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997A - 스프링을 구비한 접촉연결구 - Google Patents

스프링을 구비한 접촉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997A
KR19980070997A KR1019980002781A KR19980002781A KR19980070997A KR 19980070997 A KR19980070997 A KR 19980070997A KR 1019980002781 A KR1019980002781 A KR 1019980002781A KR 19980002781 A KR19980002781 A KR 19980002781A KR 19980070997 A KR19980070997 A KR 19980070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 connector
connector
fixed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0352B1 (ko
Inventor
삐에르르망
Original Assignee
뻬.르망;에스.메릴라
뒤르딸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뻬.르망;에스.메릴라, 뒤르딸에스아 filed Critical 뻬.르망;에스.메릴라
Publication of KR19980070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 H05K7/1053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interior leads
    • H05K7/1061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interior leads co-operating by abutting
    • H05K7/1069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interior leads co-operating by abutting with spring contac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접촉연결구(1)는 장치의 두 요소들 사이의 전기적 신호의 전송을 보장하도록 된 것이다. 특히,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연결구를 포함하는 커넥터(2)의 일부를 형성한다. 접촉연결구는 진동을 수용하도록 그리고 연결될 장치의 두 요소들 사이의 진동을 수용하도록 다른 부분(10)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한 부분(11)을 포함한다. 상기 두 부분들 사이의 신호전송은 한 부분(10)에 고정된 원추부와 다른 부분(11)의 슬라이딩하는 부분(16)을 통하여 수행된다. 그러한 형상구조는 낮고 균일한 값의 전기저항을 갖게 한다.

Description

스프링을 구비한 접촉연결구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커넥터에 합체되는 스프링을 구비한 접촉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1997.2.4자 출원된 유럽특허 제 97810060.0호의 내용을 참고로 본 명세서에 설명한다.
여러 가지 전자기기들에서, 특히 전자기기의 2개 부분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커넥터가 필요하며, 전자장치의 2개 부분들이 가능한한 많은 횟수로 분리되거나 함께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고정된 연결구는 적당하지 않다. 더욱이, 어떤 경우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있어서는 수백개나 되는 다수의 커넥터의 접촉연결구들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의 수가 매우 크다. 여기서 고려되는 경우는 커넥터와 같은 요소의 치수가 중요한 특징이 된다. 일반적으로, 연결될 전자소자들은 케이스에 봉합되거나 합성수지재의 플레이트에 장착된다. 제조시의 공차 때문에 이들 소자들은 대단히 많이 반복하여 결합/분리됨으로써 마모 또는 파손과 함께 커넥터의 접촉부에서 기능장애가 발생될 수 있으며, 커넥터의 어떤 접촉연결구에서는 접촉이 되지 않거나 연결될 소자의 접촉 트랙과 접촉되지 않거나 접촉이 유지되지 못하는 분제가 발생된다.
상술한 사용조건하에서도 양호한 접촉을 보장하기 위하여, 스프링을 구비하여 접촉연결구의 길이가 가변적으로 되어 어떠한 치수 하자에 대해서도 보정되어 진동중에서도 접촉압력이 유지되도록 구성된 접촉연결구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종래 기술의 스프링을 구비한 접촉연결구는 일반적으로 커넥터에 공정된 원통형의 제 1 관형부재와, 상기 제 1 관형부재의 중공부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는 피스톤 형태의 제 2 부재와 스프링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요소는 제 1 관형부재 중공부의 제 2 부재의 축방향 운동을 허용한다. 제 1 관형부재 중공부의 원통형 내측면과 제 2 피스톤부의 원통형 외측면이 슬라이드 접촉됨으로써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장치는 접촉부 직경의 제조공차에 의해서 상기 2개 부재들 사이의 접촉저항을 낮게 할 수 없다. 더욱이 접촉부의 전동이 스프링을 통해 발생하는 경우에 2개의 부재들 사이의 상대 위치를 따라 변하지 않는 낮은 접촉저항은 더 이상 보장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2개 부분들 사이의 상대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한 접촉저항값과 함께 특히 낮은 접촉저항을 보장하여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갖지 않고 길이를 조절하는 스프링수단을 포함하며, 기본적으로 커넥터에 합체되는, 여기에만 한정되지 않는 접촉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소형의 커넥터에 복수의 접촉연결구를 배치시킬 수 있도록 소형화된 접촉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특징을 갖는 스프링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연결구가 제공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비작동 상태의 접촉 연결구의 제 1실시예의 단면도.
