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1646A - 단열상자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열상자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1646A
KR19980071646A KR1019980005736A KR19980005736A KR19980071646A KR 19980071646 A KR19980071646 A KR 19980071646A KR 1019980005736 A KR1019980005736 A KR 1019980005736A KR 19980005736 A KR19980005736 A KR 19980005736A KR 19980071646 A KR19980071646 A KR 19980071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eat
container
gas storage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키 스즈키
다카시 하시다
다카요시 우에노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치
마쓰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39215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7259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5597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795615B2/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치, 마쓰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치
Publication of KR19980071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64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18Refrigerator lin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2/00Refrigeration
    • Y10S62/13Insulation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단열상자체 및 그 제조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높은 단열성을 가짐과 동시에, 장기적인 신뢰성, 생산성 및 비용면에서 뛰어난 단열상자체를 제공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단열상자체는, 충전공기와 함께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를 내부에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기체차폐성 용기, 및 상기 기체차폐성 용기와 연이어 통하여 설치되고, 적어도 상기 충전기체를 흡수하는 흡수재가 충전된 기체저장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저장용기가 상기 충전기체를 흡수하여 기체차폐성 용기내부가 감압상태로 되어 있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냉장고, 냉동고, 보온기, 보냉기(保冷器), 식품저장고등에 쓰이는 단열상자체에 사용됨.

Description

단열상자체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냉장고, 냉동고, 보온기, 보냉기(保冷器), 식품저장고등에 쓰이는 단열상자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에너지 절약의 관점에서 기기의 고성능화가 진행되고 있다. 단열상자체의 성능을 향상하는 기술로서는, 진공단열기술을 이용한 단열재의 고성능화가 중요하다.
종래, 냉장고등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진공단열재로서는, 진공단열 패널이 있다. 그 제조방법은, 연속기포로 이루어지는 경질우레탄폼등과 같은 연이어 통하는 구조의 코어재를 가스배리어성의 금속-플라스틱라미네이트필름등으로 덮고, 내부를 진공배기한 후에, 포장하여 패널로 하는 것이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7-293785호공보). 이것을 냉장고등의 단열상자체에 쓰는 경우에는, 상자체의 용기재료에 붙여지고, 또한 발포우레탄수지를 주입하여 발포성형하는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진공단열상자체로서는, 전술한 진공단열 패널에 의한 것 외에, 진공배기에 의한 단열상자체가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6-174186호공보, 특개평7-148752호공보등). 이들의 단열상자체는, 독립구조 또는 연이어 통하는 구조를 갖는 재료가 상자체속에 충전되어 있고, 그속을 진공으로 하기위해 진공펌프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시간경과에 따른 단열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 진공인디케이터를 붙여, 다시 진공배기하는 방법도 있다(특개평7-148752호공보).
또한, 발포단열재의 단열성을 결정하는 기포내의 기체성분을 제어하여 진공단열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발포성형에 의한 진공단열재가 있다(특개평7-53757호공보, 특개평7-53769호공보등). 이들의 방법으로는, 수지원료중에 이산화탄소 고정화제를 첨가하여 둔다. 그리고, 이산화탄소로 발포시킨 수지단열재중의 기포안에 존재하고 있는 이산화탄소를 상기 이산화탄소 고정화제에 의해 고정화함으로써, 기포내부를 감압 내지 진공시켜 단열성능을 향상한다.
전술한 진공단열 패널의 제조방법은, 연속기포의 경질우레탄폼의 블록을 제조한 후, 임의의 사이즈로 잘라내어 진공배기설비에 의해서 진공포장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통상의 발포단열재와 조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제조해 둘 필요가 있었다. 또한, 단열상자체의 용기에 붙이는 공정등이 필요하고, 생산성, 작업성, 비용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았다. 또한, 진공단열 패널과 발포단열재를 조합하여 쓰기위해서, 단열상자체에 부분적으로 진공단열 패널이 없는 부위가 존재하고, 따라서 진공단열의 성능이 발휘할 수 없는 부분이 존재하여, 단열성능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간경과적으로 진공단열 패널내의 진공도가 악화하였을 때에 그것을 회복하는 수단이 없기때문에, 단열성능의 저하를 초래하여, 장기적인 신뢰성에도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술한 진공배기에 의한 단열상자체는, 진공단열 패널과 같이 별도의 제조공정이나 붙임공정등은 필요가 없고, 상자체 전체를 진공단열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진공배기를 위한 진공펌프가 필요하며, 충분한 진공도를 얻기위해서는 장시간배기해야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생산성에 문제가 있었다. 덧붙여, 시간경과적으로 단열성능을 유지하기위해서는, 진공배기를 계속하거나, 진공도를 체크한 뒤에 다시 진공배기를 하는 등, 진공펌프를 필요로 하기때문에, 작업성, 장기적인 신뢰성에 대해서도 문제가 있다.
또한, 발포성형에 의한 진공단열재는, 발포주입에 의해서 제조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뛰어나고 시간 경과적으로도 이산화탄소의 고정화를 행하게 함으로써 신뢰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원료에 이산화탄소의 고정화제를 가하여 두기위해서, 이산화탄소에서 발포형성되는 수지가 완전히 성형되는 도중에 이산화탄소의 고정화가 진행하는 것도 있어, 아직 완전히 경화하지않고 부드러운 상태의 발포수지가 수축하기 쉽게 되기도 한다. 이것을 막기 위해서 이산화탄소를 많이 넣으면, 첨가하는 이산화탄소 고정화제의 양이 많아지기도 하기때문에, 생산성의 면에서 또한 개선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고, 높은 단열성을 가짐과 동시에, 장기적인 신뢰성, 생산성 및 비용면에서 뛰어난 단열상자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열상자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기체로서 이산화탄소를 썼을 때의 기체저장용기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열상자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열상자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냉장용도의 단열상자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보온용도의 단열상자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열상자체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열상자체 2 : 기체차폐성 용기
3 :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단열체) 4 : 기체저장용기
5 : 흡수재료 6 : 개폐마개(밸브)
7 : 압축기 8 : 응축관
9 : 증발기 10 : 증발측 배관
11 : 흡입배관 12 : 충전구
13 : 흡열부 14 : 방열부
15 : 기체투과성 시트(부직포) 16 : 파이프
17 : 모세관 18 : 파이프(배관)
21 : 기체저장용기 22 : 흡착제
23 : 수분흡착제 24 : 이산화탄소 고정화제
25 : 산소흡수재 26 : 질소흡수재
27 : 접속구
본 발명은, 충전기체와 함께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를 내부에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기체차폐성 용기, 및 상기 기체차폐성 용기와 연이어 통하여 설치되어, 적어도 상기 충전기체를 흡수하는 흡수재가 충전된 기체저장용기를 구비하여, 상기 기체저장용기가 상기 충전기체를 흡수하여 기체차폐성 용기내부가 감압상태로 되어있는 단열상자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냉열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기체차폐성 용기가 상기 냉열 시스템과 열교환하도록 구성된 단열상자체를 제공한다.
이에 있어서, 기체흡수재료가 물리적 흡수제이고 기체저장용기가 냉열 시스템의 흡열부측과 열교환하는 구성 및 기체흡수재료가 화학적흡수제이고 기체저장용기가 냉열 시스템의 방열부측과 열교환하는 구성중 적어도 한쪽의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상자체의 기체차폐성 용기에 충전하는 단열체로서는, 연이어 통하는 구조의 단열체라면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는, 그 충전상태의 평균간격이, 제조시에 쓰는 충전기체의 1/100기압, 20℃에서의 평균 자유행정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열 시스템으로서는, 압축기에 의한 냉각 시스템, 혹은 열전변환소자에 의한 냉각 시스템등을 쓸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열상자체의 제조방법은, 충전기체를 이용하여 기체차폐성 용기내에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를 충전하는 공정, 및 상기 기체차폐성 용기와 접속하여 설치된 기체저장용기내에 상기 충전기체를 도입시켜 기체저장용기내의 흡수재에 흡수시킴으로써, 상기 기체차폐성 용기내를 감압상태로 하는 기체저장공정을 포함한다.
이에 있어서, 기체차폐성 용기와 기체저장용기는, 개폐마개 또는 기체투과성재료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를 충전하는 공정이, 적어도 폴리올, 물, 및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우레탄원료를 기체차폐성 용기에 주입하는 주입공정과, 상기 우레탄원료가 반응하여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에 의해서 물발포 연속기포우레탄수지를 상기 기체차폐성 용기에 충전하는 발포성형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체저장공정이, 이산화탄소를 기체저장용기내의 흡수재에 흡수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를 충전하는 공정이, 충전기체를 이용하여 분말체원료를 기체차폐성 용기에 봉입하는 충전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를 충전하는 공정이, 발포제를 포함하여 무처리 또는 예비발포된 발포입자원료를 기체차폐성 용기에 주입하는 주입공정과, 상기 발포입자원료를 스팀으로 가열처리하고 상기 기체차폐성 용기내에 발포입자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를 충전하는 발포성형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체저장공정이, 상기 스팀으로 쓰이고 잔류하고 있는 수증기를 기체저장용기내의 흡수재에 흡수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체저장용기내에는 적어도 충전기체의 흡수재와 같이, 공기성분인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수증기의 흡수재가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발명이 구체적인 실시의 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열상자체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상자체형상으로 가공한 기체차폐성 용기(2)내에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3)가 충전되어 있다. 단열체를 구성하는 기체차폐성 용기(2)에는, 단열상자체(1)의 외부에, 흡수재료(5)를 수용한 기체저장용기(4), 및 이 용기를 용기(2)에 연결하는 파이프(18)가 설치된다. 파이프(18)는 개폐마개(6)를 갖는다.
