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381A -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381A
KR19980070381A KR1019980000181A KR19980000181A KR19980070381A KR 19980070381 A KR19980070381 A KR 19980070381A KR 1019980000181 A KR1019980000181 A KR 1019980000181A KR 19980000181 A KR19980000181 A KR 19980000181A KR 19980070381 A KR19980070381 A KR 19980070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xchange resin
anion exchange
silica
cation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0359B1 (ko
Inventor
오타카히데오
마쯔시다노부히로
Original Assignee
다케토시가즈오
구리타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토시가즈오, 구리타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토시가즈오
Publication of KR19980070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3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9/00Cation exchange; Use of material as cation 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 cation exchange properties
    • B01J39/04Processes using organic exchan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9/00Cation exchange; Use of material as cation 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 cation exchange properties
    • B01J39/04Processes using organic exchangers
    • B01J39/05Processes using organic exchangers in the strongly acidic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1/00Anion exchange; Use of material as anion 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 anion exchange properties
    • B01J41/04Processes using organic exchangers
    • B01J41/05Processes using organic exchangers in the strongly basic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02F2001/42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using anionic exchan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02F2001/42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using cation exchan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 C02F2103/023Water in cooling circu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8Corrosion inhib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양이온 교환 수지로 Ca 이온을 제거하는 동시에, 음이온 교환 수지로 실리카 및 부식성 이온을 제거한다. 음이온 교환 수지의 실리카 관류점 이후 또는 양이온 교환 수지의 Ca 이온 관류점 이후에도 실리카 농도 또는 Ca 이온 농도의 평균치가 소정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물의 공급을 계속한다. 관류점 이전의 처리수와 관류점 이후의 처리수를 공급함으로써, 1탑의 음이온 교환탑 또는 양이온 교환탑으로, 적당한 실리카 농도 또는 Ca 이온 농도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
본 발명은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계의 보급수 또는 보유수를 이온 교환 처리함으로써, 부식 방지성 이온을 적당한 농도로 유지한 후 부식성 이온을 제거하므로써 수계에서의 탄소강, 스테인레스강, 구리, 구리합금 등의 금속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동시에, 실리카계 스케일 및 탄산칼슘계 스케일의 생성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방, 밀폐 순환 냉각수계, 축열수계, 밀폐 냉온수계 등의 담수계에서 사용되는 각종 기기나 배관 등의 기초재로서, 탄소강, 스테인레스강, 구리, 구리합금 등이 사용되고 있다. 담수중에 침지 사용되고 있는 이들 기초재는 보급수로부터 반입되는 염화물 이온(Cl-), 황산 이온(SO4 2-) 등에 의해 부식되며, 국부적 부식을 발생시킨다. 그래서, 이러한 담수계와 접하는 금속재의 부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종래, 수계의 물을 부식 방지성 음이온을 가진 음이온 교환 수지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저분자량 중합체를 첨가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6-158364 호).
이 방법은 Cl, SO4 2-등의 수중 부식성 이온을 OH­, HCO3 -등의 부식 방지성 음이온을 가진 음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시켜 음이온 교환함으로써, 수중의 부식성 이온 농도가 저감하여, 수계의 부식성이 완화된다. 또한, 저분자량 중합체의 피막 형성 촉진 작용에 의해, 음이온 교환으로 용출한 HCO3 -등과 수계 유래의 Ca2+등이 금속 표면에 부식 방지 피막을 형성하여, 금속의 부식은 보다 더 확실하게 억제된다.
또한, 이러한 수계의 부식 방지 처리에 있어서, 음이온 교환 수지로서 재생이 용이한 OH-형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또는 CO3 2-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수계로의 보급수 또는 수계의 보유수를 pH 5 이하로 조정한 후, 음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시키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공보 7-316852 호).
그런데, 이러한 수계의 부식 방지 처리에 있어서, Ca 이온 및 실리카는 부식 방지성 피막을 형성하는 부식 방지성 이온으로서 작용하는 반면, 스케일 생성 성분이기도 하므로, 이들은 수계내에 적당량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 요망된다.
예컨대, 실리카는 냉각수계등에 있어서는 30∼150 mg/L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고(단, 실리카계 스케일의 방지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한치는 400 mg/L임), 실리카 농도가 30 mg/L 미만이면 부식 방지성 피막의 형성에 실리카 성분이 부족하여, 부식 방지성이 저하된다. 실리카 농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부식 방지성은 향상되는 반면 규산마그네슘을 주체로 하는 실리카계 스케일이 생성되어 스케일 장해를 초래한다. 따라서, 5배 농축으로 운전하고 있는 냉각수계에서는, 보급수 실리카 농도는 30 mg/L(=150÷5) 이하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C1-또는 SO4 2-등의 부식성 이온을 음이온 교환 수지로 제거하는데 있어서, 부식성 이온의 제거능은 있지만, 실리카의 제거능은 없는 HCO3형 음이온 교환 수지와 부식성 이온 및 실리카의 제거능을 갖는 OH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를 병용하여, 양자의 음이온 교환 수지의 처리수를 적당한 비율로 수계에 공급함으로써, 수계의 실리카 농도를 적당한 농도로 제어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9-176872 호). 이 방법은 구체적으로 HCO3형 음이온 교환 수지의 음이온 교환탑과 OH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의 음이온 교환탑을 병렬 배치하여, 각 탑으로의 통수량(通水量)을 제어함으로써 실시된다.
