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1636A - 전기 도전성 방현 편광판 - Google Patents

전기 도전성 방현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1636A
KR19980071636A KR1019980005717A KR19980005717A KR19980071636A KR 19980071636 A KR19980071636 A KR 19980071636A KR 1019980005717 A KR1019980005717 A KR 1019980005717A KR 19980005717 A KR19980005717 A KR 19980005717A KR 19980071636 A KR19980071636 A KR 19980071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electrically conductive
hard c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7223B1 (ko
Inventor
유지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80071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2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판 표면에서 형성되고 전기 도전성과 방현 기능(glare shield function)을 갖는 단일층들(22, 29, 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단일층은 In2O3, SnO2또는 In2O3와 SnO2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전기 도전 입자들이 분산된 수지로 구성된다. 상술된 편광판은 진공 증착이나 스퍼터링과 같은 부가적인 공정들을 수행하지 않고도 전기 도전성 방현층(non-glare layer)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도전성 방현 편광판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편광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현 효과(glare shield effect)와 전기 도전성을 가진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트위스트 네마틱(twist nematic: TN)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전계가 유리 기판에 수직으로 인가되어서, 액정 분자들이 패널에 수직 방향으로 서게 되고, 액정 분자들이 패널과 수직 방향으로 서게 될 때 생기는 패널의 광 투과율(light transmittance) 변화를 이용하여 영상들이 표시된다. 이러한 종래의 TN 액정 표시 장치에 통상 이용되는 편광판은 한 쌍의 아크릴막(acrylic films)과 이 아크릴막들 사이에 개재된 편광막으로 구성된다. 이 아크릴막들 중 하나는 아크릴계 접착제에 의해서 편광판의 패널에 부착되고, 표시 표면에 부착된 아크릴막들 중 다른 아크릴막 위에는 방현층(glare shield layer)이 형성된다. 이 방현층은 그 표면에서 불규칙성을 갖거나, SiO2입자들이 분산된 아크릴계 수지로 구성되도록 설계되고, 이 SiO2입자들은 광학적으로 또는 열적으로 경화되어 고정된다. 이 방현층은 반사광을 산란시키기 위해서 형성한 것으로, 외부 광의 반사에 야기되는 섬광을 감소시킨다. 이 방현층은 TN 액정 표시 장치에서 표시 가시성(visibility)을 향상시킨다.
TN 액정 표시 장치는 음극선관(CRT)과 같은 다른 표시 장치보다 전력을 더 적게 소비하고, 더 컴팩트하며, 화질도 더 우수하기 때문에, 다방면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액정 분자들은 패널에 수직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시청자(viewer)가 패널을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서 서로 다른 위치에서 액정 분자들을 바라보게 된다. 액정 분자들에서 시야각(콘트래스트(contrast)가 반전되는 각도로서 정의됨)은 액정 분자의 굴절율의 이방성때문에 매우 협소해지므로, TN 액정 표시 장치는 많은 시청자가 모든 방향에서 바라보게 되는 대형 스크린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오늘날,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초소형으로 제조하는 기술이 발달하면서, 모니터와 같은 대형 스크린용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히 넓은 시야각을 가진 수평 전계형 액정 표시 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다. 수평 전계형 액정 표시 장치는, 전압을 패널과 평행하게 인가함에 따라 패널 내의 액정 분자가 회전할 때에 생기는 패널의 광 투과율의 변화를 이용하여 패널 상에 영상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시청자는 패널을 바라보는 방향과 무관하게 동일한 방향에서 액정 분자들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수평 전계형 액정 표시 장치는 시야각에 거의 의존하지 않고, CRT의 시야각만큼 넓은 시야각을 갖게 된다. 수평 전계형 액정 표시 장치는 CRT를 대체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수평 전계형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편광판은 TN 액정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로 가시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그 표면 상에 방현층을 가진다. 그러나, 수평 전계형 액정 표시 장치는 정전기와 같은 전하들이 액정 표시 장치의 표면 상에 축적되고, 이 전하들이 탈출할 공간을 갖고 있지 않을 때, 전계가 패널에 수직으로 발생되는 문제를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발생된 수직 전계는 액정 분자들이 구동 상태에 있든지 아니면 비구동 상태에 있든지 간에 액정 분자들에 인가된 전계를 교란시킨다. 그 결과, 액정 분자들은 액정 분자에 전송된 신호들과 무관하게 행동하므로, 화질이 상당히 저하된다.