도 1B는 작동 상태의 접촉 연결구의 단면도.
도 2A는 비작동 상태의 접촉 연결구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
도 2B는 작동 상태의 접촉 연결구의 단면도.
도 3A는 비작동 상태의 접촉 연결구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3B는 작동 상태의 접촉 연결구의 단면도
도 4는 접촉연결구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접촉연결구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6A와 도 6B는 각각 제 1실시예의 접촉연결구 일부분의 부분단면도와 정면도.
도 7A와 도 7B는 각각 다른 실시예의 접촉연결구 일부분의 부분단면도와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촉연결구 2 : 연결구 10,11 : 부분
14 : 원추부 16 : (슬라이딩하는) 부분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접촉연결구는 청구범위 제 12항에 기재된 커넥터와 함께 청구범위 제 1항에 기재된 특징들을 갖도록 구성된다. 종속항들에는 바람직한 실시예 또는 변형예가 기재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와 도 1B의 접촉연결구는 일반적으로 도면에서 일부분만 도시된 커넥터(2)에 조립된다. 상기 접촉연결구(1)는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2)에 대해 고정된 제 1부분(10)과, 제 1부분(10)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된 제 2부분(11)을 포함한다. 상기 제 1부분(10)은 원통형의 관형부(12)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형부(12)의 일단은 전자 회로 소자, 예를들어 도시된 바와같이 접합될 리드선에 연결되는 연결부(13)를 지지하고 타단은, 정점이 원통형 관형부(12)의 중공부분의 내부를 향한 원추형상의 부분(14)을 지지한다. 원추형부분(14)은 원추부에 배치된 다수의 탄성 블레이드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레이드들 각각은, 그 단부가 도 6A, 6B, 7A, 또는 7B를 참고하여 후술하는 원통형의 관형부(12)의 원형 모서리에 고정된다. 제 2부분(11)은 일단이 접촉점(15)으로 되고 타단은 관형부(12)의 중공부분의 내경보다 훨씬 작은 직경의 원통형체이다. 도면들에서 볼 수 있듯이 원통형 단부(16)는 원추부(14) 속에 도입되고 그 끝단에서 다시 빠져나오기에 충분한 길이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부분은 커넥터(2)에 형성된 관통홀(20)속에서 종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으며, 원통형의 로드(16)는 제 1 부분(10)의 원통형의 관형부(12)의 중공부분속에서 슬라이드되고, 원통형의 부분(16) 외측면에 원추부(14)를 형성하는 블레이드들의 단부 마찰에 의해 상기 2개의 부분(10, 11)들 사이에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스프링(17)은 코일 스프링이 바람직하며, 2개의 부분(10,11)들을 서로 떨어지게 하는 압력을 작용시킨다.
상기 부분(10,11)들은 도전성이 양호한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된 부분(10)은 원통형의 관형부(12)를 포함하며, 단부(13)는 예를들어 청동 또는 황동과 같은 구리합금으로 되고 주석을 얇게 도금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원추부(14)의 탄성 접촉 블레이드들 각각은 베릴륨-구리 합금, 바람직하게는 도금으로 되며, 두들기거나 접합 또는 주름지게 함으로써 관형부(12)의 단부에 고정된다. 가동부(11)는 또한 구리합금, 청동 또는 황동의 바를 얇게 입혀 형성한 다음 주석으로 도금된다. 스프링(17)이 전기 전도성을 갖도록 할 필요가 없을 때는 예를들어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스프링강을 사용한다.
도면들에서 볼 수 있듯이, 커넥터(2)는 턱(21)이 형성된 관통홀(20)을 가진다. 조립을 위하여 접촉연결구(1)는, 상기 제 2 부분의 대응되는 턱이 턱(21)과 접촉할 때까지 제 2 부분(11)의 포인트(15)를 도입함으로써 관통홀(20)속으로 도입되며, 그런다음 고정부(10)가 도입되며, 상기 고정부를 관통홀(20)속의 제위치에 유지시키도록 탄성의 또는 다른 리테이닝수단(22)이 제공된다.
도 1A는 스프링(17)이 커넥터(2)의 외부, 즉 도면에서 위쪽을 향해 접촉포인트(15)를 미는 것을 보여 준다.