한편, Ca 이온도 부식 방지성 피막의 형성에 유용하고, 부식 방지성면에서는 그 농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Ca 이온 농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칼슘계 스케일을 생성하여 스케일 장해를 초래한다.
이 때문에, Ca 이온 농도는, 칼슘염, 예컨대 탄산칼슘의 과포화 상태로 스케일이 생성되지 않는 범위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과포화도는 수계의 M-알칼리도, 스케일 방지제의 유무, 스케일 방지제의 종류 및 양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에, Ca 이온 농도의 상한치는 일률적으로 설정하는 것은 곤란하며, 적용하는 수계마다 목표로 하는 Ca 이온 농도를 설정한다.
이 Ca 이온의 제거에 관하여,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7-316852 호에는 pH 5 이하로 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양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하면, M 알칼리 성분도 제거되기 유리한 취지의 기재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6-158364 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7-316852 호에 기재한 방법에서는 수계의 실리카 농도를 적당한 농도로 유지하기 위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부식 방지성 피막 형성을 위한 실리카가 부족할 우려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9-176872 호에 기재한 방법에서는 수계의 실리카 농도를 적당한 농도로 유지할 수 있지만, 이 방법은 2개의 음이온 교환탑을 설치할 필요가 있고, 장치의 대형화, 재생을 위한 수고나 약제량, 배수량 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동일하게, 양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하여 Ca 이온을 제거하고, 수계내의 Ca 이온 농도를 적당한 농도로 유지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우회(bypass) 배관을 설치하는 등으로, 양이온 교환탑을 통수하는 물과 양이온 교환탑을 통수하지 않은 물과의 비율을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장치나 조작이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방법으로 부식성 이온의 제거 및 실리카와 Ca 이온의 일부 제거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음이온 교환탑(2a,2b)과 1개의 양이온 교환탑(1a) 및 우회 배관(1b)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수계의 보급수 또는 보유수를 이온 교환 처리하여 부식성 이온을 제거함으로써 수계의 부식성을 저감하는 동시에, 실리카 및/또는 Ca 이온을 제거하여 수계내의 실리카 농도 및/또는 Ca 이온 농도를 적당한 농도로 제어함으로써, 스케일 장해를 방지한 후 수계의 부식 방지성을 높이는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에 있어서, 이온 교환을 위한 장치를 소형화하고, 재생을 위한 수고나 약제량, 배수량 등을 저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 1b 및 1c는 본 발명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3에서 이용한 실험실용(pilot) 시험 장치의 계통도이다.
도 3a는 음이온 교환탑의 채수량(採水量)과 처리수중의 실리카 및 Cl-이온 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b는 양이온 교환탑의 채수량과 처리수의 칼슘 경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종래 방법을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양이온 교환 수지
2A : OH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2B : HCO3형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1 : 양이온 교환탑
2 : 음이온 교환탑
4A : 보유수조
5 : 열 교환기
6 : 테스트피스 칼럼
11,12,13,14,15,16,17,18 : 배관
P1,P2,P3: 펌프
본 발명의 제 1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은 수계에 공급하는 물 또는 수계에서 취출한 물을 OH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시켜 부식성 이온을 제거한 후, 상기 수계에 공급하는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으로서,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가 실리카 관류점에 도달한 후에도,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하여 수득되는 물의 실리카 농도가 소정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다시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한 물을 상기 수계로 계속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은 수계에 공급하는 물 또는 수계에서 취출한 물을 양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시킨 후, 음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시켜 부식성 이온을 제거하고, 이어서 상기 수계에 공급하는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으로서, 상기 양이온 교환 수지가 Ca 이온 관류점에 도달한 후에도, 상기 양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하여 수득되는 물의 Ca 이온 농도가 소정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다시 상기 양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한 물을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로 계속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은 수계에 공급하는 물 또는 수계에서 취출한 물을 양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시킨 후, OH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시켜 부식성 이온을 제거하고, 이어서 상기 수계에 공급하는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으로서,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가 실리카 관류점에 도달한 후에도,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하여 수득되는 물의 실리카 농도가 소정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다시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한 물을 상기 수계로 계속 공급하며, 상기 양이온 교환 수지가 Ca 이온 관류점에 도달한 후에도, 상기 양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하여 수득되는 물의 Ca 이온 농도가 소정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다시 양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한 물을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로 계속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이온 교환 수지로 부식성 이온 및 실리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실리카의 이온 교환능을 갖는 OH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를 충전한 음이온 교환탑을 이용하지만, 이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이온 교환 수지의 재생후, 통수 개시 초기에 있어서는, 실리카 및 Cl-이온 등의 부식성 이온이 음이온 교환되어 음이온 교환 수지에 포착되기 때문에, 처리수의 실리카 농도 및 C1-이온 농도는 낮다. 그러나, 통수를 계속하여 음이온 교환 수지의 이온 교환 용량을 초과하면 실리카가 유출되게 된다. 이 점을 「실리카 관류점」이라 일컫는다. 단, C1-이온이나 SO4 2-이온 등의 부식성 이온은 실리카 보다 유출되기 어렵기 때문에, 처리수중의 이들 부식성 이온의 농도는 낮다. 일반적으로, Cl-이온의 관류점에 이르는 채수량은 실리카의 관류점에 이르는 채수량의 1.5배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 동안의 물은 수계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에서, 상기 실리카 관류점 이후에도, 부식성 이온의 유출전이면, 재생후의 음이온 교환탑에서 채취한 모든 처리수의 평균 실리카 농도(도 3a의 점선으로 도시되는 농도)가 허용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실리카가 유출된 음이온 교환 처리수를 수계에 공급한다. 이렇게 하므로써 1개의 음이온 교환탑으로, 부식성 이온을 함유하지 않고, 또한, 적당한 실리카 농도의 물을 수계에 공급할 수 있으며, 수계의 실리카 농도를 적당한 농도로 유지함으로써, 스케일 장해를 방지한 후 부식 방지성을 높일 수 있다.
