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591B1 - 한영 혼용 입력장치에 적용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한영 혼용 입력장치에 적용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591B1
KR0165591B1 KR1019950019854A KR19950019854A KR0165591B1 KR 0165591 B1 KR0165591 B1 KR 0165591B1 KR 1019950019854 A KR1019950019854 A KR 1019950019854A KR 19950019854 A KR19950019854 A KR 19950019854A KR 0165591 B1 KR0165591 B1 KR 0165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english
korean
key
hang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9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692A (ko
Inventor
이긍해
Original Assignee
이긍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긍해 filed Critical 이긍해
Priority to KR1019950019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5591B1/ko
Publication of KR970007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5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영 혼용 입력장치에 적용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분리자가 입력될 때까지 입력된 키에 상응하는 어절을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 의해 생성된 어절에 대하여 한.영 모드의 판정을 수행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판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어절의 문자표현을 전환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며, 한.영 모드의 구분없이 입력된 어절이 비록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복합단어, 신조어, 영문약어, 심지어 오타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한글 또는 영문인지를 판정하여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또한 어절입력완료시 뿐만아니라 어절 입력중에도 한.영을 판정할 수 있도록 하여, 문서편집의 오류를 최소화한다.

Description

한.영 혼용 입력장치에 적용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워드프로세서의 개략적인 구성예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한.영 자동 전환 방법의 일실시예 수행 흐름도.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흐름도 중, '어절의 한.영 판정 및 전환'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제4도는 상기 제3도의 상세 흐름도 중, '단어의 한.영 판정'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제5도는 상기 제4도의 흐름도 중, '완료단어 한.영 판정'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제6도는 상기 제4도의 흐름도 중, '미완료단어 한.영 판정'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제7도는 상기 제5도 및 제6도의 흐름도 중, '영문충분조건 만족 여부 검사'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제8도는 상기 제4도의 흐름도 중, '단어에 불필요 쉬프트키 사용 여부 검사'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제9도는 상기 제8도에 도시된, 키에 불필요한 쉬프트키가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일실시예 처리 흐름도.
제10도는 상기 제5도의 흐름도 중, '어미종속어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제11도는 상기 제5도의 흐름도 중, '문맥종속어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제12도는 상기 제5도의 흐름도 중, '영문중복어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제13도는 상기 제5도의 흐름도 중, '한글중복어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제14도는 상기 제7도의 흐름도 중, '수정거리가 2 이상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제15도는 상기 제5도 및 제6도의 흐름도 중, '단어가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제16도는 상기 제15도의 흐름도 중, '모든 음절이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제17도는 상기 제5도 및 제6도의 흐름도 중, '영문필요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제18도는 상기 제5도 및 제6도의 흐름도 중, '한글 문맥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제19도는 상기 제7도의 흐름도 중, '비한글 접두어를 가졌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제20도는 상기 제6도의 흐름도 중, '영문 접두어를 가졌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제21도는 상기 제17도의 흐름도 중, '허용되지 않는 4연속 영문자음을 가졌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제22도는 상기 제3도의 흐름도 중, '어절을 단어와 어미로 분리하는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제23도는 상기 제22도의 흐름도 중, '음절이 어미음절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흐름도.
제24도는 상기 제22도의 흐름도 중, '음절이 어미부 시작음절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제25도는 상기 제22도의 흐름도 중, '최우측 음절이 조사가능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제26도는 상기 제5도의 흐름도 중, '영문 중복어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의 다른 실시예로서, 영어사전을 사용하여 상기 과정을 수행하는 흐름도.
제27도는 상기 제22도의 흐름도 중, 영어사전을 사용하여 '어미중복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제28도는 상기 제6도의 흐름도 중, '영문 접두어를 가졌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의 다른 실시예로서, 영어사전을 사용하여 상기 과정을 수행하는 흐름도.
제29도는 상기 제17도의 '허용되지 않는 4연속 영문자음을 가졌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의 다른 실시예로서, 영어사전을 사용하여 상기 과정을 수행하는 흐름도.
제30도는 상기 제22도의 흐름도 중, '어미중복어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의 다른 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롬(ROM) 2 : 중앙처리장치(CPU)
3 : 램(RAM) 4 : 표시부
5 : 디스크 드라이브 유니트 6 : 입력부
7 : 출력부
본 발명은 한.영 자동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디터, 워드프로세서, 다이아그램 편집기, 또는 스프레드 쉬트, 데이터 베이스, 전자사전, 전자우편 등의 취급시와 같이, 데이터 또는 명령어 입력으로서 한글과 영문을 혼용하여 입력할 필요가 있을 경우(이하 간단히 '한.영 혼용 입력장치'라 한다)에서, 한글 모드와 영문 모드의 구분없이 입력되는 문자열을 어절별로 판별하여 전환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글과 영문의 데이터를 혼용하는 종래의 한.영 혼용 입력장치에서는 현재의 키 입력모드를 전환할 때마다, 매번 원하는 모드로의 전환동작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한.영 혼용 입력장치에서 한글모드 및 영문모드가 각각 별개로 필요한 이유는, 상기 입력장치에 구비된 자판의 동일키에 대응하는 키 값이 두 개 이상 할당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일키라 하더라도 그 키 입력시에 설정되어 있는 모드에 따라 그 키 값이 달라진다. 예를 들면, 영문모드에서 'a'를 의미하는 키가 한글 모드에서는 'ㅁ'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실제의 사용자는 한.영 입력모드의 전환을 위해서 별도로 구비되는 전환 키 또는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야 했다.
