 실행한다. 표-1 및 표-2에 나타낸 것은 상세한 분류의 일예이고, 처리실행부의 설계에 따라서 카테고리를 적절하게 간략화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표-1]
자음자소의 기능적 분류(자음자소클래스)
Figure kpo00004
[표-2]
모음자소의 가능적 분류(모음자소 클래스)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2, 3 무자조립 프로세서(10)의 구성
한글문자의 조립을 위하여 입력된 자소를 필요한 것만 기억하고, 이들을 참조하여 한글문자의 조립판정을 실행하도록 하면, 장치구성이 복잡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어떤 시점의 입력자코드 내부상태(문자조립 스테이지 값과 선행 스테이지의 조립문자 코드)에서만 다음의 조립문자코드를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즉, 문자 조립 프로세서(10)는, 타건 입력된 자소 코드를 입력(I)출력하여야 할 조립문자 코드를 출력(O), 문자조립스테이지 값을 내부상태(S), 입력(I)과 선행 스테이지의 출력(O)으로부터 다음의 스테이지값(S)를 결정하는 함수를 상태천이 함수(f), 똑같이 새로운 출력(O)을 결정하는 함수를 출력함수(g)로 하는 유한 오토매기구로서 실현되고 있다. 상태천이 함수(f)와 출력함수(g)는, 스테이지값(S)에 의하여 선택되는 문자조립수단(P)에 조립되고 있다.
제10도는 참조하여 설명하면, 문자조립프로세서(10)는 실행부 선택수단(12)를 포함하고, 이 선택수단(12)는 t회째의 입력자소코드(I(t))에 대하여 내부 상태기억영역(14)에 기억되고 있는 스테이지 값(S(t))에 대하여 내부상태기억영역(14)에 기억되고 있는 스테이지값(S(t-1))을 받고, 이에 따라서 조립판정실행부(16)중 그 스테이지에 고유의 기능을 가지는 특정의 문자조립수단(PR)을 선택한다. 이 문자조립수단(PR)은, 입력자소코드(I(t))와 내부상태 기억영역(14)에 기억되고 있는 선행 스테이지의 출력(O(t-1))에 응답하여, 새로운 출력(O(t))과 새로운 스테이지값(S(t))를 결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내부상태 기억영역(14)를 갱신함과 동시에, 출력(O(t))을 조립문자코드로서 문자셋트 판정 프로세서(20)에 공급한다. 이 과정에 있어서, 문자조립수단(PR)은 상술의 이론에 따라서 한글문자의 구획을 검출하고, 문자위치를 전진시킴과 동시에, 소정의 에러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없다. 또, 새로운 출력(O(t))과 새로운 스테이지값(S(t))이 문자 셋트판정 프로세서(20)에 의하여 갱신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점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그리고, 제10도의 S(O)=SO 및 O(o)=O는, 스테이지값 및 조립문자코드의 초기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문자조립 스테이지
다음에, 상기 문자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소의 입력 스텔마다 한글문자코드를 차례로 생성하는 경우, 후속하여 입력되는 자소의 처리방식은 스텔에서 생성되고 있는 한글문자의 구성형식에 의하여 규정된다. 그래서, 한글문자의 구성형식을 유형화하고, 그 각각의 문자조립 단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스테이지값(S)을 정의한다.
제11(a)도 내지 제11(c)도에서는, 이와같이 하여 정의된 각 스테이지의 유형화된 문자구성형식과, 후속자소에 대한 문자조립수단(PR)의 기능 및 다음의 스테이지값이, 상술의 자소클래스값을 사용하여 나타내고 있다. 단, 제11(a)도 내지 제11(c)도에 있어서의 기호는 다음과 같은 의미로서 사용되고 있는것에 주의한다.
A : 출력해야할 문자위치의 전진
E : 에러상태
Ci : 입력자음자소의 클래스값(표-1 참조)
Vi : 입력모음자소의 클래스값(표-2참조)
Vi : Vo-Vi
SO : 초기 스테이지 상태
SCT: 자음자소천이 스테이지(자음자소 클래스값을 결정하고 또한 다음의 스테이지값을 결정하기 위한 천이 스테이지)
SVT: 모음자소천이 스테이지(모음 자소의 클래스값을 결정하고 또한 다음의 스테이지값을 결정하기 위한 천이 스테이지)
Figure kpo00007
예를 들면, 제11(a)도의 스테이지 O을 참조하면, 이 스테이지에서는 모든 자음자소를 받아들일 수가 있기 때문에, 이 스테이지에 있어서의 입력자소의 클래스값이 CO이면, 그 자소코드와 2개의 충전(fill)코드로부터 이루는 조립문자코드를 출력라고, 그것과 동시에, 다음의 스테이지값(S1)을 결정한다. 그렇지만 만일 입력자소의 클래스값이 VO이면, 모음자소에서 개시하는 한글문자는 있을 수 없기 때문에, 도시와 같이 에러를 표시하고, 스테이지 O에 그대로 머물게 된다.
