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9792A - 탈곡장치의 시브케이스 구조 - Google Patents

탈곡장치의 시브케이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9792A
KR19980069792A KR1019970024003A KR19970024003A KR19980069792A KR 19980069792 A KR19980069792 A KR 19980069792A KR 1019970024003 A KR1019970024003 A KR 1019970024003A KR 19970024003 A KR19970024003 A KR 19970024003A KR 19980069792 A KR19980069792 A KR 19980069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opening degree
sieve
chaff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7461B1 (ko
Inventor
나카지마신로쿠
사토요시히코
츠츠미고지
고노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미츠이고헤이
가부시키가이샤구보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934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930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3461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1644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3461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16445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츠이고헤이, 가부시키가이샤구보타 filed Critical 미츠이고헤이
Publication of KR19980069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4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01F12/446Sieving means
    • A01F12/448Sieve adjust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시브케이스(6)에 장비되는 차프 시브(16)를 구성하는 시브판(16A)의 각각을, 옆으로 향한 축심(P3) 주위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연동연결하여, 차프 시브(16)를 개도조절 가능하게 구성한 탈곡장치의 시브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시브판(16A) 군을 닫는 측에 탄성가압하는 가압수단(Z, 30)을 설치하여, 차프 시브(16)상에 재치되어 있는 피처리물의 중량에 따라서 그 개도가 변화하도록 구성하였다.
이것에 의해서, 제조비용의 절감화를 꾀하면서, 게다가 선별 정밀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탈곡장치의 시브케이스 구조가 제공되었다.

Description

탈곡장치의 시브케이스 구조
발명의 배경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시브케이스에 장비되는 차프 시브 (chaff sieve)를 구성하는 시브판의 각각을, 옆으로 향한 축심주위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연동연결하여,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량에 따라서 차프 시브를 개도조절 가능하게 구성한 탈곡장치의 시브케이스 구조에 관한다.
종래의 기술
종래, 상기와 같은 탈곡장치의 시브케이스 구조에서는, 예컨대 일본 특개평 7-227137호 공보나 특개평 7-274684호 공보등에 개시되어 있듯이,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의 층두께를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량으로서 검출하는 센서, 차프 시브를 개도조절 구동하는 전동모터, 및, 센서에서의 검출정보에 따라서 전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설치하여,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량에 따른 차프 시브의 개도조절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있었다.
그렇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센서, 전동모터, 및, 제어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많아지는 단점이 생기게 되어 있었다. 또한, 현행의 전자제어에서는, 센서의 검출치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 모드의 안에서 스텝적으로 차프 시브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현출되는 차프 시브의 개도는 차프 시브상의 실제의 피처리물량에 따른 올바른 최적개도에 대하여 비교적 큰 오차를 가지게 되어 있고, 선별 정밀도의 향상을 꾀한 후에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비용의 절감화를 꾀하면서, 게다가 선별정밀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탈곡장치의 시브케이스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탈곡장치의 종단좌측면도,
도 2는, 시브 케이스의 구성을 가리키는 종단좌측면도,
도 3은, 시브 케이스의 구성을 가리키는 분해사시도,
도 4는, 선별조절판과 차프 시브의 조작구조를 가리키는 시브 케이스의 주요부 좌측면도,
도 5a는, 선별조절판을 기립자세로 전환한 상태를 가리키는 시브케이스의 주요부 상세도,
도 5b는, 선별조절판을 후방쓰러짐자세로 전환한 상태를 가리키는 시브케이스의 주요부상세도,
도 6은, 선별조절판의 구성을 가리키는 시브케이스의 주요부 종단측면도,
도 7은, 조작레바를 제4걸어맞춤핀에 걸어맞춤시킨 차프 시브의 개도설정상태를 가리키는 시브 케이스의 주요부 상세도,
도 8은, 차프 시브의 조작구조를 가리키는 시브케이스의 주요부 횡단평면도,
도 9는, 차프 시브의 구성을 가리키는 시브케이스의 주요부 종단정면도,
도 10은, 시브판의 주요부의 형상을 가리키는 사시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레바의 구성을 가리키는 시브케이스의 주요부 좌측면도이다.