상술된 문제에 대한 한가지 해결책으로, 수평 전계형 액정 표시 장치가 전하 축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현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도전성 편광판을 가지도록 설계하였다.
도 1은 전하 축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방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종래의 전기 도전성 편광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편광 패널은 액정 패널에서 사용된다. 이 액정 패널은 상부 유리 기판(38), 하부 유리 기판(40), 및 이 상부와 하부 유리 기판(38 및 40)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39)을 포함한다. 제1 편광판은 한 쌍의 투명 하드 코트층(transparent hard coat layers)(43 및 44), 이 투명 하드 코트층들(43 및 44) 사이에 개재된 편광층(41), 투명 하드 코트층(43) 상에 형성된 방현층(49), 및 이 방현층(49) 상에 형성된 전기 도전막(50)을 포함한다. 이 제1 편광판은 아크릴계 접착층(47)을 통해서 상부 유리 기판(38)에 부착된다. 제2 편광판은 한 쌍의 투명 하드 코트층(45 및 46)과 이 투명 하드 코트층들(45 및 46) 사이에 개재된 편광층(42)을 포함하고, 아크릴계 접착층(48)을 통해 하부 유리 기판(40)에 부착된다.
전기 도전성을 가진 제1 편광판 상에는 전하가 축적되지 않기 때문에, 전계가 패널에 수직으로 발생하지 않게 되어, 화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전기 도전막과 방현층을 모두 가진 편광판은 일본 특허 공개 제 6-324214호, 제 6-139822호, 제 6-196110호, 제 61-168899호 및 제 4-342202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 공개에 개시된 편광판은 전기 도전막이 형성될 때 발생되는 문제들을 수반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6-324214호와 제 61-168899호에서는 진공 상태에서 전기 도전 물질들을 증착시키므로써 전기 도전막을 형성하는 방법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된 방법들은 진공 증착이라고 하는 공정이 더 있어야만 하므로, 편광판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이들 방법들은 전기 도전성 박막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이 박막으로부터 반사된 외부 광들의 광 간섭이 박막 두께에 따라서 변화되고, 그 결과, 반사광이 착색되어 화질이 상당히 저하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6-139822호와 제 6-196110호는 전기 도전막을 형성하기 위해서 전기 도전성 물질을 소성법(burning)으로 고정화시키는 방법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들에서는 전기 도전막을 고정화시키기 위해서 100℃ 이상에서 전기 도전막을 연소시켜야 한다. 즉, 편광판이 견딜 수 있는 최대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이 편광판을 처리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들은 편광판에서 사용되는 전기 도전막을 형성하는데는 적합하지 않다.
일본 특허 공개 제 4-342202호는 표면 반사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편광판 표면 상에서 불균일성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편광판 표면에서 베이스 수지에 자외선과 열과 같은 에너지를 공급하고, 서로 다른 분위기에서 경화되게 될 수지를 분산시킨 다음, 이 수지를 경화시키므로써 불균일성이 형성되어, 이 경화된 수지 등의 불균일성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불균일성을 형성하는 별도의 공정을 갖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편광판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요약하면, 상술된 종래의 방법들은 다음의 문제점들을 갖는다.
첫번째 문제점은 전기 도전막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외부 광이 전기 도전막의 두께에 따라서 광 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에 반사광이 착색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전기 도전막이 진공 증착 등에 의해서 박막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두번째 문제점은 종래 기술에서는 전기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더 수행해야 하므로, 결과적으로 편광판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는 점이다. 이것은 전기 도전막 형성 공정이 통상의 편광판 제조 공정에 추가되는 공정이기 때문이다.
