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9808A - 구두 밑창 및 그것을 포함하는 구두 및 샌들 - Google Patents

구두 밑창 및 그것을 포함하는 구두 및 샌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9808A
KR19980069808A KR1019970027121A KR19970027121A KR19980069808A KR 19980069808 A KR19980069808 A KR 19980069808A KR 1019970027121 A KR1019970027121 A KR 1019970027121A KR 19970027121 A KR19970027121 A KR 19970027121A KR 19980069808 A KR19980069808 A KR 19980069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foot
shoe
shoe sole
t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7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7099B1 (ko
Inventor
히로아키 쓰지
Original Assignee
야마자키 쇼조
게이한 쓰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자키 쇼조, 게이한 쓰쇼(주) filed Critical 야마자키 쇼조
Publication of KR19980069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0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8Wedged end portion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발의 플래핑 운동이 수행될 수 있는 구두 밑창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두 밑창은 발가락 부분(10)과 주요 부분(20)으로 형성된다. 상기 발가락 부분(10)은 한 개의 상부 표면 부분(F ; 제 1 상부 표면 부분)과 한 개의 바닥 표면 부분(제 1 바닥 표면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주요 부분(20)은 한 개의 상부 표면 부분(E ; 제 2 상부 표면 부분)과 3개의 바닥 표면 부분(B, C, D ; 제 2 바닥 표면 부분, 제 3 바닥 표면 부분, 제 4 바닥 표면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주요 부분(20)에서 바닥 표면 부분(C)의 측면부 두께(t2)는 중간 측면부의 두께(t1)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바닥판(C ; 제 3 바닥 표면 부분)에서는 상기 제 3 바닥 표면 부분이 보행 평면에 접촉될 때, 발이 굴곡된 발등 부분으로 외전(外轉)되는 것을 허용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보행시에, 상기 제 3 바닥 표면 부분과 제 1 바닥 표면 부분, 제 2 바닥 표면 부분, 제 4 바닥 표면 부분들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먼저, 제 4 바닥 표면 부분이 지면에 접지되고, 제 3 바닥 표면 부분이 지면에 접지될 때, 발이 외전 운동하고, 그 후 제 2 바닥 표면 부분에 의해 발의 무게는 내측을 향하여 이행되고, 마지막으로, 제 1 바닥 표면 부분은 지면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외전 운동을 한다. 즉, 발의 플래핑 운동이 수행된다.

Description

구두 밑창 및 그것을 포함하는 구두 및 샌들
본 발명은 구두 밑창 및 그것을 포함하는 구두 및 샌들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다수 개의 바닥 표면 부분을 구비하는 구두 밑창 및 그것을 포함하는 구두 및 샌들에 관한 것이다.
구두 밑창의 제작에는 발의 구조와 기능을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발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발은 26 개의 뼈로서 구성된다. 도 19 를 참조하면, 발은 해부학적으로 쇼파트 관절(145 ; chopart's joint)과 리스프랑 관절(140 ; Lisfranc's joint)에 의해서 발 앞 부분(110)와 발 중앙 부분(120)와 발 뒷 부분(130) 등의 3 개로 구분된다. 그러나, 구두밑창과 연관지어 생각하면, 발 앞 부분(110)을 가운데 발가락 마디 관절(112 ; MP joint metatarsophalangeal joint)에 의해 발가락 부분(113)과 가운데 발뼈 부분(111)으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는, 구두 밑창과의 연관지우면, 발은 발 뒷 부분(130)과, 발 중앙 부분(120)과, 발 앞 부분(110)의 가운데 발뼈 부분(111)과, 발 앞 부분(110)의 발가락 부분(113) 등의 4개의 부위로 나누어 생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발의 뼈가 상기 3 개의 관절(112, 140, 145)에 의해서 4개의 부분(111, 113, 120, 130)으로 나뉘는 것은 보행시 발에서의 4 개 단계(즉, 발뒤꿈치가 접지되는 시기, 발바닥 전체가 접지되는 시기, 발뒤꿈치가 지면과의 접촉 상태로 부터 분리되어 들어올려지는 시기, 뒷 방향으로 지면을 밀치는 시기)에 밀접하게 관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 뒷 부분(130)는 발뒤꿈치가 접지되는 시기에 관계되고, 발 중앙 부분(120)은 발바닥 전체가 접지되는 시기에 관계되고, 발 앞 부분(110)의 가운데 발뼈 부분(111)은 발 뒤꿈치가 지면으로 부터 들어올려지는 시기에 관계되고, 발 앞 부분(110)의 발가락 부분(113)은 뒷 방향으로 지면을 밀치는 시기에 각각 관계된다.
쇼파트 관절(145)은 내측의 거주 관절(145a)과 외측의 발뒤꿈치 입방관절(145b)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2 개의 관절 각각의 운동축에 의해, 발의 뼈는 내측 그룹(150)과 외측 그룹(160)으로 구분된다.
상기 내측 그룹(150)은 거골(131)과 주상골(121)과 3 개의 설상골(123 ; 123a 내지 123c)와 내측의 3 개의 가운데 다리뼈(111a 내지 111c)와, 상기 3 개의 가운데 다리뼈(111a 내지 111c)에 이어지는 발가락 뼈(113a 내지 113c)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외측 그룹(160)은 발뒤꿈치 뼈(132)와, 입방골(122)과, 외측의 2 개의 가운데 발뼈(111d, 111e)와, 상기 2 개의 가운데 발뼈(111d, 111e)에 이어지는 발가락 뼈(113d, 113c)에 의해서 구성된다. 도 2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전(外轉) 운동시에, 내측 그룹(150)은 외측그룹(160)에 편승하게 된다. 상기 내측 그룹(150)과 외측 그룹(160)은 다음에 기술하는 세로의 아치에 관계된다.
외전 운동시, 이러한 내측 그룹(150)의 축과 외측 그룹(160)의 축은 도 21A 및 도 2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으로 유지되어 발을 유연하게 한다. 또, 도 22A 및 도 2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전 운동에서 내측 그룹(150)의 축과 외측 그룹(160)의 축이 교차하고 발을 강하게 압박하여 고정시킨다. 외측 그룹(160)은 직립했을 때 균형을 잡으며, 걸을 때는 발의 걸음걸이를 원활하게 한다. 내측 그룹(150)은 체중을 지탱하며, 지면을 뒷쪽으로 스프링 역할을 한다.
발의 주된 운동으로서는 도 23C 에 도시된 저굴 운동(plantar flexion)과, 도 23B 에 도시된 배굴 운동(dorsiflexion) 등이 있다. 상기 배굴 운동의 가동 범위는 약 20。까지이며, 저굴 운동의 가동 범위는 약 40。까지이다. 보행시, 발 관절의 각도 변화는 대체로 배굴 10。에서 저굴 120。의 범위이다. 또, 배굴 및 저굴 운동 이외의 발의 운동으로서는 도 24A 및 도 24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전 운동(도 24A) 및 외전 운동(도 24B), 도 25A 및 도 2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전 운동(도 25A) 및 내전 운동(도 25B), 도 26A 및 도 26B 에 도시된 내측 되돌림 운동(도 26A) 및 외측 되돌림 운동(도 26B) 및 도 27A 내지 도 27C 에 도시된 발 뒷 부분의 내전 운동(도 27A) 및 외전 운동(도 27C)이 있다.