그러나, 이러한 수동적인 모드전환은 문서의 종류에 다라 차이가 있겠지만, 사용자에게 매우 큰 불편을 주게 된다. 즉, 사용자가 한.영의 전환을 잊고 잘못된 모드에서 입력을 계속한다거나, 또는 전환 키의 입력을 시도했으나 전환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를 인지하지 못한채 계속 입력하는 경우, 나중에서야 비로소 잘못 입력된 데이터를 발견하고 그들을 일일이 지우면서 다시 입력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한글 또는 영문에 대응되는 키(이하, 간단히 '한.영문자키'라 함)나 백스페이스키가 아닌 다른 키(이하, 간단히 '분리자'라고 칭함)의 입력으로 하나의 입력이 완료되었을 때에, 그 완료어절에 대하여 한.영 모드를 자동으로 판정하여 전환하는 한.영 자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절 입력시에 입력되는 키의 순서와 어절이 입력되고 있는 현재의 문맥, 그리고 실제 문서에서의 한.영 사용 형태 분석 결과 등을 이용하여 어절의 입력 도중에는 매 키가 입력될 때마다 해당 어절의 한.영을 예측 판정하며, 분리자의 입력으로 어절입력이 완료되었을 때, 해당 완료어절에 대하여 문자표현을 전환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영 혼용 입력장치에 적용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분리자가 입력될 때까지 입력된 키에 상응하는 어절을 생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 의해 생성된 어절에 대하여 한.영 모드의 판정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판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어절의 문자표현을 전환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영 혼용 입력장치에 적용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키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절을 생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어절을 단어와 조사로 분리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 의해 분리된 단어에 대하여 한.영 판정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한.영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어절의 단어부분과 조사부분을 각각 영문 또는 한글로 변환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영 혼용 입력장치에 적용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어절을 초기화하는 제 1 단계; 키를 입력받아, 입력된 키가 한.영문자키인지 검사하는 제 2 단계; 상기 키가 한.영문자키이면 어절에 해당 키를 추가하는 제 3 단계; 분리자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제 2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를 반복하면서 입력된 키에 상응하는 어절을 생성하는 제 4 단계; 제 4 단계 수행 후, 상기 어절에 대하여 한.영 판정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어절을 한글 또는 영문으로 전환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입력이 완료된 한글 단어나 영어단어에 대하여 입력된 단어에 잘못된 키의 입력(이하, 간단히 '오타'라 칭함)이 없을 경우라면, 이론적으로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 놓은 한글사전 또는 영어사전을 사용하여 정확하게 한.영을 판정할 수도 있다.
즉, 일련의 키입력에 대하여 한글과 영문모드에 각각 대응되는 키 값으로 한글문자의 영문자를 생성하여 저장하였다가(또는 한가지로만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상대방으로 전환할 수도 있음), 숫자 키, 기능 키, 스페이스 키등과 같은 한.영문자키 이외의 다른 키가 입력되었을 때, 사전을 참조하여 일치되는 등록문자가 있는 모드의 문자로 판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순히 영어사전 또는 한글사전을 참조하여 한.영을 판정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1. 입력된 데이터(이하, 간단히 '입력 문자열'이라 칭함)에 대응되는 단어가 한글과 영문으로 모두 존재할 경우 판정이 어렵다.
2. 단어의 입력이 완료되어야만 판정이 가능하다.
3. 오타가 있는 단어에 대한 판정이 힘들다.
4. 프로그램의 변수나 함수 이름과 같이 여러 단어가 붙어서 만들어지는 단어에 대한 판정이 어렵다.
5. 사전에 없는 신조어에 대한 판정이 어렵다.
6. 영문 약어에 대한 판정이 어렵다.
7. 관용적으로 영문뒤에 붙여서 쓰는 한글 어미(조사, 접미사 등)의 판정이 어렵다.
8. 프로그램 실행시에 필요한 사전의 저장 및 검색에 큰 비용이 든다(메모리, 시간).
따라서, 본 발명의 구현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주로 다음과 같이 예시된 판정 방법을 이용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에 예시된 각각의 판정 방법은 첨부된 도면을 이용한 수행절차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물론 여기에 언급되어 있지는 않지만 아래에 예시된 것들과 유사한 판정방법들을 얼마든지 더 추가할 수 있다.
1.불필요한 한 쉬프트 키의 사용여부를 이용한 판정,
2.한글조합규칙 만족여부를 이용한 판정,
3.허용되지 않는 4개 이상의 연속된 영문자음의 존재 여부를 이용한 판정,
4.문맥을 이용한 판정,
5.조사의 존재여부를 이용한 판정,
6.영문중복어사전을 이용한 판정,
7.한글중복어사전을 이용한 사전,
8.비한글 접두어를 이용한 판정,
9.영문 접두어를 이용한 판정,
10.영문에 붙여 사용되는 한글 어미의 분리,
12.한글 어미로 끝나는 영어단어사전(어미중복어사전)의 이용,
13.수정거리를 이용한 판정,
12.사용자 임의 구성단어의 사용자사전에 의한 판정.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판정방법의 사용에 의해 매 키 입력시마다 한.영을 예측 판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예측 판정시에 상기한 바와 같은 판정요소들을 활용하여 그 정확성을 제고시켜 완료어절의 최종판정결과와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어절의 입력도중에도 한.영을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동일한 키입력 순서를 가지고 한글로도 그리고 영문으로도 자주 쓰일 수 있는 단어를 제외하고, 사전에 존재하는 단어에 대하여 대부분 정확한 한.영의 판정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판정 시점도 한글 단어 뒤에 나타나는 영문 단어 또는 단어 뒤에 나타나는 한글 단어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절의 시작점이 된다. 또한 한글, 영어 단어가 교대로 입력되는 경우에도 판정이 대부분 어절의 완료 이전에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복합단어, 신조어, 영문약어의 경우에도 대부분 정확한 판정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오타 입력도 고려한다. 한글 단어의 입력시 오타에 의해 한글의 조합규칙에 맞지않는 단어가 되었다고 하여 무조건 영문으로 전환한다면 사용자에게 혼동을 일으키게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오타가 있는 영문도 가능하면 인식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오타가 있는 한글 단어 또는 영문 단어에 대하여도 수정거리 및 4연속 영문자음을 이용하여 한글 또는 영문 가능성을 보아 한.영으로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한글과 영문이 혼용되는 많은 문서들의 분석결과, 한글 조사와 또한 여기에서 접미사라고 부르는 많은 한글 어미들도 일반적으로 영문 단어에 붙여서 사용하는 것을 관찰하렸다. 'A씨', 'K군', 'toolkit에서의'등은 그 예이다.
이렇게 조사나 접미사를 영문 뒤에 붙여 사용하는 일은 실제 그 빈도가 아주 많으므로, 한.영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이를 처리하기 위한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만일 이러한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다면 빈번한 한.영 전환 키의 사용이 요구되므로 본래의 취지에 비추어 볼 때 한.영 자동 전환의 효과는 크게 감소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한글 의미의 붙여쓰기를 허용할 뿐만 아니라 어절의 완료 이전에도 대부분의 한글 어미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글조합규칙에 맞는 영문 단어의 경우 한글사전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단어의 입력 완료 이전에라도 한글이 아니라는 증거가 있으면 영문으로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중복어의 판정을 조기에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전을 구축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전의 저장 및 검색에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워드프로세서와 같이 한.