동일하게, 양이온 교환 수지로 Ca 이온을 제거하는 경우에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이온 교환 수지의 재생후, 통수 개시 초기에 있어서는, Ca 이온은 양이온 교환되어 양이온 교환 수지에 포착되기 때문에 처리수의 칼슘 경도는 낮다. 그러나, 통수를 계속하여 양이온 교환 수지의 이온 교환 용량을 초과하면 Ca 이온이 유출되게 된다. 이 점을 「Ca 이온 관류점」이라 일컫는다.
본 발명의 제 2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에서, 상기 Ca 이온 관류점 이후에도, 재생후의 양이온 교환탑에서 채취한 모든 처리수의 평균 칼슘 경도(도 3b의 점선으로 도시되는 농도)가 허용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Ca 이온이 유출된 양이온 교환 처리수를 수계에 공급한다. 이렇게 하므로써 1개의 양이온 교환탑으로, 적당한 Ca 이온 농도의 물을 수계에 공급할 수 있고, 수계의 Ca 이온 농도를 적당한 농도로 유지함으로써, 스케일 장해를 방지한 후 부식 방지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을 조합함으로써, 양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1b 및 1c는 본 발명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수계로의 보급수 또는 수계의 보유수(이하 「원수(原水)」라 약칭함)를 이온 교환 처리하여, 부식성 이온과 실리카 및/또는 Ca 이온의 일부를 제거하여 수계에 공급하는 방법이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Ca 이온은 양이온 교환 수지로 제거되고, 부식성 이온은 HCO3형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또는 OH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로 제거되며, 실리카는 OH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로 제거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원수의 수질에 따라서, 예컨대, 다음과 같은 이온 교환 처리를 행한다.
(i) 원수의 실리카 농도가 높고, 칼슘 경도가 낮으며, 원수중의 실리카의 일부와 부식성 이온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를 OH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2A를 충전한 음이온 교환탑(2)에만 통수하며, 처리수를 수계에 공급한다.
(ii) 원수의 실리카 농도가 낮고, 칼슘 경도가 높으며 , 원수중의 Ca 이온의 일부와 부식성 이온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를 양이온 교환 수지 1A를 충전한 양이온 교환탑(1) 및 HCO3형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2B를 충전한 음이온 교환탑(2)에 순차적으로 통수하여 처리수를 수계에 공급한다.
(iii) 원수의 실리카 농도 및 칼슘 경도가 높고, 원수중의 실리카 및 Ca 이온의 일부와 부식성 이온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를 양이온 교환 수지 1A를 충전한 양이온 교환탑(1) 및 OH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2A를 충전한 음이온 교환탑(2)에 순차적으로 통수하여 처리수를 수계에 공급한다.
또, 상기 (i)∼(iii)에 있어서, 「실리카 농도 또는 칼슘 경도가 낮다」는 수계에 있어서 스케일이 생성되지 않은 농도를 의미하고, 「실리카 농도 또는 칼슘 경도가 높다」는 수계에 있어서 스케일이 생성되는 농도를 의미한다. 단, 이 농도는 농축 운전을 행하고 있는 수계에서는 그 농축도를 고려한 값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케일의 생성에 이르지 않은 수계로의 공급수의 실리카 농도 및 칼슘 경도의 상한치를 미리 설정해 두고(이하, 이 값을 「실리카 설정치」 또는 「Ca 이온 설정치」라고 약칭함), 상기 (ii), (iii)의 이온 교환 처리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탑의 양이온 교환 수지가 Ca 이온 관류점에 도달하여, Ca 이온이 유출되게 된 후에도, 해당 양이온 교환탑에서의 모든 유출물의 칼슘 경도의 평균치, 즉, 재생후의 통수 개시로부터 그 시점까지 양이온 교환탑에서 유출된 모든 유출물에 대해서 구한 칼슘 경도의 평균치가 Ca 이온 설정치 이하이면, 양이온 교환탑의 채수를 계속한다. 그리고, 이 평균치가 Ca 이온 설정치를 초과하게 된 시점에서 양이온 교환탑의 채수를 정지하여 양이온 교환 수지를 재생한다.
