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111A - 승객보호체제에 적용되는 에어백(air bag)과 동 백의 절첩방법 및 그의 장치 - Google Patents

승객보호체제에 적용되는 에어백(air bag)과 동 백의 절첩방법 및 그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111A
KR19980070111A KR1019970062649A KR19970062649A KR19980070111A KR 19980070111 A KR19980070111 A KR 19980070111A KR 1019970062649 A KR1019970062649 A KR 1019970062649A KR 19970062649 A KR19970062649 A KR 19970062649A KR 19980070111 A KR19980070111 A KR 19980070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airbag
folded
band
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드롭프한스
Original Assignee
군터 하웁트만/닥터.에론스트-루돌프 바우어
피어-베르케게엠베하운트코.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터 하웁트만/닥터.에론스트-루돌프 바우어, 피어-베르케게엠베하운트코.카게 filed Critical 군터 하웁트만/닥터.에론스트-루돌프 바우어
Publication of KR19980070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11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60R2021/2375Fol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보호체제에 적용되는 에어백(air bag)과 동 백의 절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시에 펴지지 않은 상태에 있는 에어백은 절첩구(12), 절첩보조구(16) 및 크램핑장치(19)로 구성되어 기계에 통합되어 있는 지그에 장착되어 있다. 절첩공구(12)는 지지판(1), 중판의 돌기로서 나선형밴드(8)를 가진 중판(4)과 나선형밴드(8)를 수용하기 위한 나선형 절단홈(10)을 가진 형판(5)으로 구성되어 있다. 에어백(15)은 절첩 과정전에 나선형 밴드(8) 위에 놓여있는바 이것은 형판(5)을 통하여 돌출되며 절첩보조구(16)로 밴드(8)와 중판(4) 사이에서 밴드(8)가 돌출시 형성되는 요부에서 절첩된다. 에어백은 이와동시에 밴드(8)를 따라서 이중층의 나선형으로 눌린다. 절첩은 균일하게 안에서 밖으로 행해진다. 크램핑장치(19)로 절첩된 에어백(15)은 승객보호체제의 하우싱(25)에 필요한 형태가 된다.

Description

승객보호체제에 적용되는 에어백(air bag)과 동 백의 절첩방법 및 그의 장치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 1항의 상위개념에 따르는 에어백(air bag)에 관한 것으로 동 청구항 2의 항위개념에 따르는 에어백의 절첩방법 및 동청구항 3의 상위개념에 따르는 지그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1과 2의 특징으로 해결되며 동 해결을 위한 지그는 청구항 3에 제시되어 있다. 에어백은 펴지지 않은 상태로 접혀 있어서 취급이 대단히 용이하고 자동절첩공정으로 절첩할 수 있다.
에어백의 나선형 절첩상태로 인하여 중첩시에도 에어백이 열릴때면 지속적인 관류를 보장하는 바 이때 에어백에 공기 유입구를 통하여 돌발적으로 공기유입이되는 경우에도 에어백이 적절히 펼쳐진다.
유리한 실행예들이 종속항들에 포함되어 있다. 절첩보조구의 맞물림 연동으로 인하여 정결하고 연속적인 에어백의 절첩이 이루어진다. 에어백에 남아 있는 잔여공기 빼기는 절첩중에 에어백에 있는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문제없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에어백 및 동 에어백의 자동절첩방법과 해 지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 1항의 상위 개념에 따른 에어백, 동청구 2항의 상위개념에 따른 에어백의 절첩 및 동청구항 3의 상위개념에 따르는 지그에 관한 것이다.