이 단열상자체의 제조방법의 일례로서는, 우선, 개폐마개(6)를 닫아 놓고, 기체차폐성 용기(2)에 마련한 충전구(12)로부터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3)의 원료를 주입한다. 이때, 충전기체에 의해서 원료가 기체차폐성 용기(2)내에 충분히 충전되어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3)를 형성하도록, 충전구(12)를 개방해두고, 기체차폐성 용기(1)내의 공기를 배출한다. 계속해서, 충전구(12)를 밀폐하여 봉한다. 이후, 충분히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3)가 성형된 뒤에, 개폐마개(6)를 열어 기체저장용기(4)내의 흡수재료(5)에 충전기체를 흡수시킨다. 이렇게 해서 기체차폐성 용기(2)내는 감압상태가 되고, 고성능인 단열상자체를 얻을 수 있다. 개폐마개(6)는, 충전공정, 성형공정, 및 기체저장공정을 시간적으로 분리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3)가 예컨대, 물발포연속기포 우레탄수지인 경우에는, 우선, 적어도 폴리올, 물, 및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우레탄원료를 기체차폐성 용기(2)에 주입한다. 이 우레탄원료중 이소시아네이트와 물이 반응하여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에 의해서, 우레탄수지를 형성하면서 발포하고, 발포합성고무가 기체차폐성 용기(2)내에 충전된다. 이 발포성형공정에서, 충분히 발포합성고무를 가열큐어하여 충분한 수지형성을 하게 한 뒤에 개폐마개(6)를 연다. 기체저장용기(4)에 적어도 이산화탄소 고정화제를 흡수재(5)로서 충전해 놓으면, 기체차폐성 용기(2)내의 충전기체인 이산화탄소가 기체저장용기(4)에 저장되어, 기체차폐성 용기(2)내가 감압화하여 진공단열의 상자체가 제조된다. 이 때에, 우레탄원료에 기포의 파포성분(破泡成分)을 가해 두면, 연속기포의 발포합성고무가 형성되고, 기포내의 이산화탄소가 기체저장용기(4)에 급속히 저장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예컨대,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3)가 무기분말체 혹은 유기분말체로 이루어지는 분말체 성형체인 경우에는, 충전기체를 이용하여 분말체 성형체의 분말체원료를 충분히 치밀하게 기체차폐성 용기(2)에 봉입해야 한다. 이 때에는 충전기체와 같이 분말체원료를 충전구(12)로부터 압입하여 충전을 하고, 그 후에 충전구(12)를 봉하여 충전공정이 완료한 뒤에, 주로 충전기체가 기체저장용기(4)에 저장되어 감압진공화하는 기체저장공정을 거쳐서서, 용기와 일체화한 우수한 단열성능의 진공단열체를 얻을 수 있다.
밀봉시의 기체차폐성 용기(2)내의 충전기체량이상의 기체흡수재료(5)를 기체저장용기(4)에 넣어 놓으면, 제조때 뿐만아니라 장기에 걸쳐 단열성능을 유지할 수가 있다. 이 때, 기체저장용기(4)내에는, 충전기체의 흡수재(5)뿐만 아니라, 기체차폐성 용기(2)내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성분이나 시간 경과적으로 발생되는 탈가스성분의 흡수재료를 첨가하여 두면, 더욱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3)가 발포입자성형체인 경우에는, 우선, 발포제를 포함한 발포입자의 원료를 써서, 무처리 혹은 예비발포된 발포입자원료를 기체차폐성 용기(2)에 주입충전한다. 이 발포입자원료를 스팀으로써 가열처리하면, 그 수증기압과 발포제의 가열기화에 의한 압력에 의해서, 입자가 발포하여 기체차폐성 용기(2)에 충분히 충전하여 성형된다. 이 때에, 충전량을 조정하거나, 스팀온도를 조정하거나 해두면, 발포한 입자사이에 연이어 통하는 부가 형성된다. 기체저장용기(4)에 적어도 수분흡착제를 흡수재(5)로서 충전해 놓으면, 기체차폐성 용기(2)내의 충전기체인 수증기가 기체저장용기(4)에 저장되어, 기체차폐성 용기(2)내가 감압화한다.
이 때에, 발포입자내부의 기포은 독립기포이고, 그 내부에는 발포제와 수증기가 충전되어 있지만, 수증기는 확산하기 쉽기 때문에 발포입자의 기포벽을 투과하여 기체저장용기(4)에 흡수된다. 그에 따라, 발포입자의 기포내는 낮은 단열성능의 수증기가 없어지고, 높은 단열성능의 발포제의 기체만으로 되어, 뛰어난 단열성능의 단열상자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체저장용기(4)내에 사용된 발포제의 흡수재료를 첨가해 두면, 서서히 발포제의 기체도 발포입자의 독립기포내에서 없어져, 시간 경과적으로 진공단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의 충전공정이나 그후의 기체저장공정에서, 보조적으로 진공펌프등에 의한 진공배기를 병용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은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 분명하다. 즉,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의 충전후에 기체차폐성 용기내를 단시간진공배기하여, 그 후에 나머지의 충전기체를 저장하여 감압을 하는 것에 의해 기체저장은 보다 조속히 행하여져, 기체저장용기내의 흡수재의 양이 적게 든다.
(실시형태 2)
도 3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열상자체의 구성을 가리킨다. 압축기를 구비한 냉열 시스템의 흡열부측에서 기체저장용기와 열교환시키는 예이다.
이 단열상자체는, 단열체(3)가 충전된 기체차폐성 용기(2), 상자체(1)의 외부에 있고, 기체흡수재료(5)를 충전한 기체저장용기(4), 및 압축기(7)를 구비한 냉열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체저장용기(4)는, 개폐마개(6)를 갖는 파이프(18)에 의해서 기체차폐성 용기(2)에 연결되어 있다.
냉열 시스템은, 상자체의 외부에 배치된 압축기(7), 상자체의 내부에 배치된 증발기(9), 압축기(7)와 증발기(9)를 연결하는 증발측배관(10), 압축기로의 흡입배관(11), 응축배관(8), 및 모세관(17)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압축기(7)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 가스의 냉매는, 응축관(8)에서 방열하여 고압의 과냉각(過冷却)액냉매가 되어, 모세관 또는 팽창밸브등의 팽창공정을 거쳐 저압이상(二相)냉매가 되어, 증발기(9)로 흡열하여 단열상자체(1)내를 냉각한다. 또한, 흡열상태에 있는 증발기부터의 배관(10)에 의해 기체저장용기(4)와 열교환하여 저압가열 가스냉매가 되어, 압축기(7)에 흡입된다.
기체흡수재료(5)로서는, 물리적흡수제를 주로 사용한다. 이 흡수제를 충전한 기체저장용기(4)는, 냉열 시스템과의 열교환에 의해서 계속 냉각되기 때문에, 단열체를 충전하였을 때의 기체, 공기 및 시간 경과적으로 발생하는 유기성분 가스등의 기체가 효율적으로 흡수재에 흡착되어, 기체저장용기(4)에 저장된다. 그 결과, 기체차폐성 용기(2)내는 장기에 걸쳐 감압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실시형태 3)
도 4는 압축기를 구비한 냉열 시스템의 방열부측에서 기체저장용기와 열교환시키는 구성의 단열상자체를 가리킨다.
이 단열상자체가 실시형태 2와 다른 점은, 증발측배관(10)이 압축기(7)에 접속되어, 압축기부터의 토출배관(16)에 접속된 응축배관(8)이 기체저장용기(4)와 열교환하는 것이다. 즉, 고온고압 가스의 냉매가 압축기(7)로부터 토출되고, 기체저장용기(4)와 열교환한 응축관(8)으로 방열하여 고압의 과냉각액 냉매가 된다. 그리고, 모세관(17)등의 팽창공정을 지나서 저압 이상냉매가 되어, 증발기(9)로 흡열하여 단열상자체(1)내를 냉각한다. 이렇게 해서 저압가열 가스냉매가 되어, 압축기(7)에 흡입된다.
이 예에서는, 기체흡수재료(5)로서 화학적흡수제를 주로 사용한다. 이 화학적흡수제를 충전한 기체저장용기(4)는, 냉열 시스템과의 열교환에 의해서 가열되기를 계속하기 때문에, 화학반응이 가속된다. 따라서, 기체차폐성 용기(2)로 단열체를 충전할 때의 기체, 공기 및 시간 경과적으로 발생하는 유기성분 가스등의 기체는, 효율적으로 기체저장용기(4)내에 저장된다. 그 결과, 기체차폐성 용기(2)내는 장기에 걸쳐 감압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상기의 실시형태 2 및 3에서는, 기체흡수재료와의 관계에서 기체저장용기와 냉열 시스템과의 열교환부위를 결정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체흡수재료로서 물리적흡수제와 화학적흡수제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기체저장용기를 냉각하는 구성에 의해서도 효과는 얻어지고, 기체저장용기를 가열하는 구성이라도 같다. 또한, 기체저장용기를 2종류를 이용하여, 기체흡수재료로서 물리적흡수제를 충전한 기체저장용기를 흡열부측에서 열교환하여, 화학적흡수제를 충전한 기체저장용기를 방열부측에서 열교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도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5는 열전변환소자에 의한 냉열 시스템의 흡열부측에서 기체저장용기와 열교환시키는 냉장용도의 단열상자체를 나타낸다.