발에는 세로와 가로에 각각 2 개씩의 아치가 존재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8A 및 도 2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 를 맺는 세로 방향의 아치(171)와, B-C 를 맺는 세로 방향의 아치(172)와, A-B 를 맺는 가로 방향의 아치(173)와, D-E를 맺는 가로 방향의 아치(174)가 있다.
도 29 는 발뼈를 내측에서 본 것이며, 상기 내측 부분에는 내측 세로 아치(171)가 위치한다. 내측 세로 아치(171)는 보행면(지면)에 접지되지 않는다. 정상인 상태에서, 상기 내측 세로 아치(17)는 체중에 의해 근소하게 저하되지만, 이와 동시에 발바닥 근육의 기장 작용으로 인하여 상기 내측 세로 아치(131)의 저하가 제한된다.
도 30 은 발의 뼈를 외측에서 본 것이며, 상기 외측 부분에 외측 세로 아치(172)가 위치한다. 외측 세로 아치(172)에 체중이 걸리면, 5 번째의 가운데 발뼈(111e)의 뼈 융기부분(211e ; tuberosity)이 지면에 접지하고 이것에 의해 발의 안정성을 부여된다.
또, 가로 방향의 2 개의 아치는 발의 장축인 제 2 가운데 발 뼈(111b)에 직교하는 동시에 앞부분과 뒷부분에 위치한다. 앞부의 가로 아치(173)는 5 개의 가운데 발뼈 골두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체중을 가하므로서 상기 가로 아치(173)는 얕아진다. 상기 뒷 부분의 가로 아치(174)는 3 개의 설상골(123a 내지 123c)와 입방골(122)에 의해서 구성되는 작은 아치이다. 뒷부분의 가로 아치(174)는 체중의 부하에 의해서 변화되지 않는다.
상기 외측 세로 아치(172)에 의한 지지 구조에 의해 보행이나 조깅시에는 착지의 강한 충격을 받기 때문에, 발 뒤꿈치 착상후에 발바닥의 바깥축이 우선 접지한다. 이경우에, 외측부의 접지후에는 발바닥 전체의 접지가 계속되며 발이 내전되어 내측 세로 아치(171)의 평탄화가 다소 일어난다. 이러한 내측 세로 아치(171)의 평탄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근육의 긴장이 유발되므로 내측 세로 아치(171)는 오히려 스프링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근육의 작용이 약하면 내측 세로 아치(171)의 평탄화가 크게 되며, 그렇기 때문에 필요한 체중 지지를 할 수 없게 되며, 그 결과 내전 장해가 생긴다. 따라서, 구두 밑창에는 내전의 움직임을 억제하면서 외전의 움직임이 자연히 되고, 또한 내측 세로 아치(171)의 평탄화를 억제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그런데, 맨발에 의한 자연스러운 걸음걸이는 플래핑이 나타나는 보행이다. ASHINOHANASHI, Shiro Kondo, Iwanamishinsho, 1982 에는 맨발 보행시 발이 밖으로 안으로 플래핑되고 걸음으로서 보행시의 에너지 소비를 적게 하고, 이것에 의해 장시간 걷는 것을 가능케 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즉, 플래핑 보행은 발 뒤꿈치 접지에서 발의 외측연의 접지, 발바닥 전체로의 접지, 뒤꿈치의 이상, 즉, 발끝 지지, 지면을 뒤쪽으로 차내는 동작(kick)과 같이 발은 발뒤꿈치 접지에서 발바닥 전체 접지까지는 외전에서 내전의 운동을 발바닥 전체 접지 상태에서 지면을 차내는 동작까지는 내전에서 외전의 운동을 행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구두 밑창은 그 바닥 표면 부분이 수평면 형상이고 내측과 외측의 두께가 같으므로 발뒤꿈치 접지에서 발바닥 전체 접지로 이행할 때, 발은 외측연을 경유하지 않고 발바닥 전체가 접지하는 경우가 많고, 이것 때문에 발의 외측연이 접지하는 외전 운동을 행하는 것은 곤란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구두 밑창에서는 발뒤꿈치 접지에서 발의 발바닥 전체 접지로 이행할 때 외전 운동을 행하기는 곤란하며, 그 결과 종래의 구두 밑창으로는 플래핑 운동을 행하기는 곤란하였다.
또한, 본원 발명자는 실용 신안 등록 제 3019544 호 공보에서, 복수의 바닥 표면 부분을 갖는 구두 밑창에 대하여 여러 종류 제안했는데, 이와 같이 제안된 복수의 바닥 표면 부분은 모두 다 각 바닥 표면 부분의 내측과 외측의 두께가 같다. 이것 때문에 상술된 종래의 일반적인 구두 밑창과 마찬가지로 발뒤꿈치 접지에서 발바닥 전체 접지로 이행할 때, 발은 외측역을 경유하지 않고 발바닥 전체가 접지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것 때문에 발의 외측연이 접지하는 외전 운동을 행하기는 곤란하며, 그 결과 플래핑 운동을 행하기는 곤란하였다.
또, 특개평 6-261801 호 공보에는 복수의 바닥 표면 부분을 갖는 구두 밑창이 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복수의 바닥 표면 부분의 그 어느것이나 내측과 외측의 두께가 같다. 이것 때문에, 상술된 종래의 일반적인 구두 밑창 및 상기 본원 발명자가 제안한 구두 밑창과 마찬가지로 발뒤꿈치 접지에서 발바닥 전체 접지 상태로 이행할 때, 발은 외측연을 경유하지 않고 발바닥 전체가 접지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것 때문에 발의 외측연이 접지하는 외전 운동을 행하기는 곤란하며, 그 결과 플래핑 동작을 행하기는 곤란했다.
또, 발뒤꿈치를 제거하므로서 발끝서기를 가능하게 한 구두 밑창이 실공소 39-4438 호 공보, 실개소 53-46254 호 공보, 실개소 55-131102 호 공보, 실개소 58-87503 호 공보, 실개소 59-8603 호 공보, 실개소 60-170104 호 공보, 특개소 62-74301 호 공보, 실개소 63-10903 호 공보 및 미국 특허 No. 5,339,542 등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것들도 결국은 플래핑 동작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다. 이것 때문에 이것들의 구두 밑창에서 바닥 표면 부분의 내측의 두께와 외측의 두께가 같으며, 그 결과 플래핑 운동을 행하는 것이 곤란한다.