도 1B에서, 전자소자(3)는 접촉요소(31)가 제공된 절연부(30)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요소(31)는 여기서 평탄한 칩으로 형성되어 커넥터(2)에 연결된다. 각각의 가동부(11)의 접촉포인트(15)는 커넥터의 내부로 약간 눌려지고, 그 단부(16)는 관형부(12)의 중공부분속으로 보다 깊이 들어가게 되며 이때 원추부(14)와 접촉이 유지된 채로 가이드된다. 접촉칩(13)과 접촉 포인트(15)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전자소자(3)로부터 커넥터(2)가 떨어진 거리, 또는 예를들어 커넥터(2)의 상면(23)과 전자소자(3)의 저면(32) 사이의 거리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으며 접촉연결구(1)는 스프링수단에 의한 진동운동거리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종래 기술에 대한 이러한 접촉연결구(1)의 주요한 장점은 고정된 부분(10)과 가동부분(11) 사이의 접촉연결은 두 부분들을 서로 떨어지게 기계적 작용을 하는 스프링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항상 동일한 접촉면을 따라 접촉되는 원추부(14)를 통해 달성되는 것이다. 이것은 전자기기가 강한 진동을 받더라도 매우 낮은 규정된 접촉저항을 갖게 한다.
도 2A와 도 2B는 접촉연결구(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접촉연결구(1)는 연결부(13A)의 형상에 대해서와 마찬가지로 접촉연결구(15A)의 형상에 대해 기재한 것과 다른 3개의 변형된 구조를 포함한다. 접촉포인트(15A)는, 연결될 전자소자(3)가 구형 캡형상의 접촉부(31A)를 포함하는 볼그리드 어레이(Ball Grid Array:BGA)형의 접촉부에 적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다. 이경우에 접촉부(31A)를 정밀하게 배치하고 양호한 접촉을 위하여 접촉포인트(15A)의 상면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2)의 접촉연결구(1)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수단도 역시 다르며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며, 홀(20)에는 지지턱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오직 탄성의 리테이닝수단(22A)이 홀(20)에 접촉연결구(1)의 고정부분(10)을 유지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부분(10,11)들을 함께 조립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원통형 로드(16)는 외주면상에 홈(16A)을 포함하며, 그속에 원추부(14)를 형성하는 스프링 블레이드들의 단부가 맞물려서 이들 두 부분들이 이격되어 떨어질 때 고정부분(10)에 대해 가동부(11)의 상대적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접촉연결구(1)가 단일 요소로서 홀(20)에 삽입되어 탄성 홀더(22A)가 향한 방향으로 커넥터(2)의 면들중 어느 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소자(3)가 커넥터(2)와 작동관계에 있고 원통형의 로드(16)가 원추부(14)속에 도입될 때, 원추부(14)의 스프링 블레이드들의 끝이 홈(16A)과 맞물리게 되며 전술한 바와같은 방법으로 원통형의 로드(16)를 따라 슬라이드된다. 접촉부분(13A)도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도시되어 있으며 인쇄회로기판의 도금된 홀에 접합되지 않고 도입되는 리드이다. 접촉연결구(1)의 다른 실시예가 도 3A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고정부(10)는 전술한 바와같이 탄성의 고정수단(22A)와 턱(21)에 의해 커넥터(2)의 홀(20)에 보지된다. 커넥터(2)의 외측 단부는 표면 실장 형태의 조립을 위하여 접합될 접촉부(13B)이다. 전술한 바와같이, 원추부(14)를 형성하는 스프링 블레이드는 원통형의 부분(12)에 고정된다. 원통형의 로드(16)가 형성된 가동부(11)는 원추부(14) 속에서 원통형의 외측면이 직접 슬라이드된다. 상기 가동부(11)는 중심에 원통형상의 수용부(11)를 포함하여 스프링(17)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17)은 고정부(10)의 원통형 부분(12)과 가동부(11)에 제공된 원통형의 수용부의 양단부(11A,12A)들 사이에서 접촉하게 되어 2개의 부분들을 서로 떨어지게 작용한다. 턱(16B)은 원통형 로드(16)의 단부상에 형성되어 상기 두 부분(10,11)들을 조립되게 한다. 가동부(11)의 접촉포인트(15B)는 도 1A와 도 1B의 접촉포인트의 것과 비슷하게 구형의 캡형태로 되어 있다.
