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803B1 - 다기능 신발밑창 - Google Patents

다기능 신발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803B1
KR100813803B1 KR1020060058176A KR20060058176A KR100813803B1 KR 100813803 B1 KR100813803 B1 KR 100813803B1 KR 1020060058176 A KR1020060058176 A KR 1020060058176A KR 20060058176 A KR20060058176 A KR 20060058176A KR 100813803 B1 KR100813803 B1 KR 100813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sole
walking
foot
shoe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391A (ko
Inventor
정성열
어광
Original Assignee
정성열
구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열, 구영미 filed Critical 정성열
Priority to KR102006005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803B1/ko
Publication of KR20080000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바닥면 전체가 길이방향으로 활처럼 둥글게 휘어지게 구성하여 정족보행과 다이어트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라운드 신발밑창의 구조를 개선토록 한 것으로, 바닥면에 각각 정족보행의 유도 및 보행 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균등하게 분산 유도하여 충격완화를 통한 발의 피로저감 및 정지상태에서의 직립의 안정성 확보 그리고 착지 시 정보행 동작의 초기 유도 및 밑창의 편중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기능적 구조를 구비시키되 이 기능적 구조 영역과 주변부위를 일정깊이의 경계 골을 이용하여 신발창 전체를 하여 6개의 구역으로 분할 구획토록 함으로써 보행 시 상기 기능적 구조가 주변 부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독자적으로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최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신발밑창, 정족보행, 경계 골, 기능 구획부.

Description

다기능 신발밑창 {Multifunction so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저면도.
도 3a은 도 2의 A-A선 단면 예시도.
도 3b는 도 3a의 착지 상태도.
도 4a는 도 2의 B-B선 단면 예시도.
도 4b는 도 4a의 착지 상태도.
도 5a는 도 2의 C-C선 단면 예시도.
도 5b는 도 5a의 착지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을 신발에 적용상태를 보이는 측면 예시도.
도 7은 정 자세 보행 시 발바닥에서의 체중 이동 궤적을 보이는 도면.
도 8은 기존 신발 밑창의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도 9는 기존의 신발밑창을 신발에 적용상태를 보이는 측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라운드형 밑창 10:앞꿈치 내반부
20:앞꿈치 외반부 30:뒤꿈치 내반부
40:뒤꿈치 외반부 50:중족부
60:아치 지지부 70:제 1 경계골
71:제 2 경계골 72:제 3 경계골
본 발명은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바닥면 전체가 길이방향으로 활처럼 둥글게 휘어지게 구성하여 정족보행과 다이어트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라운드 신발밑창의 구조를 개선토록 한 것으로, 바닥면에 각각 정족보행의 유도 및 보행 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균등하게 분산 유도하여 충격완화를 통한 발의 피로저감 및 정지상태에서의 직립의 안정성 확보 그리고 착지 시 정보행 동작의 초기 유도 및 밑창의 편중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기능적 구조를 구비시키되 이 기능적 구조 영역과 주변부위를 일정깊이의 경계 골을 이용하여 신발창 전체를 하여 6개의 구역으로 분할 구획토록 함으로써 보행 시 상기 기능적 구조가 주변 부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독자적으로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최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함께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물질적 수준은 예전에 비해 대폭 향상되었으나, 오히려 운동부족 및 평상시의 생활 자세불량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이로 인한 스트레스, 성인병, 비만 등 삶의 질에 대한 문제가 새로이 제기되었다. 