또, 특개평 1-155846 호 공보에는 구두 밑창의 외측과 내측과의 마모 정도를 균등케 할 목적으로 마모되기 쉬운 외측의 폭을 마모되기 어려운 내측의 폭보다 크게 한 구두 밑창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두 밑창의 내측의 두께와 외측의 두께는 같으나, 이것 때문에 이 구두 밑창으로는 플래핑 동작을 행하는 것이 곤란한다.
이상 기술된 바와 같이, 종래 여러가지의 구두 밑창이 제안되고 있는데, 그 어느 구두 밑창도 발뒤꿈치 접지에서 발의 발바닥 전체 접지 상태로 이행할 때, 외전 운동을 행하기는 곤란하며, 그 결과 플래핑 동작을 행하기는 곤란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한 목적은 발의 플래핑 운동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구두 밑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외전의 움직임을 자연히 되고, 또한 내측 세로 아치의 평탄화를 억제하는 구두를 포함하는 구두 밑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구두 밑창은 발가락 부분과 주요 부분을 갖추고 있다. 발가락 부분은 주로 발의 발 앞부분의 발가락부를 지지하는 제 1 윗면과 보행면에 접촉하는 제 1 바닥 표면부분을 갖는다.
주요 부분은 제 2 윗면과 제 2 밑면, 제 3 밑면 및 제 4 밑면을 갖는다. 제 2 윗면은 발가락 부분에 연속해서 형성되고 있으며, 주로 발의 앞부분의 가운데 발뼈 부분과 발 중앙 부분과 발 뒷 부분을 지지한다. 또, 제 2 바닥 표면 부분은 제 1 바닥 표면 부분에 대해서 굴곡이 가능하도록 접속되는 동시에, 제 2 윗면에 대해서 시계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 3 바닥 표면 부분은 제 2 바닥 표면 부분과 연속되는 동시에 제 2 윗면과 거의 평행으로 배치된다. 제 3 바닥 표면 부분은 발의 외측 부분의 두께가 발의 내측 부분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저부의 바닥 표면은 거의 평탄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또한 제 3 바닥 표면 부분과 연속됨과 더불어 제 2 윗면에 대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제공된다.
이와 같이 제시된 구두 밑창에서, 제 3 바닥 표면 부분은 발의 외측 부분의 두께가 발의 내측 부분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서 제 3 바닥 표면부분이 보행면에 접촉될 때, 발은 배굴위에서의 외전 운동의 움직임을 자연히 이행할 수 있고, 이것에 대해서 내측 세로 아치의 평탄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3 바닥 표면 부분과 상기 제 1 바닥 표면 부분, 제 2 바닥 표면 부분 및 제 4 바닥 표면 부분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보행시에는 우선 제 4 바닥 표면 부분이 접지하고, 다음에 제 3 바닥 표면 부분의 접지될 때 발이 외전하고, 그 후 제 2 바닥 표면 부분에서 체중이 내측으로 이동하고 끝으로 제 4 바닥 표면 부분으로 외전하면서 지면을 뒤쪽으로 차내기를 한다는 소위 발의 플래핑 운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같은 발의 플래핑 운동에 의해서 보행시의 에너지 소비를 적게 하고, 그것에 의해 장시간 걷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발의 플래핑 운동이 가능으로 되므로 종래의 구두 밑창에서와 같이 발의 자연 움직임이 제한되지 않고, 그 결과 종래의 구두 밑창에 비해서 걷기 쉽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 주요 부분의 제 4 바닥 표면 부분을 제 2 윗면에 대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마련하므로서 제 4 바닥 표면 부분이 보행면에 접촉한 경우에 발끝이 들어올려지는 경사로 된다. 이것에 의해, 발에 적용하는 아래쪽으로의 회선 작용을 경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발뒤꿈치 접지시의 발 관절의 저굴 모멘트를 작게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무릎의 신전위를 유지한 보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주요 부분이 체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주요 부분을 충분한 경도를 갖는 재료로 구성하고, 상기 발가락 부분을 주요 부분보다 유연한 재료로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발가락 부분에 대한 주요 부분의 가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바닥 표면 부분을 발의 내측 부분의 폭이 외측 부분의 폭보다 작게 형성한다.
제 3 바닥 표면 부분을 제 2 및 제 4 바닥 표면 부분에 대해서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한다. 제 3 바닥 표면 부분을 포함하는 주요 부분은 통상 어느정도 탄력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므로 이와 같이 제 3 바닥 표면 부분을 홈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 2 및 제 4 바닥 표면 부분과의 경계에 위치하는 제 3 바닥 표면 부분에서 홈의 측단면부가 쉽게 휘어진다. 이것에 의해, 제 4 바닥 표면 부분의 접지 후의 제 3 바닥 표면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이 접지할 때, 제 3 바닥 표면 부분에서 홈의 측단면부가 휘어지며, 그 결과,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발이 한층 외전하기 쉽게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4 의 바닥 표면 부분을 상기 바닥 표면 부분의 내측 및 외측의 양측 단부에 오목부를 갖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 4 바닥 표면 부분 부분의 중량을 경감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구두 밑창의 무게 중심을 용이하게 제 2 바닥 표면 부분 부분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구두에서 무게 중심의 수직선은 상기 제 2 바닥 표면 부분을 지나며, 상기 구두의 착용자의 무게 중심의 수직선은 상기 제 2 바닥 표면 부분을 지난다. 이와 같이 제 2 바닥 표면 부분에 무게 중심을 위치시키므로서 제 2 바닥 표면 부분에 의해서 서있는 경우에 장딴지의 근육을 그다지 쓰지 않고 설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두 밑창을 샌들에 구성해도 제 3 바닥 표면 부분이 보행면에 접촉할 때 발은 배굴위에서 외전 운동의 움직임을 자연히 행할 수 있고, 내측 세로 아치의 평탄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3 바닥 표면 부분과 제 1 바닥 표면 부분, 제 2 바닥 표면 부분 및 제 4 바닥 표면 부분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발은 발뒤꿈치 접지에서 발바닥 전체 접지 상태까지는 외전에서 내전 운동을 발바닥 전체 접지에서 지면을 후방으로 차내기 단계까지는 반대로 내전에서 외전의 운동을 행하고, 그 결과 소위 플래핑 운동을 자연히 행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구두 밑창을 도시한 정면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구두 밑창을 도시한 저면도.
