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720B1 -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 - Google Patents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720B1
KR100869720B1 KR1020060041750A KR20060041750A KR100869720B1 KR 100869720 B1 KR100869720 B1 KR 100869720B1 KR 1020060041750 A KR1020060041750 A KR 1020060041750A KR 20060041750 A KR20060041750 A KR 20060041750A KR 100869720 B1 KR100869720 B1 KR 100869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board
coil spring
probe
prob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2396A (ko
Inventor
신히치 나카무라
가츠아키 이시카와
히로카즈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오니시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니시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니시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2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14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the body of the probe being perpendicular to test object, e.g. bed of nails or probe with bump contacts on a rigid support
    • G01R1/07328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the body of the probe being perpendicular to test object, e.g. bed of nails or probe with bump contacts on a rigid support for testing printed circuit bo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프로브 핀을 필요한 대로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그 교환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나아가 프린트 배선판의 고실장화에도 대응할 수 있는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수용공(118) 및 장착공(122, 124)을 갖는 핀 보드(104)와, 안내공(128)을 갖는 보호 보드(106)와, 핀 보드(104)의 장착공(122, 124)에 삽입되며, 그 끝단부가 상기 보호 보드(106)의 안내공(128)을 통과하여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프로브 핀(130)과, 핀 보드(104)의 수용공(118)에 수용된 스프링 부재를 구비한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 핀 보드(104)는 고무 보드(134)를 포함하고, 고무 보드(134)의 탄성 유지부(138)가 프로브 핀(130)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유지한다.
검사 지그, 프린트 배선판, 핀 보드, 보호 보드, 로브 핀, 스프링 부재.

Description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INSPECTION FIXTURE FOR PRINTED WIRING BOAR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지그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검사 지그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검사 지그의 리드선 있는 코일 스프링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코일 스프링과 리드선 간 접속 구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프로브 핀의 코일 스프링의 받이 구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종래의 검사 지그의 대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검사 지그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부호의 설명>
102 : 검사 지그 104 : 핀 보드
106 : 보호 보드 108 : 스페이서 보드
110 : 하측 핀 보드 112, 114 : 상측 핀 보드
118 : 수용공 122, 124 : 장착공
128 : 안내공 130, 130B : 프로브 핀
132, 132A : 코일 스프링 134 : 고무 보드
138 : 탄성 유지부
본 발명은 프린트 배선판의 회로의 단락, 절연 상태 등을 검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에 관한 것이다.
프린트 배선판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 지그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의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 검사 지그는 핀 보드(2)와, 이 핀 보드(2)의 표면 측에 배열된 스페이서 보드(4)와, 스페이서 보드(4)의 표면 측에 배열된 보호 보드(6)와, 검사할 프린트 배선판의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프로브 핀체(8)를 구비하고, 프로브 핀체(8)가 핀 보드(2)에 장착되어 있다. 