종래 기술의 상술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방현 기능(glare shield function)과 전기 도전성을 갖고 있고, 표면으로부터 착색된 광이 착색되지 않고, 여분의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도 형성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표면에 단일층이 형성되고 전기 도전성과 방현 기능을 가진 편광판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이 단일층은 In2O3, SnO2, 또는 In2O3와 SnO2의 혼합물로 구성된 전기 도전 입자들이 분산된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입자들은 0. 1㎛ 이상 5㎛ 이하 범위 내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입자들은 전체 고형물질 중량(weight)에 대해 50 중량% 이상 95 중량%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일층은 단위 면적당 107Ω 내지 1010Ω 범위 내의 표면 저항을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수지로서는 아크릴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수지는 광학적으로 또는 열적으로 경화되어 입자들을 고정시키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편광판은 단일층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단일층 상에 형성된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보호층은 실란 플로우르 화합물(silane fluoride compound)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a) 모두 투명 물질로 구성된 상부 및 하부 기판들, (b) 상부 및 하부 기판들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 (c) 상부 및 하부 기판들 상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접착층, (d) 이 접착층을 통해 상부 및 하부 기판 각각에 부착되는 제1 하드 코드층들, (e) 이 제1 하드 코트층 각각에 형성된 편광층들, (f) 이 편광층들 중 한 편광층 상에 형성된 제2 하드 코트층, 및 (g) 방현 기능을 갖고 편광층들 중 다른 편광층 상에 형성된 전기 도전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편광판은 편광층들 중 상기 다른 편광층과 전기 도전층 사이에 개재된 제2 하드 코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편광판은 그 표면 상에 형성된 아크릴계 수지층을 포함한다. 전기 도전 입자들인 In2O3, SnO2, 또는 In2O3와 SnO2의 혼합물(이하, In2O3, SnO2, 또는 In2O3와 SnO2의 혼합물은 ITO로 약칭함)은 아크릴계 수지층에서 분산되고, 아크릴계 수지층을 광학적으로 또는 열적으로 경화시켜 고정된다. 따라서, 편광판에 전기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더 이상 전기 도전막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편광판의 표면에서 반사된 광은 착색되지 않는다. 또한, 비교적 큰 굴절율, 구체적으로는 약 2인 굴절율을 가진 ITO 입자들이 편광판의 표면에서 산란되므로, 편광판에 입사된 외부 광이 모두 산란 및 반사되어, 방현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ITO의 전기 도전 입자들이 분산된 아크릴계 수지를 편광판의 표면에 도포하므로, 편광판에 전기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진공 증착 장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SiO2를 아크릴계 수지에 분산시키고, 이 아크릴계 수지를 편광막의 표면에 도포하고, 이 아크릴계 수지를 광학적으로 또는 열적으로 경화시키는 장치나 공정을 그대로 이용하여, 편광판에 방현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편광판 제조 공정을 변화시키지 않고 본 발명에 따라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편광판 제조 비용의 증가를 피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편광판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편광판과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에서 굴절율과 파장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상부 유리 기판
12 : 액정층
13 : 하부 유리 기판
14 : 제1 편광층
15 : 제2 편광층
16 : 제2 투명 하드 코트층
17 : 제1 투명 하드 코트층
18 : 제4 하드 코트층
19 : 제3 하드 코트층
20, 21 : 아크릴계 접착층
22 : 전기 도전층
23 : 배면광
[제1 실시예]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편광판은 표시 표면측에 배치된 상부 유리 기판(11), 하부 유리 기판(13), 상부 유리 기판(11)과 하부 유리 기판(13)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12), 제1 및 제2 투명 하드 코트층(17 및 16), 제1 투명 하드 코트층(17)과 제2 투명 하드 코트층(16) 사이에 개재된 제1 편광층(14), 상부 유리 기판(11)에 제1 투명 하드 코트층(17)을 부착시키기 위한 아크릴계 접착층(20), 제2 투명 하드 코트층(16) 상에 형성된 전기 도전층(22), 제3 및 제4 하드 코트층(19 및 18), 제3 하드 코트층(19)과 제4 하드 코트층(18) 사이에 개재된 제2 편광층(15), 및 하부 유리 기판(13)에 제3 하드 코트층(19)을 부착시키는 아크릴계 접착층(21)을 포함한다.