동일하게, 상기 (i), (iii)의 이온 교환 처리에 있어서, 음이온 교환탑의 음이온 교환 수지가 실리카 관류점에 도달하여, 실리카가 유출되게 된 후에도, 해당 음이온 교환탑에서의 모든 유출물의 실리카 농도의 평균치, 즉, 재생후의 통수 개시로부터 그 시점까지 음이온 교환탑에서 유출된 모든 유출물에 대해서 구한 실리카 농도의 평균치가 실리카 설정치 이하이면, 음이온 교환탑의 채수를 계속한다. 그리고, 이 평균치가 실리카 설정치를 초과하게 된 시점에서 음이온 교환탑의 채수를 정지하여 음이온 교환 수지를 재생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수계에 공급되는 물은, 실리카 농도 및/또는 칼슘 경도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승하는 농도 변화를 갖게 되고, 채수의 말기에서는 스케일 장해에 이르는 실리카 농도 또는 칼슘 경도의 물이 공급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냉각수계의 보유수(순환수)의 체류 시간은 30∼300 시간 정도로 길고, 한편, 통상의 이온 교환 수지의 재생 사이클(통수 계속 시간)은 수 시간 정도이며, 수계에 공급된 이러한 농도 변화를 갖는 물은 수계내에서 충분히 혼합된 상태로 간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음이온 교환탑 또는 양이온 교환탑에서의 유출물의 실리카 농도 또는 칼슘 경도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하여도 아무런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음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실리카의 제거에 있어서, 음이온 교환 수지가 실리카 관류점에 도달할 때까지는, 실리카를 거의 함유하지 않은 음이온 교환탑 유출물을 수계에 공급하고, 음이온 교환 수지가 실리카 관류점에 도달하여, 음이온 교환탑 유출수중에 실리카가 함유되게 되어도 다시 수계로의 공급을 계속하며, 이 실리카 관류점 이전의 유량과 실리카 관류점 이후의 유량과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달리 표현하면, 실리카 관류점 이후의 채수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수계에 공급하는 음이온 교환탑 유출물의 실리카 농도의 평균치를 실리카 설정치 이하로 억제한다. 이것에 의해 실리카계 스케일에 의한 스케일 장해를 방지한 후, 부식 방지성 피막의 형성에 유효한 실리카를 수계내에 존재시킬 수 있게 된다.
동일하게,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Ca 이온의 제거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 수지가 Ca 이온 관류점에 도달할 때까지는, Ca 이온을 거의 함유하지 않은 양이온 교환탑 유출물을 수계에 공급하고, 양이온 교환 수지가 Ca 이온 관류점에 도달하여, 양이온 교환탑 유출수중에 Ca 이온이 함유되게 되어도 다시 수계로의 공급을 계속하며, 이 Ca 이온 관류점 이전의 유량과 Ca 이온 관류점 이후의 유량과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달리 표현하면, Ca 이온 관류점 이후의 채수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수계에 공급하는 양이온 교환탑 유출물의 Ca 이온 농도의 평균치를 Ca 이온 설정치 이하로 억제한다. 이것에 의해 칼슘계 스케일에 의한 스케일 장해를 방지한 뒤에, 부식 방지성 피막의 형성에 유효한 Ca 이온을 수계내에 존재시킬 수 있게 된다.
음이온 교환탑 유출물의 실리카 농도의 평균치가 실리카 설정치에 도달했을 때에는, 음이온 교환탑의 채수를 정지하고, 1∼10 중량% 정도의 NaOH 수용액등의 알칼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OH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를 재생한다.
또, 부식성 이온의 제거에 이용하는 HCO3형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는 1∼8 중량% 정도의 NaHC03수용액을 이용하여 재생한다.
한편, 양이온 교환탑 유출물의 칼슘 경도의 평균치가 Ca 이온 설정치에 도달했을 때에는, 양이온 교환탑의 채수를 정지하고, 1∼10 중량% 정도의 HCl 수용액 등의 산수용액을 이용하여 양이온 교환 수지를 재생한다.