영 자동 전환이 아닌 다른 이유로 이미 한글 또는 영어사전을 내장하고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의 어미중복어사전, 영문중복어사전, 영문 접두어사전, 허용되는 4개 이상의 영문연속자음사전등을 대신해서 이미 내장된 영어사전 또는 한글 사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예시되는 실시에서는 한글자판 2벌식이며, 영문자판이 QWER 자판인 경우를 일예로 설명할 것이나, 다른 자판(예컨대 4벌식 한글자판 등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먼저,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일예인 워드프로세서의 하드웨어 구성예시도로서, 도면에서 1은 롬(ROM), 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3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4는 표시부, 5는 디스크 드라이브 유니트, 6은 입력부, 7은 출력부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워드프로세서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롬(1)이나 디스크에 탑재되어 있다가,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램(3)으로 옮겨져 키보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한.영의 판정 및 변환을 가하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4)로 출력하거나 램(3)에 저장한다.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램이나 롬에 탑제되어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한.영 자동 전환 방법의 일실시예 처리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어절의 입력이 시작될 때, 먼저 어절의 초기화(51)가 수행된다. 입력어절이 널(Null)로 초기화된다. 키가 하나 입력되면(52) 그 키가 한.영문자키 또는 백스페이스 키인지를 검사한다(53). 한.영문자키이거나(53), 한.영문자키가 아니더라도 백스페이스 키이고(59), 어절이 비어있지 않으면(60)(어절이 비어있으면 입력 키를 처리한 후(63) 종료한다) 현재의 어절의 내용에 이 키를 추가하여 한글조합을 수행하여 한글 어절로 저장한다(54). 또한 키의 입력시 쉬프트 키의 눌림 상태를 기억할 수 있도록 영문 어절에도 키를 추가하여 저장한다(55). 한.영문자키 또는 백스페이스 키이면 분리자가 아니므로 최종키가 분리자였는지를 나타내는 변수, 즉, 분리자에 거짓(FALSE)을 할당한다(56). 현재 어절에 대하여 한.영 판정 및 전환(57)을 실행한다.
입력 키가 한.영문자키인지를 검사하는 단계(53)에서 키가 한.영문자키가 아님으로 판정되고, 또한 백스페이스 키도 아니면(59), 즉 분리자이면 변수 분리자에 참(TRUE)을 할당하고(61). 어절이 비었는지를 검사한다(62). 어절이 비었으면(즉 널이라면), 방금 입력된 분리자를 처리하고(63) 종료(또는 어절의 초기화 단계로 리턴)한다. 만일 어절이 비어있지 않다면 어절의 한.영 판정 및 전환(57)을 실행한다.
어절의 한.영 판정 및 전환단계의 실행 후에는 분리자가 참인지를 검사해서 참이면 입력 키를 처리하고(63) 새로운 어절의 입력을 시작할 수 있도록 어절을 초기화하는 단계(51)로 리턴한다. 분리자가 거짓이라면 현재 어절의 입력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다음 키를 입력받는 단계(52)로 되돌아 간다.
제3도는 상기 제2도에서 어절의 한.영 판정 및 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좀 더 상세하게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먼저, 어절이 사용자사전에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71). 사용자사전은 특징의 문자열 입력시에 임의의 형태의 원하는 값으로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 이 사전에는 영문 문자열을 키로 하고 이 문자열에 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전환 결과가 그 키 값으로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신X세대'를 키 'tlsXtpeo'에 대응되는 값으로 저장해 놓으면 'tlsXtpeo' 입력시에 '신X세대'로 전환할 수 있게 해준다.
시용자사전을 검사(71)하여 어절이 존재하면, 먼저 어미를 널로 하며(72), 이에 따라 어절에 대한 판정 결과는 사전참조값이 된다(77). 만일 어절이 사용자사전에 존재하지 않으면 어절을 단어와 한글 어미로 분리라는 단계(73)를 수행한다. 이때, 어절이 한글 어미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어미는 널이 된다. 단어와 어미의 분리를 수행한 다음에는 단어가 사용자사전에 존재하는지를 검사하여(74) 존재하면 사전참조값 뒤에 한글 어미를 접속한(concatenation) 값이 어절 판정의 결과가 된다. 만일 단어가 사용자사전에 존재하지 않으면 단어의 한.영 판정(75)을 수행한다. 단어의 판정결과(76)가 한글이면 어절 판정의 결과는 한글 단어 뒤에 한글 어미를 접속한 것이 된다. 단어의 판정결과(76)가 한글이 아니면 영문 단어를 의미하므로 어절에 대한 판정 결과는 영문 단어에 한글 어미를 접속한 것이 된다(79). 이때, 어미가 널이면 단어자체가 어절이 됨은 당연하다.
제4도는 제3도의 단어의 한.영 판정 과정(75)을 더 상세하게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먼저, 단어에 불필요한 쉬프트 키(이하 불필요쉬프트라 칭함)가 사용되었는지를 검사해서(81), 사용되었으면 단어를 영문으로 판정한다. 단어에 불필요쉬프트가 사용되지 않았으면 어미가 존재하는지를 검사해서 어미가 존재하면 완료단어의 한.영 판정 과정(85)을 수행한다. 어미가 존재하지 않으면 분리자 변수의 값이 참인지를 검사해서(83) 분리자가 참이면 완료단어의 한.영 판정(85)을 수행한다. 분리자 변수의 값이 거짓이면 미완료단어의 한.영 판정을 수행한다(84). 감사단계(84,85)에서 한글로 판정되었으면(86) 단어를 한글로 판정한다. 한글로 판정되지 않았으면(86) 단어를 영문으로 판정한다.
제5도는 제4도의 완료 단어의 한.영 판정 과정을 더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과정의 수행이 시작되면 먼저 단어에 있는 키의 수가 1인지를 검사한다(101). 예를 들어 입력된 문자열이 'Where' 라면 키 수는 5가 된다. 키의 수가 1이면 낱글쇠 출력모드가 한글인지를 검사하여(109), 참이면 단어를 한글로 판정하고 거짓이면 단어를 영문으로 판정한다. 단어에 글쇠가 한개인 경우 대부분 영문으로 판정하게 되나 일반적으로는 영문자인지 한글 음소인지를 정확히 판정하기 어려우므로 낱글쇠 출력모드 변수에 한글 또는 영문등 사용자가 원하는 전환방법을 지정할 수 있다.
단어의 키 수가 1인지 검사하는 과정에서(101) 거짓으로 판정되면 단어가 한글중복어인지를 검사한다(102). 여기서, 한글중복어는 영문 단어로 오판될 수 있는 한글 단어들로써 그 수는 많지 않기 때문에 한글 중복어 사전을 구축하여 저장하여 한글 판정에 이용한 것이다. 예를 들면, 'dual'은 영문이지만 'duals'는 비록 'dual'의 복수형이기는 하나 '여민'이라는 한글이다. 'duals'는 한글중복어로 처리할 수 있는 단어의 한 예이다.
한글중복어인지 검사하여(102) 한글중복어이면 한글로 판정하고, 한글 중복어가 아니라면 어미종속어인지를 검사한다(103). 여기서, 어미종속어는 한글 어미가 존재할때에만 한글로 인식되는 단어들로써 단어의 한.영문자키에 대응되는 한글표현이 한글조합규칙에도 맞으며 한글 문맥에서도 흔히 영어로 쓰일 수 있는 단어들이다. chdir(초약)과 같은 명령어가 여기에 속한다.
단어가 어미종속어이면(103) 어미가 존재하는지를 검사하여(110) 어미가 존재하면 한글로 판정하고, 어미가 존재하지 않으면 영문으로 판정한다.
어미종속어 검사(103) 결과 단어가 어미종속어가 아니면 문맥종속어인지를 검사한다(104). 여기서, 문맥종속어는 입력 문자열이 한글 단어나 영문 단어로 모두 가능한 경우를 말하며, '해' (go)가 그 한 예이다. 문맥 종속어로 분류된 단어들은 문맥에 따라 한글 또는 영문 단어로 판정된다.
문맥종속어 검사(104)에서 참으로 판명되면 한글 문맥인지를 검사(111)하게 되며, 이때 단어가 한글 문맥이면 한글로 판정하고, 한글 문맥이 아니면 영문으로 판정한다. 예를 들어 'go'를 문맥 종속어로 분류하였다고 가정하면, 한글 문맥 검사단계(111)에서 한글문맥일 때 'go'라는 단어가 입력되면 한글 단어 '해'로 인식되며, 한글 문맥이 아니라면 영문 단어 'go'로 판정된다.
문맥종속어 검사(104)에서 거짓으로 판정되면 다시 영문중복어인지 여부를 검사할 수 도 있다(106). 영문중복어이면 단어는 영문으로 판정된다. 여기서, 영문중복어는 한글표현이 한글조합규칙에도 맞는 영어 단어로써 한글사전에 존재하지 않으며 또한 한글로 보기 어려우므로 영어로 판정되는 단어들이다. 예를 들면 영단어 'abacus'는 '뮴쳔'이라는 한글표현에 대응되나 한글로 사용되지 않는 단어이므로 영문으로 판정하는 것이다.
상기 영문중복어 검사(106) 결과 거짓이면 영문충분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도 있다(107). 검사결과, 영문충분조건을 만족하면 단어를 영문으로 판정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단어가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한다(108).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면 단어를 한글로 판정한다.
반면,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시 단어가 영문필요조건을 만족하는지 검사하여(112) 만족하면 단어를 영문으로 판정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단어를 한글로 판정한다.