이 단열상자체(1)는, 기체차폐성 용기(2)에 연이어 통하는 구조의 단열체(3)가 충전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흡수재료(5)를 충전한 기체저장용기(4)가 기체투과성 시트(15)를 통해 기체차폐성 용기(2)에 접속되어 있다. 이 냉열 시스템은, 흡열부(13)와 방열부(14)로 이루어지는 펠티에 효과의 열전변환소자에 의한 냉각 시스템이다. 상자체내부를 냉각하고 있는 흡열부(13)에, 기체저장용기(4)를 접촉시킨 구성이므로, 양자사이에서 열교환함으로써, 단열체를 충전하였을 때의 기체, 공기, 및 시간 경과적으로 발생하는 유기성분 가스등의 기체는, 기체저장용기(4)내에 효율적으로 저장된다. 그 결과, 기체차폐성 용기(2)내는 장기에 걸쳐 감압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실시형태 5)
도 6은 열전변환소자에 의한 냉열 시스템의 흡열부측에서 기체저장용기와 열교환시키는 보온용도의 단열상자체를 가리킨다.
실시형태 4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즉, 냉열 시스템이 흡열부(13)와 방열부(14)로 이루어지는 펠티에 효과의 열전변환소자에 의해서 상자체 내부를 가열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는 것, 상자체의 외부에 배치된 기체저장용기(4)는, 같이 외부의 흡열부(13)에 접촉하여 열교환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는 것, 및 기체저장용기(4)는 개폐마개(6)를 갖는 파이프(18)에 의해서 기체차폐성 용기(2)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실시형태 4와 같이 기체차폐성 용기(2)내는 장기에 걸쳐 감압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실시형태 6)
도 7은 압축기를 구비한 냉열 시스템으로 냉각하는 구성의 상자체내에 기체저장용기를 배치한 예를 나타낸다.
이 단열상자체(1)는, 연이어 통하는 구조의 단열체(3)가 충전된 기체차폐성 용기(2), 기체흡수재료(5)를 충전하여, 기체투과성 시트(15)을 통해 기체차폐성 용기(2)에 접속된 기체저장용기(4), 및 냉열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냉열 시스템은, 압축기(7), 응축관(8), 모세관(17), 및 증발기(9)로 이루어지고, 증발기(9)로 흡열하여 단열상자체(1)내를 냉각한다. 이렇게 해서 냉각되는 상자체(1)의 내부에, 기체흡수재료(5)를 충전한 기체저장용기(4)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자체에서 기체저장용기(4)가 냉각되어, 기체는 기체저장용기(4)내에 효율적으로 저장된다. 그 결과, 기체차폐성 용기(2)내는 장기에 걸치더라도 감압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또, 기체차폐성 용기(2)와 기체저장용기(4)를 연이어 통하도록 하는 구성은, 배관이나, 개폐마개를 사이에 둔 배관, 또는 기체투과성재료를 통해 접속하는 등, 단열체(3)의 충전시에 그 단열체(3)가 기체저장용기(4)내에까지 침입하지 않도록 할수있고, 기체차폐성 용기(2)내에 충전이 충분히 행하여지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또한, 단열상자체(1)의 형상으로서는, 직방체이외에, 원통, 구체, 그릇형상등 임의이다.
다음에, 실시형태 2의 단열상자체의 제조방법에 관해서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열체(3)를 기체차폐성 용기(2)에 충전하기 전에, 도 3과 같이 기체차폐성 용기(2), 기체저장용기(4), 및 냉열 시스템을 설치한 단열상자체(1)를 제작한다. 이 상자체에 있어서, 기체차폐성 용기(2)에 마련한 충전구(12)로부터 충전기체를 이용하여 단열체(3)를 충전한다. 계속해서, 충전구(12)를 봉함과 동시에, 기체차폐성 용기(2)내를 감압상태로 한다.
이 용기의 감압방법으로서는, 다음에①②등의 몇개의 방법이 생각된다.
① 기체차폐성 용기(2)내를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일정진공도까지 진공배기한 후에, 기체차폐성 용기(2)와 기체저장용기(4)와 연이어 통하도록 하여, 기체차폐성 용기(2)내에 잔류하고 있는 기체를 흡수시켜, 감압상태를 향상하고, 그 감압상태를 유지시킨다.
② 충전기체에 의한 기체차폐성 용기(2)내로의 단열체(3)의 충전이 완료한 뒤에, 기체차폐성 용기(2)와 기체저장용기(4)와 연이어 통하도록 하여 기체차폐성 용기(2)내에 존재하는 충전기체를 기체저장용기(4)내에 저장시켜, 기체차폐성 용기(2)내를 감압상태로 하고, 시간경과적으로도 진공상태를 유지시킨다. 이 방법에서는, 진공펌프를 쓰지 않는다.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어떤 공정에서, 단열체(3)를 충전할 것인가, 기체저장용기(2)내를 진공배기할 것인가, 기체저장용기(4)를 기체차폐성 용기(2)와 연이어 통하도록 할 것인가등은, 상자체형상, 충전하는 단열체(3)의 종류, 냉열 시스템의 설치형태등 그 구성에 의해서 결정하면 좋다. 또한, 기체저장용기(4)의 기능으로서는, 기체차폐성 용기(2)내를 감압으로 하는 것과, 감압상태를 유지하는 것의 2가지이다. 상기에 든 ①과 ②의 방법의 차이는, 기체저장용기(4)에 의한 감압상태로 하는 기능을 적극적으로 하는가, 보조적으로 하는가의 차이이다. 또, 여기서는 제조된 기체차폐성 용기에 단열체를 충전하는 방법을 말하고 있지만, 기체차폐성 용기를 제작할 때에 동시에 단열체를 충전하더라도 좋다.
이 다음에, 냉열 싸이클을 기동함으로써, 감압상태가 향상하여, 기체저장용기(4)에의 기체의 저장이 촉진된다.
이 제조방법에 의해서, 용기와 일체화한 뛰어난 진공단열의 단열상자체를 얻을 수 있다.
기체저장용기에 충전해 놓은 기체흡수재료의 충전량은, 단열체의 충전직후의 진공배기에 진공펌프를 쓰는 경우에는, 기체차폐성 용기내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성분이나 시간 경과적으로 발생되는 탈가스성분의 양에 맞는 것이면 좋다. 또한, 단열체를 충전하기 위한 기체도 포함시켜 기체저장용기에 저장하여 감압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충전에 사용되는 기체의 양에 맞는 흡수제의 양에, 기체차폐성 용기내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성분이나 시간경과적으로 발생되는 탈가스성분의 양에 맞는 흡수제의 양을 가한다. 이에 따라, 시간경과적으로는 진공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장기에 걸쳐 감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성능, 에너지 절약, 및 단열성능의 신뢰성을 얻는 단열상자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단열상자체의 구성재료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기체차폐성 용기의 재료로서는, 강철, 동,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등의 금속재료, 유리, 도기등의 무기재료를 진공유지할 수 있도록 성형가공한 것을 쓸 수 있다. 또한, 유기재료계를 기본으로 한 재료로서는, 가스배리어성이 높은, 테프론등의 불소계수지, 에틸렌 비닐 알콜공중합수지등의 비닐 알콜계수지, 폴리 아크릴로니트릴등의 아크릴로니트릴계수지, 염화비닐리덴계수지, 나일론등의 폴리아미드수지,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등의 폴리에스테르계수지등이 단독 혹은 라미네이트등 복합화되어 이용된다. 또한, 이들 수지에 금속박, 금속증착, 규소산화물이나 알루미늄산화물의 증착등을 하여 가스바리어성을 높인 것등도 바람직하다. 이들을 조합하여, 기체차폐도가 높은 용기를 구성할 수가 있다.
기체차폐성 용기의 구성에 있어서는, 용기의 벽두께는 내부에 단열체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그 자체만으로 감압상태에 의한 압축강도를 유지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얇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단열체의 충전시에 있어, 용기로서의 강도가 단위면적당 1kg중 이상이라면 좋다. 따라서, 경량이 되고, 내구성, 비용등의 면에서도 효과가 있다. 벽두께는, 충전하는 구조체에도 의하지만, 1mm 이하이며100μm정도의 것이라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기체차폐성을 갖도록 가공성형되어 용기구조가 된다.
