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9926A - 단층자성막 수직자화매체용 기록헤드 - Google Patents

단층자성막 수직자화매체용 기록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9926A
KR19980069926A KR1019970045790A KR19970045790A KR19980069926A KR 19980069926 A KR19980069926 A KR 19980069926A KR 1019970045790 A KR1019970045790 A KR 1019970045790A KR 19970045790 A KR19970045790 A KR 19970045790A KR 19980069926 A KR19980069926 A KR 19980069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pole
rear end
magnetic
end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꾸야 타가와
Original Assignee
세끼자와 다다시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끼자와 다다시,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세끼자와 다다시
Publication of KR19980069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92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G11B5/1278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specially adapted for magnetisation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G11B5/187Structure or manufacture of the surface of the head in physical contact with, or immediately adjacent to the recording medium; Pole pieces; Gap features
    • G11B5/23Gap feat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5/0002Special dispositions or recording techniques
    • G11B2005/0026Pulse recording
    • G11B2005/0029Pulse recording using magnetisation components of the recording layer disposed mainly perpendicularly to the record carrier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gnetic Hea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극히 샤프한 기록자계의 수직방향 성분분포를 얻을 수 있는 단층자성막을 갖는 수직자화매체용의 기록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면내방향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자화용이축을 갖는 단층자성막을 갖춘 자기매체기록용 기록헤드로서, 매체의 이동방향에 대해 상류측에 설치된 전단자극(leading pole)과 전단자극의 선단 사이에 미소 갭을 형성하는 선단과, 전단자극과 접촉한 후단부를 가지며, 매체의 이동방향에 대해 하류측에 설치된 후단자극(trailing pole)을 포함하고 있다. 기록헤드는 또한 전단자극과 후단자극과의 접촉부를 중심으로 감긴 코일을 포함하고 있다. 후단자극의 선단과 매체 사이의 거리는 전단자극의 선단과 매체 사이의 거리보다도 소정 길이 이상 크게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단층자성막 수직자화매체용 기록헤드
본 발명은 단층자성막을 갖는 수직자화매체용 기록헤드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자기디스크장치의 소형 대용량화에 수반하여 매체내의 자성입자의 미세화가 요구되고 있으나, 면내 기록방식이라 불리우는 종래의 기록방식에서는 열적 불안정성의 요인이 되기 때문에 자성입자의 현저한 미세화는 곤란하다.
이 때문에 열자기 완화 등에서 우위성을 갖는 수직자기 기록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일반적인 수직자기 기록방식에서는 기판상에 연자성 하지층을 적층하고, 이 연자성 하지층 형상에 수직자화막을 적층한 2층막 매체가 사용된다.
그러나 2층막 매체에서는 자기 노이즈의 저감이 곤란하기 때문에, 최근에 와서는 기판상에 직접 또는 절연층을 통해서 수직자화막을 적층한 단층자성막 매체를 사용하는 수직자기 기록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판상에 연자성 하지층을 갖지 않는 단층수직 자화막을 기록매체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가파른 자계구배를 갖는 기록헤드(기입헤드)의 개발이 필요 불가결하다.
종래의 단층자성막 매체를 사용하는 수직 기록방식에서는 면내 기록방식용의 통상의 링헤드, 즉 매체면에서 보와 전단자극과 후단자극의 높이가 같은 메탈 인갭(MIG) 링헤드 또는 박막 링헤드가 사용되고 있었다.
종래의 박막 링헤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헤드 슬라이더(2)는 한쌍의 부상 레일(4, 6)을 가지고 있으며, 화살표 P로 나타낸 자기디스크 매체의 이동방향에 대해 레일(4)이 위치하는 슬라이더(2)의 하류측 단부(2a)에 박막 링헤드(8)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박막 링헤드(8)의 확대 단면도가 단층자성막 매체(10)와 함께 나타나 있다. 단층자성막 매체(10)는 비자성기판(12)상에, 예를 들어 Co-Cr으로 된 수직자화막(14)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박막 링헤드(8)의 비자성기판(16)은 헤드 슬라이더(2)의 일부를 구성하며, 예를 들여 Al2O3·TiC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16)상에는 퍼멀로이(Ni-Fe) 등의 자성 박막으로 되는 전단자극(18)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 20은 마찬가지로 퍼멀로이 등의 자성 박막으로 된 후단자극이며, 매체(10)에 대향하는 전단자극(18)의 선단(18a)과 후단자극(20)의 선단(20a) 사이에 미소 갭(22)이 형성되어 있다.