프로브 핀체(8)는 핀 보드(2)에 부착된 외측 슬리브(10)와, 이 외측 슬리브(10)의 내측에 배열된 내측 슬리브(12)와, 내측 슬리브(12) 내의 베이스부 측에 수용된 코일 스프링(14)과, 내측 슬리브(12) 내의 끝단 측에 수용된 프로브 핀(16)으로 구성되며, 프로브 핀(16)의 끝단 측이 보호 보드(6)에 형성된 안내공(18)을 통과하여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이 돌출 단부가 코일 스프링(14)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프린트 배선판의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검사 지그에서는 내측 슬리브(12)가 외측 슬리브(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프로브 핀(16)이 마모된 경우에 오래된 내측 슬리브(12)를 떼어내고 새 것을 부착함으로써 이 내측 슬리브(12) 및 여기에 내장된 코일 스프링(14) 및 프로브 핀(16)을 새 것으로 교환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검사 지그에서는 외측 슬리브(10)의 지름 방향 내측에 내측 슬리브(12)가 배열되고, 이 내측 슬리브(12)의 지름 방향 내측에 코일 스프링(14) 및 프로브 핀(16)이 수용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프로브 핀체(8)의 외경이 커져 최근의 프린트 배선판의 고실장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한 검사 지그도 제안된 바 있다 (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이 검사 지그는 하측 핀 보드(22)와 이 하측 핀 보드(22)의 상측에 배열된 상측 핀 보드(24)를 구비하고, 하측 핀 보드(22)에 단차진 장착공(26)이 설치되며, 이 장착공(26)에 프로브 핀(28)이 장착되고, 프로브 핀(28)의 소경 돌기부(30)가 하측 핀 보드(22)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측 핀 보드(24)에도 단차진 장착공(32)이 설치되며, 이 장착공(32)에 코일 스프링(34)이 장착되고, 코일 스프링(34)과 일체로 설치된 리드선(36)이 상측 핀 보드(24)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이러한 검사 지그에서는 프로브 핀(28) 자체가 하측 핀 보드(22)에 장착되므로 그 외경이 작아 프로브 핀(28)의 장착 밀도를 높일(바꾸어 말하면, 프로브 핀(28) 간 간격을 작게 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0-227441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검사 지그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하측 핀 보드(22)에 프로브 핀(28)을 수용하기 위한 단차진 장착공(26)을 설치하는 구성인데, 이 단차진 장착공(26)의 가공은 용이하지 않고, 검사 지그의 제작 비용이 고가가 되며, 특히 다수의 프로브 핀(28)을 장착하는 형태의 것에서는 커다란 비용 상승이 된다. 둘째, 프로브 핀(28)이 하측 핀 보드(22)의 단차진 장착공(26)에 수용되는 구성이며, 이에 따라 마모 등으로 인해 프로브 핀(28)을 새 것과 교환하는 경우, 하측 핀 보드(22)에서 상측 핀 보드(24)를 떼어내어 교환하여야 하므로, 프로브 핀(28)의 교환 작업이 매우 번잡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브 핀을 필요한 대로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그 교환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나아가 프린트 배선판의 고실장화에도 대응할 수 있는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는, 수용공 및 장착공을 갖는 핀 보드와, 상기 핀 보드의 한쪽 면 측에 배열되며, 안내공을 갖는 보호 보드와, 상기 핀 보드의 상기 장착공에 삽입되며, 그 끝단부가 상기 보호 보드의 상기 안내공을 통과하여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프로브 핀과, 상기 핀 보드의 상기 수용공에 수용되며, 상기 프로브 핀의 베이스부에 작용하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핀 보드는 상기 장착공 내에 돌출하는 탄성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유지 부재는 상기 프로브 핀의 외주면을 탄성적으로 유지하고, 상기 프로브 핀의 베이스부 측이 상기 핀 보드의 상기 장착공에 안내 유지됨과 함께, 그 끝단측이 상기 보호 보드의 상기 안내공에 안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에서는, 상기 핀 보드는 상기 수용공이 설치된 하측 핀 보드와, 상기 하측 핀 보드의 상측에 배열되며, 상기 장착공이 설치된 한 쌍의 상측 핀 보드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유지 부재는 고무 보드로 구성되며, 상기 고무 보드가 상기 한 쌍의 상측 핀 보드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에서는, 상기 한 쌍의 상측 핀 보드에 설치된 장착공의 내경은 실질적으로 같고, 상기 고무 보드의 탄성 유지부가 상기 한 쌍의 상측 핀 보드의 상기 장착공 내에 지름 방향 안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에서는, 상기 스프링 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에 리드선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에서는, 상기 스프링 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에 리드선이 전기적으로 접촉 접속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에 접촉하는 상기 리드선의 일단부가 플랜지 헤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에서는, 상기 프로브 핀은 가늘고 긴 원통형의 핀 본체와 이 핀 본체의 단부에 설치된 소경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핀 본체와 상기 소경 돌기부 사이의 어깨부가 상기 코일 스프링을 위한 스프링 받이로서 기능하고, 상기 소경 돌기부가 상기 코일 스프링의 단부 내주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 1∼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의 최선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지그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검사 지그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검사 지그의 리드선 있는 코일 스프링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검사 지그(102)는 핀 보드(104), 보호 보드(106) 및 스페이스 보드(108)를 구비하고 있다. 보호 보드(106)는 핀 보드(104)의 한쪽 면 측(도 1 및 도 2에서 상측)에 배열되며, 스페이스 보드(108)는 핀 보드(104)와 보호 보드(106)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들 보드(104, 106, 108)는 예컨대 고정용 너트 및 볼트 등을 이용하여 부착 고정된다. 한편, 보호 보드(106) 및 스페이스 보드(108)는 전기적 절연 재료로 형성된다.