기체차폐성 용기에 충전하는 단열체로서는, 분말, 섬유, 발포체, 다공질체등 일반적으로 단열재로서 이용되는 것이 적용된다. 특히, 단열체가 충전된 기체차폐성 용기로부터 진공배기나 기체저장을 하기 위해서는, 단열체는 독립기포체라도 좋지만,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쪽이 기체의 압력손실이 적고 단시간으로 실행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는, 그 충전상태의 평균간극이, 제조시에 쓰는 충전기 체의 1/100기압, 20℃에서의 평균자유행정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영역크기의 간극이면, 기체에 의한 열전달이 작게 되고, 기체차폐성 용기의 내부의 감압상태가 고진공이 아니더라도 좋으며, 1/100기압정도의 진공도이더라도 양호한 단열성능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기체로서, 공기,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수증기중 어느 하나를 쓴 경우에,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의 평균간극거리는 각각 6.42μm, 6.42μm, 6.81μm, 4.24μm, 4.24μm 이하가 적합하다. 이러한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로서는, 상기 평균간극을 갖는 이하의 재료가 쓰인다.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의 재료는,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제1 로는, 실리카, 퍼라이트, 알루미나등의 무기분말이나, 폴리비닐 알콜분말, 폴리우레탄분말등 각종수지분말등. 특히, 에어로겔, 크세로겔(xerogel)등의 미소다공체가 바람직하다. 제2 로는, 무기섬유, 유기섬유등. 제3 으로는 발포수지성형체로서, 폴리우레탄폼, 폴리카르보디이미드폼등의 주입발포성형체, 폴리스틸렌폼, 염화비닐리덴수지폼등의 발포입자성형체등, 이것들의 연속기포, 반연속기포구조체등을 들수있다. 이들에 한하지 않고, 기체차폐성 용기내에 충전할 수 있고,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으면 사용가능하다.
단열체를 기체차폐성 용기에 충전할 때의 기체성분으로서는, 공기성분이 거의 대부분이지만, 기체성분의 수를 감하거나, 공기보다 저장되기 쉬운 기체를 쓰거나 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기체차폐성 용기내를 다른 기체로 치환하고 나서 충전해도 좋고, 충전하는 데 특정한 충전기체만을 써도 좋다. 충전기체로서는, 이산화탄소, 수증기, 산소, 질소등 공기성분이나, 프론류, 메탄올, 에탄올등의 저급알콜, 씨클로펜탄, 부탄등의 탄화수소등의 유기 화합물이나, 6불화유황등 무기기체를 대표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상온상압에서 기체, 또는 증기압이 높은 저비등점 화합물을 쓸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단독 혹은 혼합하여 쓸 수도 있다. 특히, 충전기체로서는, 확산하기 쉽고, 비교적 흡착하기 쉽거나, 비교적 화학반응하기 쉬운 것이 바람직하고, 이산화탄소나 수증기, 산소가 적합하다. 이들은, 충전기체로서, 기체차폐성 용기내에서 화학적인 반응에 의해서 발생하여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를 충전하여도 좋고, 물리적으로 용기내에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를 충전하여도 좋다. 충전기체의 충전상태로서는, 예컨대 이산화탄소라면, 기체상태, 액화상태, 초임계(超臨界)유체상태 등 여러가지 상태를 쓸 수 있고, 충전하는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에 의해서 선택하면 된다.
또한, 이들 고체중을 확산하기쉬운 기체를 쓰면, 기체차폐성 용기에 충전하는 구조체로서는 반드시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일 필요는 없지만, 기체저장속도가 시간이 늦어지므로 바람직하게는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가 적합한다.
기체저장용기로서는, 기체차폐성 용기와 같은 것이 사용할 수 있다. 기체흡수재료를 충전한 기체저장용기를 단열상자체에 설치하기 전에, 기체저장용기내의 기체를 제거하기 위해서, 가열 또는 감압등의 처리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기체저장용기로는 금속제의 용기가 바람직하다. 기체저장용기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단열상자체의 사용이 끝난 시점에서, 용이하게 떼어 해체할 수 있고, 분리회수할 수 있다는 특징도 있다. 또한, 이 기체저장용기채로 내부의 기체흡수재료를 재생하고 재이용할 수도 있어, 이용 후 폐기에 관한 환경 문제도 배려한 구성이다.
기체저장용기에 충전되는 기체흡수재료로서는, 용기내의 기체성분외에, 잔류기체성분, 시간경과적 탈가스성분에 대한 흡수제를 혼합하여 쓸 수 있다. 잔류기체성분으로서는, 통상은 공기성분이 거의 대부분이다. 그 때문에 공기성분인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수증기, 아르곤등의 흡수제가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간경과적 탈가스성분으로서는, 기체차폐성 용기의 내벽이나 단열체내에 존재하는 흡착 가스성분, 단열체부터의 시간경과적인 발생 가스성분이다. 흡착 가스성분은 공기성분등이고, 발생 가스성분은 이산화탄소, 수증기, 유기 화합물 가스등이 거의 대부분이다.
상기의 기체성분을 흡수하는 재료로서는, 일반적인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기체를 흡수하는 것을 쓸 수 있다.
예컨대, 이산화탄소의 흡수재료는, 물리적인 흡착제로서 몰레큘러시브(molecular sieve), 제오라이트, 활성탄등을 쓸 수 있다. 화학적인 이산화탄소 고정화제로서는, 금속무기화합물, 유기 화합물이 있다. 금속무기화합물은 소다회,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바륨, 수산화마그네슘등의 금속수산화물,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등의 금속산화물, 탄산칼륨, 탄산나트륨등의 금속탄산화합물등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금속탄산화합물이나 금속탄산수소화합물을 생성하는 것이 대표적인 것이다. 이들은, 반응에 물을 필요로 하거나, 반응에 의해서 물이 발생하기도 하기 때문에, 흡착제의 선정에는 수분흡착제와의 최적의 편성도 필요하다.
또한, 유기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고정화제는,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에탄올아민계의 아민화합물, 유리아미노기를 유지한 고체물질등이 있다. 또한, 에폭시화합물에의 부가반응도 반응수율이 높으므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폭시 에탄, 1, 2-에폭시프로판, 1, 2-에폭시 부탄, 2, 3-에폭시 부탄, 1, 2-에폭시헥산, 1, 2-에폭시옥탄, 3, 4-에폭시-1-프로펜, 스틸렌옥사이드, 시클로헥센옥사이드, 글리시딜페닐, 퍼플루오로프로필렌옥사이드등의 단관능 및 다관능에폭시화합물, 초산 글리시딜에스테르, 프로피온산 글리시딜에스테르, 애디핀산 디글리시딜에스테르등의 글리시딜에스테르화합물, 페닐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시릴글리시딜에테르, 레졸신디글리시딜에테르, 아릴글리시딜에테르등의 글리시딜에테르화합물이라는 범용의 에폭시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에폭시화합물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흡수에 있어서는, 반응촉매로서 유기아연화합물, 마그네슘계의 촉매, 각종 오늄염 화합물을 병용함에 의해, 높은 반응선택성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바람직하다.
이 반응촉매로서 구체적으로는, 디알킬아연이나 디알킬마그네슘과 2가의 활성수소 화합물, 예컨대 물, 1급아민, 2가의 페놀, 방향족디카르본산, 방향족히드록시카르복실산과의 몰비 1:1로 반응시킨 물질, 디에틸아연/γ-알루미나, 탄산아연, 초산아연, 초산코발트, 염화아연/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등의 유기아연계촉매나 무기계촉매의 조합, 트리에틸알루미늄/루이스 염기계, methoxide)등의 알루미늄화합물계촉매, 할로겐화 암모늄염, 할로겐화 포스포늄염등의 오늄염촉매를 들 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를 고정화하는 별도의 유기 화합물로서, 프로필렌 이민등의 환상 이민화합물, 4원환 에테르인 옥세탄, 포름알데히드, 메틸아딜리딘등의 3원환아민, 부타디엔, 이소플렌등의 공역 디엔, 프로필렌설파이드, 에틸렌페닐포스파이트, 아인산에스테르와 방향족 1급아민 혹은 방향족 디아민의 혼합물, 또한 크라운에테르와 알킬디할로겐화물과 금속디알콕시드의 혼합물등을 들 수 있다.
다음에, 수분의 흡수재료로서는, 제오라이트, 몰레큘러시브, 염화 칼슘, 산화칼슘, 황화 칼슘, 무수 황산마그네슘, 흡수성고분자등 일반적으로 알려지고 있는 흡습, 흡수재료의 수분흡착제를 쓸 수 있다.
산소의 흡수제에 관해서도, 철분, 무수황산제1철등 철계탈산소제, 티타늄계 탈산소제, 마그네슘계 탈산소제, 살코민계 코발트착체등의 산소흡수제등 일반적인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질소의 흡수재로서는, 게터재인 리튬, 바륨, 티타늄이나 지르코늄계합금, 리튬-바륨계합금등을 쓸 수 있다.
수소의 흡수재로서는 팔라듐 미세분말등을 쓸 수 있다.
아르곤등 희가스에 관해서는, 몰레큘러시브등을 쓸 수 있다.
유기 가스성분에 대해서는, 활성탄, 몰레큘러시브, 제오라이트, 실리카, 알루미나등 각종 흡착제를 쓸 수 있다.
상기의 흡수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의 흡수재료도 복수의 기체성분에 대하여 흡수능력을 갖고 있는 것도 많기 때문에 이용할 충전기체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예컨대, 몰레큘러시브나 제오라이트, 활성탄등이 물리적인 흡수제를 쓰는 것으로 모든 기체성분에 대응할 수 있고, 냉열 시스템과의 열교환에 의해서 냉각됨으로써 흡수효과가 향상한다. 또한, 산소, 이산화탄소, 물, 질소등의 화학적인 흡수제 에 있어서는, 냉열 시스템과의 열교환에 의해서 가열 하는 것으로 흡수효과가 향상한다.