그런데, 이온 교환 수지의 재생에 있어서, 해당 이온 교환 수지를 100% 완전하게 재생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재생제를 필요로 한다. 즉, 이온 교환 수지의 재생에 있어서, 완전 재생의 40∼60% 정도의 재생 수준까지는 사용한 재생제의 양과 이온 교환 수지의 재생율이 거의 비례하고 있지만, 재생 수준이 그 이상 높아지면 재생 효율은 매우 나빠지게 되어, 필요로 하는 재생제의 양이 현저히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온 교환 수지의 재생 수준을 재생 효율이 높은 완전 재생의 40∼60% 정도에서 멈추며, 재생제의 양 또는 재생 시간을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도 1b,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이온 교환탑과 음이온 교환탑을 직렬로 배치하여 처리하는 경우, 양이온 교환탑의 재생 사이클과 음이온 교환탑의 재생 사이클이 동일해지도록, 각 이온 교환 수지의 재생 수준을 조절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는 양이온 교환탑 및/또는 음이온 교환탑의 재생 수준과 재생 사이클을 조정하는 것 만으로, 2개의 음이온 교환탑을 병렬 배치하거나, 우회 배관을 설치하지 않고, 부식성 이온을 함유하지 않으며, 또한 실리카 및/또는 Ca 이온의 일부를 제거하여 그 농도를 적당한 농도로 조정한 물을 수계에 공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계의 부식 및 스케일의 방지에 있어서, 장치의 소형화, 간이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재생 조작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음이온 교환탑 및/또는 양이온 교환탑의 유출물은 일단 저장조에 받고나서 수계에 공급하여도 좋다. 또한, 채수의 정지 시기는 수계의 실리카 농도 또는 칼슘 경도의 측정치에 기인하여 결정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시 스케일 방지제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이용하는 스케일 방지제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 공지의 폴리아크릴아미드의 부분 가수분해물 등의 실리카계 스케일 방지제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수계의 보유수 양에 대하여 1∼100 mg/L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무기 인산염(정인산염이나 중합인산염)이나 유기 인산에스테르, 포스폰산류, 아연, 니켈염, 텅스텐산염, 몰리브덴산염, 아질산염, 붕산염, 규산염, 옥시카르복시산염, 벤조트리아졸, 머캅토벤조티아졸 등의 부식 방지제나, 전술한 바와 같이, 리그닌 유도체, 탄닌산류, 전분 등의 다당류 등의 스케일 방지제 등을 병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일본 특허 특허 공개 공보 평성 6-158364 호에 기재한 방법과 동일하게, 물에 저분자량 중합체를 첨가하여도 좋다. 저분자량 중합체의 첨가에 따라, 이온 교환으로 수중에 용출된 OH­, HCO3 -등의 부식 방지성 음이온과 수계 유래의 Ca2+, SiO2등의 부식 방지성 성분과의 균일한 부식 방지 피막의 형성이 촉진되며, 부식이 보다 더 확실하게 억제된다.
이 경우, 저분자량 중합체로서는, 분자량 500∼100,000, 특히 1000∼20,000 정도의 수용성 중합체, 구체적으로, 말레산-이소부틸렌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의 부분 가수분해물, 아크릴산-알릴옥시-2-히드록시프로판설폰산 공중합체, 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아미드와 알릴설폰산 공중합체, 아크릴산-말레산 공중합체, 아크릴산-스틸렌 공중합체, 아크릴산-스틸렌설폰산 공중합체, 폴리말레산, 폴리스틸렌설폰산, 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 폴리이타콘산, 아크릴산-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산-비닐설폰산 공중합체, 메틸비닐에테르-말레산 공중합체등 공지의 저분자량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저분자량 중합체의 첨가량은 원수의 수질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통상의 경우, 보유수에 대하여 0.1∼500 mg/L이다.
또, 저분자량 중합체의 첨가 시기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의 경우,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처리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은, 부식성 이온으로서 C1-, SO4 2-와 실리카 및/또는 Ca 이온을 함유하는 수계, 예컨대 담수계로서, 물이 농축되는 수계의 부식 방지에 매우 유효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원수 A, B, C의 수질은 하기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원수 pH M 알칼리도 (mg/L) 전체 경도(mg/L) 칼슘 경도 (mg/L) 실리카 Cl-이온 (mg/L) SO4 2-이온 (mg/L)
A 7.2 53 61 41 30 29 25
B 7.8 56 67 37 7 47 20
C 7.6 64 31 19 76 5 4
실시예 1
도 2에 도시된 실험실용 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스케일 방지 효과, 부식 방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2에 있어서, 1은 양이온 교환탑, 2는 음이온 교환탑, 3은 원 수조, 4는 냉각탑, 5는 열교환기, 6은 테스트피스 컬럼, 7은 스케일 방지제 저장조이다.
원수는 펌프(P1)에 의해, 배관(11), 양이온 교환탑(1), 배관(12), 음이온 교환탑(2) 및 배관(13)을 거쳐서 냉각탑(4)의 보유수조(4A)에 보급된다. 이 보유수조(4A)에는, 스케일 방지제 저장조(7)의 스케일 방지제가 펌프(P2)에 의해 배관(14)을 거쳐서 첨가되어 있다. 냉각수는 수조(4A)에서, 펌프(P3)에 의해, 배관(15), 열교환기(5), 배관(16), 테스트피스 컬럼(6), 배관(17)을 거쳐서 순환된다. 이 순환수의 일부는 배관(18)으로부터 계 외부로 블로우(blow)된다.