DE 44 22 276 A1은 에어백 그의 절첩방법 및 동 절첩방법의 이행을 위한 지그를 공시하고 있다. 그와동시에 특히 대단히 신속하게 지장없이 가급적 모든방향으로 동시에 펼쳐질 수 있는 에어백을 창안하기 위한 과제로 되어 있다. 또한 에어백은 주- 및 부대절첩선을 가지고 있다. 펼친에어백의 가상 중심으로부터 일종의 편심 지그재그 또는 아코디언 절첩과정이 행해진다. 상호절첩은 원통형 벽으로서 포개어진 셀형요소로 행해지는 바 이때 서로 마주하여 배열되어 있는 셀형요소들의 직경은 각기 다르다. 짝을지어 서로 마주대하여져 있는 돌출요소로서의 반경방향의 절첩요소들은 서로 짝을지어 반경방향을 향하여 안으로 이동 납짝해진다. 이에따라서 다음의 외측절첩요소는 멀어지고 돌출요소들은 가속내측으로 위치한다. 최종단계에 이르러 돌출지그는 에어백과 더불어 포장지그로 이송된다.
DE 195 16 264 C1에서는 돌출지그가 공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돌출요소단부는 흠이나 있어서 이들이 그들 단부에서 교차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단부들은 돌출요소들이 서로 밀릴 때 튀어나온다.
DE 195 35 564 A1은 에어백모듈의 백을 절첩하는 방법 및 지그를 공시한다. 이때 절첩은 절첩구의 상하부로부터 에어백의 흡입으로 인하여 절첩에 행해진다. 소위 절첩요소들은 감안되지 안했다. 돌출요소는 크램핑밴드로서 압력실린더로부터 가이드롤러에 의하여 당겨지는 바 이때 이러한 크램핑밴드는 크램핑조에 의하여 수용되고 이때 그의 위치는 이것이 조정가능한 스토퍼 기준판에 접할때까지 변한다.
DE 195 16 494 C1는 형태에 따른 또하나의 유형을 가지고 있다. 이때 절첩개시전의 에어백은 그의 사용형태 즉 부풀은 상태로되는 바 에어백의 기본-직표면은 작업대위에 배열되며 다른 직표면은 불룩하게 나와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기계식 절첩보조구가 에어백을 잡아주면서 이를 절첩용기에 넣는다. 이러한 방법은 절첩의 자동화공정에 대하여 비용이 과대하며 취급이 곤란한바 그 이유는 한편 지속적인 개스유입/유출이 보장되면서 그러나 에어백을 절첩시 그의 사용형태로 유지시켜주는 추가장치가 절첩보조구와 일치시켜 장착되어야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에어백 및 에어백의 자동절첩 방법 및 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특히 청구항 1 및 2의 특징으로 해결된다. 동 청구항 3은 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에어백이 부풀지 않은 상태에서 절첩됨으로서 이것의 취급이 용이해지며 자동절첩공정으로 절첩이 된다.
도 1은 가장 주요한 부분에서의 절첩구 사시도.
도 2는 작업상태의 접철구 사시도.
도 3은 탈착상태의 절첩구 사시도.
도 4는 절첩보조구 사시도.
도 5는 크램핑장치 사시도.
도 5a는 크램핑시의 크램핑장치 사시도.
도 6은 에어백이 놓인 상태의 절첩구 단면도.
도 7은 단면도로서 절첩된 상태의 에어백.
도 8은 에어백 하우싱.