특히, 최근 들어 일명 웰빙(well-being)이란 문화 조류가 생길 정도로 삶의 질과 건강에 대한 관심은 사회적인 트랜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 따라 효과적인 운동방법, 좋지 못한 자세의 교정, 다이어트 등에 대한 관심은 이제 일반여성들은 물론 남성들에게도 주요한 관심사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발은 우리 몸 전체의 1/4에 해당되는 약 52개의 뼈와 수많은 관절과 인대, 신경, 혈관이 복잡하게 조화를 이룬 섬세한 인체 기관으로, 이러한 수많은 각각의 구조에 의해 지렛대의 역할로 보행이 가능한 것으로, 이러한 발의 구조는 크게 족근골(발꿈치와 발목으로 이루어져 있다)과 중족골(발의 체중 지지구 쪽으로 앞을 향하고 있으며, 내측은 발의 안쪽을 들어 올리는 아치(arch) 형상을 하며 외측은 비교적 편평하게 이루어져 있다)과, 족지골(발가락을 지지하고 있다)과, 종골(발목 뼈 중 가장 큰 뒤꿈치 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즉, 이러한 뼈나 인대, 신경들의 연결에 의해 보행이 가능하며, 특히 발의 뒤축과 중간부는 최소의 에너지 소모로 신체를 균형 있게 지탱해주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이와 연결된 인체의 척추부위나 목 부위까지 그 영향이 미치게 되는 것이며, 한편 발에서의 아치(Arch)라 함은 활의 휨 모양과 같이 발바닥의 중앙 안쪽부가 굴곡되게 패여 있는 부분을 말하며 이러한 아치는 보행이나 런닝 시 착지 지점에 있어서 발바닥이 지면에 닿을 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것은 물론 보행이나 런닝의 추진을 원활하게 해주는 생체방어기구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아치는 형성 발달 여부에 따라 개인마다 그 높이가 각기 상이하며 아치의 높이에 따라 정상족(Normal Foot),편평족(Flat Pes Planus), 요족(Pescavus)로 구분되며 아치 부분이 적거나 전혀 없는 발을 편평족이라고 하며 이러한 발은 지면과의 충격 완화 기능과 추진의 기능이 미약하여 운동을 하면 발의 피로가 빠르고 쉽게 피로해지며 운동 능률이 저하된다.
가장 이상적인 보행방법은 엄지발가락 뿌리부분에서 도약하여 발뒤꿈치로 착지한 뒤 발바닥의 중심부에 정지하는 보행방법이 정(正)보행으로 가장 바람직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정 보행 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체중의 이동 궤적은 도 7에서와 같은 것으로 뒤꿈치의 내반부에서 시작하여 발바닥의 중간부 외측을 지나면서 안으로 휘어져 엄지발가락 쪽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상기와 같은 발을 보호하며 보행 시 체중의 하중이 전달되는 충격의 힘이 무릎과 척추 등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하게 된다.
그러나, 근자에 들어서는 일반인들의 인식부족으로 대부분의 신발들은 발의 모양이나 보행을 고려하지 않고 단지 신발의 겉모양에 치중하여, 실질적으로 발이 접촉되는 바닥면은 발의 골격을 배제시키고 단순 평평한 상태로 제작되어, 보행 시 인체의 큰 부담으로 인한 보행의 어려움과 인체의 골격이 흐트러져 허리와 무릎의 통증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어 안정된 자세교정이 시급한 실정으로서, 보편화된 신발은 평면으로 이루어진 바닥면 뒷부분에 굽을 부착하고 있는 것으로, 그 이유는 직립에 있어서 발목에 체중이 실리게 되는 인체구조의 특성상 발바닥의 뒤쪽에 체중이 70% 이상 하중을 받고 직립하게 되며 뒤 굽을 10%만 높여줘도 체중 의 하중을 뒤쪽이 받게 되므로 직립 시 편안함과 무거운 중량을 들어 올릴 때 힘을 더 쓸 수 있는 이유이나 뒤 굽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진 것은 기능적인 실용성 보다는 필요한 보다는 멋의 패션에서의 영향이 더 크다 볼 수 있다.
따라서 굽을 가진 일반적인 신발을 신고 보행하는 경우 발의 뒤꿈치에 체중의 하중이 집중되어 무릎과 척추 등으로 충격력이 직접 전달되므로 무릎과 허리 목 어깨 등에 부담을 주어 통증을 유발 시킬 뿐 아니라 발가락의 변형을 가져오기도 하며 또한 정보행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피로감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내제 되어 있다.
종래에도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도 8내지 도 9에서와 같이 바닥면 전체가 길이방향으로 활처럼 둥글게 휘어지게 구성하여 다이어트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라운드 신발밑창(1')이 알려지고 있으나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노출하는 것이었다.