도 3 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닥 표면 부분(C) 부분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 는 도 3 에 도시된 바닥 표면 부분(C)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5 는 도 1 에 도시된 제 1 실시 형태에 따라 발뒤꿈치를 접지시키기 위해 구두 밑창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 은 도 1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의 형태에 따른 발바닥 전체면이 지면에 접촉되는 시기에 구두 밑창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 은 도 1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의 형태에 따른 발뒤꿈치가 지면과의 접촉 상태로부터 분리되어 들어 올려지는 시기에 구두 밑창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 은 도 1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라 뒷쪽으로 밀치는 시기의 구두 밑창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A 내지 도 9D 는 일반적인 구두를 사용한 보행 시기에서의 배굴근과 저굴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A 내지 도 10D 는 도 1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구두 밑창을 사용한 경우의 보행 시기에 배굴근과 저굴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구두 밑창을 사용한 운동화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구두 밑창을 사용한 운동화에 대한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구두 밑창을 사용한 하이힐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구두 밑창을 사용한 하이힐에 대한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구두 밑창을 적용한 구두 전체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6 은 도 15 에 도시된 구두 바닥면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구두 밑창을 적용한 구두 전체에 대한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8 은 도 19 에 도시된 구두의 바닥 표면 부분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9 는 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0 은 발의 내측 그룹과 외측 그룹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1A 및 도 21B 는 발의 내전 동작과 내측 그룹 및 외측 그룹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2A 및 도 22B 는 발의 외전 동작과 내측 그룹 및 외측 그룹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3A 내지 도 23C 는 발의 배굴 및 저굴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4A 및 도 24B 는 발의 내전 및 외전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5A 및 도 25B 는 발의 내전 및 외전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6A 및 도 26B 는 발의 내측 되돌림 운동 및 외측 되돌림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7A 내지 도 27C 는 발 뒷 부분의 내전 운동 및 외전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8A 및 도 28B 는 발의 아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9 는 발의 내측 세로 아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0 은 발의 외측 세로 아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가락 부분20 : 주요 부분
본 발명의 특징적인 새로운 형태는 나중에 첨부되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제안될 것이지만, 본 그 차체 뿐만이 아니라 양호한 실시의 형태 및 추가적인 목적과 장점들을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이 참조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구두 밑창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2 는 도 1 의 저면도이다. 또, 도 3 은 도 2 의 바닥 표면 부분(C) 부분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구두 밑창은 비교적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발가락 부분(10)와 체중을 지탱하기에 충분한 경도를 갖는 주요 부분(20)로 구성된다. 발가락 부분(10)와 주요 부분(20)는 가운데 발가락 마디 관절(112)(도 19 참조)의 위치에 대응되는 구두의 조인트의 부분(발끝으로 설 때에 굴곡의 지점이 되는 곳)에서 서로 굴곡이 가능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발가락 부분(10)는 발바닥의 발끝이 접하는 윗면(F ; 제 1 윗면)과 보행면에 접하는 바닥 표면 부분(A ; 제 1 바닥 표면 부분)을 갖는다. 또, 발가락 부분(10)의 내부에는 코르크나 스폰지 등으로 되는 유연성 부재(11)가 매립되어 있다. 주요 부분(20)는 발바닥이 접하는 1 개의 윗면(E ; 제 2 윗면)과, 보행면에 접하는 3 개의 바닥 표면 부분(B ; 제 2 바닥 표면 부분)과, 바닥 표면 부분(C ; 제 3 바닥 표면 부분) 및 바닥 표면 부분(D ; 제 4 바닥 표면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주요 부분(20)의 바닥 표면 부분(B, C, D)은 각각 체중 지지면으로 유효한 넓이를 갖는다. 주요 부분(20)의 윗면(E)는 발가락 부분(10)의 윗면(F)에 대해서 약 10。 이상 약 40。 이하의 뒤쪽이 들려진 경사를 갖고 있다. 이것 때문에 발가락은 발바닥에 대해서 항상 경도의 배굴위로 된다.
구두 밑창의 무게 중심을 포함하는 수직선은 주요 부분(20)의 바닥 표면 부분(B)에 위치한다. 이것 때문에, 구두 밑창을 평면에 놓았을 경우에 평면에 접하는 것은 발가락 부분(10)의 바닥 표면 부분(A)이나, 혹은 주요 부분(20)의 바닥 표면 부분(B)이며, 주요 부분(20)의 바닥 표면 부분(C)과 바닥 표면 부분(D)은 평면에는 접하지 않는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구두 밑창을 갖춘 구두를 사람이 신고 자연히 서있는 경우에도 사람의 무게 중심을 포함하는 수직선이 바닥 표면 부분(B)에 위치하고, 주요 부분(20)의 바닥 표면 부분(C)과 바닥 표면 부분(D)은 평면에는 접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구두 밑창을 갖춘 구두를 사람이 신고 자연히 서있는 경우에 장딴지의 근육을 거의 쓰는 일이 없이 안정적으로 바닥 표면 부분(B)에 설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부분(20)의 바닥 표면 부분(B)이 보행면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 주요 부분(20)의 윗면(E)에 접하는 발바닥 부분은 보행면에 대해서 약 10。 이상 약 40。 이하의 발뒤꿈치가 들리도록 경사진다. 이 경우의 바닥 표면 부분(B)과 바닥 표면 부분(C)과의 경계선(3-3a)은 주상골(121)의 아래에 위치하며, 또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부분(20)의 바닥 표면 부분(D)이 보행면에 접촉하고 있을 경우, 주요 부분(20)의 윗면(E)에 접하는 발바닥은 보행면에 대해서 약 10。 이상 약 20。 이하의 발끝이 들어 올려지는 경사로 된다. 이 경우의 바닥 표면 부분(D)과 바닥 표면 부분(C)과의 경계선은 주상골(121)과 설상골(123)과의 관절부의 밑에 위치하며, 발의 뒷부분(130)와 발의 중앙 부분(120)의 주상골(121)을 완전히 지지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부분(20)의 바닥 표면 부분(C)은 발바닥(윗면 E)과 거의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 때문에, 바닥 표면 부분(C)이 보행면에 접하고 있을 경우, 윗면(E)에 접하는 발바닥의 부분은 보행면에 평행인 상태로 된다. 이경우 다른 바닥 표면 부분(A, B, D)는 보행면에서 떨어진다. 