전단자극(18)의 후단부(18b)와 후단자극(20)의 후단부(20b)는 소정 길이에 걸쳐서 접촉하고 있으며, 후단자극(20)과 전단자극(18)으로 개략 링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미소 캡(22)의 길이는 약 0.5㎛이다.
전단자극(18)과 후단자극(20)의 접촉부를 중심으로 하여 동(Cu)으로 된 소용돌이 형상의 박막코일(24)이 설치되어 있다. 전단자극(18), 후단자극(20) 및 박막코일(24)은 절연층(26)중에 매립되어 있다. 도 3은 종래의 링헤드(8)의 선단부 근방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수직자기 기록방식에서는 매체의 자화용이축이 매체막면에 대해 수직방향에 있기 때문에, 기록헤드에 의해 매체내에 생기는 자계 벡터(헤드 자계)내의 수직방향의 자계 성분을 사용하여 기록매체에 대한 데이터를 기입한다.
종래의 링헤드(8)의 수직자계 성분 ㎐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갭(22)을 중심으로 하는 점대칭분포가 되고, 전단자극(18)의 갭(22)에 면하는 에지 부근과 후단자극(20)의 갭(22)에 면하는 에지 부근에 부호가 다른 2개의 피크를 갖는다.
이 때문에 매체는 전단자극(18)측의 피크자계에 의해 일단 자화(기록)되나, 후단자극(20)측의 피크자계에 의해 거의 완전히 재기입된다.
따라서, 자화전이는 갭(22)에 면하는 후단자극(20)에 에지 근방에 있는 피크자계의 더욱 후단자극측(매개가 멀어지는 측)인 A부분의 자계구배로 형성된다.
그런데 이 부분의 자계구배는 극히 완만하기 때문에 가파른 자화전이를 형성하기가 곤란하다. 이 결점을 보충하기 위해서 극히 강한 수직자기 배향성 및 자기이방성을 갖는 매체가 요구된다.
도 5는 종래의 링헤드(8)의 자속(28)가 단층의 수직자화막(14)을 갖는 매체(10)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전단자극(18)의 선단(18a)으로부터 나온 자속(28)의 대부분은 수직자화막(14)을 통과하여 후단자극(20)으로 복귀한다.
기판(12)상에 적층된 수직자화막(14)의 두께가 0.1㎛ 이하로서 대단히 얇기 때문에, 수직자화막(14)중에 큰 수직방향의 자계 성분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갭 길이 G1을 대단히 작게 설정한 링헤드(8)의 사용이 불가결하다. 갭 길이 G1은 에컨대 0.5㎛ 정도이다.
비교를 위해 도 6에 종래의 자기기록헤드(37)와 2층자성막 수직자화매체(30)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2층자성막 수직자화매체(30)는 비자성기판(32)상에 Ni-Fe등의 연자성 하지막(34)을 적층하고, 연자성 하지막(34)상에 Co-Cr로 된 수직자화막(36)을 적층하여 구성되어 있다.
연자성 하지막(34)은 1㎛ 이상의 두께를 가지며, 수직자화막(36)은 0.1㎛ 이하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기록헤드(37)의 주자극(38)의 선단(38a)으로부터 나온 자속(42)의 대부분은 연자성 하지막(34)을 통과하여 보조자극(40)으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2층자성막 수직자화매체(30)에서는 막 두께가 두꺼운 연자성 하지막(34)을 대부분의 자속(42)이 통과해서 보조자극(40)으로 복귀하기 때문에, 수직자화막(36)에 가파른 수직방향의 자계를 인가하기가 용이하다.
이 때문에 주자극(38)의 선단(38a)과 보조자극(40)의 선단(40a) 사이에 형성되는 갭 길이 G2는 도 5에 나타낸 링헤드(8)와 같이 작게 할 필요는 없으며, 일반적으로 약 10㎛ 정도의 큰 갭 길이 G2가 설정된다.
도 5와 도 6의 비교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단층막 자화매체(10)에 대해서는 갭 길이 G1이 대단히 작은 소위 링헤드(8)를 사용할 필요가 있으나, 2층자성막 수직자화매체(30)에 대해서는 링헤드와는 구성이 전혀 다른 대단히 큰 갭 길이 G2를 갖는 기록헤드(37)를 사용한다.