도 1은 지지판(1)의 표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핀(2)을 가진 지지판(1)을 도시한다. 기타핀들(3)은 중간판(4)과 형판(5)을 서로 후에 조정하여주는 역할을 한다. 분리된 중간핀(4)은 관통구멍(6)을 가지고 있는데 중간판(4)에서 이러한 지지핀(2) 수용을 위하여 삽입되는 것과 같은 간격으로 삽입되는 관통구멍(6) 및 고정핀(3)의 수용을 위한 형태(7)를 가지고 있다. 중간판(4)에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나선형홈이 되어 있는 밴드(8)가 배열되어 있다. 나선형밴드(8)의 모양은 관통구멍(6)에 따라 배열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관통구멍(6)은 나선형의 자유공간(9) 내에 들어 있는데 밴드(8)의 개별 나선형 사이에 있다. 형판(5)은 나선형 단면(10)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통하여 나선형밴드(8)가 관통가능하다. 외측변에는 지지판(1)의 고정핀(3)을 수용하기 위한 관통구멍(11)이 있다. 상기 요소들은 보다 상세히 언급되지 않은 기계에 통합되어 있는 절첩구(12)를 함께 형성한다. 절첩구(12)의 안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형판(5)은 특히 관통홈(2,1)을 가지고 있는데 중간판(4)의 관통구멍(6)과 같은 지게간격으로 가공된다. 형판(5)의 중심에서 개스발생기(14)의 수용을 위하여 돌기(13)가 들어있다 (도 2와 비교). 도 2에는 절첩구(12)의 개별부품의 공동작용을 알 수 있다. 절첩구(12)의 이러한 위치에서 에어백(15)의 전개가 이루어진다(도 6과 비교). 도 3과 함께 절첩구(12)는 절첩된 에어백(15)의 탈착상태를 취하고 있다. 도 4에서 절첩보조구(16)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판(17)을 관통 돌출되고 하우싱(18)에 의하여 수용되어 있다. 판(17)은 이때 소정의 간격에서 절첩보조구(16)를 서로 유지하여주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도 5에서 절첩된 에어백(15)의 공동크램핑을 위한 크램핑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크램핑장치(19)는 서로 중첩되는 원호(20)들이 있으며 5a도에서 화살표로 평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수축할 경우 서로 밀려짐에 따라서 크램핑장치(19)의 내경이 오무라든다 (추가 도 5의 점선참조).
절첩과정은 여러 도면을 함께 참조하여 볼 때 다음과 같다 :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간판(4)은 지지판(1)에 대하여 밑으로 움직임으로 지지핀(2)은 중간판(4)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잡아준다. 동시에 형판(5)은 중간판(4) 위에서 이동함으로 나선형밴드(8)는 나선형홈(10)을 통하여 들어가고 절첩구(12)는 도 2와 같은 작업상태를 취하는바 이때 지지핀(2)은 동시에 관통구멍(2,1)을 통하여 잡아준다. 중간판(4)은 지지판(1)(기계식 지지)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를 가지고 있다. 형판(5)은 특히 지지판(2)의 끝단에서 멈춘다. 고정핀(3)으로 이미 언급한 판(1,4,5)의 상호 조정이 이루어진다. 형판(5)과 지지판(1)은 고정핀(3)으로 서로 고정결합이되고 상호 떨어지게 됨으로 중간판(4)만이 이동 안내가 가능하다. 에어백(15)은 절첩구(12)의 중앙에 들어 있는 개스 제네레이터(14) 위의 동 제네레이터(14)를 위한 에어백(15)에 있는 요부가 임의 위치에 있도록 형판(5)의 중앙에 위치해 있다. 에어백(15)은 형판(5)에 의하여 잡힌 밴드(8)에 평면의 중층으로 놓여 있다. 추가로 위치된 절첩보조구(16)는 에어백(15)의 상부로부터 실제 절첩을 위한 역할을 한다.
절첩보조구(16)는 개스발생기(14) 부위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나선형 홈의 밴드(8)를 따라서 에어백(15)을 누른다. 나선형 홈은 형판(15)의 표면과 나선형밴드(8)의 테두리 사이에 형성된 자유공간(9)과 결합된 형태이다. 상측 직표면(23)과 이미 언급한 요부(22)를 가진 하측 직표면으로 구성된 에어백(15)은 절첩보조구(16)에 의하여 나선형으로 두 개층에 따라서 홈으로 절첩된다. 하우싱(18) 내의 절첩구배열은 이러한 나선형에 맞도록되어 있으며 이때 절첩보조구(16)는 특히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대칭상태에서 단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로인하여 우선 내측절첩보조구(16)는 에어백(15)을 잡고 도 6의 작은 숫자 1내지 10까지 표기된 순서로 전체 에어백(15)이 접히고 밴드(8)를 따라서 홈에 놓인다. 이때 절첩보조구(16)의 맞물림은 소정의 시간간격 예컨대 내측에서 외측으로 특히 개별적으로 연이어 도시되어 있지 아니한 제어장치로 프로그램 제어가 되어서 행해진다.