도 4는 원추부(14)가 가동부(11)의 수용부(11A) 내측에 고정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고정부(10)는 전술한 바와같이 커넥터(2)의 수용부(20)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10)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그 속의 중간 접촉연결구(18)가 원통형 단부(18A)에 의해 공지된 수단으로 고정된다. 상기 원통형의 단부(18A)는 고정부(10)의 내부를 향해 내측으로 원추형의 연장부(18B)로 연장되어 그에 고정된 원통형 로드(16)의 외주면과 결합된다. 원통형의 로드(16)가 고정부(10)에 고정된 경우에 원추부(14)는 가동부(11)에 고정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스프링(17)은 상기 두 부분들을 멀어지게 작용하며, 그 상대적인 운동은 턱에 의해 제한된다. 도시된 경우에는 2개의 접촉포인트, 즉 가동부(11)의 접촉포인트(15B)와 고정부(10)의 중간부분(18)의 끝인 접촉포인트(13C)들은 전술한 바와같이 구형의 캡형상으로 되며, 상기 접촉포인트들은 공지된 형태로 될 수 있으나 상기 접촉포인트들중 어느 하나는 이동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접촉연결구(4)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연결구(4)의 양단부들은 커넥터(2)에 대해 가동적이다. 접촉연결구의 제 1부분(40)은 커넥터(2)의 원통형의 수용부(20)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수용부(20)의 대응하는 턱(21)에 대해 접촉하게 됨으로써 도면 하측을 향해 각각 외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된 턱(40A)을 상기 제 1 가동부분(40)은 전술한 바와같이 원통형의 관형부(41)를 포함하며, 상기 관형부의 내측단부는 전술할 것과 동일한 원추형상의 부분(42)을 포함한다. 접촉연결구의 제 2가동부분(43)은 커넥터(2)의 홀(20) 내측에 돌기 또는 가요성 수단을 사용하는 공지된 수단으로 고정된 칼라(44)의 내측면에서 슬라이드된다. 제 2 부분(43)은 한편으로는 칼라944)의 내측단부에 대하여 접촉하게 됨으로써 도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외측을 향한 이동을 제한하도록 작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프링(46)의 일단에서 가압되도록 작용하고 스프링의 타단이 원통형의 관형부(41)의 내측단부에 가압되게 작용하는 턱(45)을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제 2 가동부(43)는 원추부(42)속으로 침투하는 원통형 로드(47)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부분(40,43)들은 그 외측단부에 도 1A와 도 1B의 접촉포인트(15)와 비슷한 접촉포인트(48,49)들을 포함한다. 2개의 부분(40,43)들 각각의 접촉포인트(48,49)들은 커넥터(2)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스프링(46)의 효과에 따라 서로 근접되거나 멀어지게 될 수 있고, 부분(40)의 이격운동은 턱(21)에 대하여 턱(40A)에 의해 제한되는 한편, 부분(43)의 이격운동은 칼라(44)에 대하여 턱(45)에 의해 제한된다. 접촉연결구(4)를 수용부(20)속에 도입하기 위하여, 제 1부분(40)은 도면에서 상측의 수용부(20)의 반대쪽 단부로부터 도입된 다음 스프링(46)이 도입되고 이어서 부분(43)을 감싸는 칼라(44)가 커넥터(2)에 접촉연결구를 고정하게 된다. 그러한 접촉연결구는 특히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전자소자, 회로케이스들 또는 인쇄회로기판들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의 하나는 본 실시예를 채용할 수 있다.