2층자성막 수직자화매체용의 기록헤드에서는 보조자극을 주자극보다 매체면으로부터 멀게 한 구성의 기록헤드가 몇가지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개평1-151011호, 특개평 4-90101호).
그러나 단층자성막 수직자화매체(10)용의 종래의 링헤드(8)에서는 전단자극(18)의 선단(18a)으로부터 매체면까지의 거리와, 후단자극(20)의 선단(20a)으로부터 매체면까지의 거리가 같은 링헤드(8)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링헤드(8)를 단층자성막 수직자화매체의 기록헤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매체에 극히 강한 수직자기 배향성 및 수직자기 이방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매체의 제작이 용이하지 않다. 불충분한 자기특성을 갖는 매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기록 재생특성이 심하게 열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극히 가파른 기록자계의 수직방향 성분분포를 얻을 수 있는 단층자성막을 갖는 수직자화매체용 기록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헤드 슬라이더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박막 링헤드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박막 링헤드의 선단부 확대도.
도 4는 종래의 박막 링헤드에 의한 기록자계 수직성분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의 박막 링헤드에 의한 자속과 단층자성막 수직자화매체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종래의 기록헤드에 의한 자속과 2층자성막 수직자화매체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박막 링헤드의 원리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박막 링헤드에 의한 기록자계의 수직방향 성분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9a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박막 링헤드의 선단부를 나타낸 도면, 도 9b는 후단자극 선단에 오목부를 갖지 않는 종래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매체 위치에서의 헤드자계 수직성분의 3차원 수치 계산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후단자극 오목부 깊이 의존성의 설명도.
도 12는 수직자계 분포의 후단자극 오목부 깊이 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13은 후단자극 오목부영역의 다운 트랙방향 길이 및 크로스 트랙방향 폭 의존성의 설명도.
도 14는 수직자계 분포의 오목부영역 다운 트랙영향 길이 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15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박막 링헤드의 선단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전단자극 선단 가공 전후의 헤드자계 분포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에 의하면, 면내방향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자화용이축을 갖는 단층자성막을 갖춘 자기매체용 기록헤드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이동방향에 대해 상류측에 설치된, 상기 매체에 대향하는 선단을 갖는 전단자극과, 상기 전단자극의 선단과의 사이에 미소 갭을 형성하여 상기 매체에 대향하는 선단과, 상기 전단자극과 접촉한 후단부를 가지며, 상기 매체의 이동방향에 대해 하류측에 설치된 후단자극과, 상기 전단자극과 상기 후단자극과의 접촉부를 중심으로 감긴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후단자극의 선단과 상기 매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전단자극의 선단과 상기 매체 사이의 거리보다도 소정 길이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헤드가 제공된다.
상기 소정 길이는 상기 미소 갭의 길이 이상이며, 상기 자성막은 수직방향으로 자화용이축을 갖는 수직자화막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면내방향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자화용이축을 갖는 단층자성막을 갖춘 자기매체용 기록헤드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이동방향에 대해 상류측에 설치된, 상기 매체에 대향하는 선단을 갖는 전단자극과, 상기 전단자극의 선단과의 사이에 미소 갭을 형성하여 상기 매체에 대향하는 선단과, 상기 전단자극과 접촉한 후단부를 가지며, 상기 매체의 이동방향에 대해 하류측에 설치된 후단자극과, 상기 전단자극과 상기 후단자극과의 접촉부를 중심으로 감긴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전단자극의 선단과 상기 후단자극의 선단은 상기 매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후단자극은 소정 깊이의 오목부를 상기 갭에 면하는 상기 선단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헤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후단자극의 선단을 전단자극의 선단보다도 매체면으로부터 멀어지게 구성하였으모, 매체에 가해지는 자계는 전단자극측 자계쪽이 후단자극측 자계보다 강해진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는 갭내의 대단히 샤프한 경사를 갖는 자계구배에 의해 자화막에 자화전이가 형성되기 때문에, 연자성 하지막을 갖지 않은 단층자성막 수직자화매체의 기록헤드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우선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링헤드(8A)의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링헤드(8A)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종래의 링헤드(8)와 후단자극(44)의 구조만이 상이하고, 다른 구성부분은 종래예와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종래의 링헤드(8)에서는 도 7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단자극(18)의 높이와 후단자극(20)의 높이가 같았었다. 환언하면 매체(10) 표면으로부터 양 자극(18, 20)까지의 길이는 같았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매체(10)의 이동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후단자극(44)의 높이를 상류측에 위치하는 전단자극(18)의 높이보다도 낮게 하고, 매체(10)와 전단자극(18)의 선단(18a) 사이의 거리보다도 매체(10)와 후단자극(44)의 선단(44a) 사이의 거리를 소정 길이 이상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조에 의해 생기는 수직자계분포의 가파른 구배부분을 데이터의 기입에 사용한다.