양이온 교환탑(1)에는 양이온 교환 수지 500 m1를 충전하고, 음이온 교환탑(2)에는 음이온 교환 수지 500 m1를 충전하였다. 열교환기(5)의 열교환 튜브에는 시판되고 있는 탄소강 튜브(STB340, 외경 19 mm, 두께(실측치) 2.2 mm)를 2개 이용하였다. 테스트피스는 탄소강으로 만든 테스트피스(SPCC, 30 mm × 50 mm × 1 mm)였다. 스케일 방지제로서는 폴리말레산을 이용하였다.
이 냉각수계의 운전 조건은 다음과 같다.
보급수량: 22 L/시간
보유수량: 300 L
순환수량: 10.6 L/시간
블로우수량: 3 L/시간
순환수의 열교환기 입구 온도: 30℃
순환수의 열교환기 출구 온도: 50℃
스케일 방지제 첨가량: 15 mg/L
농축 배수: 7배
원수는 표 1의 원수 A를 이용하였으며, 원수의 통수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탑(1)의 양이온 교환 수지는 5 중량% HCl 수용액으로 재생 레벨: 17g-HC1/L-수지(완전 재생의 15%)로 재생하고, 음이온 교환탑(2)의 음이온 교환 수지는 5 중량% NaOH 수용액으로 재생 레벨: 50g-NaOH/L-수지(완전 재생의 38%)로 재생하였으며, 통수량 260 L, 통수 시간 12 시간 마다 같은 조건으로 재생을 수행하여 통수를 계속하였다.
즉, 이 양이온 교환탑의 양이온 교환 수지는 6 시간에서 Ca 이온 관류점에 도달하였지만, 12 시간 통수하여 수득되는 양이온 교환탑 유출물의 칼슘 경도의 평균치는 21 mg/L 였고, 또한 음이온 교환탑의 음이온 교환 수지는 4 시간에서 실리카 관류점에 도달하였지만, 12 시간 통수하여 수득되는 음이온 교환탑 유출물의 실리카 농도의 평균치는 21 mg/L이며, 이 12 시간 통수했을 때의 칼슘 경도 및 실리카 농도의 평균치는 스케일 장해를 야기하지 않는 농도이기 때문에, 양이온 교환 수지 및 음이온 교환 수지가 각각 관류점에 도달한 후에도 채수를 계속하였다.
30일 운전을 계속했을 때의 보급수의 평균 수질과 테스트피스의 부식 방지 속도 및 스케일 부착 속도를 조사하였으며, 조사 결과는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2
원수는 표 1의 원수 B를 이용하였으며, 원수의 통수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탑(1)의 양이온 교환 수지를 5 중량% HC1 수용액으로 재생 레벨: 50g-HC1/L-수지(완전 재생의 53%)로 재생하였으며, 음이온 교환탑(2)의 음이온 교환 수지를 5 중량% NaHCO3수용액으로 재생 레벨: 80g-NaHCO3/L-수지(완전 재생의 31%)로 재생하였으며, 통수량 940 L, 통수 시간 43 시간 마다 같은 조건으로 재생을 수행하여 통수를 계속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운전을 수행하였으며, 보급수의 평균 수질과 테스트피스의 부식 속도 및 스케일 부착 속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탑의 양이온 교환 수지는 18 시간에서 Ca 이온 관류점에 도달하였지만, 43 시간 통수하여 수득되는 양이온 교환탑 유출물의 칼슘 경도의 평균치는 21 mg/L이었다. 또한, 음이온 교환탑의 음이온 교환 수지는 실리카의 이온 교환능을 가지지 않았으며, 따라서 43 시간 통수하여 수득되는 음이온 교환탑 유출물의 실리카 농도의 평균치는 원수 B와 같은 7 mg/L 이었다.
실시예 3
원수는 표 1의 원수 C을 이용하였으며, 양이온 교환탑을 설치하지 않고, 음이온 교환탑만을 설치하였으며, 원수의 통수에 있어서, 음이온 교환탑의 음이온 교환 수지를 5 중량% NaOH 수용액으로 실시예 1와 동일한 재생 수준으로 재생하고, 통수량 270 L, 통수 시간 12 시간 마다 같은 조건으로 재생을 수행하여 통수를 계속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운전을 수행하였으며, 보급수의 평균 수질과 테스트피스의 부식 속도 및 스케일 부착 속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음이온 교환탑의 음이온 교환 수지는 4 시간에서 실리카 관류점에 도달하였지만, 12 시간 통수하여 수득되는 음이온 교환탑 유출물의 실리카 농도의 평균치는 50 mg/L 였다.
비교예 1∼3
원수 A, B, C를 이온 교환 처리하지 않고 직접 냉각수계에 보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2, 3과 각각 동일하게 운전을 수행하였으며, 보급수의 평균 수질(원수 수질과 동일함)과 테스트피스의 부식 속도 및 스케일 부착 속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표 2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수계의 부식을 억제하는 동시에, 스케일 장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분명하다.