또,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표면 부분(C)과 바닥 표면 부분(B)과의 경계선(3-3a)은 내측 설상골(123a)의 거의 밑에 위치하며 바닥 표면 부분(C)과 바닥 표면 부분(D)과의 경계선(4-4a)은 쇼파트 관절(145)의 아래에 위치한다. 이것 때문에 바닥 표면 부분(C)이 보행면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 바닥 표면 부분(C)의 부분으로 발의 가운데 다리 부분(120)이 지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부분(20)의 바닥 표면 부분(C) 부분의 두께를 발의 외측 부분(3a)의 두께(12)가 발의 내측 부분(3)의 두께(51)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바닥 표면 부분(C)이 보행면에 접촉할 때, 발이 근소하게 상위(도 25A 및 도 25B 참조)를 취할 수 있다. 이 결과, 보행시 우선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표면 부분(D)이 접지하고, 다음에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표면 부분(C)의 접지시에 발이 외전하고, 그 후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표면 부분(B)에서 체중이 내측으로 이동하고, 최후에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표면 부분(A)에서 외전하면서 지면을 후방으로 차내기한다는 소위 발의 플래핑 운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같은 발의 플래핑 운동에 의해서 보행시의 에너지 소비를 적게 하고 그것에 의해서 장시간 걷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의 플래핑 운동이 가능으로 되므로 종래의 구두 밑창과 같이 발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제한되지 않으며, 그 결과, 종래의 구두 밑창에 비해서 걷기 쉽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 주요 부분(20)의 바닥 표면 부분(C)의 외측의 두께(t12)를 내측의 두께(t1)보다 작게 하므로서 발뒤꿈치 접지에서 바닥 표면 부분(C)의 접지로 이행할 때 내전의 움직임을 억제하고 배굴위에서 외측 서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보행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내측 세로 아치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내측 세로 아치의 저하에 의해서 필요한 체중을 지지할 수 없게 된다는 불편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서 내전 운동의 감쇄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바닥 표면 부분(C)의 외측의 두께(t2)는 내측의 두께(t1)보다 1mm 내지 10mm 정도로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와 같이 주요 부분(20)의 바닥 표면 부분(C)과 바닥 표면 부분(C) 부분의 두께를 조정하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표면 부분(C)과 바닥 표면 부분(B, D)와의 접속 관계로부터 바닥 표면 부분(C)의 내측의 폭(W1)에 외측의 폭(W2)보다 작아진다. 이 경우, 바닥 표면 부분(A, B, D)는 내측의 두께와 외측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뒤꿈치에 주요 부분(20)의 바닥 표면 부분(B)이 발의 앞 부분(110)의 가운데 다리뼈 부분(111)의 전체를 지지하기 때문에, 가운데 다리뼈 골두의 압박력을 경감할 수 있고, 그 결과, 발가락 부분(10)의 바닥 표면 부분(A)과의 경계의 가동성을 높힐 수 있다. 그것에 의해서 발의 추진력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부분(20)의 바닥 표면 부분(D)이 보행면에 접하고 있는 경우, 발바닥은 보행면에 대해서 발끝쳐 올림의 경사로 되므로 발뒤꿈치 접지시의 발관절의 배굴위를 유지하기 쉽다. 그것에 의해서, 발뒤꿈치 전체로 접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안정된 발뒤꿈치 접지를 행할 수 있다. 또, 바닥 표면 부분(D)에 의해 발끝쳐올림의 경사로 되므로 발에 작용하는 아래쪽으로 회전 작용을 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서 발뒤꿈치 접지시의 발관절의 저굴 모멘트를 작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보행이 출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리 관절의 저굴 모멘트는 발뒤꿈치의 접지점을 지점으로 한 체중의 작용에 의해 모멘트와 발 관절의 중심을 지점으로 한 발의 중량의 작용에 의한 모멘트를 가하는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상기와 같이 저굴 모멘트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무릎의 신전위를 유지한 보행을 행할 수 있다. 무릎 신전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으로서는 발이 곧추설 때 체중을 지탱하는데 필요한 근육의 힘은 적어도 된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것 때문에 보행에 요구되는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표면 부분(A)을 이용해서 발끝 서기나 발끝 걷기를 행할 수 있다. 이같은 발끝 서기나 발끝 걷기는 하퇴 삼두근(장딴지)을 중심으로 한 발관절의 저굴근의 훈륜으로 된다. 또,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표면 부분(D)을 이용해서 발뒤꿈치 서기나 발뒤꿈치 걷기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뒤꿈치 서기나 발뒤꿈치 걷기는 하퇴 앞측의 앞경골근 등의 다리 관절 배굴근의 훈련으로 된다.
도 9A 내지 도 9D 및 도 10A 내지 도 10D 는 보행의 시기에서 하퇴 배굴근의 서 있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A 내지 도 9D 는 일반적인 구두 밑창에 의한 것이며, 도 10A 내지 도 10D 은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구두 밑창을 쓴 경우이다. 도 9A 내지 도 9D 및 도 10A 내지 도 10D 을 참조하면, 보행 시기는 발뒤꿈치 접지 시기(도 9A 및 도 10A), 발바닥 전체 접지 시기(도 9B 및 도 10B), 발뒤꿈치의 지면 분리 시기(도 9C 및 도 10C), 및 지면 뒷차기 시기(도 9D 및 도 10D)인 4 개의 단계로 나뉜다.
도 9A 는 발뒤꿈치 접지 시기에서 발관절의 저굴 모멘트를 작게 하기 위해서 하퇴 앞측의 앞경 골근을 주로하는 배굴근(191)이 힘껏 작용하고 있다. 도 9B 의 발바닥 전체 접지 시기에는 지지 면적이 넓게 안정되고 있으므로 다음의 발뒤꿈치의 지면 이탈 시기(도 9C)를 대비해서 하퇴 삼두근(장딴지)을 주로하는 저굴근(192)이 준비를 하고 있으며, 이것 때문에 배굴근(191)은 작용되지 않는다. 도 9C 의 발뒤꿈치 지면 분리 시기에는 발뒤꿈치를 들어 올리기 위해서 저굴근(192)은 힘껏 작용하고 있으며, 한쪽의 발을 내딛기 위해서도 발가락부의 안정을 유지한다. 도 9A 내지 도 9D 의 지면 뒷차기 시기에서 내딛은 발의 뒤꿈치는 이미 접지하고 있으나, 재빨리 내딛은 발에 체중 이동을 하기 위해서 저굴근(192)은 힘껏 작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도 10A 에 도시된 본 실시 형태의 구두 밑창의 발뒤꿈치 지면 분리 시기에서는 주요 부분(20)의 바닥 표면 부분(D)에 의해서 도 9A 의 경우에 비해서 접지 면적이 넓어지며 또한, 저굴 모멘트도 작으므로 배굴근(191)은 여유를 갖고 작용하고 있다. 이것 때문에 도 10A 의 배굴근(191)에 작용하는 힘(F2)은 도 9A 의 배굴근(191)에 작용하는 힘(F1)보다 작다. 다음에, 도 10D 의 발바닥 전체 접지 시기에서는 주요 부분(20)의 바닥 표면 부분(C)에 의해서 접지 면적은 도 9B 에 비해서 작아진다. 이것 때문에 체중이 완전히 발위를 통과하기 까지 전후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 배굴근(191)도 저굴근(192)도 언제라도 작용할 수 있게 준비하고 있다. 다음에 도 10C 의 발뒤꿈치 지면 분리 시기에서 주요 부분(20)의 바닥 표면 부분(B)에 의해서 발뒤꿈치는 들어올려지며 또한, 바닥 표면 부분(A) 및 바닥 표면 부분(B)에 의해서 접지 면적도 넓게 안정되고 있다. 이것 때문에 한쪽의 발을 내딛는 것도 편하다. 도 10C 의 발뒤꿈치기 들어올려지는 단계에서의 저굴근(192)에 작용하는 힘(F2)은 도 9C 의 발뒤꿈치 저굴근(192)에 작용하는 힘(F1)보다 작아진다.