⊙ 단순히 신발 밑창(1')의 바닥 전체를 길이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한 구조이어서 보행 시 착지가 뒤꿈치부터 이루어져 충격의 완화를 기할 수 있고 보행 에너지의 소모를 크게 하여 어느 정도 다이어트 효과를 거두는 것은 가능한 구조이나, 전체 바닥면의 폭 방향으로는 특별한 기능적 구조없이 단순한 평면형태로 구성되는 것이어서 정 보행을 유도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뒤꿈치로 전달된 무게중심을 발바닥 중간부의 외측으로 안내하지 못하고 그대로 발바닥의 중심부를 통과하도록 유도하여 잘못된 보행자세를 갖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 또한 신발밑창(1')의 바닥 전체가 둥글게 라운드지게 구성됨으로써 정지 시 접지면적이 매우 적어 신체의 중심을 잡기 어려워지게 됨으로써 앞뒤 흔들림이 심하여 서있는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어 근 골격 계의 긴장으로 인해 멀미의 증상과 흔들림이 많은 장소에서의 넘어짐 등의 문제와 발목의 피로를 가중시키게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발바닥의 아치부분을 지탱해줄 구조가 전혀 없어 보행 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이 균등하게 분산 유도되지 못하여 발이 쉬 피로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 그리고 정 보행의 경우에는 착지 시 체중의 이동궤적을 따라 신발창의 뒤꿈치 내반부가 먼저 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정상인데, 상기 기존 신발창의 뒤꿈치는 내, 외측이 동일 높이로 평평하게 구성되는 것이어서 무게중심이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여 정 보행을 어렵게 할 뿐 아니라 정 보행동작에 저항하는 부위인 신발창의 뒤꿈치 외반부만 집중 마모되는 현상이 초래되어 신발의 사용수명을 단축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구조의 신발밑창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라운드 신발밑창의 구조를 개선하여 정족보행의 유도 및 보행 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균등하게 분산 유도하여 충격완화를 통한 발의 피로저감 및 정지상태에서의 직립의 안정성 확보 그리고 착지 시 정보행 동작의 초 기 유도 및 밑창의 편중마모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보행 시 상기 기능을 갖는 부위가 주변 부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독자적으로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최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다기능 신발밑창을 제공함에 있으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발밑창의 바닥면에 앞꿈치 외반부를 앞꿈치 내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도록 돌출 구성하고 뒤꿈치 외반부를 뒤꿈치 내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함몰되게 하며 신발 밑창의 중간부에는 라운드 형태가 배제된 직선부와 발바닥의 아치부를 받쳐 지지하는 아치 지지부를 돌출 구성하는 다수의 기능적 구조영역을 구비시키되 이 기능적 구조 영역과 주변부위를 일정깊이의 경계 골을 이용하여 신발창 전체를 하여 6개의 구역으로 분할 구획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C-C선 단면 예시도를 보이는 것으로,
본 발명은 선, 후단부가 상향으로 라운딩지도록 구성되는 라운드형 밑창(1)의 앞꿈치측에 일정 깊이로 요입 구성되는 제 1 경계골(70)을 통해 양분되는 앞꿈치 내반부(10) 및 상기 앞꿈치 내반부(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측 연부가 돌출되 도록 경사지게 구성되는 앞꿈치 외반부(20)와;
상기 라운드형의 신발 밑창(1)의 뒤꿈치측에 일정 깊이로 요입 구성되는 제 2 경계골(71)을 통해 양분되는 뒤꿈치 내반부(30) 및 상기 뒤꿈치 내반부(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함몰되게 구성되는 뒤꿈치 외반부(40)와;
상기 제 1 경계골(70)과 제 2 경계골(71)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라운드형의 신발 밑창(1)에 일정 깊이로 요입 구성되는 제 3 경계골(72)을 통해 분할 구획되며 길이 방향에 대해 직선 형태로 구성되는 중족부(50) 및 상기 중족부(5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돌출되게 구성되는 아치 지지부(6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 발명의 의 신발 밑창(1)은 도 6에서와 같이 직선으로 구성되는 중족부(50)와 아치 지지부(60)를 기준으로 앞꿈치 내, 외반부(10)(20)는 전방을 향하여 상향으로 라운드 형태이며, 뒤꿈치 내, 외반부(30)(40)는 후방을 향하여 상향으로 라운드지는 형태를 갖게 된다.