원수 이온교환 처리의 유무 냉각수계 보급수의 평균 수질 결과
pH M 알칼리도 (mg/L) 전체 경도 (mg/L) 칼슘경도 (mg/L) 실리카 (mg/L) Cl-이온 (mg/L) SO4 2-이온 (mg/L) 부식 속도 (mdd) 스케일 부착 속도 (mg/cm2/일)
실시예 1 A 7.4 73 31 21 21 <1 <1 3 9
비교예 1 7.2 53 61 41 30 29 25 9 25
실시예 1 B 7.8 79 39 21 7 <1 <1 2 6
비교예 2 7.8 56 67 37 7 47 20 25 44
실시예 3 C 7.6 75 30 20 50 <1 <1 5 7
비교예 3 7.6 64 31 19 76 5 4 8 37
이상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에 따르면, 수계의 보급수 또는 보유수를 이온 교환 처리하여 부식성 이온을 제거함으로써 수계의 부식성을 저감하는 동시에, 실리카 및/또는 Ca 이온을 제거하여 수계내의 실리카 농도 및/또는 Ca 이온 농도를 적당한 농도로 제어함으로써, 수계의 스케일 장해를 방지한 뒤에 부식 방지성을 높이는 방법에 있어서, 이온 교환을 위한 장치를 소형화하여, 재생을 위한 수고나 약제량, 배수량 등을 저감할 수 있다.

Claims (15)

  1. 수계에 공급하는 물 또는 수계에서 취출한 물을 OH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시켜 부식성 이온을 제거한 후, 상기 수계에 공급하는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가 실리카 관류점에 도달한 후에도,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하여 수득되는 물의 실리카 농도가 소정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다시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한 물을 상기 수계로 계속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치는 수계에서 스케일을 생성시키지 않는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물에 스케일 방지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물에 저분자량 중합체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물에 저분자량 중합체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
  6. 수계에 공급하는 물 또는 수계에서 취출한 물을 양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시킨 후, 음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시켜 부식성 이온을 제거하고, 이어서 상기 수계에 공급하는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으로서, 상기 양이온 교환 수지가 Ca 이온 관류점에 도달한 후에도, 상기 양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하여 수득되는 물의 Ca 이온 농도가 소정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다시 상기 양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한 물을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로 계속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치는 수계에서 스케일을 생성시키지 않는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물에 스케일 방지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물에 저분자량 중합체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물에 저분자량 중합체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
  11. 수계에 공급하는 물 또는 수계에서 취출한 물을 양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시킨 후, OH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시켜 부식성 이온을 제거하고, 이어서 상기 수계에 공급하는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으로서,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가 실리카 관류점에 도달한 후에도,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하여 수득되는 물의 실리카 농도가 소정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다시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한 물을 상기 수계로 계속 공급하고, 상기 양이온 교환 수지가 Ca 이온 관류점에 도달한 후에도, 상기 양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하여 수득되는 물의 Ca 이온 농도가 소정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다시 양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한 물을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로 계속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치는 수계에서 스케일을 생성시키지 않는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물에 스케일 방지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물에 저분자량 중합체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물에 저분자량 중합체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의 부식 방지 방법.
KR1019980000181A 1997-01-09 1998-01-07 수계의부식방지방법 KR1003203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0221897A JP3944932B2 (ja) 1997-01-09 1997-01-09 水系の防食方法
JP97-2218 1997-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381A true KR19980070381A (ko) 1998-10-26
KR100320359B1 KR100320359B1 (ko) 2002-02-19

Family

ID=11523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181A KR100320359B1 (ko) 1997-01-09 1998-01-07 수계의부식방지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85152A (ko)
EP (2) EP0857514A3 (ko)
JP (1) JP3944932B2 (ko)
KR (1) KR100320359B1 (ko)
DE (1) DE69833057D1 (ko)
SG (1) SG637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349A (ko) * 2012-11-21 2014-05-29 오비보 룩셈부르크 에스.에이.알.엘. 물의 처리, 특히 초순수를 얻기 위한 처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895B1 (ko) * 2001-04-05 2005-07-14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수처리용 살균제, 수처리방법 및 수처리장치
US6746609B2 (en) * 2002-08-21 2004-06-08 Berile B. Stander Cooling tower water treatment
US7517493B2 (en) * 2004-01-09 2009-04-14 Water Conservation Technology International, Inc. Cooling water corrosion inhibition method
US8058582B2 (en) * 2006-10-18 2011-11-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and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method
US7708939B2 (en) * 2007-04-24 2010-05-04 Water Conservation Technology International, Inc. Cooling water corrosion inhibition method
US20090277841A1 (en) 2008-05-07 2009-11-12 Johnson Donald A Method for minimizing corrosion, scale, and water consumption in cooling tower systems