제6도는 제4도의 미완료단어 한.영 판정 과정의 더 상세한 흐름도이다. 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영문충분조건을 만족하는지 검사하여(121) 만족하면 단어를 영어로 판정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한글 문맥인지를 검사한다(122). 한글 문맥이면 단어가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는지 검사하여(123)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면 한글로 판정하고, 만일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시 영문필요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한다(124). 검사결과, 영문필요조건을 만족하면 단어를 영문으로 판정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단어를 한글로 판정한다. 한글 문맥인지를 검사하는 단계(122)에서 한글 문맥이 아닐 경우에는 단어가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는지 검사하여(125) 조합규칙을 만족하지 않으면 단어를 영어로 판정하고, 만일 조합규칙을 만족하면 단어가 영문 접두어를 가졌는지 검사한다(126). 영문 접두어를 가졌으면 단어를 영문으로 판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어를 한글로 판정한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중요한 개념중에 하나인 문맥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어절이 이미 한글로 화면에 보이고 있을 경우에는 어절이 한글이 아니라는 강한 증거가 있거나 확실히 영어라는 증거가 있을 때까지는 어절의 출력모드를 영어로 전환하지 않으며 반대로 어절이 화면에 현재 영문으로 보여지고 있을 경우에는 어절이 영문이 아니라는 강한 증거가 있을 때까지 출력모드를 한글로 전환하지 않는다. 이것은 한.영 어느 쪽으로도 확실히 결정할 수 없을 때에는 현재의 출력모드를 유지함으로써 불필요하게 한.영을 반복하여 전환하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다. 결과는 한글 어절 다음에 영문 어절이 입력되는 경우 또는 그 반대로 영문 어절 다음에 한글 어절이 입력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어절의 첫 키부터 한.영을 바르게 예측하는 효과가 있다.
제7도는 제5도와 제6도의 단어가 영문충분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의 더 상세한 흐름도이다. 이 과정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첫음절이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는지 검사하여(131) 만족하지 않으면 영문충분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첫음절이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면 다음으로 단어에 불필요쉬프트가 사용되는지를 검사하여(132), 불필요쉬프트가 사용되었으면 영문충분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불필요쉬프트가 사용되지 않았으면 비한글 접두어를 가졌는지 검사한다(133). 여기서, 비한글 접두어는 영어단어의 접두어(prefix)이나, 한글 단어의 접두어가 될 수 없는 문자열들로써 비한글 접두어 사전을 구축하여 참조함으로써 단어가 비한글 접두어를 가졌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비한글 접두어를 가졌는지 검사하는 단계에서(133) 가진 것으로 판정되면 영문충분조건을 만족함을 판정하고, 가지지 않았으면 수정거리검사(136)를 하기 위하여 먼저 분리자 변수의 값이 참인지를 검사한다. 참이면 단어전체를 변수 str1에 복사한(135) 후에 str1의 수정거리가 2 이상인지를 검사한다. 분리자 변수 값을 검사하는 단계(134)에서 값이 참이 아니면 어미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137). 어미가 존재하면 단어는 완료된 단어이므로 변수 str1에 복사한 후 단어의 전체에 대하여 수정거리가 2 이상인지를 검사한다(135,136).
분리자도 참이 아니고 어미도 존재하지 않으면 마지막 음절(끝음절)을 제외하고 수정거리를 검사하기 위하여 먼저 변수 str1에 마지막 음절을 제외하고 복사한 다음(138), str1의 수정거리가 2 이상인지를 검사한다(136). 수정거리가 2 이상인 것으로 판정되면 단어가 영문충분조건을 만족함을 판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영문충분조건을 불만족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여기서 분리자가 거짓이고, 어미도 존재하지 않을 때 수정거리 검사에서 마지막 음절을 제외하는 이유는 아직 단어(또는 어절)가 입력중이므로 마지막음절은 초성만 있을 수도 있는 데 이 음절을 한글조합규칙을 위배하는 것으로 잘못 판정하여 새로운 키의 입력시 마다 매번 한.영을 불필요하게 전환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수정거리는 단어를 조합규칙에 맞도록하기 위해 수정해야하는 키의 최소 갯수로서, 이는 한글조합규칙에 위배된 단어가 본래 한글 단어인데 입력시에 오타가 있었던 것인지 또는 영문 단어를 의도했던 것인지를 판정한다. 수정거리 2는 단어를 한글조합규칙에 맞도록 수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2개 이상의 입력 키를 수정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수정거리가 2 이상이면 한단어에 2개 이상의 오타가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여 이때는 오타를 가진 한글 단어라고 보는 것 보다는 영문 단어로 판정하는 것이다. 수정거리가 1인 경우에는 오타를 가진 한글 단어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영문 필요조건을 충족할 때에만 영문으로 전환한다. 예를들면, '한국ㅇ인'은 조합규칙에는 맞지 않더라도 대응되는 영문표현 'gksrnrddls'로 전환하지 않고 한글 단어로 판정하게 된다.
제8도는 제4도와 제7도의 단어에 불필요쉬프트가 있었는지를 검사하는 과정의 더 상세한 흐름도이다. 단어에 불필요쉬프트가 있다는 것은 단어를 구성하는 입력 키중에 하나라도 불필요쉬프트가 사용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단어를 구성하는 각 키에 대하여 불필요쉬프트가 사용되었는지를 검사하여(141) 불필요쉬프트가 사용된 키가 있다면 단어에 불필요쉬프트가 사용된 것으로 판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어에 불필요쉬프트가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제9도는 제8도의 키에 불필요쉬프트가 사용되었는지를 검사하는 과정의 더 상세한 흐름도이다. 이 검사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입력시 쉬프트 키가 눌렸는지를 검사하여(142) 쉬프트 키가 눌렸으면 자판에서 그 키에 대응되는 한글 문자가 2개 존재하는지 검사한다(143). 키에 대응되는 한글 문자가 2개 존재하지 않으면 불필요쉬프트가 사용되었음으로 판정하고 키 입력시 쉬프트 키가 눌리지 않았거나 눌렸더라도 키에 대응되는 한글 문자가 2개 존재하면 불필요쉬프트가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제10도는 제5도의 어미종속어인지를 검사하는 과정의 더 상세한 흐름도이다. 이 과정은 단어가 어미종속어사전에 존재하는가 검사하여(151) 존재하면 어미종속어로 판정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어미종속어가 아닌 것으로 판정한다.
제11도는 제5도의 문맥종속어인지를 검사하는 과정의 더 살세한 흐름도이다. 이 과정은 단어가 문맥종속어사전에 존재하는지를 검사하여(152) 존재하면 문맥종속어임을 판정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문맥종속어가 아님을 판정한다.
제12도는 제5도의 영문중복어인지를 검사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이 과정은 단어가 영문중복어 사전에 존재하는지 검사하여(161) 존재하면 영문중복어임을 판정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영문중복어가 아님을 판정한다.
제13도는 제5도의 한글중복어인지를 검사하는 과정의 더 상세한 흐름도이다. 이 과정은 단어가 한글중복어사전에 존재하는지를 검사하여(162) 존재하면 한글중복어임을 판정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한글중복어가 아님을 판정한다.
제14도는 제7도의 수정거리가 2 이상인지를 검사하는 과정의 더 상세한 흐름도이다. 이 과정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어가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여(171), 만족하면 수정거리가 2 이상이 아님으로 판정한다. 단어가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음으로 단어에서 글쇠(키) 하나를 삭제한다면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여(172) 참이면 수정거리가 2 이상이 아님을 판정하고 거짓이면 글쇠 한 개를 추가함으로써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게 할 수 있는지를 검사한다(173). 이 검사(173) 결과가 참이면 수정거리가 2 이상이 아님을 판정하고 결과가 거짓이면 끝으로 임의의 글쇠 한 개를 치환하여 단어가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게 할 수 있는지 검사한다(174). 이 검사(174) 결과가 참이면 수정거리가 2 이상이 아님을 판정하고 거짓이면 수정거리가 2 이상임을 판정한다.