상기에서 앞꿈치 내, 외반부(10)(20)는 도 3(a)에서와 같이 앞꿈치 내반부(10)에서 앞꿈치 외반부(2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어 앞꿈치 외반부(20)가 상대적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신발밑창(1)이 착지되는 경우 도 3(b)에서와 같이 발의 앞꿈치 외측이 안쪽으로 경사지도록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뒤꿈치 내, 외반부(30)(40)는 도 5(a)에서와 같이 상기 앞꿈치 내, 외 반부(10)(20)와 반대로 뒤꿈치 내반부(30)에서 뒤꿈치 외반부(40)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성되어 뒤꿈치 외반부(40)가 뒤꿈치 내반부(30)에 비해 상대적으로 함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신발밑창(1)이 착지되는 경우 도 5(b)에서와 같이 발의 뒤꿈치 외측이 자연스럽게 외향으로 경사지도록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신발밑창(1)의 중간부에 직선으로 형성되는 중족부(50)의 아치 지지부(60)는 발의 아치부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되며 도 4(a)에서와 같이 중족부(50)의 저면에서 하향으로 융출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제 1내지 제 3 경계골(70)(71)(71)은 신발밑창(1)의 내부로 일정 깊이만큼 파고들어 가는 상태로 구성되며 적정의 골 폭을 두어 보행 시 임의의 기능적 영역인 상기 각 부(10)~(60)가 가압 유동되는 경우 이동력이나 가장자리가 근접 부위로 전이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신발밑창(1)이 적용된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정 보행하면서 발 뒤꿈치가 착지하게 되는 경우에는 일단 뒤꿈치 내반부(40)가 착지한 상태에서 살짝 틀어지면서 2차적으로 뒤꿈치 외반부(30)가 착지하게 되는 것 인바, 신발밑창(1)의 뒤꿈치 외반부(40)가 상대적으로 낮게 구성됨으로써 뒤꿈치 내반부(40)에서 뒤꿈치 외반부(30)로의 착지 이동이 아주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정 보행 동작을 저해함 없이 원활하게 무게중심을 중족부(50)의 외측으로 이동시켜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행 시 관절에 충격을 유발시키는 무릎을 필요 이상으로 드는 행동이나 무게중심이 뒤꿈치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팔자걸음 등을 바르게 교정 할 수 있 는 효과가 있으며 뒤꿈치 외반부(30)가 낮게 구성되어 정 보행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됨으로써 마모 또한 크게 감소되어 신발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착지된 후의 무게중심의 이동은 신발밑창(1)의 중족부(50)의 외측 가장자리를 통해 이동되며 이 상태에서는 도4(b)에서와 같이 아치 지지부(60)가 지면에 눌려지면서 상향으로 융출되면서 발바닥의 내측 공간부인 아치부에 접촉하여 지지하게 되는 것이어서 지면과의 충격 완화와 보행이나 런닝의 추진을 원활하게 하는 아치부의 역할을 보조함과 아울러 아치부의 피로를 감소시킴은 물론 발바닥 중간부 내, 외측을 균형있게 지지하여 체중 이동이 중족부(50)의 내측으로 이동되려는 것을 억제하여 정 보행 동작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중족부(50)를 통과한 정 보행 시의 무게중심의 이동은 앞꿈치 외반부(20)의 외측 가장자리를 통해 엄지 발가락 쪽으로 안으로 휘어지는 궤도를 갖게 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앞꿈치 외반부(20)는 앞꿈치 내반부(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관계로 보행에 의해 중족부(50)가 들려지면 돌출된 앞꿈치 외반부(20)가 먼저 지면에 접촉되어 자연스럽게 체중의 이동을 도 3(b)에서와 같이 낮은 위치의 앞꿈치 내반부(10)측으로 쏠리도록 안내하여 줌으로써 정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정지 시에는 둥글게 라운딩지지 않고 도 6에서와 같이 직선으로 구성되는 신발 밑창(1)의 중족부(50)가 지면에 접촉되게 됨으로써 접지면적이 크게 되어 신체의 중심 잡기가 용이하게 되어 자세가 안정되고 근 골격계의 긴장이 감소되고 발목의 피로를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앞꿈치 외반부를 앞꿈치 내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도록 돌출 구성하고 뒤꿈치 외반부를 뒤꿈치 내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함몰되게 하며 신발 밑창의 중간부에는 라운형태가 배제된 직선부와 발바닥의 아치부를 받쳐 지지하는 아치 지지부를 돌출 구성하는 다수의 기능적 구조영역을 구비시킴으로써 신발밑창의 바닥면에 각각 정족보행의 유도 및 보행 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균등하게 분산 유도하여 충격완화를 통한 발의 피로저감 및 정지상태에서의 직립의 안정성 확보 그리고 밑창의 편중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됨과 아울러 상기 기능적 구조 영역과 주변부위를 일정깊이로 요입되는 다수의 경계 골을 이용하여 구획 분리시킴으로써 보행 시 상기 기능적 구조가 주변 부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독자적으로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어 최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선, 후단부가 상향으로 라운딩지도록 구성되는 라운드형의 신발 밑창(1)의 앞꿈치 측에 일정 깊이로 요입 구성되는 제 1 경계골(70)을 통해 양분되는 앞꿈치 내반부(10) 및 상기 앞꿈치 내반부(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측 연부가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되는 앞꿈치 외반부(20)와;