전기 도전층(22)은 방현 기능을 갖고 있으며, 전체 고형 물질의 중량에 대해서 50 중량% 내지 95 중량%로 분산된 ITO 입자들을 함유한 아크릴계 수지로 구성된다. ITO 입자들은 0.1㎛ 내지 5㎛ 범위 내의 직경을 갖는다.
이제, 상술된 편광판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배면광(23)은 편광 기능을 가진 제2 편광층(15)을 투과하고, 따라서, 배면광(23) 내의 편광축 성분들 만이 액정층(12)에 도달된다. 액정 분자들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액정층(12) 내의 액정 분자들은 제2 편광층(15)의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또는 90°회전된 방향으로 배향된다. 한편, 제1 편광층(14)의 편광축은 제2 편광층(15)의 편광축으로부터 90°회전한다. 따라서, 액정층(12) 내의 액정 분자들은 제1 편광층(14)과 협동하여, 제2 편광층(15)을 투과해 오는 배면광(23)을 차단한다.
액정층(12)에 전압이 인가되어 이 액정층(12)에서 액정 분자들이 회전한다면, 제2 편광층(15)을 투과하므로써 선형 편광이 되었던 배면광(23)이 액정층(12)에서 타원 편광된다. 따라서, 배면광(23)은 액정층(12)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서 결정된 강도(intensity)에서 액정층(12)과 제1 편광층(14) 모두를 투과할 수 있다. 즉, 액정층(12)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서 광 전송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기 도전층(22)은 그 표면에 축적되고 있는 전하들을 빠르게 분산시키고, 그 결과, 패널의 동작에 불필요하고, 화질을 저하시키는 전계가 패널과 수직으로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패널의 화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의 표면에 분산된 상태로 배치된 ITO 입자들은 비교적 큰 굴절율, 구체적으로는 약 2의 굴절율을 갖기 때문에, 이 ITO 입자들에 입사된 광을 산란 및 반사시키고, 따라서, 전기 도전층(22)에서 반사광의 반사에 의해서 야기되는 섬광(glare)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편광판은 최외곽층으로서 박막을 갖지 않기 때문에, 반사광이 광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반사광의 스펙트럼에서 파장의 분산(dispersion)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반사광이 착색되지 않는다.
[제2 실시예]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편광판은 표시 표면측에 배치된 상부 유리 기판(24), 하부 유리 기판(26), 상부 유리 기판(24)과 하부 유리 기판(26)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25), 제1 투명 하드 코트층(30), 이 제1 투명 하드 코트층(30) 상에 형성된 제1 편광층(27), 상부 유리 기판(24)에 제1 투명 하드 코트층(30)을 부착시키는 아크릴계 접착층(33), 제1 편광층(27) 상에 형성된 전기 도전층(29), 제2 및 제3 투명 하드 코트층(31 및 33), 제2 투명 하드 코트층(31)과 제3 투명 하드 코트층(33) 사이에 개재된 제2 편광층(28), 및 하부 유리 기판(26)에 제2 투명 하드 코트층(31)을 부착시키는 아크릴계 접착층(34)을 포함한다.
전기 도전층(29)은 방현 기능을 갖고 있으며, 전체 고형 물질의 중량에 대해 50 중량% 내지 95 중량%로 분산된 ITO 입자들을 함유한 아크릴계 수지로 구성된다. ITO 입자들은 0.1㎛ 내지 5㎛ 범위 내의 직경을 갖는다.