이들의 물리적인 흡수제와 화학적인 흡수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충분히 효과가 있다. 예컨대, 물리적인 흡수제에 화학적인 흡수제를 보유시켜 놓은 것, 물리적으로 흡착된 기체가 다시 화학적으로 반응하게 되어, 기체의 흡탈착의 평형상태가 일정하게 되도록 하기 때문에 화학반응과의 병용에 의해서 흡착이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 양자를 혼합해 놓는 것만으로도 효과는 발휘된다.
기체저장용기에 상기의 기체흡수재료를 충전한 뒤에, 활성화의 처리를 실시하여 놓으면, 보다 효과가 발휘된다.
또, 기체저장공정에 의해서 유지하는 감압상태는, 기체차폐성 용기내에 기포나 분말사이의 미세공간이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용기의 속에 아무 것도 충전하지 않는 진공단열과 같이 높은 단열성능을 얻는 데 10-5토르이하의 고진공은 필요없다. 단열체의 구조에 따라 다르지만, 도달진공도로서는 수 토르에서 10-3토르정도의 저진공으로부터 중진공의 영역에서 충분히 뛰어난 단열성능을 얻을 수 있다. 장기적으로도 이 진공영역을 기체저장에 의해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도 높다.
다음에, 기체차폐성 용기와 기체저장용기와의 접속은, 배관을 쓰더라도 좋고, 구획형성으로 양자를 분리하더라도 좋고,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재료에 의해서 양용기를 접속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배관을 쓴 경우에는 개폐마개를 쓰는 것이 가능하고, 개폐마개로서는 일반적인 밸브를 쓸 수 있다. 즉, 기체차폐성 용기에 단열체를 충분한 충전상태에까지 충전하고 나서 감압상태로 하기 때문에, 개폐마개를 마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개폐마개를 쓰는 경우에는, 성형완료의 확인후에 밸브등을 열면 좋으므로, 완전히 양공정을 시간적으로 분리할 수가 있다. 또한,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재료를 쓰는 경우, 기체투과성재료로서는, 일반적인 고분자 시트, 부직포등을 쓸 수 있다. 단지, 고분자 시트의 경우에는 가스배리어성이 높은 재질은 아니고, 밀도가 낮고 가스투과성이 높은 재료가 선택되고,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틸렌, 폴리올레핀등이 적합하다.
도 2는 이산화탄소를 충전기체로 하여, 이산화탄소 고정화제로서 제오라이트를 쓴 경우의 바람직한 기체저장용기(21)의 구성을 나타낸다. 우선, 질소는 불활성인 기체이고, 그 질소흡수재(26)으로서의 리튬-바륨계합금은 다른 기체성분에 대하여도 활성이기 때문에 우선 용기의 가장 속에 넣는다. 계속해서 산소흡수제(25), 이산화탄소 고정화제(24)의 순서로 넣는다. 이산화탄소 고정화제(24)의 제오라이트는, 수분의 존재하에서는 이산화탄소의 흡착량이 저하하기 때문에, 그 다음으로 염화 칼슘등의 수분흡착제(23)를 충전하여, 이산화탄소가 고정하기 전에 수분을 제거해 놓는다. 마지막으로, 유기 가스성분의 흡착제(22)로서 활성탄을 첨가해두고, 다른 기체흡수재료가 유기 가스에 의해서 불활성화되는 것을 막는 구성으로 한다. 그러나, 이산화탄소 고정화제(24)로서 수산화칼슘등 금속수산화물을 쓴 경우에는, 반응부생성물로서 물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고정화제(24)와 수분흡착제(23)를 혼합하여 충전하는 것이 필요하며, 흡수재료의 선택에 의해서 구성을 바꿀 필요가 있다. (27)은 기체차폐성 용기와의 접속구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단열상자체의 제조공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기체차폐성 용기, 기체저장용기, 및 그 접속은 미리 실시해 놓는 것이 좋다. 기체차폐성 용기로의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의 충전공정은,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의 재료나 구조에 의해서 다르지만, 충전구로부터 주입하여 충분히 충전후에 충전구를 봉하여 막는다. 이 때, 분말체등의 경우와 같이, 충전기체에 의한 주입만으로 충전이 완료하는 경우에는, 충전기체의 기류, 또는 액체형상의 충전기체등에 의해서 유입하는 방법등을 실시할 수가 있다. 또한, 발포성형체의 경우에는, 충전기체는 발포 가스로서의 기능을 담당한다.
성형이 완료한 뒤에, 혹은 성형중에서, 시간적으로 늦게 기체저장공정을 시작한다. 기체투과성 시트를 통과시키는 경우에는, 성형중에서 서서히 저장이 시작되지만, 성형완료후로부터 감압이 진행하게 되기 때문에, 충분한 성형이 행하여진다. 또한, 개폐마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성형완료의 확인후에 밸브등을 열면 좋기 때문에, 완전히 양공정을 시간적으로 분리할 수가 있다. 기체저장에 의한 기체차폐성 용기내의 감압이 완료하고 나서도, 그대로인 상태로 단열체를 사용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개시한다.
(실시예)
실시예1
도 1의 구성과같이 두께 0.5 mm의 스테인리스강판제의 기체차폐성의 단열케이스체(2)에, 스테인리스강제의 파이프(18)로 밸브(6)를 통해 스테인리스강제 기체저장용기(4)를 접속하였다. 이 기체저장용기중에는, 충전기체인 이산화탄소의 흡수재등, 도 2의 구성의 기체흡수재를 봉입해 놓는다.
이 용기에 충전구(12)로부터, 폴리올, 우레탄촉매, 정포제, 파포제, 물 및 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우레탄원료를 주입하여, 물과 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에 의해서 발포성형을 행하게 하였다. 이 물발포 우레탄폼은, 경질로, 기포는 파포제의 첨가에 의해서 완전히 연이어 통하게 하여, 이산화탄소가 충전된 구성이 된다. 이 우레탄폼을 주입한 용기를 약40℃에서 경화하여, 완전히 우레탄폼의 수지형성을 행하고, 단위면적당 폼강도 1kg중 이상의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를 충전하였다. 이다음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기체저장용기에 기포내의 이산화탄소가 저장흡수되어, 단열케이스체내가 감압화되었다.
밸브부에 진공게이지를 부착하여 도달진공도를 계측한 바, 약 0.1토르이고, 진공단열케이스체가 제조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단열케이스체의 단열성능은, 기체저장공정전의 이산화탄소가 충전되어 있는 상태의 단열성능에 대하여 약 2배의 높은 단열성능이 실현되었다. 또한 장기적으로도 그 성능을 유지할 수가 있었다.
실시예2
도 1의 단열상자체와 같이, 철판제 바깥상자, 및 ABS 수지와 알루미늄라미네이트필름의 맞붙여진 구조의 안상자로부터 기체차폐성의 단열케이스체를 구성하였다. 이 단열케이스체에, 철제의 배관으로 밸브를 통해 철제기체저장용기를 접속하였다. 이 기체저장용기중에는, 충전기체인 이산화탄소의 흡수재로서, 에폭시화합물, 그 부가반응촉매, 및 수산화칼슘을 충전해 두어, 수산화칼슘이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발생하는 물을 포착하기위해서 염화칼슘을 혼합하여 봉입하여 놓는다.
이 용기에 충전구로부터, 이산화탄소중에 저장해 놓은 퍼라이트분말을 가압하여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를 충전하였다. 이 용기를,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기체저장용기에 기포내의 이산화탄소가 저장흡수되고, 단열케이스체는 감압화하였다. 밸브부에 진공게이지를 부착하여 도달진공도를 계측한 바, 약 1토르이고, 뛰어난 단열성능을 얻을 수 있는 진공단열케이스체가 제조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단열케이스체의 단열성능은, 기체저장공정전의 이산화탄소가 충전되어 있는 상태의 단열성능에 대하여 약 1.8배가 높은 단열성능을 갖고 있었다.
실시예3
원통의 그릇형상에 스테인리스강으로 구성한 단열보온용기인 기체차폐성 용기를 형성하였다. 또한, 스테인리스강제의 배관으로 밸브를 통해 스테인리스강제기체저장용기를 접속하였다. 이 기체저장용기중에는, 충전기체인 이산화탄소의 흡수재로서 제오라이트, 공기성분의 흡수재로서 리튬-바륨계합금, 수분 및 유기 가스의 흡착제로서 활성탄을 충전하여 둔다.
이 용기에 충전구로부터, 발포제로서 이산화탄소를 함침해 놓은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입자를 이산화탄소와 같이 주입하였다. 이 용기마다 150℃ 이상으로 가열하여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입자를 발포충전하였다. 이 발포성형체는, 발포입자의 충전량으로서는, 용기내가 완전히 발포체로 점유되는 양보다도 적게 하고 있고,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이다. 이다음 충전공정 후에,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기체저장용기에 기포내의 이산화탄소가 저장흡수되어, 단열보온용기는 감압화하였다. 밸브부에 진공게이지를 부착시켜 도달진공도를 계측한 바, 약 1토르이고, 진공단열케이스체가 제조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단열보온용기의 단열성능은, 기체저장공정전의 이산화탄소가 충전되어 있는 상태의 단열성능에 대하여 약 2배가 높은 단열성능을 실현되었다. 또한, 장기적으로도 그 성능을 유지할 수가 있었다.