도시한 핀 보드(104)는 하측 핀 보드(110)와, 이 하측 핀 보드(110)의 한쪽 면 측(도 1 및 도 2에서 상면 측)에 배열된 한 쌍의 상측 핀 보드(112, 114)와, 하측 핀 보드(110)의 다른 면 측(도 1 및 도 2에서 하면 측)에 배열된 배선 보드(116)를 구비하고, 이들 보드(110, 112, 114, 116)도 전기적 절연 재료로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측 핀 보드(110)에는 수용공(118)이 설치되고, 한 쌍의 상측 핀 보드(112, 114)에는 장착공(122, 124)이 설치되며, 스페이서 보드(108)에는 관통공(126)이 설치되고, 또한 보호 보드(106)에는 안내공(128)이 설치되어 있다. 수용공(118), 장착공(122, 124), 관통공(126) 및 안내공(128)은 횡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수용공(118), 장착공(122, 124) 및 안내공(128)의 내경은 실질적으로 같고, 관통공(126)의 내경은 수용공(118) 등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용공(118)의 내경은 장착공(122, 124) 및 안내공(128)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검사 지그(102)는 프로브 핀(130) 및 코일 스프링(132)을 더 구비하고 있다. 코일 스프링(132)은 하측 핀 보드(110)의 수용공(118) 내에 수용된다. 또한 프로브 핀(130)은 가늘고 긴 원통형의 스트레이트 형태로서, 그 외경은 전체 길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같게 형성되며, 그 베이스부 측(도 1 및 도 2에서 하부 측)이 한 쌍의 상측 핀 보드(112, 114)의 장착공(122, 124)에 수용되고, 그 끝단측은 스페이스 보드(108)의 관통공(126) 및 보호 보드(106)의 안내공(128)을 통과하여 바깥쪽(도 1 및 2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검사 지그(102)는 프로브 핀(130)을 탄성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탄성 유지 부재인 고무 보드(134)를 더 포함하고 있다. 고무 보드(134)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등의 전기적 절연성 고무 재료로 형성되며, 한 쌍의 상측 핀 보드(112, 114)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고무 보드(134)에는 프로브 핀(130)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공(136)이 설치되며, 유지공(136)을 규정하는 탄성 유지부(138)(고무 보드(134)의 일부로서, 장착공(122, 124) 내에 위치하는 부위)는 한 쌍의 상측 핀 보드(112, 114)의 장착공(122, 124) 내에 지름 방향 안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프로브 핀(130)은 그 베이스부 측의 외주면이 고무 보드(134)의 탄성 유지부 (138)에 탄성적으로 유지되며, 이 탄성 유지부(138)에 유지된 양측 부위는 한 쌍의 상측 핀 보드(112, 114)의 장착공(122, 124)에 안내 유지되고, 그 끝단측이 보호 보드(106)의 안내공(128)에 안내 유지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프로브 핀(130)의 양단부는 테이퍼 형태로 끝이 가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베이스부 측 테이퍼부의 끝단부가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32)의 단부 내에 받아들여져 그 테이퍼면이 코일 스프링(132)의 단면에 맞닿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프로브 핀(130)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화살표(P)로 나타낸 방향(도 3에서 하방)의 소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코일 스프링(132)이 압축되어 프로브 핀(130)은 축 방향 하방으로 이동하고, 또 이 힘이 해제되면 코일 스프링(1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프로브 핀(130)은 축 방향 상방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그리고, 이러한 이동 시에는 프로브 핀(130)은 한 쌍의 상측 핀 보드(112, 114)의 장착공(122, 124) 및 보호 보드(106)의 안내공(128)에 안내되어 상기 축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32)과 리드선(14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코일 스프링(132)은 고강도의 도전 금속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코일 스프링(132)으로부터 연장되는 리드선(140)은 배선 보드(116)에 형성된 도출공(142)을 통과하여 바깥쪽으로 도출되고, 이와 같이 도출된 리드선(140)의 끝단부가 배선 보드(116)에 설치된 단자부에 납땜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 고정된다. 이와 같이 리드선(140)과 일체가 된 코일 스프링(132)을 사용함으로써, 코일 스프링(132)과 리드선(140) 간 전기적 접속 불량을 없앨 수 있 다.