JP5359745B2 (ja) * 2009-09-30 2013-12-04 三浦工業株式会社 水処理システム
US8753516B2 (en) * 2009-12-04 2014-06-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rrosion preventing apparatus, corrosion preventing method, and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JP5025826B2 (ja) 2009-12-18 2012-09-12 三菱電機株式会社 液質調整装置及び液質調整方法並びにワイヤ放電加工装置
US8729006B2 (en) 2011-06-28 2014-05-20 Ecolab Usa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using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as scale control agent
JP5895626B2 (ja) * 2012-03-15 2016-03-30 三浦工業株式会社 水処理システム
JP6442581B1 (ja) * 2017-09-27 2018-12-19 株式会社レイケン 水処理装置、水処理システム及び冷却システム
US11254610B2 (en) 2018-06-04 2022-02-22 Lhoist North America,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simultaneous water softening and silica removal in boiler feed water
WO2023248920A1 (ja) * 2022-06-24 2023-12-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軟水化装置
CN115321642A (zh) * 2022-08-08 2022-11-11 华北电力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换流阀内冷水系统均压电极结垢的抑制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8438A (en) * 1966-03-09 1969-07-29 Crane Co Method and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US3444079A (en) * 1966-11-14 1969-05-13 Ritter Pfaudler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emineralizing water
US3805880A (en) * 1972-04-24 1974-04-23 Allied Chem Circulating cooling system
DE3027362A1 (de) * 1980-07-18 1982-02-18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Kuehl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 anordnung
US4532045A (en) * 1982-07-07 1985-07-30 Waterscience, Inc. Bleed-off elimination system and method
DE3229019A1 (de) * 1982-08-04 1984-02-09 Metallgesellschaf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m behandeln von abwasser
US4564455A (en) * 1983-12-13 1986-01-14 The Graver Company Three component resin system and method for purifying aqueous solutions
JPS62124992A (ja) * 1985-11-27 1987-06-06 Hitachi Ltd 感熱転写インクリボン
US4820421A (en) * 1987-05-01 1989-04-11 Auerswald David C System and method for demineralizing water
JPH089030B2 (ja) * 1987-12-21 1996-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オン交換樹脂による水のpH制御方法
US4931187A (en) * 1989-02-07 1990-06-05 Klenzoid, Inc. Cooling tower system
JP3358216B2 (ja) * 1992-11-27 2002-12-16 栗田工業株式会社 水系の金属の腐食抑制方法
JP2917813B2 (ja) * 1994-05-31 1999-07-12 栗田工業株式会社 水系の金属の腐食抑制方法
JP2919749B2 (ja) * 1994-08-23 1999-07-1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H09100061A (ja) * 1995-05-12 1997-04-15 Izu Tec Kk テープカッタ
JPH09119808A (ja) * 1995-10-25 1997-05-06 Olympus Optical Co Ltd エッジ検出のための閾値設定方法
JPH09176872A (ja) * 1995-12-22 1997-07-08 Kurita Water Ind Ltd 水系の金属の腐食抑制及びシリカ系スケール抑制方法
JP3646385B2 (ja) * 1995-12-27 2005-05-11 栗田工業株式会社 水系の金属の腐食抑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349A (ko) * 2012-11-21 2014-05-29 오비보 룩셈부르크 에스.에이.알.엘. 물의 처리, 특히 초순수를 얻기 위한 처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05671A3 (en) 2004-06-30
EP0857514A3 (en) 1999-03-17
JPH10192836A (ja) 1998-07-28
EP1405671B1 (en) 2005-12-28
EP1405671A2 (en) 2004-04-07
SG63796A1 (en) 1999-03-30
EP0857514A2 (en) 1998-08-12
DE69833057D1 (de) 2006-02-02
US5985152A (en) 1999-11-16
KR100320359B1 (ko) 2002-02-19
JP3944932B2 (ja) 200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0359B1 (ko) 수계의부식방지방법
US5518629A (en) Methods for controlling scale formation in acqueous systems
US4443340A (en) Control of iron induced fouling in water systems
US5342540A (en)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scale formation in aqueous system
JP3928182B2 (ja) 開放循環冷却水系の防食・防スケール方法
US5866032A (en) Composition for controlling scale formation in aqueous systems
US4387027A (en) Control of iron induced fouling in water systems
JP3663634B2 (ja) 循環冷却水系の運転方法
JP5499823B2 (ja) 冷却水系の処理方法
US5326478A (en) Methods for controlling scale formation in aqueous systems
JP2002054894A (ja) 開放循環冷却水系の水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US4416785A (en) Scale-inhibiting compositions of matter
EP0866148B1 (en) Method for inhibiting corrosion in water systems
WO2000066809A1 (en) Inhibition of corrosion in aqueous systems
KR100949354B1 (ko) 고 전도도 수질에 적합한 수처리 방법
JPH09176872A (ja) 水系の金属の腐食抑制及びシリカ系スケール抑制方法
JPH07316848A (ja) 水系の金属の腐食抑制方法
JPS60139397A (ja) 加圧ボイラー中のスケール制御方法
JP2003320392A (ja) スケール防止方法及びスケール防止装置
KR100285937B1 (ko) 글루콘산염을 이용한 부식방지 및 스케일 형성을 억제하기위한 수처리 프로그램 및 수처리 방법
AU5465199A (en) Inhibition of corrosion in aqueous systems
JPH1128461A (ja) 水系の金属の腐食抑制方法
JP2009299161A (ja) 水系の金属腐食抑制方法
KR100896518B1 (ko) 보일러의 부식 및 스케일 방지용 수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수처리방법
US5486295A (en) Method for treating polymer-containing waters to allow use as cooling tower make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