종래의 링헤드(8)에 의한 기록자계의 수직방향 성분분포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갭(22)을 중심으로 하여 갭에 면하는 전단자극(18)의 에지 부근과, 마찬가지로 갭에 면하는 후단자극(20)의 에지 부근에 쌍방에 극성이 다른 피크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체(10)로부터 본 전단자극(18)쪽이 후단자극(44)보다도 근거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매체에 가해지는 자계는 전단자극(18)측 자계쪽이 강하고, 후단자극(44)측의 자계는 약해진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래의 링헤드(8)의 수직자계 성분 ㎐의 분포가 도 4와 극성을 반전시켜서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링헤드(8A)에 의한 수직자계 성분 ㎐은 상술한 이유에 의해 후단자극측의 자계가 약해지기 때문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분포가 된다.
이와 같은 수직자계 성분분포를 갖기 때문에, 후단자극(44)측의 피크자계가 매체의 항자력보다도 적은 값까지 약해진 경우에는, 전단자극(18)측 자계에 의해 자화된 매체는 후단자극(44)측 자계에 의해 재기입되는 일은 없어진다.
따라서 종래는 후단자극측 피크의 더욱 하류측에 있는 A부분의 자계구배로 형성되어 있던 자화전이가 본 발명에서는 갭내 B부분의 자계구배로 형성되게 된다.
이 B부분의 자계구배는 A부분의 자계구배에 비해 대단히 가파른 경사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 수직자계 성분의 가파른 구배부분 B를 기입에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단층자성막을 갖는 수직자화매체용 기록헤드를 제공할 수가 있다.
종래의 면내 자기기록방식에 있어서도 박막 링헤드의 후단자극이 오목하게 된 경우에 대한 보고예(G.G.Roberts, T.A.Roscamp, P.D.Frank, Origins of Playback Asymmetry in Recording with Thin Film Disk Heads, IEEE Trans. Magn., Vol. MAG-17, No.6, 1981)가 있다.
그러나 이 보고예에서는 기록방식이 면내 자기기록방식에 한정되고, 더구나 재생에 사용한 경우 밖에는 언급하고 있지 않으며, 헤드자계의 수직성분분포를 수직자화매체의 기입에 이용하는 고찰은 전혀 없었던 것이 명백하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자화막과 기판 사이에 연자성 하지막을 갖는 2층막 수직자화매체용 자기헤드에서는 보조자극을 주자극보다도 기록매체로부터 멀게 한 자기헤드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2층막 수직자화매체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자화막(36)에는 항상 수직방향으로 자계가 인가된다. 이는 보조자극(40)을 주자극(38)보다도 매체(30)로부터 멀게 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2층막 수직자화매체용 기록헤드에서 보조자극(40)을 주자극(38)보다도 매체면으로부터 멀게 하는 것은 보조자극(40)으로부터의 자계를 약하게 하여 자기노이즈를 저감함이 목적이며, 본 발명의 특징인 가파른 경사를 갖는 자계구배부분을 데이터의 기입에 이용한다는 고찰은 이들 종래기술에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부분 확대도이며, 트리밍에 의해 후단자극(48)의 선단(매체 대향면)의 일부를 절삭하여 오목부(50)를 형성한 박막 링헤드의 선단 부근을 표시하고 있다. 부호 46은 전단자극이며, 화살표 P는 매체 이동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단자극(46) 및 후단자극(48)의 매체 이동방향(다운 트랙방향)의 폭은 3.5㎛, 갭 길이 0.5㎛, 전단자극(46)의 크로스 트랙방향의 폭이 3.0㎛이며, 후단자극(48)의 트리밍에 의한 오목한 곳의 깊이 D가 1.0㎛ 오목부(50)의 폭이 10.0㎛이다.