또, 제11(b)도의 스테이지 6에서는, 모든 자음자소를 받을 수 있지만, 문자조립수단(PR)의 기능은 입력자음자소의 클래스값에 의존한다. 만일 입력자음자소의 클래스값이 C5이면, 「CO : V※ : C3」로 이루는 조립문자 코드의 조립 완료를 판정하고, 다음의 문자위치에 전진하여「C5 : fill : fill」로 이루는 조립 문자코드를 출력함과 동시에, 다음의 스테이지값(S1)을 결정한다. 만일 입력자소 클래스값이 C5가 아니고, 다라서 C6이면, 「CO : V※ : C3+C6」으로 이루는 조립문자코드를 출력하고, 다음의 스테이지값(S7)을 결정한다.
한편, 스테이지 6로 입력되는 자소가 임의의 모음자소이면, 이것을 다음의 한글문자의 모음자소로서 처리한다. 따라서, 현시점의 조립문자코드「CO : V※ : C3」으로부터 후자음자소 C3를 분리하고, 「CO : V※ : fill」으로 이루는 조립문자코드의 조립완료를 판정하고, 다음의 문자위치에 전진하여 「CO : VO : fill」으로 이루는 조립문자코드를 출력한다. 이경우, 다음의 스테이지값은 입력모음자소의 클래스값에 따라서 정해지기 때문에, 제11(c)도의 모음자소천이 스테이지(SVT)로 입력모음자소의 클래스값을 결정하고, 이것에 따라서 다음의 스테이지값을 결정하게 된다.
다음 스테이지에 대하여서도, 제11(a)도 내지 제11(c)도의 내용에 따라서 용이하게 이해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문자조립 수단
다시 제10도를 참조하면, 문자조립수단(PR)는 상술한 스테이지의 각각마다 고유의 자소처리를 실행한다. 즉, 제11(a)도 내지 제11(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자소코드에 대하여 기능적으로 분류된 자소 클래스값을 참조함으로써, 조립문자코드(O) 및 다음의 스테이지값(S)를 결정한다.
조립문자코드는 제3도에 나타낸 자소의 논리적으로 타당한 조합에 의하여 생성되는 한글문자 코드이며, 예를들면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된 2바이트의 코드구성을 사용하는 것이고 용이하게 생성할 수가 있다(단, 제11도에 있어서, 'XXXXX'는 전 자음자소코드를 나타내고, 'YYYYY'는 모음자소코드를, 그리고 'ZZZZZ'는 후자음자소코드를 표시한다).
2, 4 문자셋트 판정 프로세서(20)의 구성
논리적으로 올바른 조립이 가능한 한글문자의 총수는 상술한 바같이 1만자 이상 있지만, 그중 실용되는 한글문자는 약 2천자이다. 실용되지 않은 한글문자가 입력조작시에 중간천이문자로서 빈번이 출현하는 것은, 입력조작의 확인을 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치구성상에 있어서도 문자 자형(font)의 관리나 문자코드의 할당등을 위하여 큰 부하로 되고, 종래로부터 문제였다.
본 발명에서는, 한글문자를 사용하는 시스템내에 있어서 적절하게 정의된 문자셋트정보를 설정하고, 이 정보에 근거하여 문자조립 프로세서(10)에 의하여 생성된 조립분자 코드중 사용하는 적이 없는 불적절한 문자코드의 출력을 회피하고, 이것을 대신하여 문자조립의 최후의 자소를 적절하게 처리하여 문자입력과정을 전진시킴으로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문자조립 프로세서(10)에 의하여 생성된 조립문자코드와 시스템내에서의 문자코드가 다른 경우에는, 문자셋트판정 프로세서(20)는 상기 문자 셋트정보를 참조하여 전자의 문자코드를 적절한 문자코드로 변환할 수가 있다.
한글문자의 입력과정에서 중간상황을 확인하면서 입력조작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어떤 한글 문자의 조립이 완료할때까지 그 스텝에서 조립되는 문자의 연쇄가 필요하다. 「적절하게 정의된 문자셋트」란, 이와같은 연쇄로 결락이 없는 것을 말한다.
제14도 참조하면, 문자셋트판정 프로세서(20)는, 문자조립 프로세서(10)에 의하여 생성된 조립문자 코드 O(t)를 문자셋트판정부(22)의 입력으로서 받아들이고, 이것을 문자셋트정의 정부와 대조확인 함으로써 출력문자 코드 O'(t)를 판정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문자조립 프로세서(10)의 문자조립 스테이지값 S(T)를 갱신한다.