최후의 도 10D 의 지면 차내기 시기에선 도 9D 의 지면 차내기 시기와 조건은 같으나, 바닥 표면 부분(D)에서 바닥 표면 부분(C) 및 바닥 표면 부분(B)까지의 3 면이 체중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추진력을 축적하고 있으므로, 저굴근(192)의 작용은 도 9D 에 비하여 경감된다.
이와 같이, 도 10A 내지 도 10D 에 도시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해 구두 밑창을 쓰면, 종래 경우에 비해서, 특히, 발뒤꿈치 접지시기 및 발뒤꿈치 지면 분리 시기에 있어서 배굴근(191) 및 저굴근(192)에 작용하는 힘을 경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운동을 할 때 발생하는 하퇴의 운동 상태 등도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 및 도 12 는 도 1 에 도시된 제 1 실시의 형태에 의한 구두 밑창을 스포츠 슈즈에 응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 은 워킹이나 조깅용의 스포츠 슈즈이며 도 12 는 테니스용의 스포츠 슈즈이다. 도 11 에 도시한 스포츠 슈즈와 도 12 에 도시한 스포츠 슈즈와의 상이점은 주요 부분(20)의 바닥 표면 부분(C)의 폭을 테니스용의 스포츠 슈즈쪽이 워킹이나 조깅용의 스포츠 슈즈에 비해서 넓게 하고 있는 것이다. 테니스에서는 가로 방향의 움직임이 많고 이 가로 방향의 움직임 때 바닥 표면 부분(C)의 외측을 써서 제동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 때문에 도 12 에 도시한 테니스용의 스포츠 슈즈에서는 바닥 표면 부분(C)의 폭을 넓게 해서 가로 방향의 움직임의 제동을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 는 도 1 에 도시된 제 1 실시의 형태에 의한 구두 밑창을 하이힐에 응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바닥 표면 부분(A, B)가 보행면에 접한 상태에서 도 13 에 도시된 하이힐은 발바닥의 각도가 28。인데 반하여, 도 14 의 하이힐에서는 발바닥의 각도가 40。이다. 또, 도 13 의 하이힐의 발바닥에 대한 바닥 표면 부분(D)의 각도와 도 14 에 도시한 하이힐 발바닥에 대한 바닥 표면 부분(D)의 각도는 20。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구두 밑창을 적용한 구두 전체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16 는 도 15 에 도시된 구두의 바닥 표면 부분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구두 밑창을 적용한 구두 전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18 은 도 17 에 도시된 구두의 바닥 표면 부분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 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도 도 3 과 마찬가지로 주요 부분(20)의 바닥 표면 부분(C)부분의 두께를 발의 외측부분의 두께가 발의 내측부분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바닥 표면 부분(C)이 보행면에 접촉할 때 발이 근소하게 외전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이결과, 보행시에는 도 5 내지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바닥 표면 부분(D)이 접지하고 다음에 바닥 표면 부분(C)의 접지시에 발이 외전하고 그 후, 바닥 표면 부분(B)에서 체중이 내측으로 이동하고 최후에 바닥 표면 부분(A)에서 외전하면서 차내기한다는 소위 발의 플래핑 운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행시의 에너지의 소비가 적어지며 그결과 장시간 걷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주요 부분(20)의 바닥 표면 부분(C)의 외측의 두께(t2)를 내측의 두께(t1)보다 작게 하므로서 발뒤꿈치 접지에서 바닥 표면 부분(C)의 접지로 이행할 때, 내전 운동을 억제하고 배굴위에서의 외측 서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보행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내측 세로 아치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결과, 내측 세로 아치의 저하에 의해서 필요한 체중을 지지할 수 없게 된다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 에 도시된 구두(50)에서는 주요 부분(20)의 바닥 표면 부분(C)고 바닥 표면 부분(B, D)와의 경계부는 한면이 되게 형성되고 있음에 대해서 도 17 및 도 18 의 구두(50)에서는 바닥 표면 부분(C)이 바닥 표면 부분(B, D)에 대해서 팬 형상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주요 부분(20)는 어느 정도의 탄력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이와 같이 바닥 표면 부분(C)을 홈 형상으로 형성하므로서 바닥 표면 부분(B, D)와의 경계에 위치하는 바닥 표면 부분(C)의 홈의 옆단면부가 쉽게 휘어진다. 이것에 의해서 바닥 표면 부분(D)의 접지후의 바닥 표면 부분(C)에 대응하는 부분이 접지할 때 바닥 표면 부분(C)의 홈의 옆단면부가 휘어지고, 그 결과,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과 더불어 발이 한층 더 외전하기 쉽게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도 15 내지 도 18 에 도시한 구두(50)에서, 더불어 평탄면 형상의 바닥 표면 부분(D)의 양측단이 스푼으로 떠낸 것같은 형상(오목 형상)으로 깍이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주요 부분(20)의 바닥 표면 부분(D)부분의 중량을 작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주요 부분(20) 및 발가락 부분(10)를 포함하는 구두 밑창 전체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을 용이하게 바닥 표면 부분(B)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구두 밑창을 갖춘 구두를 사람이 신고 자연히 서있는 경우에 장딴지의 근육을 거의 쓰지 않고 안정해서 바닥 표면 부분(B)에 의해 설 수 있다.