제15도는 제5도, 제6도, 제14도의 단어가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의 더 상세한 흐름도이다. 이 과정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분리자 변수 값을 검사하여(181), 참이면 단어의 모든 음절이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여(182) 만족하면 단어가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조합규칙을 만족하지 않는 음절이 하나라도 있으면 한글조합규칙을 불만족하는 것을 판정한다. 분리자 변수 값을 검사했을 때(181) 참이 아니면 다시 어미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어미가 존재하면 분리자가 참일 때와 같이 모든 음절이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는 지를 검사한다(182). 어미가 존재하지 않으면 아직 어절의 입력이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마지막 음절을 제외한 다른 모든 음절이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는지 검사한다(184). 검사결과가 거짓이면 한글조합규칙을 불만족함을 판정하고, 참이면 마지막 음절에 초성이 있는지 검사하여(185) 있으면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함을 판정하고, 마지막 음절에 초성이 없으면 한글조합규칙을 불만족함을 판정한다. 이는 조합형이나 완성형을 포함한 모든 한글 코드 방식에 적용된다. 일예로 완성형 오토메타를 사용할 경우 비록 조합형에서는 한글 조합규칙에 맞더라도 완성형에 존재하지 않는 글자라면 한글조합규칙에 맞지 않는 것으로 판정할 것이다.
제16도는 제7도와 제15도의 음절이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의 더 상세한 흐름도이다. 이 과정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음절에 초성이 있는지를 검사하여(186), 있으면 음절에 중성이 있는지를 검사한다(187). 음절에 중성이 있으면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함을 판정하고 음절에 초성이 없거나(186), 음절에 중성이 없으면(187) 음절이 한글조합규칙을 불만족함을 판정한다.
제17도는 제5도와 제6도의 영문필요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의 더 상세한 흐름도이다. 이 과정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어의 글쇠수가 4 미만인지를 검사하여(201), 참이면 영문필요조건을 만족함을 판정한다. 거짓이면 다음으로 단어가 허용되지 않은 4 연속영문자음을 가졌는지를 검사하여(202), 가지지 않았으면 영문필요조건을 만족함을 판정하고, 가졌으면 한글조합규칙에 위배된 글자로서 영문 대문자가 포함된 음절이 있는지 검사한다(203). 그러한 음절이 존재하면 영문필요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반면 그러한 음절이 존재하지 않으면 영문필요조건을 불만족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제18도는 제5도와 제6도의 한글 문맥인지를 검사하는 과정의 더 상세한 흐름도이다. 이 과정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이전 어절(현재 어절의 직전 어절)에 한글 어미가 있었는지를 검사하여(211) 있었으면 한글 문맥임을 판정하고, 없었으면 그 어절이 한글로 판정되었는지를 검사하여(212) 참이면 한글 문맥임을 판정한다. 이전 어절에 어미도 없었고 또 그 어절이 한글로 판정되지 않았다면 현재 어절에 한글 어미가 있는지를 검사하여(213), 있으면 한글 문맥임을 판정하고 없으면 한글 문맥이 아님을 판정한다.
제19도는 제7도의 단어가 비한글 접두어를 가졌는지를 검사하는 과정의 더 상세한 흐름도이다. 이 과정은 단어의 접두어 중에서 비한글 접두어사전에 존재하는 것이 있는지를 검사하여(221), 존재하면 비한글 접두어를 가진 것으로 판정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비한글 접두어를 갖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제20도는 제7도의 단어가 영문 접두어를 가졌는지를 검사하는 과정의 더 상세한 흐름도이다. 이 과정은 단어의 접두어 중에서 영문 접두어사전에 존재하는 것이 있는지를 검사하여(222), 존재하면 영문 접두어를 가진 것으로 판정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영문 접두어를 갖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제21도는 제17도의 단어가 허용되지 않는 4 연속영문자음을 가졌는지를 검사하는 과정의 더 상세한 흐름도이다. 이 과정은 단어에(영문표현)에 자음이 4개 이상 연속된 곳이 있는지를 검사하여(231), 거짓이면 허용되지 않은 4 연속 영문자음을 가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고, 참이면 그 연속자음 문자열이 4 연속자음사전에 존재하는지 검사한다(232). 여기서, 4 연속자음사전은 영어단어에 나타나는 4 연속자음 패턴들을 저장하는 사전으로, 이 사전에 있는 패턴중에 하나를 접두어로 갖지 못한 4연속자음 문자열은 허용되지 않은 4연속 영문자음으로 판정한다.
4 연속자음사전에 존재하는지의 검사(232)의 결과가 참이면 허용되지 않은 4 연속 영문자음을 가지지 않음으로 판정하고, 거짓이면 허용되지 않은 4 연속 영문자음을 가졌음으로 판정한다.
4 연속영문자음을 검사할 때 자음은 영문자중에서 a, e, i, o, u, y, A, E, I, O, U, Y를 제외한 글자들을 의미한다. y와 Y를 모음으로 간주하는 이유는 by, cry등과 같이 많은 영어 단어에서 모음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4 연속자음존재 여부를 연속자음사전을 이용하여 검사하는 것은 크게 두가지 장점이 있다.
첫째는 프로그램에서의 변수나 함수 이름 등과 같이 여러 단어를 접속하여 만들어지는 단어나 영문 신조어의 경우에도 그러한 단어는 영어사전에 존재하지 않으나 본 방법으로는 대부분 영어 이름임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며, 둘째는 약 15만 단어나 되는 방대한 양의 영어 사전 전체를 디스크나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아도되어, 저장 및 검색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사전에 없는 영문 신조어인 경우에도 비한글 접두어사전과 4연속영문자음사전의 이용으로 대부분의 경우에 영어 단어임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제22도는 제3도의 한글 어절을 한글 단어와 한글 어미로 분리하는 과정의 더 상세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어절의 첫음절의 위치는 1, 둘째 음절의 위치는 2 등으로 하기로한다. 즉 n번째 음절의 좌측음절의 위치는 n-1, 우측음절의 위치는 n+1이 된다. 또 s[m] ... s[n]은 어절의 m번째 음절부터 n번째 음절까지를 포함하는 부분 문자열을 나타내기로 한다.
이 과정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한글 어절에 음절이 2개 이상 존재하는지 검사하여(251), 거짓이면 어절에는 한글 어미가 없는 것으로 판정하고 단어는 어절전체로, 어미는 널로 한다(268). 검사(251) 결과 만일 음절갯수가 2개 이상이면 분리자 변수 값을 검사하여(252), 그 값이 참이면 어절내부의 음절위치를 가리킬 변수 p에 어절의 마지막음절(최우측음절 또는 끝음절)의 위치를 저장한다(253), 분리자를 검사했을 때(252), 값이 참이 아니면 어절의 입력이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최우측이 아직 완전한 어미 음절이 아니더라도 키가 추가로 입력이 되면 조사 음절을 이룰 수 있는지 검사한다(261). 마지막 음절에 대하여 이렇게 완화된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완전한 어미음절 뒤에 계속하여 추가로 키가 입력되므로 음절이 완성되지 않았을 때 한글 어미가 아니라고 오판함으로써 한글 어미부를 영문으로 전환했다가 마지막 음절이 완전한 어미음절이 되었을 때 다시 한글로 전환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최우측 음절의 조사 가능 검사(261) 결과, 거짓으로 판명되면 어절에는 어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고, 참으로 판명되면 마지막음절 이전 음절까지는 더 정확한 검사를 할 수 있도록 검사 대상 음절의 시작 위치 p를 바로 좌측음절로 한다(262).
단계(254)부터 단계(258)까지의 루프는 어절의 최좌측에 위치하는 어미음절의 위치를 구하는 작업을 하는 것으로,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 과정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변수 p가 첫음절(최좌측 음절)을 가리키는지 검사하여(254), 참이면 루프를 벗어나서 p값을 1 증가시켜 p가 우측음절을 가리키도록 한다(263). 만일 p가 첫음절이 아니면 다음으로 음절 p에 불필요 쉬프트가 사용됐는지를 검사한다(255). 이것은 DDL(Date Definition Language), IDL(Interfa
ce Definition Language) 등과 같이 대문자 영문 약어가 D이(DDL), I이(IDL) 등으로오인되지 않기 위해서이다.
검사(255) 결과, 음절 p에 불필요쉬프트가 사용되었으면 어미음절이 아니므로 루프를 벗어나서 p값을 1 증가시켜 p가 우측음절을 가리키도록 한다(263). p가 최좌측음절도 아니고 불필요쉬프트도 사용되지 않았으면 다음에는 음절 p(즉 p가 가리키는 음절)가 어미 음절인지 검사하여(256), 어미음절이 아니면 루프를 벗어나서 p값을 1 증가시켜 p가 우측음절을 가리키도록 하고(263), 만일 어미 음절이면 음절 p가 영어단어의 끝음절인지를 검사한다(257). 이것(257)은 어미 음절들의 영문표현(한글에 대응되는 영문 단어로의 표현)으로 끝나는 영어단어들을 모아놓은 어미중복어사전을 검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예에서는 s[1] .... s[p]가 어미중복어인지를 검사하는 것으로 음절 p가 영어단어의 끝음절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게 된다. 이는 예를 들어 mark가 ma가로 오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검사(257) 결과, s[1] .... s[p]가 어미중복어이면 루프를 벗어나 p값을 1 증가시켜 p가 우측음절을 가리키도록 p의 값을 할당하고, 반면 s[1] .... s[p]가 어미중복어가 아니면 p값을 1 감소시킨다(258).
따라서, 어미음절검사 루프(254 내지 258)을 벗어나면, p는 어미부 시작 음절일 가능성이 있는 최좌측 음절을 가리키게 된다.