발명의 적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중의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탈곡장치의 시브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시브케이스에 장비되는 차프 시브를 구성하는 시브판의 각각을, 옆으로 향한 축심주위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연동연결하여 개도변경 가능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시브판군(群)을 닫히는 측에 탄성가압하는 가압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차프 시브상에 재치(載置)되어 있는 피처리물의 중량에 따라서 상기 개도가 변화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차프 시브상에 퇴적하는 피처리물량이 많아질수록, 그 피처리물량의 중량이 가압수단에 대하여 초래하는 작용에 의해서,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량에 대략 비례하는 상태로 차프 시브의 개도가 자동적으로 커지고, 또한 반대로, 차프 시브상에 퇴적하는 피처리물량이 적어져 중량이 작아질수록, 가압수단의 탄성가압에 의해,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량에 대략 비례하는 상태에서 차프 시브의 개도가 자동적으로 작아진다. 따라서,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의 층두께를 피처리물량으로서 검출하는 센서, 차프 시브를 개도조절 구동하는 전동모터, 및, 센서에서의 검출정보에 따라서 전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그것에 대신해서 차프 시브를 닫히는 측에 탄성가압하는 가압수단을 설치하는 것만의 간단한 구성으로,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량에 따른 차프 시브의 개도조절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해서, 센서, 전동모터, 및, 제어장치를 설치하는 구성에 비교하여, 차프 시브의 메인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차프 시브의 개도조절을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의 중량으로 직접적으로 행함에 따라, 차프 시브의 개도조절을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량에 대략 비례하는 상태에서 날렵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현행의 전자제어와 같이, 미리 설정된 모드의 안에서 센서의 검출치에 대응하여 스텝적으로 차프 시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현출되는 차프 시브의 개도와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량에 따른 차프 시브의 최적개도와의 오차를 극히 작은 것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성의 간소화, 제조비용의 절감화, 및, 메인티넌스성의 향상을 꾀하면서, 선별정밀도도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탈곡장치의 시브 케이스 구조를 제공할 수 있음에 달하였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한 구성에 덧붙여, 피처리물의 중량에 의한 작용이 없을 때의 시브판군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최소개도 조절기구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피처리물이 없는, 혹은 피처리물의 중량이 대략 제로와 같을 때의 차프 시브의 개도, 즉 최소개도를, 수확하는 작물의 종류나 젖은 상태등에 따라서 설정변경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수확하는 작물의 종류가 벼와 같이 줄기가 부드럽고 탈곡처리시에 짚 조각이 발생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차프 시브상에 퇴적하는 피처리물의 대부분이 낟알이기 때문에,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이 차프 시브에서 누하(漏下)하기 쉽게 되도록 최소개도 조절기구로 차프 시브의 최소개도를 크게 설정하면, 차프 시브에서의 낟알의 누하를 촉진시킬 수 있고 선별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고, 반대로, 수확하는 작물의 종류가 보리같이 줄기에 부드러움이 없이 탈곡처리시에 짚 조각이 발생하기 쉬운 경우에는, 차프 시브상에 퇴적하는 피처리물에 많은 끊어진 짚이 함유하게 되기 때문에,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이 차프 시브에서 누하하기 어렵게 되도록 차프 시브의 최소개도를 작게 설정하면, 차프 시브에서의 끊어진 짚의 누하를 억제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전체로서 선별정밀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컨대, 수확하는 작물이 젖은 상태로 차프 시브에서 누하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이 차프 시브에서 누하하기 쉽게 되도록 차프 시브의 최소개도를 크게 설정해 둠에 따라, 차프 시브에 있어서 피처리물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고 선별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고, 반대로, 수확하는 작물이 마른 상태로 차프 시브에서 누하하기 쉬운 경우에는, 차프 시브의 최소개도를 작게 설정하여 놓는 것에 따라, 피처리물의 차프 시브에서의 누하가 약간 억제되어, 결과적으로, 전체로서 선별정밀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수확하는 작물의 종류나 젖은 상태등을 고려한 차프 시브의 최소개도의 설정을 행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선별효율 및 선별정밀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탈곡장치의 시브 케이스 구조를 제공할 수 있음에 달하였다.