이 검사 지그(102)는 다음과 같이 이용된다. 즉, 검사할 프린트 배선판(144)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사 지그(1O2)의 상측에 도시하지 않은 위치 고정 지그를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 관계에 위치되어, 보호 보드(106)로부터 돌출되는 프로브 핀(130)의 끝단부를 누르도록 부착된다. 이와 같이 하면 코일 스프링(132)이 압축되고, 이 코일 스프링(1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프로브 핀(130)은 프린트 배선판(144)의 소정의 단자부에 탄성적으로 눌려져 이 단자부와 프로브 핀(130)이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속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검사 지그(102)를 사용함으로써 프린트 배선판(144)의 검사를 필요한 대로 행할 수 있다.
마모 등이 발생한 오래된 프로브 핀(130)을 새 것으로 교환하는 경우, 보호 보드(106)로부터 돌출되는 프로브 핀(130)의 끝단부를 공구(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끼우고, 끼운 상태에서 잡아 빼도록 하면 좋다. 프로브 핀(130)은 스트레이트 형태로서, 고무 보드(134)의 탄성 유지부(138)에 탄성적으로 유지되어 있을 뿐이므로, 이와 같이 잡아 뺌으로써 프로브 핀(130)을 핀 보드(104)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프로브 핀(130)을 부착할 때에는 프로브 핀(130)을 보호 보드(106)의 안내공(128)을 통과시켜 핀 보드(104)의 한 쌍의 상측 핀 보드(112, 114)의 장착공(122, 124)에 삽입하면 되며, 이와 같이 삽입함으로써 그 베이스부 측이 고무 보드(134)의 탄성 유지부(138)에 탄성적으로 유지되어 간단한 조작으로도 새로운 프로브 핀(130)을 장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검사 지그(102)의 핀 보드(104)에 하나의 프로브 핀(130)을 장착한 것에 적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의 검사 지그에서는 다수, 예컨대 1000∼5000개 정도의 프로브 핀(130)이 핀 보드(104)에 장착되고, 이와 같이 다수의 프로브 핀(130)을 장착하는 경우에서는 프로브 핀(130) 자체가 핀 보드(104)에 장착되는 구성이므로, 프로브 핀(130) 간 간격을 작게 할 수 있어 고실장화된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에 매우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코일 스프링과 리드선 간 접속 구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스프링(132A)과 리드선(140A)이 별개로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132A)은 도전 금속선으로 형성된 통상의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리드선(140A)은 예컨대 에나멜 선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부에 예컨대 프레스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플랜지 헤드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 플랜지 헤드 형상부(152)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32A)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촉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드선(140A)의 플랜지 헤드 형상부(152)가 하측 핀 보드(110)의 수용공(118) 내에 수용되고, 이 플랜지 헤드 형상부(152)로부터 연장되는 리드선(140A)이 배선 보드(116)의 도출공(142)을 통과하여 바깥쪽으로 도출되며, 플랜지 헤드 형상부(152)와 프로브 핀(130) 사이에 코일 스프링(132A)이 개재된다. 이와 같은 접속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코일 스프링(132A)과 리드선(140A)의 플랜지 헤드 형상부(152)를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촉 접속할 수 있다.