다음에는 p 이후에 있는 최초(최좌측)의 어미부 시작음절을 찾는 검사를, 즉 p로부터 시작하여 p 또는 p의 우측에 있는 어미부 시작음절을 찾는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264). 현재 p가 어미부 시작음절이라면 어미는 s[p]부터 마지막 음절까지로 판정하고(265), p가 어미부 시작음절이 아니라면(267), p를 1증가시켜 검사 단계(264)로 리턴시켜 다음 음절에 대하여 검사 단계(264, 267)를 반복하게된다.
만일 검사 단계(267)에서 p가 최우측 음절이라면 어미가 없는 것으로 판정하여 단어는 어절전체로, 어미는 널로 하게 된다.
제23도는 제22도의 음절이 어미음절인지를 검사하는 과정의 더 상세한 흐름도이다. 이 과정은 음절이 접미사 사전에 존재하는지 검사하여(271), 존재하면 어미음절로 판정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다시 그 음절이 1음절 조사사전에 존재하는지 검사한다(272). 이 사전에 존재한다면 어미음절로 판정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마지막으로 2음절조사사전에 존재하는지를 검사하여(273), 존재하면 어미음절로 판정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어미음절이 아닌 것으로 판정한다.
여기서, 상기 접미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영어 뒤에도 흔히 붙여 쓸 수 있는 음절들로, 뒤에 다시 조사가 올 수 있는 음절을 말한다. 예를 들면, '씨' 등의 음절을 접미사로 처리할 수 있다. 1음절 조사는 '까지', '가', '이라도' 등의 조사에서 첫음절인 '까', '가', '이' 등의 음절이다. 2음절 조사는 조사의 둘째 음절 이후에 사용될 수 있은 음절들로 위의 예 중 '까지'의 '지'는 2음절 조사의 일예가 된다.
1음절 조사에는 한글의 조사 1음절 이외에도 '이다', '하다' 등과 같이 조사는 아니지만 영문뒤에 붙여 쓸 수 있는 다른 품사의 첫음절 및 그 활용형의 첫음절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들면, 있, 인, 한, 했, 합 등과 같은 음절도 1음절 조사사전에 포함되어 처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2음절 조사사전에는 상기의 '이다', '하다' 등과 같이 영문뒤에 붙여 쓸 수 있는 품사의 활용형의 둘째 음절 이후에 나타나는 음절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들어 '었', '셨' 등이 2음절 조사사전에 포함될 수 있다.
한글과 영문이 혼용되는 많은 문서들의 분석결과 조사는 일반적으로 영문 단어 뒤에도 붙여쓰고 또한 여기에서 접미사라고 부른 많은 음절들도 흔히 영단어에 붙여서 사용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렇게 조사나 접미사를 영문뒤에 붙여 사용하는 빈도가 대단히 많으므로 한.영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이러한 기능은 매우 중요하며 만일 이러한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다면 빈번한 한.영 전환 키의 사용이 요구되므로 한.영 자동 전환의 효과는 크게 감소하게 될 것이다.
제24도는 제22도의 음절이 어미부 시작음절인지를 검사하는 과정의 상세한 처리 흐름도이다.
여기서, 어미부 시작음절이라는 것은 어절을 단어와 어미로 분리하였을 때 어미의 첫음절이 될 수 있는 음절을 말한다. 이 검사를 위해 먼저, 음절이 접미사 사전에 존재하는지 검사하여(281), 존재하면 어미부 시작음절로 판정하고, 만일 존재하지 않으면 추가로 1음절 조사사전에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282). 이 검사(282) 결과, 존재하면 어미부 시작음절임으로 판정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어미부 시작음절이 아님으로 판정한다.
제25도는 제22도의 음절의 조사 가능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의 더 상세한 처리 흐름도이다.
이 과정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음절에 불필요쉬프트가 사용되었는지를 검사하여(291), 사용되었으면 음절이 조사 가능하지 않음으로 판정하고, 만일 불필요한 쉬프트 키가 사용되지 않았으면 다음으로 음절이 1음절 조사의 접두어인지를 검사한다(292). 검사 결과, 참이면 음절이 조사 가능함으로 판정하고, 거짓이면 다시, 음절이 2음절 조사의 접두어인지 검사한다(293). 이 검사(293) 결과, 참이면 음절이 조사가능함으로 판정하고, 거짓이면 음절이 조사가능하지 않음으로 판정한다.
제26도 내지 제29도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워드프로세서의 철자법검사 기능에서와 같이 어떤 이유로 이미 영어사전이나 국어사전이 사용가능한 경우의 실시예이다. 즉 영문중복어검사, 한글중복어 검사, 영문 접두어검사, 허용되지 않은 4연속자음검사 등의 처리는 비록 디스크, 메모리의 요구, 검색 시간 등에서 더 비효율적이지만, 영어사전을 내장하여 사용해야 할 어떤 다른 이유가 있을 경우에는 내장된 영어사전을 직접 사용함으로써 사전을 중복 구축하는 것을 피하면서 상기 검사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26도는 제5도의 영문중복어인지를 검사하는 과정의 상세한 처리 흐름도로써, 영어사전을 사용하는 경우를 일예로 설명한다.
이 과정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어가 영어사전에 존재하는지 검사하여(301), 존재하면 영문중복어임을 판정한다. 존재하지 않으면 단어에 영어의 복수형 어미 s로 끝난 단어인지를 검사하여(302) 거짓이면 영어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단어이므로 영문중복어가 아님으로 판정하고, 만일 s로 끝났으면 그 s를 제거한 다음(303)에 다시 사전을 검사하여(304), 사전에 존재하면 영문중복어임을 판정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영문중복어가 아님을 판정한다.
여기서 영어의 복수형 어미로 s(물론 대문자 S도 포함)만을 고려하는 이유는 es는 ㄷㄴ에 대응되는 것으로 한글조합규칙에 맞지 않으므로 이 경우에는 영문중복어 검사가 수행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제27도는 제5도의 어미중복어인지를 검사하는 과정의 상세한 처리 흐름도로써, 영어사전을 사용하는 경우를 일예로 설명한다.
이 과정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어가 영어사전에 존재하는지 검사하여(306), 존재하면 어미중복어임을 판정한다. 존재하지 않으면 단어에 영어의 복수형 어미 s로 끝난 단어인지를 검사하여(307) 거짓이면 영어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단어이므로 어미중복어가 아님으로 판정하고, 만일 s로 끝났으면 그 s를 제거한 다음(308)에 다시 사전을 검사하여(309), 사전에 존재하면 어미중복어임을 판정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어미중복어가 아님을 판정한다.
여기서 영어의 복수형 어미로 s만을 고려하는 이유는 es는 ㄷㄴ에 대응되는 것으로 한글조합규칙에 맞지 않으므로 이 경우에는 영문중복어 검사가 수행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제28도는 제6도의 단어가 영문 접두어를 가졌는지 검사하는 과정의 상세한 처리 흐름도로써, 영어사전을 사용하는 경우를 일예로 설명한다. 단어(영문표현)가 영어단어의 접두어인지를 검사하기 위하여, 단어를 접두어로 갖는 영어단어가 사전에 존재하는지 검사한다(311). 존재하면 영문 접두어를 가진 것으로 판정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영문 접두어를 가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제29도는 제17도의 허용되지 않은 4 연속영문자음을 가졌는지를 검사하는 과정의 더 상세한 처리 흐름도로써, 영어사전을 사용하는 경우를 일예로 설명한다. 이 과정은 단어를 접두어로 갖는 영어단어가 사전에 존재하는지 검사해서(312), 존재하면 허용되지 않은 4연속영문자음을 가지지 않을 것으로 판정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허용되지 않은 4연속영문자음을 가진 것으로 판정한다.
상기 제26도 내지 제29도는 영문사전을 사용한 경우를 일예로 설명하였으며, 국어사전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제30도는 제23도의 단어가 어미중복어인지를 검사하는 과정의 상세한 처리 흐름도이다. 이 과정은 단어가 어미중복어사전에 존재하는지 검사하여(321), 존재하면 어미중복어임으로 판정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어미중복어가 아님으로 판정한다.
지금까지 소개된 본 발명의 내용은 한글과 영문간의 자동변환기능만을 취급하였으나, 워드프로세서 분야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글과 기타언어(영문이 아닌 기타 언어)간의 자동변환에도 많은 참고가 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동작하는 본 발명은, 문서편집시 한.영 모드의 구분없이 키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입력되는 어절별로, 그 어절에 비록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복합단어, 신조어, 영문약어, 심지어 오타 등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전술한 방법으로 한글 또는 영문인지를 판정하여 자동으로 전환하며, 또한 어절입력 완료시 뿐만아니라 어절 입력중에도 한.영을 판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문서편집시의 오류 최소화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현저히 제고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5)