이 최소개도 조절기구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예컨대, 본 발명중의 청구항 3 기재의 발명과 같이, 시브판으로부터 옆으로 향해 돌출한 조작핀을 설치하여, 조작핀과 걸어맞춤하여 조작핀의 이동범위를 일정범위에 한정하는 긴 구멍을 갖춘 조작레바를, 시브판의 요동축심과 공통축심 주위에서 요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조작레바와 걸어맞춤함으로써 조작레바의 요동각도를 선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걸어맞춤구를 설치하여 최소개도 조절기구로 하여, 이 조작핀을 긴 구멍의 전단부에 향하여 가압유지하도록, 가압수단을 조작핀과 조작레바의 사이에 가설된 탄성수단에 의해서 구성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놓으면, 조작레바를 요동조작하여, 조작레바가 걸어맞춤하는 대상의 걸어맞춤구를 선택변경함으로써, 상기 긴 구멍의 위치와 함께 조작핀의 이동가능범위도 변화하여, 상기 긴 구멍 중의, 시브판의 최소개도를 결정하고 있는 측의 단부의 위치를, 시브판이 전부 닫힌 상태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개방된 상태로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기때문에, 결과적으로 시브판의 최소개도를 전폐가 아닌 다소 연 상태로 단계적으로 선택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을 구성하는 탄성수단(예컨대 코일형상 스프링)을 상기 조작핀 상기 조작레바의 사이에 가설하고 있음에 따라, 조작레바의 요동조작에 의해 차프 시브의 최소개도를 설정할 때는, 탄성수단이 조작레바와 함께 조작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차프 시브의 최소개도의 설정상태에 관계없이, 차프 시브의 최소개도에 있어서 닫히는 측으로의 (탄성수단에 의한) 가압력은 일정한 값을 유지하고, 피처리물중량의 변화에 따른 차프 시브개도의 변화의 비율도 항상 대략 일정해지고, 결과적으로, 차프 시브의 개도가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중량에 대략 비례하게 되고 상태가 좋다. 이와 관련하여, 가령 가압수단을 구성하는 탄성수단을 시브 케이스 등, 고정된 부위로부터 차프 시브로 가설한 경우에는, 차프 시브의 최소개도가 크게 설정될 수록, 스프링이 늘어나게 되어 차프 시브의 최소개도에 있어서 닫히는 측방향의 가압력이 커져 버리고,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중량의 미묘한 증가에서는 차프 시브의 개도조절이 행하기 어렵게 되어, 결과적으로, 차프 시브의 개도조절이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중량에 대략 비례하는 상태를 얻을 수 없게 될 것이다. 결국,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수확하는 작물의 종류나 젖은 상태등을 고려한 차프 시브의 최소개도의 설정을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설정한 차프 시브의 최소개도를 기준으로 한 개도조절에 의해, 수확하는 작물의 종류나 젖은 상태등에 알맞은 양호한 선별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최소개도 조절기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의 구성 외에,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시브판으로부터 옆으로 향해 돌출한 조작핀을 설치하여, 조작핀과의 연결부를 가지는 조작레바를, 시브판의 요동축심과 공통축심 주위에서 요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조작레바와 걸어맞춤함으로써 조작레바의 요동각도를 선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걸어맞춤구를 설치해서 최소개도 조절기구로 하여, 조작레바가 가압수단을 겸하도록 스프링재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조작레바를 요동조작하여, 조작레바가 걸어맞춤하는 대상의 걸어맞춤구를 선택변경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의 위치와 함께 조작핀의 기준위치(차프 시브에 피처리물이 없는 상태에서의 조작핀의 위치)를, 시브판의 전부 닫힌 상태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개방된 상태로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시브판의 최소개도를 전폐가 아닌 다소 연상태로 단계적으로 선택변경할 수 있다. 또한, 조작레바자체가 가압수단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 레바의 요동조작에 의해 차프 시브의 최소개도를 설정할 때는, 차프 시브의 최소개도의 설정상태에 관계없이, 차프 시브의 최소개도에 있어서 닫히는 측으로의 스프링 가압력은 일정한 값을 유지하고, 피처리물중량의 변화에 따른 차프 시브 개도의 변화의 비율도 항상 대략 일정해져, 결과적으로, 차프 시브의 개도가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중량에 대략 비례하게 되어 상태가 좋다. 