도 6A와 도 6B는 각각 원추부(14),(42)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추부는 관형의 플랜지(14A)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에는 구멍(14B)이 형성되어 접촉연결구에 대응하여 수용부의 내측에 탄성작용에 의해 장착 및 고정된다. 상기 플랜지(14A)는 절두형의 원추체를 형성하는 이격된 3개의 탄성 블레이드(14C)를 포함하며, 그 단부(14D)들은 탄성작용으로 일정하게 접촉하도록 원통형 로드(16)의 것보다 근사하게 작은 직경을 형성하도록 이격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원추부(14) 또는 (42)가 도 7A와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추부는 전술한 바와같이 플랜지(14A)에 일정하게 이격되어 고정된 6개의 탄성 블레이드(14C)들로 형성된다. 탄성 블레이드(14C)들 각각의 길이는 보다 큰 직경의 원통형 로드(16)에 채용될 수 있도록 전술한 실시예의 것보다 작다. 도면들로부터 탄성 블레이드(14C)의 수와 그 길이, 폭 및 접촉연결구의 종방향 축에 대한 경사각도는 일정한 접촉을 보장하기 위하여 원통형 로드의 것보다 근사하게 작은 직경으로 이격되도록 원통형 로드(16)의 외경에 대한 함수로서 결정된다. 플랜지(14A)의 탄성수단외에 다른 고정수단이 제공되어 접촉연결구의 원추부(14)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원추부(14) 또는 (42)는 베릴륨-구리합금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도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포인트들 구조에 대한 여러 변형예의 커넥터에 접촉연결구를 고정시키는 수단, 고정부 또는 가동부의 원추부의 배치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생각되는 변형예들은 독립적이다. 예를들어 커넥터의 일측 또는 타측에 연결될 전자소자의 금속트랙과 커넥터의 접촉연결구 사이를 접하는 공지수단이 생각될 수 있으며, 이들 장치가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지에 관계없이 접촉연결구의 일단에 배치된 장치가 동일한 종류이거나 다른 종류로 될 수 있다. 커넥터의 접촉연결구의 고정부분을 고정시키는 수단은 마찬가지로 생각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 접촉연결구는 크게 감소된 치수, 예를들어 1mm 정도의 외경과 10mm 정도의 전체길이를 가질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감소된 치수를 갖는 커넥터는 하나의 접촉연결구에서 수십 mm 만큼 서로 이격된 수백개의 접촉연결구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커넥터의 잇점은, 접촉연결구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각각 접촉부가 연결될 커넥터 또는 요소의 칫수를 달리 형성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가동부 또는 부분들에 대해 스프링이 압력을 작용함으로써 장치가 진동을 받더라도 낮은 일정한 전기저항의 양호한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접촉연결구를 통한 전자신호의 전송은, 접촉연결구의 두 부분들을 이격시키는 스프링을 통해 신호전달이 없기 때문에 최적의 상태로 수행될 수 있다. 수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변형되게 도시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특별한 접속문제에 접촉연결구를 어떻게 적용할지를 갖는 어떠한 소자에도 적용되며, 2개의 전자소자들 사이에 영구적 또는 비영구적인 접촉을 보장하게 한다. 특히 전자소자를 장착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에 사용되는 소켓은 일반적인 용어의 커넥터에 포함된다.

Claims (14)

  1.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한 적어도 2개의 부분(10,11;40,43)들과 그 부분들을 이격시키는 스프링(17;46)을 포함하는 접촉연결구(1;4)에 있어서,
    제 1 부분(10;11;40)들은 원통형의 관형요소(12;41)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형요소들에는 그의 제 2 부분(11;10;43)을 향한 단부에 원추체의 정점이 관형요소의 내부를 향한 원추형상의 요소(14;42)가 제공되며, 제 2 부분(11;10;43)들은 원추형상의 요소에 도입되는 원통형 로드916;47)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로드의 단부는 원추부의 정점을 지나고, 두 부분들의 양단부들에는 연결수단(13,13A,13B,13C,15,15A,15B,48,49)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부분(10,11;40,43)들 사이의 전기신호의 전송이 원추형 요소(14;42)에 의해서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연결구.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원추형 요소(14;42)는 관형의 단부에 나란히 고정된 보구의 접촉 탄성 블레이드(14C)들로 이루어지며, 원통형 요소(12,41)는 제 2 부분을 향해 있고 상기 블레이드들의 단부(14D)들은 원통형 로드(16,47)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자유롭게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연결구.
  4.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추형 요소(14)는 커넥터(2)에 고정된 부분(10)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연결구.
  5. 제 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추형 요소(14;42)는 커넥터(2)의 가동부(11;40)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연결구.
  6.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2)를 관통하는 수용부(20)에 고정된 요소(12;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연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원통형의 관형부(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연결구.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제 2부분(43)의 가동부를 감싸는 칼라(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연결구.
  9.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통형 로드(16;47)는 접촉연결구의 두 부분(10,11)들의 상대적인 이격배치를 위하여 원추부(14;42)의 스프링 블레이드(14C)들의 원추형의 정점에 인접한 단부(14D)들을 수용하도록 된 환형의 홈(16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연결구.