  1. 한.영 혼용 입력 장치에 적용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분리자가 입력될 때까지 입력된 키에 상응하는 어절을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 의해 생성된 어절에 대하여 한.영모드의 판정을 수행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판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어절의 문자표현을 전환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한.영문자키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으면서 어절을 생성하는 제1과정; 및 상기 분리자를 입력받아 어절 생성을 완료하는 제2과정을 포함하여, 키입력에 상응하는 한글문자열, 영문자열, 또는 한.영혼합문자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어절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자는 스페이스키, 및 엔터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어절을 생성하는 도중에도, 매 키입력시마다 그때까지 형성된 어절이 한글조합규칙을 위배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한.영모드를 판정하는 제3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어절의 마지막 음절을 제외한 나머지 음절에 한글조합규칙이 불만족되는 경우가 있으면, 상기 어절을 영문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입력 문자열에 상응하는 한글어절과 영문어절을 각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어절이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면 어절을 한글로 판정하는 과정; 및 상기 어절이 한글조합규칙을 불만족하면 어절을 영문으로 판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어절이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면 어절을 한글로 판정하는 과정; 상기 어절이 한글조합규칙을 불만족하고 영문필요조건을 만족하면 영문으로 판정하는 과정; 및 상기 어절이 한글조합규칙을 불만족하고 영문필요조건도 만족하지 않으면 한글로 판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어절이 문맥종속어인지 검사하는 제1과정; 및 상기 제1과정에서 문맥종속어로 판단되는 경우 직전 어절에 대한 판정 결과에 따라 현재 어절을 한글 또는 영문으로 판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문맥종속어에는 단어 go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자동 전환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어절이 영문중복어이면 상기 어절을 영문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수정거리가 2이상이면 상기 어절을 영문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어절이 사용자사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여 존재하면 그에 따라 판정하는 과정; 상기 어절이 사용자사전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어절을 단어와 어미로 분리한 후, 분리된 단어가 상기 사용자사전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어절을 판정하는 과정; 및 상기 분리된 단어가 상기 사용자사전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분리된 단어에 대한 한.영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어절을 판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어절이 비한글접두어를 가지고 있으면 상기 어절을 영문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어절 생성시에 불필요쉬프트키가 사용되었으면 상기 어절을 영문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16. 한.영 혼용 입력 장치에 적용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키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절을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어절을 단어와 조사로 분리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 의해 분리된 단어에 대하여 한.영 판정을 수행하는 제3단계 ; 및 상기 제3단계의 한.영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어절의 단어부분과 조사부분을 각각 영문 또는 한글로 변환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어절에 조사가 존재하면 상기 단어를 한글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불필요쉬프트가 사용된 키는 조사에서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하다 또는 이다의 활용형을 조사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하나의 한 개의 키로 구성된 어절인 경우 사전에 지정된 값에 따라 상기 어절을 한글 또는 영문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21. 한.영 혼용 입력장치에 적용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어절을 초기화하는 제1단계; 키를 입력받아, 입력된 키가 한.영문자키인지 검사하는 제2단계; 상기 키가 한.영문자키이면 어절에 해당 키를 추가하는 제3단계; 분리자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제2단계 및 상기 제3단계를 반복하면서 입력된 키에 상응하는 어절을 생성하는 제4단계; 제4단계 수행 후, 상기 어절에 대하여 한.영 판정을 수행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어절을 한글 또는 영문으로 전환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입력 문자열에 상응하는 한글어절과 영문어절을 각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어절의 첫음절에 한글 초성이 없으면, 상기 어절을 영문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24.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어절이 한글조합규칙을 만족하고 영문접두어를 갖지 않으면, 상기 어절을 한글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25.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어절 생성시에 불필요쉬프트키가 사용되었으면, 상기 어절을 영문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KR1019950019854A 1995-07-06 1995-07-06 한영 혼용 입력장치에 적용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KR0165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854A KR0165591B1 (ko) 1995-07-06 1995-07-06 한영 혼용 입력장치에 적용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854A KR0165591B1 (ko) 1995-07-06 1995-07-06 한영 혼용 입력장치에 적용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692A KR970007692A (ko) 1997-02-21
KR0165591B1 true KR0165591B1 (ko) 1999-01-15