제2 실시예에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편광판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이 제1 실시예의 제2 투명 하드 코트층(16)에 대응하는 투명 하드 코트층을 가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다. 그러나, 전기 도전층(29)은 투명 하드 코트층의 배가 된다.
이제, 제2 실시예에 따른 상술된 편광판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배면광(35)은 편광 기능을 가진 제2 편광층(28)을 투과하고, 따라서, 배면광(35)의 편광축을 따르는 성분들 만이 액정층(25)에 도달한다. 액정 분자들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액정층(25) 내의 액정 분자들은 제2 편광층(28)의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또는 90° 회전된 방향으로 배향된다. 한편, 제1 편광층(27) 내의 편광축은 제2 편광층(28)의 편광축으로부터 90°로 회전한다. 따라서, 액정층(25) 내의 액정 분자들은 제1 편광층(27)과 협동하여, 제2 편광층(28)을 투과해 오는 배면광(23)을 차단한다.
액정층(25)에 전압이 인가되어 액정층(25)에서 액정 분자들이 회전한다면, 제2 편광층(28)을 투과하므로써 선형 편광이 되었던 배면광(35)이 액정층(25)에서 타원편광이 된다. 따라서, 배면광(23)은 액정층(25)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서 결정된 강도에서 액정층(25)과 제1 편광층(27) 모두를 투과할 수 있다. 즉, 액정층(25)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서 광 전송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기 도전층(29)은 그 표면에 축적되고 있는 전하들을 빠르게 분산시키고, 그 결과, 패널의 동작에 불필요하고, 화질을 저하시키는 전계가 패널과 수직으로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패널 화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 표면에 분산된 상태로 배치된 ITO 입자들은 비교적 큰 굴절율, 구체적으로는 약 2의 굴절율을 갖기 때문에, 이 ITO 입자들에 입사된 광을 산란 및 반사시키고, 따라서, 전기 도전층(29) 내의 반사광의 반사에 의해서 야기되는 섬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은 최외곽 층으로서 박막을 갖지 않기 때문에, 반사광이 광 간섭(interference)을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반사광의 스펙트럼에서 파장의 분산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반사광이 착색되지 않는다.
[제 3 실시예]
도 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편광판은 액정층(40), 이 액정층(40) 상에 형성된 제1 투명 하드 코트층(41), 이 제1 투명 하드 코트층(41) 상부에 형성된 제2 투명 하드 코트층(42), 제1 투명 하드 코트층(41)과 제2 투명 하드 코트층(42) 사이에 개재된 편광층(43), 및 이 제2 투명 하드 코트층(42) 상에 형성된 아크릴계 수지층(44)을 포함한다. 이 아크릴계 수지층(44)은 전체 고형 물질의 중량에 대해 75 중량%로 분산된 ITO 입자들(45)을 함유한다. ITO 입자들(45)은 1㎛의 직경을 갖는다. 아크릴계 수지층(44)은 방현 기능과 전기 도전성을 갖는다.
이제, 제3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편광판 표면에서 산란된 ITO 입자들(45)은 편광판이 단위 면적당 8 × 108Ω의 표면 저항을 갖도록 한다. 편광판의 표면에 제공된 전기 도전성은 편광판의 표면에 축적되고 있는 전하들을 빠르게 분산시킨다. 따라서, 액정 동작에 불필요한 수직 전계를 발생하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화질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층(44)에서 분산된 ITO 입자들(45)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반사광을 산란시켜, 반사광에 의해서 야기되는 섬광의 감소를 보장한다.