도 5는 프로브 핀의 코일 스프링의 받이 구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스프링(132A) 및 리드선(140A)의 구조는 도 4에 도시한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프로브 핀(130B)에 수정이 가해져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프로브 핀(130B)은 가늘고 긴 원통형의 핀 본체(162)를 구비하며, 이 핀 본체(162)의 일단부에 축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소경 돌기부(164)가 설치되어 있다. 소경 돌기부(164)의 외경은 핀 본체(162)의 외경보다 약간 작으며, 핀 본체(162)와 소경 돌기부(164) 사이에 어깨부(166)가 설치된다. 또한 이 소경 돌기부(164)의 외경은 코일 스프링(132A)의 내경보다 작으며, 이 소경 돌기부(164)는 코일 스프링(132A) 내에 삽입되어 그 단부 내주면을 지지한다. 한편, 소경 돌기부(164)의 끝단부는 코일 스프링(132A) 내로의 삽입이 용이해지도록 끝이 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며, 또한 핀 본체(162)의 타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끝이 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브 핀(130B)의 어깨부(166)가 스프링 받이로서 기능하고, 코일 스프링(132A)의 단부가 이 어깨부(166)에서 받쳐지므로 프로브 핀(130B)과 코일 스프링(132A)의 단부 간 접촉 지지가 안정적이며, 프로브 핀(130B)의 전술한 이동에 따른 코일 스프링(132A)의 마모가 억제된다. 또한 프로브 핀(130B)의 소경 돌출부(164)가 코일 스프링(132A)의 단부 내주면을 지지하므로, 코일 스프링(132A)의 단부에서의 좌굴의 발생이 억제되고, 이들에 의해 코일 스프링(132A)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내지 수정이 가능하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상측 핀 보드(112, 114) 사이에 고무 보드(134)를 개재시켰으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어느 한쪽의 상측 핀 보드(114)를 생략하고 상측 핀 보드(112)와 하측 핀 보드(110) 사이에 고무 보드(134)를 개재시켜도 좋으며,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상측 핀 보드(112)의 장착공(122)의 내경과 하측 핀 보드(110)의 수용공(118)의 내경을 실질적으로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에 의하면, 핀 보드는 탄성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이 탄성 유지 부재가 프로브 핀의 외주면을 탄성적으로 유지하므로, 이 프로브 핀의 축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필요한 대로 유지할 수 있고, 다수의 프로브 핀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간단한 구성으로 프로브 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브 핀의 베이스부 측이 핀 보드의 장착공에 안내 유지됨과 함께, 그 끝단측이 보호 보드의 안내공에 안내 유지되므로, 프로브 핀이 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브 핀을 예컨대 스트레이트 형태의 것으로 구성함으로써 그 교환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에 의하면, 핀 보드는 하측 핀 보드와 한 쌍의 상측 핀 보드를 구비하고, 탄성 유지 부재인 고무 보드가 한 쌍의 상측 핀 보드 사이에 배열되어 있으므로, 탄성 유지 부재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이 고무 보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에 의하면, 한 쌍의 상측 핀 보드에 설치된 장착공의 내경은 실질적으로 같고, 고무 보드의 탄성 유지부가 한 쌍의 상측 핀 보드의 장착공 내에 지름 방향 안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 탄성 유지부에 의해 프로브 핀을 안정적으로 탄성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고무 보드의 탄성 유지부의 돌출량이 적으므로, 프로브 핀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도 고무 보드의 탄성 유지부가 이 이동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경우가 거의 없어, 프로브 핀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에 의하면, 스프링 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코일 스프링에 리드선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코일 스프링과 관련된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코일 스프링과 리드선 간 전기적 접촉의 불량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에 의하면, 스프링 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코일 스프링에 접촉하는 리드선의 일단부가 플랜지 헤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코일 스프링과 리드선을 납땜 등을 하지 않고 이 플랜지 헤드 모양의 단부를 통하여 코일 스프링과 리드선을 안정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에 의하면, 프로브 핀의 핀 본체와 소경 돌기부 사이에 어깨부가 설치되고, 이 어깨부가 코일 스프링을 위한 스프링 받이로서 기능하므로, 코일 스프링의 프로브 핀에 대한 접촉 상태가 안정되어, 이에 따라 코일 스프링의 마모 등이 억제된다. 