비교예1
실시예1에서 이용한 기체차폐성 용기를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를 충전하지 않고 직접 진공펌프로 진공배기한 바, 용기가 수축하여 찌끄러져 버려, 상자체를 형성할 수가 없었다.
더 보강하여, 상자체형상을 유지하여 진공펌프로 1시간 배기하여 진공도 0.01토르까지 감압하였지만, 진공단열을 얻기에 충분한 진공도인 10-5토르이하의 고진공까지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단열성능의 향상은 보이지 않았다.
비교예2
실시예1에서 이용한 기체차폐성 용기에 물발포 연통(連通) 경질우레탄폼을 충전하여, 직접 진공펌프에 의해서 진공배기하여 진공도 0.01토르까지 감압하였다. 이렇게 해서 단열성능을 향상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시간경과적으로는, 1주간정도에 진공도가 악화하여, 두 번째 진공펌프로 배기할 필요가 있어, 장기적인 신뢰성에 문제가 있었다.
실시예4
도 3의 구성의 단열상자체를 제작하였다. 기체차폐성 용기(2)는 두께 0.5 mm 의 스테인리스강판으로 제작하였다. 기체차폐성 용기(2)와 같이 스테인리스강제인 기체저장용기(4)를 스테인리스강제의 배관(18)으로 접속하였다. 배관(18)은 밸브(6)를 갖는다. 기체저장용기(4)중에는, 몰레큘러시브, 활성탄, 염화칼슘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체흡수재료(5)를 봉입하여 놓는다. 기체저장용기는 냉열 시스템의 증발기부터의 배관에 접촉하여 열교환되어, 실온보다 저온으로 냉각된다.
용기(2)에 충전구(12)로부터, 퍼라이트분말을 주입하고, 연이어 통하는 구조의 단열체(3)를 충전하였다. 이어서, 용기(2)의 충전구를 봉하여 막았다. 이다음에 밸브(6)를 열고, 기체저장용기(4)로써 기체차폐성 용기를 감압상태로 하였다. 밸브부에 진공 게이지를 부착하여 도달진공도를 계측한 바, 약 1토르이고, 진공단열케이스체가 제조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냉열 시스템을 기동함으로써, 기체저장용기(4)가 열교환에 의해 냉각되기때문에, 기체흡수의 효율이 향상하여, 진공도도 약 0.5토르까지 향상하여, 동진공도가 유지되었다.
이 단열상자체의 단열성능은, 감압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단열성능에 대하여 약 2배가 높은 단열성능을 실현되었다. 또한, 장기적으로도 그 성능을 유지할 수가 있었다.
실시예5
도 4의 구성의 단열상자체를 제작하였다. 아크릴-부타디엔-스틸렌수지와 알루미늄박의 라미네이트필름의 맞붙인 구조의 안상자 및 철판제 바깥상자로 기체차폐성 용기의 단열케이스체를 구성하였다. 이 기체차폐성 용기(2)에, 밸브(6)를 갖는 철제의 배관(18)으로 철제기체저장용기(4)를 접속하였다. 기체저장용기(4)중에는, 에폭시화합물, 그 부가반응촉매, 및 수산화칼슘으로 이루어지는 화학반응에 의한 이산화탄소 고정화제, 수산화칼슘이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발생하는 물을 포착하기 위한 염화칼슘, 잔류유기성분 가스의 흡착을 위한 활성탄등을 혼합하여 봉입해 둔다. 또한 기체저장용기(4)는, 냉열 시스템의 압축기(7)의 토출구부터의 배관에 접촉하여 열교환되어, 실온보다 고온으로 가열된다.
용기(2)에 충전구로부터, 폴리올, 우레탄촉매, 정포제(整泡劑), 파포제, 물, 및 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우레탄원료를 주입하여, 물과 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에 의한 이산화탄소에 의해서 발포성형을 행하였다. 이 물발포우레탄폼은, 경질로, 기포는 파포제의 첨가에 의해서 완전히 연이어 통하여, 이산화탄소가 충전되어 이루어진다. 이 우레판폼을 주입한 용기(2)를 약 40℃에서 경화하여, 완전히 우레탄폼의 수지형성을 행하고, 단위면적당 폼강도 1kg중 이상인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를 충전하였다. 이후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기포내의 이산화탄소가 기체저장용기(4)에 저장되어, 단열광체는 감압화하였다. 냉열 시스템을 기동함으로써, 감압은 더욱 진행하였다. 밸브부(6)에 진공게이지를 부착시켜 도달진공도를 계측한 바, 약 1토르이하이고, 진공단열케이스체가 제조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단열케이스체의 단열성능은, 기체저장공정전의 이산화탄소가 충전되어 있는 상태의 단열성능에 대하여 약 1.8배가 높은 단열성능을 실현할 수 있었다.
실시예6
도 5의 구성의 단열상자체를 제작하였다. 두께 0.5 mm의 스테인리스강판제인 기체차폐성 용기(2)의 냉장케이스체에, 펠티에효과의 열전변환소자를 흡열부(13)를 상자체 내측으로 하여 설치하였다. 그리고, 스테인리스강제 기체저장용기(4)를 기체투과성 시트(15)를 통해 기체차폐성 용기(2)에 접속하였다. 기체저장용기(4)중에는, 제오라이트 및 수산화나트륨을 보유한 제오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한 기체흡수재료를 봉입하고 있다. 기체저장용기(4)는, 열전변환소자의 흡열부(13)에 접촉하여, 실온보다 저온으로 냉각됨과 동시에, 단열상자체내부에서 냉각된다.
기체차폐성 용기(2)에 충전구로부터, 우레탄폼의 파쇄분쇄분말을 이산화탄소 가스와 같이 주입하여, 연이어 통하는 구조의 단열체(3)를 충전하였다. 이어서, 기체차폐성 용기(2)에 진공펌프를 접속하여 진공배기후, 용기내를 감압상태로 봉하여 막았다. 이후는, 기체저장용기(4)에 의해서 감압상태가 유지되었다. 이 단열상자체의 단열성능은, 감압하지 않는 경우의 단열성능에 대하여 약 2배가 높은 단열성능을 실현하였다. 장기적인 성능에 있어서는, 기체저장용기를 접속하지 않는 구성의 경우에는 수일사이에 성능의 저하가 보였지만, 본 실시예의 구성으로서는 장기적으로도 그 성능을 유지할 수가 있었다.
실시예7
실시예6과 동일한 재료구성으로, 도 6의 구성인 단열상자체를 구성하였다. 기체저장용기(4)는, 열전변환소자의 흡열부(13)에서 열교환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진공단열에의한 고성능과, 장기의 단열성의 유지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8
도 7의 구성의 단열상자체를 제작하였다. 두께 0.3 mm의 스테인리스강판제의 기체차폐성 용기(2)에, 스테인리스강제의 기체저장용기(4)를 부직포(15)를 통해 접속하였다. 기체저장용기(4)중에는, 몰레큘러시브, 활성탄, 및 염화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기체흡수재료를 봉입하여 놓는다. 기체저장용기부(4)는, 냉열 시스템의 증발기(9)에 의해서 냉각된 상자체내에서 냉각된다.
용기(2)에 충전구로부터, 충전기체로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다공질에어로겔분말을 주입하여, 연이어 통하는 구조의 단열체(3)를 충전하였다. 용기(2)의 충전구를 봉하여 막은 뒤, 이산화탄소를 흡수시켜 감압으로 하였다. 용기(2)의 밸브부에 진공게이지에 부착시켜 도달진공도를 계측한 바, 약 1토르이고, 진공단열케이스체가 제조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냉열 시스템을 기동함으로써, 기체저장용기부(4)와의 열교환이 시작되어, 냉각에의한 흡착의 효율이 향상하였기 때문에, 진공도도 약 0.5토르까지 향상하여, 동진공도가 유지되었다.
이 단열상자체의 단열성능은, 감압하지 않는 상태의 단열성능에 대하여 약 2배가 높은 단열성능을 실현되었다. 또한, 장기적으로도 그 성능을 유지할 수가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해서, 생산성 및 단열성에 뛰어나고 동시에, 단열성의 장기적인 신뢰성이 좋은 단열상자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열상자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열체를 충전한 기체차폐성 용기의 내부가 감압상태가 되고 있는 것에 의해, 진공단열이 달성된다. 기체흡수재료를 충전한 기체저장용기가 기체차폐성 용기에 연이어 통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기체차폐성 용기내에 존재하는 기체 및 시간 경과적으로 발생되는 기체성분이 기체저장용기에 가두어지고, 이것에 의해서 기체차폐성 용기내는 감압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펌프로 배기하지 않고도 진공단열을 얻을 수 있어, 장기에 걸쳐 감압상태를 유지하며 단열성능을 유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단열성, 생산성, 작업성이 뛰어난 단열상자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냉열 시스템을 구비하여, 기체저장용기를 이 냉열 시스템과 열교환하 도록 배치하면, 냉열 시스템부터의 흡열 혹은 방열에 의해서, 기체저장용기중의 기체흡수재료의 흡수능력이 높아져, 효율적으로 기체차폐성 용기내를 감압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기체흡수재료가 물리적흡수제인 경우에는, 기체저장용기를 냉열 시스템의 흡열부측과 열교환하도록 구성하면, 기체저장용기가 냉각되어 물리적흡수제의 흡착성능이 향상한다. 또한, 기체흡수재료가 화학적흡수제인 경우에는, 기체저장용기를 냉열 시스템의 방열부측과 열교환하도록 구성하면, 기체저장용기가 가열되어 화학적흡수제의 화학반응이 촉진되고 기체의 고정화성능이 향상한다. 어느 한쪽의 구성, 또는 양자의 구성을 쓸 수 있다. 실질적으로는, 어느 한쪽의 구성으로 하여, 물리적 혹은 화학적인 흡수제를 주로 하여 복수의 기체흡수재료를 조합하여 쓰면 좋다.