도 5는 편광판에 전기 도전성을 제공하기 위해 그 표면에 박막이 형성된 종래의 편광판의 반사광 스펙트럼(52)과 비교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반사광 스펙트럼(51)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종래의 편광판의 반사광 스펙트럼(52)은 가시 광선 대역에서 극값을 갖게 되므로, 반사광은 착색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그 표면에서 박막을 갖지 않기 때문에, 편광판의 표면에서 반사된 광이 광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편광판의 반사광 스펙트럼(51)에서는 파장 분산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반사광 스펙트럼(51)은 가시 광선 대역에서 거의 평탄하므로, 반사광이 착색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상술된 편광판은 최외곽 층으로서 전기 도전층(22 및 29)이나 아크릴계 수지층(44) 위에 추가되는 층(도시 생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추가층은 전기 도전층(22 및 29)이나 아크릴계 수지층(44)이 대기 중의 먼지 등에 의해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이 추가층은 실란 플로우르 화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관련해서 상술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로, 진공 증착 및 스퍼터링과 같은 전기 도전층을 형성하는 여분의 공정들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 도전성을 갖는 편광판을 종래의 편광판에서 보다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이 편광판에 방현 효과를 부가하기 위해 편광판에 도포된 ITO 입자들이 전기 도전성을 갖게 되므로, 이 편광판은 부가적인 공정들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전기 도전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두번째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이 전기 도전층이 형성된 박막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편광판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이 착색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패널의 가시성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반사광들 간의 간섭이 편광판의 외곽 표면에 형성된 박막층에서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박막층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아, 반사광의 스펙트럼에서 파장 분산이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보장하게 되므로, 가시 광선 대역에서 스펙트럼이 거의 평탄하게 된다.

Claims (6)

  1. 편광판 표면에서 형성되고 전기 도전성과 방현 기능(glare shield function)을 갖는 단일층(22, 29, 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층(22, 29, 44)은 In2O3, SnO2, 및 In2O3와 SnO2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구성된 전기 도전 입자들(45)이 분산되는 수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들(45)은 0.1㎛ 내지 5㎛ 범위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들(45)은 전체 고형 물질의 중량에 대해 50 중량% 내지 95 중량%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층(22, 29, 44)은 단위 면적당 107Ω 내지 단위 면적당 1010Ω 범위의 표면 저항을 갖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층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단일층(22, 29, 44) 상에 형성된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KR1019980005717A 1997-02-25 1998-02-24 전기도전성방현편광판 KR100297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40698 1997-02-25
JP04069897A JP3153142B2 (ja) 1997-02-25 1997-02-25 導電性偏光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636A true KR19980071636A (ko) 1998-10-26
KR100297223B1 KR100297223B1 (ko) 2001-08-07

Family

ID=1258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717A KR100297223B1 (ko) 1997-02-25 1998-02-24 전기도전성방현편광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02460A (ko)
JP (1) JP3153142B2 (ko)
KR (1) KR1002972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329B1 (ko) * 2000-02-18 2006-06-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방식 컬러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6410A (ja) * 1999-08-18 2001-02-27 Nitto Denko Corp 拡散偏光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AU2515200A (en) 1999-09-20 2001-04-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ilms having at least one particle-containing layer
WO2001022130A1 (en) * 1999-09-20 2001-03-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ilms having at least one particle-containing layer
JP2009069847A (ja) * 1999-10-14 2009-04-0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偏光板用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
US20030089956A1 (en) * 2001-09-27 2003-05-15 Allen Richard Charles Polarization rotators, articles containing the polarization rotato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030090012A1 (en) * 2001-09-27 2003-05-15 Allen Richard Charles Methods of making polarization rotators and articles containing the polarization rotators
JP3902186B2 (ja) 2003-04-21 2007-04-04 日東電工株式会社 帯電防止型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4994567B2 (ja) * 2003-10-20 2012-08-08 日東電工株式会社 直線偏光分離フィルム、直線偏光分離積層フィルム、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液晶表示装置