또한 프로브 핀의 소경 돌기부가 코일 스프링의 단부 내주면을 지지하므로, 부하가 작용하였을 때의 코일 스프링의 단부에서의 좌굴의 발생이 억제되고, 이들에 의해 코일 스프링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Claims (7)

  1. 수용공 및 장착공을 갖는 핀 보드와, 상기 핀 보드의 한쪽 면 측에 배열되며, 안내공을 갖는 보호 보드와, 상기 핀 보드의 상기 장착공에 삽입되며, 그 끝단부가 상기 보호 보드의 상기 안내공을 통과하여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프로브 핀과, 상기 핀 보드의 상기 수용공에 수용되며, 상기 프로브 핀의 베이스부에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핀 보드는 상기 수용공이 설치된 하측 핀 보드와, 상기 하측 핀 보드의 상측에 배열되며, 상기 장착공이 설치된 한 쌍의 상측 핀 보드와, 상기 한 쌍의 상측 핀 보드 사이에 배열된 탄성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상측 핀 보드의 상기 장착공, 상기 하측 핀 보드의 상기 수용공 및 상기 보호 보드의 상기 안내공의 내경은 같고, 상기 탄성 유지 부재가 고무 보드로 구성되고, 상기 고무 보드의 탄성 유지부가 상기 한 쌍의 상측 핀 보드의 상기 장착공 내에 지름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기 프로브 핀은 가늘고 긴 원통형의 스트레이트 형태이고, 상기 프로브 핀의 베이스부에는 끝이 가는 테이퍼부가 설치되어, 상기 테이퍼부가 상기 코일 스프링의 단부에 받아들여져 있고,
    상기 고무 보드의 상기 탄성 유지부는 상기 프로브 핀의 외주면을 그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탄성적으로 유지하고, 상기 프로브 핀의 베이스부 측이 상기 한 쌍의 상측 핀 보드의 상기 장착공에 안내 유지됨과 동시에 그 끝단 측이 상기 보호 보드의 상기 안내공에 안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에 리드선이 전기적으로 접촉 접속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에 접촉하는 상기 리드선의 일단부가 플랜지 헤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핀은 가늘고 긴 원통형의 핀 본체와 이 핀 본체의 단부에 설치된 소경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핀 본체와 상기 소경 돌기부 사이의 어깨부가 상기 코일 스프링을 위한 스프링 받이로서 기능하고, 상기 소경 돌기부가 상기 코일 스프링의 단부 내주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핀은 가늘고 긴 원통형의 핀 본체와 이 핀 본체의 단부에 설치된 소경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핀 본체와 상기 소경 돌기부 사이의 어깨부가 상기 코일 스프링을 위한 스프링 받이로서 기능하고, 상기 소경 돌기부가 상기 코일 스프링의 단부 내주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
KR1020060041750A 2005-12-12 2006-05-10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 KR1008697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57718 2005-12-12
JP2005357718A JP4448086B2 (ja) 2005-12-12 2005-12-12 プリント配線板の検査治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396A KR20070062396A (ko) 2007-06-15
KR100869720B1 true KR100869720B1 (ko) 2008-11-21

Family

ID=38165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750A KR100869720B1 (ko) 2005-12-12 2006-05-10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48086B2 (ko)
KR (1) KR100869720B1 (ko)
CN (1) CN1982896B (ko)
TW (1) TWI3237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6532A (ja) * 2007-07-31 2009-02-19 Koyo Technos:Kk 検査冶具および検査装置
WO2009016746A1 (ja) * 2007-08-01 2009-02-05 Elia Co., Ltd. コンタクタ及びインターフェース組立体
JP4901811B2 (ja) * 2008-05-27 2012-03-21 ミツイ精密株式会社 電気的コネクタ、カメラレンズ及びカメラ