결국,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수확하는 작물의 종류나 젖은 상태등을 고려한 차프 시브의 최소개도의 설정을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설정한 차프 시브의 최소개도를 기준으로 한 개도조절에 의해, 수확하는 작물의 종류나 젖은 상태등에 알맞은 양호한 선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레바 자체가 가압수단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가압수단으로서 스프링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도 없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최소개도, 즉 피처리물의 중량에 의한 작용이 없을 때의 시브판의 개도에 있어서 시브판을 닫히는 측에 가압하는 가압력을 설정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차프 시브의 여는 조작이 개시되는 피처리물 중량의 값, 바꿔 말하면,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의 중량에 의한 차프 시브의 개도조절 조작의 난이도를, 수확하는 작물의 종류나 젖은 상태등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수확하는 작물의 종류가 벼와 같이 줄기가 부드럽고 탈곡처리시에 짚 조각이 발생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차프 시브상에 퇴적하는 피처리물의 대부분이 낟알이므로,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약하게 하여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의 중량에 의한 차프 시브의 개도조절 조작을 행하기 쉽게 함으로써, 선별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도 차프 시브에서의 낟알의 누하를 촉진시킬 수 있고, 선별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대로, 수확하는 작물의 종류가 보리같이 줄기에 부드러움이 없고 탈곡처리시에 짚 조각이 발생하기 쉬운 경우에는, 차프 시브상에 퇴적하는 피처리물에 많은 짚 조각을 함유하게 되므로,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강하게 하여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의 중량에 의한 차프 시브의 개도조절 조작을 행하기 어렵게 함으로써, 차프 시브에서의 짚 조각의 누하를 억제할 수 있고 선별정밀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컨대, 수확하는 작물이 젖은 상태로 차프 시브에서 누하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약하게 하여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의 중량에 의한 차프 시브의 개도조절 조작을 행하기 쉽게 함으로써,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을 차프 시브에서 누하하기 쉽게 할 수 있어, 차프 시브에 있어서 피처리물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기때문에, 선별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대로, 수확하는 작물이 마른 상태로 차프 시브에서 누하하기 쉬운 경우에는,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강하게 하여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의 중량에 의한 차프 시브의 개도조절 조작을 행하기 어렵게 함으로써,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을 차프 시브에서 누하하기 어렵게할 수 있고, 피처리물에 포함되는 짚 조각의 차프 시브에서의 누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선별정밀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의, 최소개도에 있어서 시브판을 닫히는 측에 가압하는 가압력을 설정변경하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걸어맞춤구의 설치영역이, 시브판의 최소개도를 전폐에 설정하는 위치를 닫히는 측방향에 넘는 위치까지 연장되고 있는 구성으로서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시브판의 최소개도를 전폐에 설정하는 위치보다도 닫히는 측을 향해서 넘는 위치에 있는 걸어맞춤구에 조작레바를 걸어맞춤시키면, 시브판을 닫히는 측에 가압하는 가압력을 설정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공구등을 사용할 필요도 없고,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상기 가압력을 설정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3에 기재한 구성에 덧붙여, 탄성수단의 가압력을 변경하기 위한 조절기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예컨대 볼트·너트로 구성된 조절기를 탄성수단과 차프 시브의 사이에 설치하는 간단한 개량으로,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중량과 거기에 근거하는 차프 시브의 개도와의 비례계수를, 수확물의 종류나 젖은 상태등에 따라서 설정변경할 수 있고, 또한, 조작레바에 형성된 긴 구멍의 위치, 또는, 복수의 걸어맞춤구의 설치범위가, 현실의 수확물의 특성이나 젖은 상태에 따라서 결정되는 누하난이도와 능숙하게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 이것을 조정하는 목적에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시브판이 여는 측으로 요동할 때에 시브판에 의한 피처리물의 비틀어 올림이 생기지 않도록, 여는 측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기 각 시프판의 상단에 절결부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결국, 가령, 각 시브판의 상단에 절결부가 없고, 상기 상단이 시브판의 요동축심 보다도 옆으로 향해 이격된 위치에 있으면, 그 상단부분에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의 중량이 걸리는 것에 의하여 시브판의 요동이 저해되지만,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절결부를 설치한 것에 따라,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의 중량의 작용으로 차프 시브가 열릴 때에,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이 시브판의 요동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의 