또, 평탄면 형상의 바닥 표면 부분(D)의 양측단을 스푼으로 떠낸 것 같은 형상(오목 형상)으로 하므로서 바닥 표면 부분(D)의 양측 단면이 모떼기된 것같은 형상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조깅 등의 발뒤꿈치 접지 시기에 바닥 표면 부분(D)의 측단연부로부터 접지하는 경우에도 바닥 표면 부분(D)의 스푼으로 떠낸 것 같은 형상(오목 형상)의 속의 내측의 부분이 접지하게 되며, 그결과, 바닥 표면 부분(D)에 상기 오목 형상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 바닥 표면 부분(D)의 측단연의 외전연부가 접지하는 경우에 비해서 바닥 표면 부분(D)의 보다 내측부문에서 접지하는 것이 가능으로 된다. 그것에 의해 바닥 표면 부분(D)의 측단연부의 외전연부로부터 접지하는 경우에 발생하기 쉬운 도 27A 내지 도 27C 에 도시한 발 뒷 부분의 내전이나 발 뒷 부분의 외전의 운동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15 내지 도 18 에 도시한 구두 밑창에서는 도 2 에 도시된 구두 밑창과는 달리 바닥 표면 부분(c)과 바닥 표면 부분(B)과의 경계선이 직선 형상이 아니고 굴곡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부분에서의 바닥 표면 부분(C)과 바닥 표면 부분(B)의 경계선은 바닥 표면 부분(C)과 바닥 표면 부분(D)과의 경계선에 개략적으로 평행이며, 외측 부분에서의 바닥 표면 부분(C)과 바닥 표면 부분(B)과의 경계선은 바닥 표면 부분(C)과 바닥 표면 부분(D)과의 경계선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로 경사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므로서, 바닥 표면 부분(C)과 바닥 표면 부분(B)의 경계선이 도 2 에 도시한 경우에 비해서 바닥 표면 부분(C)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바닥 표면 부분(C)에서 발이 외전한 후, 바닥 표면 부분(B)에 의한 내전 동작으로 이행할 때, 그 이행을 보다 빠르게 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바닥 표면 부분(C)에 의한 외전 동작이 지나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보다 원활한 플래핑 운동을 행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발의 플래핑 운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를 나타내 보이는 구두 밑창 및 그것을 포함하는 구두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구두 밑창 및 그것을 포함한 구두 및 샌들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발 앞부분의 발가락을 주로 지지하는 제 1 상부 표면 부분(F)과, 보행면에 접촉하는 제 1 바닥 표면 부분(A)을 구비하는 발가락 부분(10)과,
    상기 발가락 부분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 앞부분의 척골과, 상기 발의 중앙부와, 후측부를 주로 지지하는 제 2 상부 표면 부분(E)과, 제 2 바닥 표면 부분(B)과, 제 3 바닥 표면 부분(C)과, 제 4 바닥 표면 부분(D)을 갖는 주요 부분(20)을 포함하는 구두 밑창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닥 표면 부분(B)은 상기 제 1 의 바닥 표면 부분에 대해서 굴곡 가능하게 접속되고, 구두를 상기 제 2 상부 표면에 대하여 내측으로부터 바라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 3 바닥 표면 부분(C)은 상기 제 2 바닥 표면 부분에 연속적으로, 그리고 상기 제 2 상부 표면에 거의 평행하도록 제공되고, 또한, 발의 내측 부분의 두께(t1)보다 더 작은 두께(t2)의 발의 외측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제 4 의 바닥 표면 부분(D)은 평탄면의 형상으로 상기 제 3 바닥 표면 부분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두를 제 2 상부 표면에 대해서 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밑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부분(20)는 체중을 지지하는데 충분한 경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발가락 부분은 상기 주요 부분보다 더 연한 재료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밑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바닥 표면 부분(C)에서 발의 내측 부분의 폭(W1)이 발의 외측 부분의 폭(W2)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밑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바닥 표면 부분(C)은 상기 제 2 의 바닥 표면 부분 및 제 4 바닥 표면 부분에 대해서 음푹 들어간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밑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바닥 표면 부분(D)은 그 내측 및 외측의 양 단부에 오목부(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밑창.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구두 밑창을 포함하는 구두에 있어서,
    상기 구두의 무게 중심 수직선은 상기 제 2 바닥 표면 부분을 지나며, 상기 구두 착용자의 무게 중심 수직선도 또한 상기 제 2 바닥 표면 부분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두 밑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들.
KR1019970027121A 1997-02-25 1997-06-25 구두 밑창 KR1002370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41028 1997-02-25
JP941028A JP2791658B1 (ja) 1997-02-25 1997-02-25 靴の底およびそれを含む靴ならびにサンダ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808A true KR19980069808A (ko) 1998-10-26
KR100237099B1 KR100237099B1 (ko) 2000-01-15

Family

ID=1259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7121A KR100237099B1 (ko) 1997-02-25 1997-06-25 구두 밑창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26351A (ko)
EP (1) EP0860121B1 (ko)
JP (1) JP2791658B1 (ko)
KR (1) KR100237099B1 (ko)
CN (1) CN1119090C (ko)
DE (1) DE69719953T2 (ko)
TW (1) TW3473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9854B1 (ko) * 1998-02-26 2000-01-15 박문환 건강 증진용 신발
CA2343044C (en) * 1999-08-28 2008-04-01 Negort Ag Device for active rolling walking
US7069665B1 (en) * 2002-07-19 2006-07-04 Biocorrect L.L.C. Correcting foot alignment
US7278227B2 (en) * 2003-08-04 2007-10-09 Eshrat Masoodifar Conditioning shoe and method of use
US8230619B2 (en) * 2004-05-06 2012-07-31 Salvatelli Srl Footwear orthosis
KR100465376B1 (ko) * 2004-09-30 2005-01-13 주식회사 학산 후족 통제형 고기능성 안창
US7150114B2 (en) * 2004-12-07 2006-12-19 Healko Co., Ltd. Shoe sole for triple-time stepping
KR100652012B1 (ko) * 2004-12-20 2006-11-30 코전트모션 주식회사 후방밸란스 워킹화
DE202005014764U1 (de) * 2005-09-14 2007-02-01 Me & Friends Ag Schuh mit ergonomischer Sohlengestaltung
DE112005003719B4 (de) * 2005-10-18 2012-10-04 Asics Corp. Schuhsohle mit Zwischensohle
US20080016716A1 (en) * 2006-07-18 2008-01-24 Battaglino Adam C Golf balance sandals
JP2008023300A (ja) * 2006-07-25 2008-02-07 Hiroshi Wada オー脚変形、膝痛、外反母趾、疲れを防ぐ履物
KR100720959B1 (ko) 2006-11-03 2007-05-23 손대근 측면공간부가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 장착용 미드솔
US7793437B2 (en) * 2007-01-04 2010-09-14 Steven Chapman Shoe sole
DE102007002396A1 (de) * 2007-01-10 2008-07-17 Tendenza Schuhhandels Gmbh & Co. Kg Schuhsohl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GB2456320B (en) * 2008-01-11 2011-08-10 Langer A sole for footwear
KR100849600B1 (ko) * 2008-01-18 2008-07-31 (주)알와이엔코리아 연결판 생크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에어백미드솔 구조
KR100910400B1 (ko) * 2008-12-18 2009-08-04 주식회사 엠에스존 신발 밑창
KR100905321B1 (ko) 2008-12-22 2009-07-02 광주광역시 남구 에코드라이빙용 신발
KR100957778B1 (ko) 2009-01-20 2010-05-12 장춘석 라커형 신발 밑창
KR100926192B1 (ko) * 2009-03-18 2009-11-09 류정현 삼박자보행 및 보행교정용 신발창