JP5226429B2 (ja) * 2008-08-25 2013-07-03 大西電子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の検査治具
KR101522723B1 (ko) * 2013-10-28 2015-06-01 김철군 반도체 테스트 소켓의 핀장치
CN105842490A (zh) * 2016-05-25 2016-08-10 国家电网公司 继电保护端子排防损害装置
JP6710808B2 (ja) * 2017-03-30 2020-06-17 日本発條株式会社 プローブホルダおよびプローブユニット
KR101911496B1 (ko) * 2018-04-13 2018-12-28 황동원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 소켓장치
KR102413287B1 (ko) * 2020-10-21 2022-06-27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테스트 소켓
CN112305394B (zh) * 2020-11-06 2021-04-27 法特迪精密科技(苏州)有限公司 探针承插件及探针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8236A (ja) * 1992-11-09 1994-05-27 Nhk Spring Co Ltd 導電性接触子
JPH07294552A (ja) * 1994-04-26 1995-11-10 Onishi Denshi Kk プリント配線板の導通検査治具
JP2002277501A (ja) 2001-03-16 2002-09-25 Ibiden Co Ltd 導通検査治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44377A (ko) * 2002-11-19 2004-05-28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고주파 소자용 검사 치구 및 이 치구에 채용된 접촉 프로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6033B1 (en) * 1998-07-10 2003-04-29 Nhk Spring Co., Ltd. Electroconductive contact unit assembly
CN2502280Y (zh) * 2001-08-13 2002-07-24 吴志成 可提高测试密度的治具
CN2677944Y (zh) * 2003-12-03 2005-02-09 陈嘉隆 检测电路板的治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8236A (ja) * 1992-11-09 1994-05-27 Nhk Spring Co Ltd 導電性接触子
JPH07294552A (ja) * 1994-04-26 1995-11-10 Onishi Denshi Kk プリント配線板の導通検査治具
JP2002277501A (ja) 2001-03-16 2002-09-25 Ibiden Co Ltd 導通検査治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44377A (ko) * 2002-11-19 2004-05-28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고주파 소자용 검사 치구 및 이 치구에 채용된 접촉 프로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396A (ko) 2007-06-15
CN1982896B (zh) 2012-01-11
JP4448086B2 (ja) 2010-04-07
CN1982896A (zh) 2007-06-20
TWI323785B (en) 2010-04-21
TW200722759A (en) 2007-06-16
JP2007163217A (ja)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720B1 (ko)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 지그
KR100490352B1 (ko) 스프링을구비한접촉연결구
KR101674998B1 (ko) 커넥터
KR101951705B1 (ko) 포고 핀 및 포고 핀의 배열을 구현하는 검사용 소켓
KR100797901B1 (ko) 스위치부착 동축 커넥터
JP5618729B2 (ja) コンタクトプローブ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回路試験装置
US20100007365A1 (en) Socket for double ended probe, double ended probe, and probe unit
WO2011096067A1 (ja) 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US20100248558A1 (en) Probe Connector
TW201737563A (zh) 彈簧接觸銷
CN110581085A (zh) 一体型弹簧针
CN113167817A (zh) 探针
KR101183809B1 (ko) 검사용 동축 커넥터
KR101645450B1 (ko) 반도체 칩 검사용 커넥터핀
KR20210104660A (ko) 검사용 지그 지지구, 지지구 및 검사용 지그
KR101808856B1 (ko) 절연체를 구비한 프로브 핀
JP2009288156A (ja) 検査用ソケット
JP6317557B2 (ja) 取付部材およ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US7008242B2 (en) Conductive clip
JP2010107434A (ja) 接触子
JP5226429B2 (ja) プリント配線板の検査治具
KR101508147B1 (ko) 전기적 신호전달용 접점 스프링이 구비된 센서모듈
KR101442470B1 (ko) 전기적 신호전달용 탄성 연결체가 구비된 센서모듈
KR101352619B1 (ko) 전기적 신호전달용 접점 스프링이 구비된 센서모듈
KR101715744B1 (ko) 전자부품 검사용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