  10.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연결구의 적어도 한 부분의 연결수단은 연결될 요소(3)의 접촉트랙(31,31A)에 대하여 누르도록 된 수단(15,15A,15B,48,4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연결구.
  11.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연결구의 적어도 한 부분의 연결수단은 접합, 강제삽입 또는 주름잡음에 의해 케이블 요소 또는 인쇄회로요소에 고정되도록 된 연결수단(13,13A,13B)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연결구.
  12.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접촉연결구(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연결구.
  13. 제 12항에 있어서, 하나의 연결수단(15,15A,15B,48,49)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연결구.
  14. 제 12항에 있어서, 두 개의 연결수단(48,49)들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연결구.
KR10-1998-0002781A 1997-02-04 1998-02-02 스프링을구비한접촉연결구 KR100490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7810060A EP0838878B1 (fr) 1997-02-04 1997-02-04 Pièce de contact à ressort
EP97810060.0 1997-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997A true KR19980070997A (ko) 1998-10-26
KR100490352B1 KR100490352B1 (ko) 2005-08-29

Family

ID=8230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781A KR100490352B1 (ko) 1997-02-04 1998-02-02 스프링을구비한접촉연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838878B1 (ko)
JP (1) JPH10261447A (ko)
KR (1) KR100490352B1 (ko)
AT (1) ATE176966T1 (ko)
DE (1) DE69700120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498A1 (en) * 2011-12-26 2013-07-04 Lg Innotek Co., Ltd. Connector and solar cell module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3639A1 (fr) * 1998-09-17 2000-03-24 Framatome Connectors France Contact comprenant un corps cylindrique et un element de contact monte coulissant dans ce coprs
US6159056A (en) * 1998-11-25 2000-12-12 Rika Electronics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tact assembly for interconnecting test apparatus and the like
US6462567B1 (en) 1999-02-18 2002-10-08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Self-retained spring probe
US6396293B1 (en) * 1999-02-18 2002-05-28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Self-closing spring probe
JP4450397B2 (ja) * 1999-06-03 2010-04-14 有限会社清田製作所 両端摺動型コンタクトプローブ
US7614661B1 (en) 1999-09-14 2009-11-10 Petro Technik Limited Welding socket
KR100373152B1 (ko) * 1999-11-17 2003-02-25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Ic 소켓 및 ic 시험 장치
EP1329991B1 (en) * 2000-10-26 2007-12-12 Shin-Etsu Polymer Co., Ltd. Compression type connector and the connecting structure thereof
JP3767810B2 (ja) * 2001-04-27 2006-04-19 株式会社ヨコオ スプリングコネクタ
CN1762073A (zh) * 2003-03-18 2006-04-19 信越高分子材料株式会社 压力接触保持型连接器
DE102004027902B4 (de) * 2004-06-09 2006-06-08 Ims Connector Systems Gmbh Druckkontakt, insbesondere Batterieanschlusskontakt
DE102004033864A1 (de) * 2004-07-13 2006-02-16 Era-Contact Gmbh Elektrischer Druckkontakt
US7114996B2 (en) * 2004-09-08 2006-10-03 Advanced Interconnections Corporation Double-pogo converter socket terminal
US20080009148A1 (en) * 2006-07-07 2008-01-10 Glenn Goodman Guided pin and plunger
DE102006058694B4 (de) * 2006-12-13 2011-06-16 Semikron Elektronik Gmbh & Co. Kg Leistungshalbleitermodul mit Kontaktfedern
US7862391B2 (en) 2007-09-18 2011-01-04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Spring contact assembly
DE102009050128B4 (de) 2009-10-21 2018-02-22 Era-Contact Gmbh Elektrischer Schaltkontakt
FR2971892A1 (fr) * 2011-02-22 2012-08-24 Souriau Contact electrique et ensemble connecteur a fort nombre de manoeuvres
KR200463550Y1 (ko) 2011-02-28 2012-11-09 한국전력공사 혼촉 방지가능한 소켓 접속용 주름 절연 캡
JP6013731B2 (ja) * 2011-12-27 2016-10-25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548879B (zh) * 2014-01-28 2016-09-11 Spring sleeve probe