US20100263233A1 (en) * 2009-04-06 2010-10-21 Northwestern University Rocker shoes for prescribed ankle motion
WO2010136513A1 (de) * 2009-05-27 2010-12-02 Stefan Lederer Neue sohle für schuhe und sandalen
US20110113649A1 (en) * 2009-11-18 2011-05-19 Srl, Llc Articles of Footwear
KR101091768B1 (ko) 2010-02-24 2011-12-08 장춘석 라커형 신발 밑창
US11284664B2 (en) * 2010-09-13 2022-03-29 Thomas J. Hofbauer Footwear
CN102090754A (zh) * 2011-02-01 2011-06-15 桐乡一步先鞋业有限公司 凉鞋
JP2012170746A (ja) * 2011-02-23 2012-09-10 Secaicho Union Corp 靴底及び履物
US20130255109A1 (en) * 2012-03-29 2013-10-03 William J. Hyslop Footwear
KR101277084B1 (ko) * 2012-11-29 2013-06-20 오해환 허리 및 하체의 스트레칭을 위한 건강 신발
CA2831318A1 (en) * 2013-10-30 2015-04-30 Larry R. Macdonald A heel design for footwear designed such that the natural lever arm of the heel of the foot is relatively unchanged ensuring no increase in forces of the heel strike phase of bipedal locomotion. the effect being no heel of footwear induced shin splints, plantar fasciitis or related pathologies
US9629413B2 (en) 2015-03-23 2017-04-25 Karl Stien Footwear with tapered heel, support plate, and impact point measurement methods therefore
AU2016254020B2 (en) 2015-04-27 2020-07-16 United States Government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Rocker shoes, rocker shoe development kit and method
WO2019232632A1 (en) 2018-06-06 2019-12-12 Sun Ho Kim Sole for footwear with positioning faces
TWI664926B (zh) * 2018-06-07 2019-07-11 王昊龍 高跟鞋足舒支持器
WO2020077111A1 (en) * 2018-10-12 2020-04-16 The North Face Apparel Corp. Active stance last
WO2020086792A1 (en) * 2018-10-25 2020-04-30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orporated Gait modificatio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CN109805493B (zh) * 2019-03-20 2023-09-12 华尔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袜子鞋面的糖尿病足鞋
JP2022157959A (ja) * 2021-04-01 2022-10-14 株式会社ゼネラボ 履物
JP7428691B2 (ja) * 2021-12-27 2024-02-06 美津濃株式会社 シューズのソール
CN114631666B (zh) * 2022-03-13 2023-06-30 首都经济贸易大学 一种户外登山攀岩用鞋套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5A (en) * 1854-08-22 James a
JPS394438B1 (ko) 1962-03-08 1964-04-14
JPS5346254U (ko) 1976-09-20 1978-04-19
JPS5346254A (en) * 1976-10-08 1978-04-25 Pioneer Electronic Corp Phase compensating circuit
FR2396524A1 (fr) * 1977-07-08 1979-02-02 Adidas Chaussures Semelle pour chaussure de sport, et chaussure de sport comportant une telle semelle
US4262433A (en) * 1978-08-08 1981-04-21 Hagg Vernon A Sole body for footwear
JPS55131102U (ko) 1979-03-12 1980-09-17
JPS6016391B2 (ja) * 1979-03-31 1985-04-2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熱間鍛造法による高純度、高強度ZnSe焼結体の製造法
US4348821A (en) * 1980-06-02 1982-09-14 Daswick Alexander C Shoe sole structure
AT384714B (de) * 1980-07-01 1987-12-28 Distropat Ag Sohle fuer schuhe
BE885449A (nl) * 1980-09-29 1981-01-16 Spronken Orthopedie Loopzool voor gebruik onder een immobiliserend verband van het onderbeen waarbij alle voetgewrichten stijf zijn
JPS5887503A (ja) * 1981-11-20 1983-05-25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保持装置
JPS5887503U (ja) 1981-12-07 1983-06-14 片貝 大志 前部底の高い覆物
JPS598603A (ja) * 1982-07-07 1984-01-17 Toyo Soda Mfg Co Ltd 低食塩次亜塩素酸ナトリウム水溶液の製造方法
JPS598603U (ja) 1982-07-10 1984-01-20 佐藤 博之 トレ−ニング用シユ−ズ
JPS6017014U (ja) 1983-07-12 1985-02-05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載用アンテナ
JPS60170104A (ja) * 1984-02-14 1985-09-03 日本石油化学株式会社 電気絶縁油の製造法
JPS6274301A (ja) * 1985-09-27 1987-04-06 岡村 初太郎 半底のスポ−ツ靴
JPS6310903A (ja) * 1986-07-02 1988-01-18 Sony Corp 強磁性共鳴装置
JPS6310903U (ko) 1986-07-08 1988-01-25
JPH01155846A (ja) * 1987-12-14 1989-06-19 Sachiko Kosaka 膝関節症患者用の靴
JPH0319544A (ja) * 1989-06-16 1991-0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ループ状相互通信装置
JPH0319544U (ko) 1989-06-30 1991-02-26
KR950011585B1 (ko) * 1992-03-13 1995-10-06 조명언 신발밑창
JPH0645503U (ja) * 1992-12-01 1994-06-21 株式会社ナンシン 運動靴
US5339542A (en) * 1993-05-20 1994-08-23 Metapro Frontal sole exercise device
US5507106A (en) * 1993-06-18 1996-04-16 Fox; Marcus Exercise shoe with forward and rearward angled sections
US5579591A (en) * 1993-06-29 1996-12-03 Limited Responsibility Company Frontier Footwear for patients of osteoarthritis of the knee
US5592757A (en) * 1994-03-02 1997-01-14 Jackinsky; Carmen U. Shoe with walking s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090C (zh) 2003-08-27
JP2791658B1 (ja) 1998-03-27
EP0860121A2 (en) 1998-08-26
DE69719953T2 (de) 2004-01-08
TW347313B (en) 1998-12-11
CN1191701A (zh) 1998-09-02
EP0860121A3 (en) 1999-05-19
EP0860121B1 (en) 2003-03-19
JPH10234412A (ja) 1998-09-08
KR100237099B1 (ko) 2000-01-15
DE69719953D1 (de) 2003-04-24
US5826351A (en) 1998-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9808A (ko) 구두 밑창 및 그것을 포함하는 구두 및 샌들
US4377041A (en) Athletic shoe sole
US5694706A (en) Heelless athletic shoe
US6021588A (en) Shoe assembly
KR19980018221A (ko) 신발 충격흡수시스템
KR970000107A (ko) 서로 다른 완충구역을 가진 신발 및 이러한 신발용 밑창
US6260289B1 (en) Sole, and shoe and sandal including the same
US4813159A (en) Foot support for optimum recovery
TW202007297A (zh) 鞋用內底
JP4841736B2 (ja) 前部に突起部を備えた中底およびこの中底を備えた靴
KR200428361Y1 (ko) 다기능 신발밑창
US20110289802A1 (en) Shoe appliance with an orthopedic device
KR100813803B1 (ko) 다기능 신발밑창
JP3041007U (ja) 靴の底およびそれを含む靴ならびにサンダル
KR200172498Y1 (ko) 신발 밑창 및 이것을 포함하는 구두 및 샌들
KR20220002787A (ko) 족저근막염 및 척추 교정용 인솔
JPH09308706A (ja) 半球体的隆起状底式履き物型トレーニング器具
JP4856658B2 (ja) 靴中敷
KR101957213B1 (ko) 탄성력을 이용한 기능성 인솔
US20170164688A1 (en) Orthotic System
CA3122884A1 (en) Shoe sole for a sports shoe and shoe, in particular sports shoe for the sport of running
JP7350346B2 (ja) 履物
KR100552339B1 (ko) 신발용 발의 아치 보형물
KR101091768B1 (ko) 라커형 신발 밑창
KR100957778B1 (ko) 라커형 신발 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