비교를 위해 트리밍을 하지 않는, 즉 후단자극(48')이 매체 대향면에 오목부를 갖지 않는 종래형 링헤드를 도 9b에 나타낸다.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2개의 기록헤드에 대해, 매체위치에서의 헤드자계 수직성분의 3차원 수치 계산결과를 도 10에 나타낸다. 실선으로 이은 하얀 동그라미가 수직자화매체에 대한 기록자계분포를 나타내고, 파선으로 이은 검은 동그라미가 종래 헤드의 기록자계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또 참고로서 종래형 링헤드의 면내 자화매체에 대한 기록자계분포를 점선으로 나타낸다. 횡축은 매체 이동방향(다운 트랙방향)의 거리, 종축은 규격화한 기록헤드자계이다.
도 10으로부터 종래형 링헤드의 기록자계구배는 완만하며, 피크위치로부터 후단측(도면에서는 좌측)으로 0.5㎛ 떨어진 위치에서도 피크자계의 50% 이상의 자계강도가 유지되고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에 의한 기록자계는 피크위치로부터 0.5㎛ 후단측으로 떨어지기만 해도 자계강도가 거의 0이 되어 있다. 이는 점섬으로 나타낸 종래형 링헤드의 면내 기록자계 성분분포에 필적하는 대단히 가파른 자계구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직자계 성분분포는 대단히 가파른 자계구배를 가지고 있으나, 완전히 수직한 방향의 자계성분분포가 아니라도 본 발명의 원리는 적용 가능하다.
즉 막면에 수직한 방향보다도 조금 면내방향으로 경사진 자황용이축을 생각하면, 자화용이축의 경사가 수직방향으로부터 30°정도 이내이면, 이 경사축방향에서의 기입자계성분의 분포에서도 종래의 링헤드의 경사방향 자계성분 분포보다도 가파른 자계구배가 얻어진다. 따라서 막면에 대해 완전히 수직이 아니며 경사방향으로 자화용이축을 갖는 사방 자화매체의 기록헤드로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는 후단자극(48)에 형성한 오목부(50)의 깊이를 1.0㎛로 설정하였으나, 전단자극(46)의 선단면(매체 대향면)의 높이보다도 전단자극(46)과 후단자극(48) 사이의 갭 길이 상당 정도 이상으로 후단자극(48)의 선단이 오목하게 되어 있으면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수직자계분포의 후단자극 오목부 깊이 의존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의 그래프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헤드 모델에 있어서, 후단자극(48)이 오목부를 갖지 않은 경우(깊이=0)로부터 오목부(50)의 깊이 D를 0.5, 1.0, 2.0㎛와 같이 변화시킨 때의 기록자계 수직성분을 플롯한 것이다.
도 12는 후단자극(48)의 오목부(50)의 다운 트랙방향의 길이=3.5㎛, 크로스 트랙방향의 폭=10㎛이며, 전단자극(46)의 폭=3㎛, 전단자극(46)과 후단자극(48) 사이의 갭 길이=0.5㎛일 때의 측정례이다.
기록매체의 수직방향의 항자력을 Hc=22000e로 가정하면, 후단자극(48)이 오목부(50)를 갖지 않을 경우에는 부의 피크가 항자력 Hc를 넘기 때문에 부의 피크보다도 더욱 후단측(도면에서는 좌측)의 자계구배부분에 의해 자화전이가 형성된다.
이에 대해 후단자극(48)의 선단이 0.5㎛ 이상 오목하게 되어 있으면, 이제는 부의 피크는 매체 항자력 Hc를 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정부 2개의 피크간의 가파른 자계구배부분에 의해 자화전이가 결정되게 되어, 단층막 수직자화매체용의 우수한 기록헤드로서 사용 가능해진다.
도 13은 후단자극(52)의 오목영역(오목부)(53)의 다른 트랙방향 길이 및 크로스 트랙방향 폭 의존성의 설명도이다. 화살표 P가 다운 트랙방향, 화살표 Q가 크로스 트랙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기록헤드에서, 후단자극(52)이 오목부(53)를 갖지 않을 경우(L=0)로부터 오목부(53)의 다운 트랙방향 길이 L을 0.5, 1.0, 2.0, 3.5㎛로 변화시킨 때의 수직기록자계 분포를 플롯한 것이다. 도 14로부터 부의 수직자계 피크가 매체 항자력 Hc를 넘지 않게 되는 것은 오목부(53)의 길이 L이 2.0㎛ 이상의 경우임을 알 수가 있다.
도 14의 그래프는 후단자극(52)의 오목부(53)의 깊이=0.5㎛, 크로스 트랙방향의 폭=10㎛이며, 전단자극(46)의 폭=3㎛, 전단자극(46)과 후단자극(52) 사이의 갭 길이=0.5㎛인 때의 측정예이다.