절첩중에 에어백(15)의 스립(slip)을 저지하기 위하여서는 절첩보조구(16)를 홈속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에어백(15)과 함께 놔두는 것이 유리하다. 하우싱(18) 중앙에 있는 명시되지 않은 크램프는 개스제네레이터(14)에 대하여 두 개층의 에어백(15)의 중심을 그쪽으로 누른다.
실제 절첩과정이 끝난다음 에어백(15)이 이제 주름잡힌 홈속에서 절첩보조구(16)가 제거된다. 절첩보조구(16)를 제거한 후에 크램핑지그(19)가 절첩된 에어백(19)위에 씨워진다. 동시에 중간판(4)은 지지판(1)의 표면에까지 이동하는 바 이때 형판(5)은 지지핀(2)으로 바쳐져 있다. 형판(5)위에 절첩된 에어백(15)은 개스발생기(14) 없이 나선형홈(10)으로부터 나선형밴드(8)의 이탈에 의하여 뒤에 남아 있게되는데 중간판(4)을 조정함으로서 하강이된다. 절첩된 에어백(15)(도7)을 소요형태로 만들기 위하여서는 크램핑장치(19)의 원호부(20)가 상호 조절됨으로 절첩에어백(15)의 중심압착이 이루어진다. 더욱이 이렇게 절첩이되고 크램핑장치(19)로 수축된 에어백(15)은 하우싱(25)에 삽입된다(도 8). 구멍(21)을 통하여 명시되지 않은 스탬프(25)가 절첩에어백(15)에 찍히도록 하우싱(25)에 유도된다.
발명의 착상범위 내에서 제변경이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개스발생기(14)는 절첩된 에어백(15)의 부품으로서 요구에 따라 그리고 동시에 하우싱(25) 내로 눌려 들어간다. 개스발생기 대신에 치수가 이와 동등한 부품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작업공정중에 단차진 절첩 보조구(16)는 보조구(16)의 시간적인 차질없이 홈안으로 물리며 이때 보조구(16)는 하우싱(18)에 특히 명시되어 있지 않은 스프링으로 탄력을 유지하면서 지지됨으로 먼저 맞물린 절첩보조구(16)는 그의 작업거리(맞물림거리)에서 나선형으로 편위된 절첩보조구(16)가 거의 동시에 홈속으로 줄음이 잡혀 질때까지 줄어든다.
본 발명으로 인하여 에어백은 부풀려지지 않은 상태로 절첩이 됨으로 취급이 대단히 용이하고 자동 절첩공정으로 절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특히 차량에 있어서 승객보호장치의 부품으로서의 에어백에 있어서,
    동에어백(15)이 나선형 절첩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2. 상하 직표면은 균일하고 서로 2개 층상으로 절첩이 된 후 죄어지는 절첩구내에 펼쳐져 있지 않은 상태로 들어 있는 팽창이 가능한 에어백을 적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에어백(15)는 중앙에서 고정이되고 가상중심으로부터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나선형을 유지 앞으로 계속 교차하면서 에어백(15)의 테두리에 이르기까지 절첩된 다음 동 절첩은 수평면 내에서 동심형으로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에어백의 수용스테이션으로서의 절첩구로된 방법의 이행을 위한 지그에 있어서,
    절첩구(12)는 나선형밴드(8)를 가지며 이러한 나선들 사이에 나선형 임의 공간(9)이 형성되어 이에 수직으로 절첩 보조구(16)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4. 제 3항에 있어서,
    조일 때 에어백(15)의 중심을 압착하는 역할을 하는 중첩원호(20)로 구성되고 절첩된 에어백(15)을 밀어내기 위한 구멍(21)을 가지는 크램핑장치(19)는 수직으로 절첩구(12)에 놓이면서 동 절첩구(12)상에 놓여서 절첩된 에어백(15)을 조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5. 제 3항에 있어서,
    표면에 수직인 지지핀(12)과 고정핀(3)을 가진 지지판(1), 중간판(4)의 그의 표면에 수직으로 되어 있는 나선형으로 부착된 밴드(8)를 가 중간판(4) 및 지지판(2)과 고정된(3)을 수용하기 위한 관통구멍(6,7) 및 나선형으로 부착되어 있는 밴드(8)와 같은 나선형홈(10)이 파여지고 고정핀(3)을 수용하기 위한 관통구멍(11)을 가지는 형판(5)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구.