입력된 조립문자코드(O(t))가 문자셋트 정의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이 조립문자코드(O(t))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대로 출력문자코드(O'(t))로서 공급되지만, 조립문자코드(O(t))가 문자셋트정의정보에 해당하지 않은 경우, 최후에 입력된 자소(I(t))가 자음자소(CO)또는 모음자소(VO)의 어느것인가를 자음/모음자소 판정부(24)로 판정하고, 이 판정결과에 따라서 다음의 두 처리를 실행한다.
자음자소(CO)의 경우 : 이 판정 결과는, 최후에 입력된 자음자소(CO)를 후자음자소 내지 복합후자음자소의 일부로 하는 한글문자가 문자셋트중에 정의되어 있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자음자소(CO)를 당므의 한글문자의 전자음자소로 판정하고, 이 자소의 직전을 한글문자의 구획으로 판정하여 입력해야할 문자위치를 전진시킨다. 그때까지의 한글조립과정은 완료하고. 그리고 조립스테이지값을 S1로 한다. 이 경우,「CO : fill : fill」로 이루는 문자코드가 출력문자코드(O'(t))로서 공급되고, 그리고 이들의 스테이지값(S1)과 출력문자코드(O'(t))에 동등하게 되도록 문자조립 프로세서(10)의 스테이지값(S(t))와 출력(O(t))이 각각 갱신된다.
모음자소(VO)의 경우 : 판정결과는, 최후에 입력된 모음자소(VO)를 모음자소 내지 복합모음자소의 일부로 하는 한글문자가 문자셋트중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모음자소(VO)를 상기 조작에 의한 것으로 판정하고, 에러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문자셋트정의정보에 대하여 설명을 보출하면, 이것은 문자조립 프로세서(10)가 공급하는 조립문자코드가 시스템내에서 정의된 한글문자에 대응하는 것인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 문자 셋트정의 정의정보는, 모든 문자조립코드에 대응하는 정의의 유무를 비트의 온/오프 상태로 나타내도 좋고, 또 조립문자코드의 체계가 시스템내에서 정의된 문자 코드의 체계와 다른 경우에는 양자의 코드변환용 레이블을 사용함으로써, 문자셋트중의 정의의 유무의 판정과 코드변환을 동시에 처리할 수가 있다.
3. 한글문자 입력과정
상기의 문자조립 프로세서(10)과 문자셋트 판정 프로세서를 연결시키면, 소기의 기능이 달성된다. 제15도에서는, 이들의 프로세서를 연결한 경우의 문자코드발생, 판정기구(6)에 있어서의 각 기능과 문자조립 스테이지의 천이상태가 일괄하여 나타나 있다. 제15도에서는 제11(a)도 내지 제11(c)도와 일부 공통하는 기호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하에는 후자의 도면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은 기호의 의미만을 나타낸다.
Figure kpo00008
CO VO : 입력된 자소의 자음/모음판정
Ci Cj : 자음자소의 클래스값 판정
Vi Vj : 모음자소의 클래스값 판정
DEF UNDEF : 문자셋트판정
DEF : 정의있음
UNDEF : 정의없음
또 제16도에는, 본 발명의 한글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의 개념적인 한글문자입력과정의 예가 나타나고 있고, 이하 이예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문자조립 프로세서(10)의 스테이지값이 SO일때, 제1의 자소로서 자음자소「ㅎ」를 입력하면, 문자조립 프로세서(10)는 「ㅎ : fill : fill」로 이루는 조립문자코드를 발생함과 동시에, 다음의 스테이지 값(S1)를 결정한다. 통상의 경우, 문자셋트판정 프로세서(20)는 문자조립 프로세서(10)에 의하여 발생된 조립문자코드를 받아, 이것을 문자셋트 정의정보와 대조 확인하여 문자셋트에 있어서의 정의의 유무를 판정한다. 그러나, 자음자소 및 fill코드만으로 이루는 조립문자 코드를 받을 경우는, 이와같은 조립문자코드가 문자셋트중에서 당연히 정의되고 있다고 하는 이유로서, 이것을 문자셋트정의정보와 대조확인하는 일 없이 그대로 출력문자코드로서 표시장치(8)(제1도 참조)에 공급하고, 제16도의 우상측에 나타내는 바같이 대응하는 한글문자「ㅎ」을 표시한다.
이하 동일한 처리가 제2및 제3의 자소에 대하여 실행되고, 이것에 따라 한글문자가 도시와 같이 조립된다. 그러나 제4의 자소로서 자음자소「ㅎ」를 입력하였을 때, 문자조립 프로세서(10)는 「ㅎ : ㅏ : ㄶ」으로 이루는 문자조립코드를 발생하지만 이 코드는 문자셋트로 정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문자셋트판정 프로세서(20)는 현재의 문자위치를 전진시켜, 문자조립 프로세서(10)의 다음의 스테이지값(S1)를 결정하기 때문에, 상기 프로세서는 이 스테이지로「ㅎ : fill : fill」로 이루는 조립문자코드를 발생한다. 상기와같이, 이 조립문자코드는 문자셋트로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6도의 우하측에 나타내는 바같이 대응하는 한글문자「ㅎ」를 다음 문자위치로 표시시킬 수가 있다.