도 14에 나타낸 조건과 같이 후단자극(52)의 오목부(53)의 깊이와 폭 W를 일정하게 설정한 경우에는, 오목부(53)의 길이 L이 2.0㎛ 이상 필요함이 나타나 있으나, 헤드로부터 생기는 자계의 퍼짐은 갭 길이에 강하게 의존하므로, 갭 길이가 절반인 0.25㎛가 되면 오목부(53)의 길이 L도 1.0㎛ 정도가 되어 충분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후단자극(52)의 오목부(53)의 다운 트랙방향 길이 L이 갭 길이의 4배 이상이 필요하다.
도 14에 나타낸 측정예에서는 후단자극(52)의 오목부(53)의 크로스 트랙방향의 폭 W을 10.0㎛로 일정하게 설정하였으나, 전단자극(46)의 선단 에지부로부터 보와서 크로스 트랙방향과 다운 트랙방향에 같은 길이만큼만 후단자극(52)이 오목하게 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후단자극(52)의 오목부(53)의 크로스 트랙방향의 폭 W는 전단자극(46)의 폭에 갭 길이의 8배를 가한 길이 이상이 필요하다.
도 15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헤드 선단부분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는 전단자극(54)의 크로스 트랙방향의 폭이 후단자극(58)의 폭보다도 넓은 경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단자극(54)의 선단(54a)을 가공하여 실효적인 자극 폭 W가 후단자극 폭과 동등 이하가 되도록 한 돌기(56)를 전단자극(54)의 선단부에 형성한다.
도 15의 실시예에서는 후단자극(58)의 선단(58a)은 전단자극(54)의 선단(54a)로부터 깊이 D=0.75㎛ 오목하게 되어 있으며, 후단자극(58)의 선단(58a)의 크로스 트랙방향의 폭=4㎛이다.
또 전단자극(54)의 돌기부(56)의 크로스 트랙방향의 폭=3㎛이며, 전단자극(54)과 후단자극(58) 사이의 갭 길이=0.5㎛이다.
도 16은 전단자극(54)의 선단 가공전후의 헤드자계분포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선으로 나타낸 전단자극(54)의 선단 가공후에는 부의 수직자계의 피크가 매체 항자력 Hc를 넘지 않게 되어,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전단자극 폭 및 후단자극 폭이 같은 박막 링헤드, 페라이트헤드 또는 MIG헤드를 베이스헤드로 사용하고, 자극의 선단을 적당히 가공하여도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극히 샤프한 기록자계의 수직방향 자계성분분포를 얻을 수가 있다. 따라서 연자성 하지막을 갖지 않는 단층막 수직자화매체용의 우수한 기록헤드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종래의 박막 링헤드 등을 베이스로 하여 후단자극 선단부분을 일부 가공하기만 하면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제조성의 면에서도 대단히 유리하며, 수직자계 기록장치의 성능향상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Claims (9)

  1. 면내방향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자화용이축을 갖는 단층자성막을 갖춘 자기매체용 기록헤드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이동방향에 대해 상류측에 설치된, 상기 매체에 대향하는 선단을 갖는 전단자극과;
    상기 전단자극의 선단과의 사이에 미소 갭을 형성하여 상기 매체에 대향하는 선단과, 상기 전단자극과 접촉한 후단부를 가지며, 상기 매체의 이동방향에 대해 하류측에 설치된 후단자극과;
    상기 전단자극과 상기 후단자극과의 접촉부를 중심으로 감긴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후단자극의 선단과 상기 매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전단자극의 선단과 상기 매체 사이의 거리보다도 소정 길이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길이는 상기 미소 갭의 길이 이상인 기록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자성막은 막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자화용이축을 갖는 수직자화막인 기록헤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자극은 상기 후단자극보다도 큰 매체 이동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의 폭을 가지며, 상기 전단자극은 상기 선단의 폭이 상기 후단자극의 폭과 등등하거나 그 이하가 되도록 부분적으로 가공된 돌기를 갖는 기록헤드.