CN104916986A (zh) * 2015-05-29 2015-09-16 吴刚 一种使用螺杆驱动电气连接的供电设备接口装置
CN106099486B (zh) * 2016-08-22 2019-11-26 深圳市华惠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可伸缩接触件
EP3764476A1 (en) * 2019-07-09 2021-01-13 Preci-Dip Sa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CN110416791A (zh) * 2019-08-29 2019-11-05 翊腾电子科技(昆山)有限公司 弹簧针连接器
KR102378111B1 (ko) * 2020-05-13 2022-03-25 한국전력공사 전선 절연장치
CN112146981B (zh) * 2020-09-11 2022-08-30 安徽誉林汽车部件有限公司 汽车悬架控制臂衬套加固件的应力测试装置及测试方法
EP4080684A1 (en) * 2021-04-20 2022-10-26 Preci-Dip Sa Piston assembly and spring-loaded contact
WO2022223474A1 (en) * 2021-04-20 2022-10-27 Preci-Dip Sa Piston assembly and spring-loaded contac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72836B3 (ko) * 1972-02-24 1975-02-14 Itt Produits Ind
US4316304A (en) * 1980-09-04 1982-02-23 Parise & Sons, Inc. Double disconnect,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fied vacuum hose for wet/dry vacuum cleaner
DE3512026A1 (de) * 1984-09-18 1986-03-27 Schaltbau GmbH, 8000 München Steckerteil fuer einen elektrischen steckverbinder
JPH01109670A (ja) * 1987-10-22 1989-04-26 Fujitsu Ltd スプリングコンタク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テストボード
JPH0412483A (ja) * 1990-04-27 1992-01-17 Kel Corp Icソケット
EP0462706A1 (en) * 1990-06-11 1991-12-27 ITT INDUSTRIES, INC. (a Delaware corporation) Contact assembly
JPH0521106A (ja) * 1991-07-09 1993-01-29 Fujitsu Ltd 耐震型コネクタ
JPH06168756A (ja) * 1992-11-30 1994-06-14 Nec Kansai Ltd コンタクトピン
JP3126892B2 (ja) * 1995-02-27 2001-01-22 株式会社ヨコオ 同軸基板間コネクタ
JPH10284158A (ja) * 1997-03-31 1998-10-23 Amp Japan Ltd 基板用電気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498A1 (en) * 2011-12-26 2013-07-04 Lg Innotek Co., Ltd. Connector and solar cell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101283115B1 (ko) * 2011-12-26 2013-07-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US10224447B2 (en) 2011-12-26 2019-03-05 Lg Innotek Co., Ltd. Connector and solar cell module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38878B1 (fr) 1999-02-24
EP0838878A1 (fr) 1998-04-29
ATE176966T1 (de) 1999-03-15
DE69700120T2 (de) 1999-10-28
JPH10261447A (ja) 1998-09-29
KR100490352B1 (ko) 2005-08-29
DE69700120D1 (de) 199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0352B1 (ko) 스프링을구비한접촉연결구
KR102631011B1 (ko) 인라인 압축 rf 커넥터
US6488512B2 (en) Device for connecting a coaxial cable to a printed circuit card
US5427535A (en) Resilient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 assemblies
US9692191B2 (en) Contact element with resiliently mounting contact points
US9780488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5420519A (en) Double-headed spring contact probe assembly
EP0197637B1 (en) Electrical circuit test probe and connector
KR101894965B1 (ko) 프로브 핀 및 ic 소켓
US888850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ual contact halves
US6561819B1 (en) Terminals of socket connector
JPS62157576A (ja) テストプロ−ブ
JP3327348B2 (ja) 表面実装型コネクタ
CN112787120A (zh) 同轴连接器及板对板连接器组件
US4943846A (en) Pin grid array having seperate posts and socket contacts
JPH10214649A (ja) スプリングコネクタおよび該スプリングコネクタを用いた装置
KR101183809B1 (ko) 검사용 동축 커넥터
US5387138A (en) Printed circuit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same
GB2121620A (en) Connectors pins for printed circuit boards
JP2004172128A (ja) 2重コンタクト電気的圧縮コネクタ
CN111293448B (zh) 压接结构的一体型弹簧针
KR100309532B1 (ko) 다수의평행핀을가진ic를지지하는ic소켓
JP2004138592A (ja) スプリングコンタクトおよびスプリングプローブ
US4036549A (en) Wire connector
US5607314A (en) Electric ada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