    상기 라운드형의 신발 밑창(1)의 뒤꿈치측에 일정 깊이로 요입 구성되는 제 2 경계골(71)을 통해 양분되는 뒤꿈치 내반부(30) 및 상기 뒤꿈치 내반부(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함몰되게 구성되는 뒤꿈치 외반부(40)와;
    상기 제 1 경계골(70)과 제 2 경계골(71)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신발밑창(1)에 일정 깊이로 요입 구성되는 제 3 경계골(72)을 통해 분할 구획되며 길이 방향에 대해 직선 형태로 구성되는 중족부(50) 및 상기 중족부(5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돌출되게 구성되는 아치 지지부(6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신발밑창.
KR1020060058176A 2006-06-27 2006-06-27 다기능 신발밑창 KR100813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176A KR100813803B1 (ko) 2006-06-27 2006-06-27 다기능 신발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176A KR100813803B1 (ko) 2006-06-27 2006-06-27 다기능 신발밑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391A KR20080000391A (ko) 2008-01-02
KR100813803B1 true KR100813803B1 (ko) 2008-03-13

Family

ID=39212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176A KR100813803B1 (ko) 2006-06-27 2006-06-27 다기능 신발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38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400B1 (ko) * 2008-12-18 2009-08-04 주식회사 엠에스존 신발 밑창
KR200452926Y1 (ko) 2009-02-09 2011-03-31 임옥순 자세교정용 기능성 인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333B1 (ko) * 2016-04-29 2017-02-2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 가이드용 깔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6686A (ja) 2003-06-16 2005-01-13 Retriever:Kk エクササイズシューズの靴底
KR20050042382A (ko) * 2003-11-03 2005-05-09 김병규 건강 신발의 구성과 보행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6686A (ja) 2003-06-16 2005-01-13 Retriever:Kk エクササイズシューズの靴底
KR20050042382A (ko) * 2003-11-03 2005-05-09 김병규 건강 신발의 구성과 보행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400B1 (ko) * 2008-12-18 2009-08-04 주식회사 엠에스존 신발 밑창
KR200452926Y1 (ko) 2009-02-09 2011-03-31 임옥순 자세교정용 기능성 인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391A (ko)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391B1 (ko) 신발 안창
KR100237099B1 (ko) 구두 밑창
US5694706A (en) Heelless athletic shoe
JP5138682B2 (ja) 人間の足構造と歩行とに適したエルゴノミックな靴底
RU2636883C2 (ru) Обувное изделие
KR980008086A (ko) 건강 증진용 신발
TWI678977B (zh) 鞋用內底
JP6393188B2 (ja) 履き物/履き物用インソール
KR200428361Y1 (ko) 다기능 신발밑창
CN104366896B (zh) 一种基于生物力学的童鞋鞋底
KR200414204Y1 (ko) 신발
CN208318444U (zh) 一种用于扁平足的鞋垫
KR100813803B1 (ko) 다기능 신발밑창
EP4248785A1 (en) Shoe sole with shock absorbing layer structure
US20110289802A1 (en) Shoe appliance with an orthopedic device
KR101920227B1 (ko) 신발 및 신발 제조 방법
CN201839872U (zh) 一种可以防止足畸形的鞋及鞋垫
TWI645796B (zh) 足部穩定裝置
KR102384927B1 (ko) 족저근막염 및 척추 교정용 인솔
JP6631960B2 (ja) 履物底構造
CN112716100A (zh) 一种适用于扁平足的鞋
KR102425738B1 (ko) 신발의 밑창 구조
KR102130147B1 (ko) 기능성 인솔
KR102545261B1 (ko) 평편족 교정 인솔
CN220529414U (zh) 一种带按摩功能的鞋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