  5. 면내방향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자화용이축을 갖는 단층자성막을 갖춘 자기매체용 기록헤드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이동방향에 대해 상류측에 설치된, 상기 매체에 대향하는 선단을 갖는 전단자극과;
    상기 전단자극의 선단과의 사이에 미소 갭을 형성하여 상기 매체에 대향하는 선단과, 상기 전단자극과 접촉한 후단부를 가지며, 상기 매체의 이동방향에 대해 하류측에 설치된 후단자극과;
    상기 전단자극과 상기 후단자극과의 접촉부를 중심으로 감긴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전단자극의 선단과 상기 후단자극의 선단은 상기 매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후단자극은 소정 깊이의 오목부를 상기 갭에 면하는 상기 선단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헤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깊이는 상기 미소 갭의 길이 이상인 기록헤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상기 매체의 이동방향의 길이는 상기 미소갭의 길이의 4배 이상인 기록헤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자극은 상기 전단자극보다도 큰 매체 이동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의 폭을 가지며, 상기 오목부의 매체 이동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의 폭은 상기 전단자극의 상기 선단의 폭에 상기 미소 갭의 길이의 8배를 가한 길이 이상인 기록헤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자성막의 막면에 대해 수직방향의 자화용이축을 갖는 수직자화막인 기록헤드.
KR1019970045790A 1997-02-24 1997-09-04 단층자성막 수직자화매체용 기록헤드 KR199800699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39552 1997-02-24
JP9039552A JPH10241117A (ja) 1997-02-24 1997-02-24 単層磁性膜垂直磁化媒体用記録ヘッ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926A true KR19980069926A (ko) 1998-10-26

Family

ID=1255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790A KR19980069926A (ko) 1997-02-24 1997-09-04 단층자성막 수직자화매체용 기록헤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20449A (ko)
JP (1) JPH10241117A (ko)
KR (1) KR19980069926A (ko)
CN (1) CN1192021A (ko)
DE (1) DE19738176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7848B1 (en) * 2000-01-10 2003-12-23 Seagate Technology Llc 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 head with means for suppressing noise from soft magnetic underlayer of recording media
JP4139546B2 (ja) * 2000-03-14 2008-08-27 株式会社日立グローバルストレージテクノロジーズ 垂直磁気ディスク装置
US6798615B1 (en) * 2000-03-24 2004-09-28 Seagate Technology Llc Perpendicular recording head with return poles which reduce flux antenna effect
JP2001283411A (ja) * 2000-03-30 2001-10-12 Toshiba Corp 磁気ヘ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20024755A1 (en) * 2000-04-10 2002-02-28 Kim Yong Su Method and apparatus for 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
KR100370403B1 (ko) * 2000-11-24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수직자기기록 방식의 자기헤드
US6995932B1 (en) 2001-05-07 2006-02-07 Marvell International Ltd. Thermal asperity compensation in perpendicular recording system
US7286311B1 (en) 2001-05-07 2007-10-23 Marvell International Ltd. Thermal asperity compensation in perpendicular recording
US6813115B2 (en) 2002-04-18 2004-11-02 Seagate Technology Llc 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 head with improved write field gradient
KR100460131B1 (ko) * 2002-05-08 2004-12-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초 고밀도 자기기록용 플래너형 기록헤드의 특성 최적화방법
JP4215198B2 (ja) * 2003-05-13 2009-01-28 株式会社日立グローバルストレージテクノロジーズ 磁気ヘッド及びそれを搭載した磁気ディスク装置
JP2005108315A (ja) * 2003-09-30 2005-04-21 Toshiba Corp 垂直磁気記録方式のディスクドライブ及び磁気ヘッド
US7310204B1 (en) 2003-12-19 2007-12-18 Western Digital (Fremont), Llc Inductive writer design for using a soft magnetic pedestal having a high magnetic saturation layer
JP4118246B2 (ja) * 2004-03-31 2008-07-16 Tdk株式会社 垂直磁気記録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7268974B2 (en) * 2004-04-30 2007-09-11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Magnetic write head having a notched yoke structure with a trailing shiel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296337B2 (en) * 2004-05-25 2007-11-20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Notched trailing shield for perpendicular write head
US8815060B2 (en) * 2004-08-30 2014-08-26 HGST Netherlands B.V. Method for minimizing magnetically dead interfacial layer during COC process
US7616403B2 (en) * 2004-10-29 2009-11-10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Winged design for reducing corner stray magnetic fields
JP2006185558A (ja) * 2004-12-28 2006-07-13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磁気ヘッド及びそれを備えた磁気記録装置
US7440209B1 (en) 2005-02-15 2008-10-21 Marvell International Ltd. Communications channel with programmable coupling