또한, 냉열 시스템과 열교환되어 창고내 온도가 조절된 단열상자체의 내부에, 기체저장용기를 배치하면, 기체저장용기중의 기체흡수재료의 흡수능력이 높게 되어, 효율적으로 기체차폐성 용기내를 감압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다.
단열상자체의 기체차폐성 용기에 충전하는 단열체가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라면, 기체저장에 의한 기체의 흐름에 영향을 주는 압력손실이 억제되고, 효율적으로 용기내의 감압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냉열 시스템으로서, 압축기를 쓴 압축, 응축, 팽창, 증발행정에의한 냉각 시스템, 혹은 펠티에효과의 열전변환소자에 의한 흡열의 냉각 시스템이나 방열의 보온 시스템등을 씀으로써, 단열상자체의 용도에 의해서 기체저장용기와의 열교환의 구성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냉열 시스템을 구비하는 구성에 의하면, 에너지 절약, 및 유지관리성이 뛰어난 단열상자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열상자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술한 단열상자체로서의 뛰어난 단열성능에 대한 효과와 합쳐서, 생산성이나 작업성의 면에서 다음 3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는, 단열체를 구성하는 기체차폐용기에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를 충전하는 것으로, 용기와 일체화한 진공단열체를 제조할 수 있다고 하는 높은 생산성, 작업성이 있다.
둘째는, 기체저장용기에 접속함으로써 진공펌프에 의한 진공배기가 필요하지 않고, 생산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장기에 걸쳐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가 불필요하고 작업성에 우수하다.
셋째는, 기체차폐성 용기와 기체저장용기를 격리하여 배치함으로써, 기체차폐성 용기에 충분히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가 충전기체에 의해서 충전되어 단열체의 기본구성이 완료한 공정 후에, 개폐마개나 기체투과성재료를 개재함으로써 충전기체를 기체차폐성 용기로부터 기체저장용기에 흡수시키는 공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체가 수축하지 않고, 또한 효율적인 기체저장에 의한 감압상태가 실현되기 때문에, 양질인 단열체를 높은 생산성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단열상자체에 있어서, 기체차폐성 용기와 연이어 통하여 접속된 기체저장용기가 단열상자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면, 먼저 설명한 단열상자체의 제조시에, 충전기체를 써서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를 기체차폐성 용기에 충전하는 공정후에, 기체저장용기내에 적어도 충전기체를 흡수하여 기체차폐성 용기내를 감압상태로 하는 공정에 이행할 때에, 작업성이 좋도록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단, 기체저장용기가 단열상자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에 있어서도, 뛰어난 단열성능을 실현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제조때의 작업성의 약간의 저하와 상자체내의 용적저감등이 생기지만, 본 발명의 효과는 달성된다.

Claims (14)

  1. 충전기체와 함께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를 내부에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기체차폐성 용기 및 상기 기체차폐성 용기와 연이어 통하여 설치되며, 적어도 상기 충전기체를 흡수하는 흡수재가 충전된 기체저장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저장용기가 상기 충전기체를 흡수하여 기체차폐성 용기내부가 감압상태로 되어있는 단열상자체.
  2. 제 1 항에 있어서, 냉열 시스템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기체차폐성 용기가 상기 냉열 시스템과 열교환하도록 구성된 단열상자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저장용기가 단열상자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단열상자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차폐성 용기와 상기 기체저장용기가 개폐마개 또는 기체투과성재료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단열상자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의 평균간극거리가, 상기 충전기체의 1/100기압, 20℃에 있어서의 평균자유행정이하인 단열상자체.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가 물리적흡수재이며, 기체저장용기가 상기 냉열 시스템의 흡열부측과 열교환하도록 구성된 단열상자체.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가 화학적흡수재이며, 기체저장용기가 상기 냉열 시스템의 방열부측과 열교환하도록 구성된 단열상자체.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열시스템과 열교환되는 단열상자체의 내부에 상기 기체저장용기가 배치되고, 기체저장용기가 냉열 시스템과 간접적으로 열교환되는 단열상자체.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열 시스템이, 압축기를 구비한 냉각 시스템 및 열전(熱電)변환소자에 의한 냉각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인 단열상자체.
  10. 충전기체를 이용하여 기체차폐성 용기내에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를 충전하는 공정 및 상기 기체차폐성 용기와 접속하여 설치된 기체저장용기내에 상기 충전기체를 도입시켜 기체저장용기내의 흡수재에 흡수시킴으로써 상기 기체차폐성 용기내를 감압상태로 하는 기체저장공정을 포함하는 단열상자체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단열상자체가 냉열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기체차폐성 용기가 상기 냉열 시스템과 열교환하도록 구성된 단열상자체의 제조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를 충전하는 공정이, 적어도 폴리올, 물 및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우레탄원료를 기체차폐성 용기에 주입하는 주입공정과, 상기 우레탄원료가 반응하여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에 의해서 물발포 연속기포 우레탄수지를 상기 기체차폐성 용기에 충전하는 발포성형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체저장공정은, 이산화탄소를 기체저장용기내의 흡수재에 흡수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단열상자체의 제조방법.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연이어 통하는 구조체를 충전하는 공정이, 충전기체를 이용하여 분말체원료를 기체차폐성 용기에 봉입하는 충전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단열상자체의 제조방법.
  14. 제 10 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기체차폐성 용기와 기체저장용기가 개폐마개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단열상자체의 제조방법.
KR1019980005736A 1997-02-24 1998-02-24 단열상자체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716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3921597A JP3725958B2 (ja) 1997-02-24 1997-02-24 断熱体の製造方法
JP39215 1997-02-24
JP05597297A JP3795615B2 (ja) 1997-03-11 1997-03-11 断熱箱体
JP55972 1997-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646A true KR19980071646A (ko) 1998-10-26

Family

ID=2637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736A KR19980071646A (ko) 1997-02-24 1998-02-24 단열상자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34085A (ko)
EP (1) EP0860669B1 (ko)
KR (1) KR19980071646A (ko)
CN (1) CN1091418C (ko)
DE (1) DE6980285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2116B2 (en) * 1999-02-26 2003-09-02 Maytag Corporation Thermoelectric temperature controlled refrigerator food storage compartment
DE19915456A1 (de) * 1999-04-01 2000-10-05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Wärmeisolierende Wandung
AU2001222296B2 (en) * 2000-04-21 2004-09-02 Matsushita Refrigeration Company Heat insulation box, and vacuum heat insulation material used therefor
DE10136227B4 (de) * 2001-07-25 2004-11-18 Thyssen Bausysteme Gmbh Mobile Temperierbox für wärme- oder kälteempfindliche Gegenstände
ITBO20010613A1 (it) * 2001-10-09 2003-04-09 Indel B S P A Perfezionamento ad un gruppo frigorifero con ciclo ad assorbimento
DE60237427D1 (de) * 2002-04-08 2010-10-07 Whirlpool Co Vakuumisolierter Kühlschrank und Evakuierungsverfahren der isolierten gasdichten Wand
EP1378716B1 (en) * 2002-07-01 2009-03-04 Whirlpool Corporation A vaccuum insulated refrigerator cabinet and method for assessing thermal conductivity thereof
EP1378715B1 (en) * 2002-07-01 2009-03-04 Whirlpool Corporation A vacuum insulated refrigerator cabinet and method for assessing thermal conductivity thereof
DE10355137A1 (de) * 2003-11-26 2005-06-2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egehäuse
US20060035054A1 (en) * 2004-01-05 2006-02-16 Aspen Aerogels, Inc. High performance vacuum-sealed insulations
CA2578623C (en) * 2004-09-01 2013-08-06 Aspen Aerogels, Inc. High performance vacuum-sealed insulations
AT505660B1 (de) * 2007-07-19 2009-03-15 Josef Mikl Behälter zur aufnahme eines fluids
US20100200599A1 (en) * 2009-02-10 2010-08-12 Robert Molthen Vacuum insulated container
WO2010132117A1 (en) * 2009-05-13 2010-11-18 American Bank Note Company Co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46587B1 (ko) * 2010-09-29 201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HUE046883T2 (hu) * 2011-03-31 2020-03-30 Basf Se Szerves aerogéleket vagy xerogéleket tartalmazó, dinamikusan vákuumozható berendezések
US9188384B2 (en) 2011-03-31 2015-11-17 Basf Se Dynamically evacuable devices comprising organic aerogels or xerogels
US9221210B2 (en) 2012-04-11 2015-12-29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to create vacuum insulated cabinets for refrigerators
US9071907B2 (en) 2012-04-02 2015-06-30 Whir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ed structure tubular cabinet construction
EP2778582B1 (en) * 2013-03-15 2018-04-25 Whirlpool Corporation Folded vacuum insulated structure
KR20140137108A (ko) * 2013-05-22 2014-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316629A (zh) * 2013-07-08 2013-09-25 南京众善电子科技有限公司 真空绝热板用复合吸气剂及其制备方法
CN203419406U (zh) * 2013-09-02 2014-02-05 余必清 一种储冷型保温箱
US20150102716A1 (en) * 2013-10-15 2015-04-16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052819B2 (en) 2014-02-24 2018-08-21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packaged 3D vacuum insulated door structure and method therefor using a tooling fixture