Family

ID=1941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9854A KR0165591B1 (ko) 1995-07-06 1995-07-06 한영 혼용 입력장치에 적용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55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2007B2 (en) 2003-06-16 2009-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language input mod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language input modes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1028A (en) * 1997-09-03 1998-08-11 Valmet Inc. Reciprocating hydroenhancement system
KR100515671B1 (ko) * 1998-04-06 2005-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보드 입력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2007B2 (en) 2003-06-16 2009-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language input mod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language input mode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692A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23683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index
US5303150A (en) Wild-card word replacement system using a word dictionary
KR900000602B1 (ko) 자연어(自然語)에 의한 지적가이던스방법(知的 guidence 方法) 및 그 장치
EP0283685B1 (en) A spelling assistance method for compound words
EP2031490A2 (en) Electronic dictionary, search method for and electronic dictionary, and search program for an alectronic dictionary
KR0165591B1 (ko) 한영 혼용 입력장치에 적용되는 한.영 자동 전환 방법
JP2806452B2 (ja) かな漢字変換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H11212967A (ja) 予測入力装置及び方法
JPS62197864A (ja) 言語情報提供装置
KR0123403B1 (ko) 한·영 자동 전환 방법
JP2621999B2 (ja) 文書処理装置
JP3814000B2 (ja) 文字列変換装置および文字列変換方法
JPS63228326A (ja) キ−ワ−ド自動抽出方式
JPH08272780A (ja) 中国語入力処理装置及び中国語入力処理方法及び言語処理装置及び言語処理方法
JPH0350668A (ja) 文字処理装置
JPH07121538A (ja) スペルチェック装置
JP2761622B2 (ja) 文字変換装置
JPS5998236A (ja) 日本文入力装置
JPH0991278A (ja) 文書作成装置
JP2007034962A (ja) 電子辞書および電子辞書の検索方法、電子辞書の検索プログラム
JPH0264859A (ja) 文章処理装置
JPS63174165A (ja) ワ−ドプロセツサ
JPH0836575A (ja) 統語解析装置
JP2002351868A (ja) 電子辞書
JPH08171568A (ja) 複数言語入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0809

Effective date: 200112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204

Effective date: 20030814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903

Effective date: 20061124

J222 Remand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REMAND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207

Effective date: 2007040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117

Effective date: 20070905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212

Effective date: 2007040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0911

Effective date: 20080924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010

Effective date: 20080822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918

Effective date: 2009011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1028

Effective date: 20090724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1030

Effective date: 20090724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90903

Effective date: 200912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91223

Effective date: 2010022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