KR20050120886A (ko) * 2004-06-21 2005-12-26 포항강판 주식회사 엘씨디 백라이트용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
JP4346087B2 (ja) * 2004-10-21 2009-10-14 日東電工株式会社 帯電防止性光学フィルム、帯電防止性粘着型光学フィルム、そ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714452B2 (ja) 2004-10-21 2011-06-29 日東電工株式会社 帯電防止性粘着型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4915193B2 (ja) * 2006-09-26 2012-04-11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装置、電子機器
JP2009075414A (ja) * 2007-09-21 2009-04-09 Totoku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406053B (zh) * 2008-12-25 2013-08-21 Nitto Denko Corp A laye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and a laminated system of polarizing plate
JP2013214434A (ja) * 2012-04-03 2013-10-17 Sony Corp 積層構造体の製造方法、積層構造体および電子機器
CN105467662A (zh) * 2016-01-13 2016-04-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偏光片、显示面板及显示装置
EP3541762B1 (en) 2016-11-17 2022-03-02 Cardinal CG Company Static-dissipative coating technolog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8899A (ja) * 1985-01-19 1986-07-30 日本板硝子株式会社 低反射率帯電防止板
US5783299A (en) * 1986-01-21 1998-07-21 Seiko Epson Corporation Polarizer plate with anti-stain layer
US5759643A (en) * 1987-01-16 1998-06-02 Seiko Epson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tion
US4945282A (en) * 1987-12-10 1990-07-31 Hitachi, Ltd. Image display panel having antistatic film with transparent and electroconductive properties and process for processing same
JP3078006B2 (ja) * 1990-10-12 2000-08-21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光ディスク
JPH04342202A (ja) * 1991-05-20 1992-11-27 Seiko Epson Corp ノングレアー処理方法
JP2755844B2 (ja) * 1991-09-30 1998-05-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基板液晶表示素子
JP3314965B2 (ja) * 1991-11-25 2002-08-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耐擦傷性防眩フィルム、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139822A (ja) * 1992-10-23 1994-05-20 Asahi Glass Co Ltd 透明導電膜、低反射帯電防止膜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3323563B2 (ja) * 1992-12-25 2002-09-09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導電性・低反射率コート膜付き透明材料積層体
JP3574158B2 (ja) * 1993-05-14 2004-10-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H0726223A (ja) * 1993-07-08 1995-01-27 Dainippon Printing Co Ltd 帯電防止性を有する微粘着高透明保護フィルム
JPH07159606A (ja) * 1993-12-06 1995-06-23 Sekisui Chem Co Ltd 光拡散板
JPH08510089A (ja) * 1994-03-03 1996-10-22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ネムローゼ フェン ノートシャップ 光吸収コーティングを具えた表示画面を含んでいる表示デバイス
US5520852A (en) * 1994-06-08 1996-05-28 Neste Oy Processible electrically conducting polyaniline compositions
KR100215330B1 (ko) * 1994-12-22 1999-08-16 기타지마 요시토시 복합 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329B1 (ko) * 2000-02-18 2006-06-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방식 컬러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7223B1 (ko) 2001-08-07
JP3153142B2 (ja) 2001-04-03
JPH10239521A (ja) 1998-09-11
US6002460A (en) 1999-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5300B1 (ko) 레티노이드의폴리아민중합체와의배합물
KR100297223B1 (ko) 전기도전성방현편광판
US6426785B2 (en)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0177050B1 (ko) 액정표시장치
US4443065A (en) Interference color compensation double layered twisted nematic display
US748937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8208097B2 (en) Color compensation multi-layered member for display apparatus, optical filter for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893241B1 (ko) 대체된 편광판을 가진 마이크로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239266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위상지연 보상방법
KR20080114703A (ko)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JP3544349B2 (ja) 液晶表示装置
US20070171355A1 (en) Polarize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EP0392811A2 (en) Transmiss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504482B2 (ja) カラーフィルタ
EP0556985B1 (en) Spatial light modulator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45673B1 (ko) 반사형 액정 표시 소자
CN1127672C (zh) 反射型液晶显示元件
EP1118903B1 (en) Reflectio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718864B1 (ko) 눈부심방지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장치
KR20080072179A (ko) 편광판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JPH11337734A (ja) 導電性偏光板
KR20040039559A (ko) 액정표시장치
KR20030081959A (ko) 액정 표시 장치
JP2002107703A (ja) フィルム式液晶表示素子
JPH0854630A (ja) 液晶ライトバルブ及びそれを用いた投射型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