US9689604B2 (en) 2014-02-24 2017-06-27 Whirlpool Corporation Multi-section core vacuum insulation panels with hybrid barrier film envelope
US9599392B2 (en) 2014-02-24 2017-03-21 Whirlpool Corporation Folding approach to create a 3D vacuum insulated door from 2D flat vacuum insulation panels
DE102015006561A1 (de) * 2014-06-16 2015-12-17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Vakuumdämmkörper mit einem thermoelektrischen Element
CN104141654A (zh) * 2014-07-14 2014-11-12 安徽理工大学 一种用于液压系统的散热装置
US9476633B2 (en) 2015-03-02 2016-10-25 Whirlpool Corporation 3D vacuum panel and a folding approach to create the 3D vacuum panel from a 2D vacuum panel of non-uniform thickness
US10161669B2 (en) 2015-03-05 2018-12-25 Whirlpool Corporation Attachment arrangement for vacuum insulated door
US9897370B2 (en) 2015-03-11 2018-02-20 Whirlpool Corporation Self-contained pantry box system for insertion into an appliance
US9441779B1 (en) 2015-07-01 2016-09-13 Whirlpool Corporation Split hybrid insulation structure for an appliance
US10422573B2 (en) 2015-12-08 2019-09-24 Whirlpool Corporation Insulation structure for an appliance having a uniformly mixed multi-component insulation material, and a method for even distribution of material combinations therein
US10222116B2 (en) 2015-12-08 2019-03-0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vacuum insulated structure for an appliance having a pressing mechanism incorporated within an insulation delivery system
US10429125B2 (en) 2015-12-08 2019-10-01 Whirlpool Corporation Insulation structure for an appliance having a uniformly mixed multi-component insulation material, and a method for even distribution of material combinations therein
US11052579B2 (en) 2015-12-08 2021-07-06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a densified insulation material for use in appliance insulated structure
US10041724B2 (en) 2015-12-08 2018-08-07 Whirlpool Corporation Methods for dispensing and compacting insulation materials into a vacuum sealed structure
KR101738787B1 (ko) * 2015-12-15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저장고, 차량용 저장고, 및 차량
US10422569B2 (en) 2015-12-21 2019-09-24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ed door construction
US9752818B2 (en) 2015-12-22 2017-09-05 Whirlpool Corporation Umbilical for pass through in vacuum insulated refrigerator structures
US9840042B2 (en) 2015-12-22 2017-12-12 Whirlpool Corporation Adhesively secured vacuum insulated panels for refrigerators
US10018406B2 (en) 2015-12-28 2018-07-10 Whirlpool Corporation Multi-layer gas barrier materials for vacuum insulated structure
US10610985B2 (en) 2015-12-28 2020-04-07 Whirlpool Corporation Multilayer barrier materials with PVD or plasma coating for vacuum insulated structure
US10030905B2 (en) 2015-12-29 2018-07-24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 vacuum insulated appliance structure
US10807298B2 (en) 2015-12-29 2020-10-20 Whirlpool Corporation Molded gas barrier parts for vacuum insulated structure
US11247369B2 (en) 2015-12-30 2022-02-1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3D vacuum insulated refrigerator structure having core material
CN105649375B (zh) * 2016-01-30 2017-12-15 上海良东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隔热效果好的金属大型负压轮罩室
CN108779950A (zh) * 2016-03-16 2018-11-09 利勃海尔-家用电器利恩茨有限责任公司 冷却和/或冷冻设备
WO2017180147A1 (en) 2016-04-15 2017-10-19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ed refrigerator cabinet
EP3443284B1 (en) 2016-04-15 2020-11-18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ed refrigerator structure with three dimensional characteristics
US10612834B2 (en) 2016-07-26 2020-04-07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sulated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WO2018022007A1 (en) 2016-07-26 2018-02-01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ed structure trim breaker
US11391506B2 (en) 2016-08-18 2022-07-19 Whirlpool Corporation Machine compartment for a vacuum insulated structure
WO2018101954A1 (en) 2016-12-02 2018-06-07 Whirlpool Corporation Hinge support assembly
US10907888B2 (en) 2018-06-25 2021-02-02 Whirlpool Corporation Hybrid pigmented hot stitched color liner system
JP7195157B2 (ja) * 2019-01-07 2022-12-2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US10907891B2 (en) 2019-02-18 2021-02-02 Whirlpool Corporation Trim breaker for a structural cabinet that incorporates a structural glass contact surface
US10995488B1 (en) * 2019-11-20 2021-05-04 Whirlpool Corporation Servicing assembly for an insulated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18668A (en) * 1923-12-15 1924-12-09 John D Mitchell Refrigerator
US1898977A (en) * 1928-09-07 1933-02-21 Stator Refrigeration Inc Vacuum insulation
US3114469A (en) * 1963-02-20 1963-12-17 Union Carbide Corp Mean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space
US3993811A (en) * 1974-08-15 1976-11-23 The Dow Chemical Company Thermal insulating panel for use in an insulative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id panel
US4745015A (en) * 1981-09-30 1988-05-17 The Dow Chemical Company Thermal insulating panel
JP2543041B2 (ja) * 1986-06-20 1996-10-16 松下冷機株式会社 断熱体
US4938667A (en) * 1988-09-30 1990-07-03 Saes Getters Spa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vacuum insulating structure and an insulating structure so produced
US5082335A (en) * 1989-12-18 1992-01-21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ion system for insulating refrigeration cabinets
US5271240A (en) * 1992-07-06 1993-12-21 Arex, Inc. Household refrigerator-freezer cooling apparatus with vacuum as the preserving means
SE470464B (sv) * 1992-09-10 1994-04-18 Electrolux Res & Innovation Isolering för kyl- eller frysskåp
IT1264692B1 (it) * 1993-07-08 1996-10-04 Getters Spa Combinazione di getter adatta per camicie isolanti sotto vuoto reversibile
JP2538181B2 (ja) 1993-08-20 1996-09-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発泡断熱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746069B2 (ja) 1993-08-10 1998-04-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発泡断熱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69419464T2 (de) * 1993-08-10 1999-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hermischer Isolator und Herstellungsverfahren
JP3062714B2 (ja) * 1993-09-24 2000-07-12 北越製紙株式会社 不燃性の積層板または積層成形体
JPH07148752A (ja) * 1993-11-26 1995-06-13 Hitachi Ltd 断熱箱体
JPH07269779A (ja) * 1994-03-28 1995-10-20 Toshiba Corp 断熱筐体及び真空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JPH07293785A (ja) 1994-04-26 1995-11-10 Matsushita Refrig Co Ltd 断熱体の製造方法および断熱壁
AU4754796A (en) * 1995-01-10 1996-07-31 Dow Chemical Company, The Insulation panel comprising a co2 barrier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60669B1 (en) 2001-12-12
DE69802851D1 (de) 2002-01-24
US5934085A (en) 1999-08-10
EP0860669A1 (en) 1998-08-26
CN1191841A (zh) 1998-09-02
CN1091418C (zh) 2002-09-25
DE69802851T2 (de) 200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71646A (ko) 단열상자체 및 그 제조방법
JP5198167B2 (ja) 真空断熱箱体
EP2865973B1 (en) Heat-insulating wall, heat-insulating box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201787277U (zh) 超真空绝热板
JP2007238141A (ja) 真空容器
JP2007211884A (ja) 真空断熱箱体
KR20080085064A (ko) 단열체
JP3795615B2 (ja) 断熱箱体
JP2005106312A (ja) 冷蔵庫並びに真空断熱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68092A (ja) 真空断熱材および真空断熱材を適用した建築部材
JP2010096291A (ja) 真空断熱箱体
JP3725958B2 (ja) 断熱体の製造方法
JPH0763469A (ja) 真空断熱材
JP2007017053A (ja) 冷蔵庫
JP2008208844A (ja) 真空断熱箱体
WO2015186345A1 (ja) 真空断熱体、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断熱容器および断熱壁
JP2009287791A (ja) 真空断熱箱体
JPH0753769A (ja) 発泡断熱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314786A (ja) 真空断熱材、並びに真空断熱材を用いた冷凍機器及び冷温機器
JP2009018826A (ja) 真空断熱箱体
JP3527727B2 (ja) 真空断熱材及びその真空断熱材を用いた機器
JP2002174485A (ja) 冷蔵庫
WO2021241617A1 (ja) 真空断熱体及びそれを用いた断熱容器と断熱壁
JP2006308078A (ja) 断熱体
JP7474921B2 (ja) 真空断熱体及びそれを用いた断熱容器と断熱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