  6. 제 5항에 있어서,
    지지판(1)과 형판(5)은 고정핀(3)으로 서로 고정결합이되어 떨어져 있으며 중간판(4)은 지지판(1)과 형판(5) 사이에서 임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구.
  7. 제 3항에 있어서,
    절첩보조구(16)는 판(17)을 통과하며 하우싱(18)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바 하우싱(18)내 절첩보조구(16)의 배치는 밴드(8)의 나선형에 좌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보조구.
  8. 제 3항에 있어서,
    동절첩보조구(16)는 안에서 밖으로 서로 마주대하여 대칭적으로 단차가 지도록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보조구.
  9. 제 3항에 있어서,
    절첩중에 절첩보조구(16)는 에어백(15)과 안에서 밖으로 홈내에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보조구.
KR1019970062649A 1997-01-10 1997-11-25 승객보호체제에 적용되는 에어백(air bag)과 동 백의 절첩방법 및 그의 장치 KR199800701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00433A DE19700433C2 (de) 1997-01-10 1997-01-10 Gassack sowie ein Verfahren und eine Vorrichtung zum Falten des Gassackes für ein Insassenrückhaltesystem
DE19700433.4 1997-0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111A true KR19980070111A (ko) 1998-10-26

Family

ID=781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649A KR19980070111A (ko) 1997-01-10 1997-11-25 승객보호체제에 적용되는 에어백(air bag)과 동 백의 절첩방법 및 그의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099453A (ko)
EP (1) EP0853026B1 (ko)
JP (1) JPH10244893A (ko)
KR (1) KR19980070111A (ko)
CN (1) CN1094102C (ko)
BR (1) BR9800278A (ko)
DE (2) DE1970043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5548B2 (en) * 1998-03-20 2003-07-22 Nihon Plast Co., Ltd. Air bag system, method of folding air bag and air bag folding apparatus
DE19901472A1 (de) * 1999-01-15 2000-07-20 Takata Europ Gmbh Verfahren zum Falten eines Luftsackes
DE19946480A1 (de) * 1999-09-28 2001-03-29 Takata Europ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sammenfalten eines aufblasbaren Luftsacks
DE10050570A1 (de) 2000-10-12 2002-06-13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Zusammenlegen eines Gassacks sowie zusammengelegter Gassack
DE10145479A1 (de) * 2001-09-14 2003-05-08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Verfahren zum Falten eines Gassacks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sowie gefalteter Gassack
JP4356622B2 (ja) * 2005-01-28 2009-11-04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と折り機
CN103010146A (zh) * 2013-01-07 2013-04-03 延锋百利得(上海)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安全气囊装置及其折叠工装
DE102015001234A1 (de) * 2015-02-03 2016-08-04 Dalphi Metal Espana, S.A. Verfahren zum umhüllen eines aufblasbaren gassacks zum schutz einer person, umhüllter aufblasbarer gassack, umhüllung fur einen aufblasbaren gassack, gassackmodul und fahrzeugsicherheitssystem
US11040692B2 (en) 2019-08-22 2021-06-22 Arc Automotive, Inc. Multi-vent passenger side airbag inflato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8671A (en) * 1947-10-17 1951-01-16 Richard G Crowe Cloth folding machine
US2697970A (en) * 1952-08-09 1954-12-28 Albert O Steckman Apparatus for pleating of casings and similar articles
DE2251493A1 (de) * 1971-10-27 1973-05-03 Allied Chem Oeffnung eines kissens zum fahrerschutz
US4659323A (en) * 1984-02-20 1987-04-21 Nippondenso Co., Ltd. Method for making axial-flow filters and apparatus therefor
JPH0785769B2 (ja) * 1986-08-20 1995-09-20 日本電装株式会社 ▲ろ▼過エレメントの加熱成形方法
US5290061A (en) * 1992-10-14 1994-03-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Folded air bag
JP3078943B2 (ja) * 1993-02-26 2000-08-21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バッグの折畳み方法