이상 상술한 바같이, 본 발명의 한글문자 입력장치에 으하면, 비교적 소수의 자소키를 타건하여 한글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불필요한 중간천이 문자를 출현시키는 일이 없고, 한글문자의 구획을 자동적으로 판정할 수가 있고, 더우기 한글문자의 조립 입력과장을 한개의 문자입력위치만으로 완료할 수가 있기 때문에, 조작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종래의 한글문자 입력방식에서 필요로 하고 있던 다수의 문자코드 및 문자폰트가 불필요하게 되었기 때문에, 문자코드발행.판정기구의 구성을 전체로서 간단화 할수가 있다.

Claims (1)

  1. 한글문자를 구성하는 자소를 배열한 입력 키보드(2)와, 상기 입력 키보드상의 타건된 자소 키에 대응하는 자소 코드를 차례로 발생하기 위한 자소코드발생기구(4)와, 상기 자소코드 발생기구로부터 차례로 공급되는 자소코드에 응답하여 한글문자의 조립처리를 실행하고, 그 한글문자코드를 생성함과 동시에, 문자구획을 판정하기 위한 문자 코드발생. 판정기구(6)를 구비하고, 상기 문자코드발생.판정 기구는 이미 생성되고 있는 현재의 한글문자코드와 다음의 상기 자소코드에 응답하여 한글문자의 조립, 다음의 한글문자코드의 생성 및 문자의 구획의 판정(10)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 입력장치.
KR1019840008225A 1984-04-10 1984-12-21 한글 문자 입력장치 KR890002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070184A JPS60214071A (ja) 1984-04-10 1984-04-10 ハングル文字入力装置
JP70184 1984-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699A KR850007699A (ko) 1985-12-07
KR890002957B1 true KR890002957B1 (ko) 1989-08-14

Family

ID=13424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8225A KR890002957B1 (ko) 1984-04-10 1984-12-21 한글 문자 입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214071A (ko)
KR (1) KR8900029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9023A (ja) * 1989-03-29 1990-11-29 Chubu Nippon Denki Software Kk 端末装置
KR100226206B1 (ko) * 1996-09-18 1999-10-15 조관현 콤팩트 한글 키보드
JP2003245307A (ja) 2001-12-17 2003-09-02 Uni Charm Corp テープファスナを備えた使い捨て着用物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4421A (en) * 1976-12-29 1978-07-25 Fujitsu Ltd Input unit for hangul character
JPS54144822A (en) * 1978-05-02 1979-11-12 Showa Jiyouhou Kiki Kk Hangeul character input keyboard
JPS56121132A (en) * 1980-02-26 1981-09-22 Canon Inc Character processor
JPS56130792A (en) * 1980-03-18 1981-10-13 Fujitsu Ltd Hangeul character trea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699A (ko) 1985-12-07
JPS60214071A (ja) 1985-10-26
JPH0250505B2 (ko) 199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4704A (en) Text editor for speech input
US5263174A (en) Methods for quick selection of desired items from hierarchical computer menus
US4677585A (en) Method for obtaining common mode information and common field attribute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card images
KR890002957B1 (ko) 한글 문자 입력장치
KR100213910B1 (ko) 한영 자동 변환기 및 방법
JP2002207557A (ja) 日本語入力システム、日本語入力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H07105217A (ja) 入力文字自動補正装置
KR0165591B1 (ko) 한영 혼용 입력장치에 적용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JP3035061B2 (ja) スケジュール機能付仮名漢字変換装置
JP3814000B2 (ja) 文字列変換装置および文字列変換方法
JP2649139B2 (ja) ローマ字入力用のキーボード
JPS628259A (ja) かな漢字変換方式
JP2002297294A (ja) 文字入力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機器並びに文字入力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0721171A (ja) キー入力訂正装置
JPH08161320A (ja) 文書作成装置及びその表示処理方法
JPS62105265A (ja) ワ−ドプロセツサ
JP2702443B2 (ja) 日本語入力装置
JPH0830609A (ja) 入力誤り警報付き日本語ワードプロセッサ
US20070213971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Output Device
JPH07105194A (ja) かな漢字変換方法
JPH08241158A (ja) 情報入力装置
JPH07110811A (ja) 文字処理装置および文字処理方法
JPH05341976A (ja) 文字列編集装置
JPH06259412A (ja) ローマ字入力による仮名変換方法
JPH05135006A (ja) 文字処理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