US7969684B2 (en) * 2006-03-28 2011-06-28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Write head design and method for reducing adjacent track interference at very narrow track widths
US8102623B2 (en) * 2007-08-31 2012-01-24 Tdk Corporation Thin-film magnetic head with a magnetic pole having an inclined step at its top end section surface, magnetic head assembly with the thin-film magnetic head, magnetic disk drive apparatus with the magnetic head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in-film magnetic head
US10115415B1 (en) * 2018-03-23 2018-10-30 Headway Technologies, Inc. Magnetic pulse recording scheme in 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
CN111210848B (zh) * 2018-11-22 2022-09-27 新科实业有限公司 用于热辅助磁记录的过渡曲率改进的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27468A1 (de) * 1984-08-01 1986-02-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Osaka Magnetkopf fuer quermagnetische aufzeichnung und wiedergabe
JPS63308717A (ja) * 1987-06-10 1988-12-16 Tdk Corp 垂直薄膜磁気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317920A (ja) * 1987-06-22 1988-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ヘッドの製造方法
JPS6437703A (en) * 1987-08-03 1989-02-08 Nippon Telegraph & Telephone Floating type perpendicular magnetic head and its manufacture
JPH01151011A (ja) * 1987-12-08 1989-06-13 Fujitsu Ltd 垂直磁気記録用薄膜磁気ヘッド
JPH081687B2 (ja) * 1988-09-27 1996-01-10 富士通株式会社 垂直磁化薄膜ヘッド
JPH0490101A (ja) * 1990-08-01 1992-03-24 Hitachi Ltd 垂直磁気記録装置
US5659446A (en) * 1990-12-12 1997-08-19 Kabushiki Kaisha Toshiba Magnetic recording system providing a magnetic head having opposite sides for applying different magnetic field strengths to a magnetic recording medium
US5142768A (en) * 1991-05-02 1992-09-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magnetic head with enhanced poletip
US5267112A (en) * 1991-09-30 1993-11-30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Thin film read/write head for minimizing erase fringin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800510B2 (ja) * 1991-12-02 1998-09-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ヘッド及び薄膜磁気ヘッド
US5452166A (en) * 1993-10-01 1995-09-19 Applied Magnetics Corporation Thin film magnetic recording head for minimizing undershoot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5726841A (en) * 1996-06-11 1998-03-10 Read-Rite Corporation Thin film magnetic head with trimmed pole tips etched by focused ion beam for undershoot re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38176A1 (de) 1998-09-03
US5920449A (en) 1999-07-06
CN1192021A (zh) 1998-09-02
JPH10241117A (ja) 1998-09-11
DE19738176C2 (de)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9926A (ko) 단층자성막 수직자화매체용 기록헤드
US7113366B1 (en) Double-nosed inductive transducer with reduced off-track writing
US7322095B2 (en) Process of manufacturing a four-sided shield structure for a perpendicular write head
US7133253B1 (en) Pole tip with sides flared at media-facing surface
US6033580A (en) Thin film magnetic head with special pole configuration
US6618227B2 (en) Combination perpendicular record and reproduce head having an auxiliary pole recessed from an air bearing surface and spaced from one of a pair of reproducing element sheilds
JP2004342164A (ja) 磁気ヘッド及びそれを搭載した磁気ディスク装置
US6369992B1 (en) Yoke-type head with magneto-resistance effect film recessed from medium facing surface and extending across magnetic gap
US5555482A (en) Etched erase band feature for thin film recording heads
JP3639603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KR20030076179A (ko) 기록용 자기 헤드 및 자기 기억장치
JP2001006121A (ja) 薄膜磁気ヘッドとその製造方法及び磁気記録装置
JP2991589B2 (ja) 薄膜磁気ヘッド及び磁気ディスク装置
US20010043445A1 (en) Thin film magnetic head with tip sub-magnetic po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S62114113A (ja) 薄膜磁気ヘツド
JPH0363912A (ja) 薄膜磁気ヘッド
JPH0333924Y2 (ko)
JPH054088Y2 (ko)
JPH08273111A (ja) 磁気ヘッドコ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59489B2 (ja) 浮動式磁気ヘッド
JPH0676230A (ja) 浮動型磁気ヘッド
JPS59142719A (ja) 薄膜ヘツド
JPS58199426A (ja) 薄膜磁気ヘツド
JPH10105919A (ja) 薄膜磁気ヘッド
Kryder et al. ULTRAHIGH DENSITY MAGNETIC WRITE HE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00720

Effective date: 2001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