DE4422276C2 (de) * 1993-06-17 1996-07-11 Petri Ag Gassack, Verfahren zu seiner Faltung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Faltverfahrens
US5803892A (en) * 1994-06-17 1998-09-08 Petri Ag Process for folding an airbag
JP3533734B2 (ja) * 1994-11-21 2004-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DE19516264C1 (de) * 1995-04-28 1996-05-23 Mihm & Partner Dr Vorrichtung zum Falten und Packen eines Gassackes für Airbagmodule
DE19516494C1 (de) * 1995-05-05 1996-10-24 Autoliv Dev Verfahren zum Falten eines Gassackes für ein Insassenrückhaltesystem
US5531477A (en) * 1995-06-06 1996-07-02 Alliedsignal Inc. Method of folding an airbag
DE19535564C2 (de) * 1995-09-12 2000-05-25 Petri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altung eines Gassackes für ein Airbagmodul
US5636861A (en) * 1996-01-29 1997-06-1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DE19625109C2 (de) * 1996-06-17 1999-08-05 Petri Ag Gassackfaltung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Gassackfaltung
GB9614432D0 (en) * 1996-07-10 1996-09-04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00433A1 (de) 1998-07-16
US6099453A (en) 2000-08-08
DE59710468D1 (de) 2003-08-28
DE19700433C2 (de) 2002-11-28
BR9800278A (pt) 1999-07-13
EP0853026B1 (de) 2003-07-23
US6089602A (en) 2000-07-18
JPH10244893A (ja) 1998-09-14
CN1094102C (zh) 2002-11-13
EP0853026A1 (de) 1998-07-15
CN1187436A (zh)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5998A (en) Method and device for folding an airbag for stowing in an airbag module
GB2279046A (en) Airbag process for folding same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KR19980070111A (ko) 승객보호체제에 적용되는 에어백(air bag)과 동 백의 절첩방법 및 그의 장치
US100717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lding driver airbag
EP2241483A2 (en) Airbag device
JP2012508145A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用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及び折り畳み装置
US6726615B1 (en) Method of folding a gas bag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a folded gas bag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and a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301137B1 (ko) 에어백의 포개 접는 장치 및 포개 접는 방법
JP3907882B2 (ja) 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60138749A1 (en) Airbag packet,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airbag device
EP1349724B1 (en) Airbag folding apparatus and method of folding
DE102004056128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assackpaketes für ein Airbagmodul
US6718725B2 (en) Apparatus for folding and packaging an airbag and method thereof
CN103359044A (zh) 汽车安全气囊及其折叠方法和推压装置
CN111409582B (zh) 一种压缩囊袋的装置和方法
JP5948179B2 (ja)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のラッピング方法
KR19980033216A (ko)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용 가스 백의 접는 방법, 차량 탑승자구속 시스템용의 접힌 가스 백 및 접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장치
JP2003260998A (ja) 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及びその装置
US6910712B2 (en) Method of folding a gas bag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and folded gas bag
KR101954154B1 (ko) 에어백 쿠션의 스프레드 장치
CN108569243B (zh) 用于制造车辆乘员约束系统的气囊模块的方法和气囊模块
JP2003104152A (ja) 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及びエアバッグの折畳装置
JP2003260999A (ja) エアバッグの被覆方法
JP5049200B2 (ja) エアバッグの折畳装置及び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EP1479569B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assembling of a lateral airbag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