중량에 의한 차프 시브의 개도조절을,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량에 알맞은 상태로, 보다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시브판이 시브판 자신의 자중에 따라서 나타나는 여는 측으로의 요동경향을 억제하기 위한 밸런스 웨이트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시브판을 닫히는 측에 힘을 더하기 위한 구성을 청구항 3 및 청구항 4에 기재된 탄성수단이나 스프링재에만 의존하면, 시브판이 시브판 자신의 중량에 따라서 여는 측에 요동하고자 하는 힘에 비하여 상기 탄성수단이나 스프링재의 가압력이 약한 경우에, 시브판이 피처리물의 중량과 관계없이 자중으로 요동하여 피처리물을 튀기는 불편함이나, 피처리물을 불필요하게 누하시키는 불편함이 생겨 선별정밀도나 선별효율이 저하하는 경향이 생길 수 있지만,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시브판이 자중에 따라서 나타나는 여는 측으로의 요동경향을 억제하기 위한, 바꿔 말하면, 시브판을 닫히는 측에 힘을 더하기 위한 밸런스 웨이트을 설치하여 놓으면, 시브판이 그 자신의 중량으로 여는 측에 요동하고자 하는 힘을 이 밸런스 웨이트에 의해서 상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시브판의 자중요동에 근거하는 불편함을 억제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시브판이 그 자신의 중량으로 여는 측에 요동하고자 하는 힘이 이 밸런스 웨이트에 의해서 상쇄되는 결과, 시브판의 요동, 즉 차프 시브의 개도는, 시브판 자신의 중량에의한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차프 시브상의 피처리물의 중량에 순순히 비례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에는, 콤바인에 탑재되는 탈곡장치의 종단좌측면이 표시되어 있고, 이 탈곡장치는, 그 좌측부에 배치된 피드 체인(1)에 의해 옆으로 향한 자세로 끼움지지 반송되는 예취(刈取)줄기의 이삭 끝 측에 대하여 탈곡처리를 실행할 탈곡부(A), 탈곡부(A)에서의 피처리물에 대하여 선별처리를 실행할 선별부(B), 및, 선별부(B)에서 선별된 피처리물중 일등품과 이등품을 회수하는 회수부(C)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탈곡부(A)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축심(P1) 주위에 회전구동되는 급통(扱胴)(2), 급통(2)의 하부측에 배치된 받이 망(3), 및, 받이 망(3)의 후방에 형성된 송진구(送塵口)(4)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피드 체인(1)에 의해 끼움지지반송되는 예취줄기에서 낟알을 분리하여, 단립화한 낟알이나 짚 조각등을 받이 망(3)으로부터 누하시킴과 동시에, 받이 망(3)으로부터 누하하지 않은 낟알이나 짚 조각등을 송진구(4)로부터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선별부(B)는, 받이 망(3)의 아래쪽으로 배치된 시브케이스(6), 및 시브케이스(6)의 앞 아래 쪽에 배치된 키(唐箕)(7)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시브케이스(6)의 전방부의 양측은, 전후방향으로 요동 자유자재인 지지 암(5)에 매어달려 지지되어 있다(도2 참조). 시브케이스(6)는, 그 후부에 장착된 크랭크기구(8)에 의해서 요동조작되어, 시브케이스(6)가 탈곡부(A)에서 받아들인 피처리물은, 이 요동조작에 따라서 체 선별이 실행되고, 이어서, 시브케이스(6)에 의해 체 선별된 피처리물은, 키(7)가 시브케이스(6)로 향하여 공급하는 선별풍에 의해서 풍력선별을 받는다. 그리고, 이것들의 선별조작에 의해서, 탈곡부(A)에서의 피처리물은, 일등품으로서의 낟알, 이등품으로서의 낟알과 짚 조각등과의 혼재물, 삼등품으로서의 끊어진 짚의 3종류로 선별된다.
회수부(C)는, 시브케이스(6)의 아래 쪽에서 키(7)의 후방에 배치된 일등품회수부(9), 및, 시브케이스(6)의 아래 쪽에서 일등품 회수부(9)의 후방에 배치된 이등품 회수부(1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등품 회수부(9)는, 선별부(B)에서 선별처리된 피처리물중의 일등품을 회수함과 동시에, 그 회수한 일등품을, 그 바닥 부분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일번 스크류(11)에 의해서, 시브케이스(6)의 우단에 연통접속되는 이송 스크류(12)로 향하여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등품 회수부(10)는, 선별부(B)에서 선별처리된 피처리물중의 이등품을 회수함과 동시에,그 회수한 이등품을, 바닥 부분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이번 스크류(13)에 의해서, 시브 케이스(6)의 우단에 연통접속된 이번 환원스크류(14)로 향하여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송스크류(12)는, 일번 스크류(11)로써 반송된 일등품을 이송하여, 이것을 탈곡장치의 오른쪽에 병설된 저류부(도시하지않음)에 대하여 윗쪽으로부터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번 환원스크류(14)는, 이번 스크류(13)로써 반송된 이등품을 이송하여 시브케이스(6)에 환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브케이스(6)는, 시브케이스(6)의 상부 전단에 배치된 제1그레인 팬(15), 제1그레인 팬(15)의 후단에 연속해 있는 제1차프 시브(청구항에 기재한 차프 시브)(16), 제1차프 시브(16)의 후단에 연속해 있는 제2그레인 팬(17), 제2그레인 팬(17)의 윗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하여 연장 설치된 제1스트로우 랙(18), 제2그레인 팬 후단에 연속해 있는 제2차프 시브(19), 제2차프 시브(19)의 후단에 연속해 있는 제2스트로우 랙(20), 제1차프 시브(16)의 아래쪽으로 배치된 제3그레인 팬(21), 및, 제3그레인 팬(21)의 후단에 연속해 있는 그레인 시브(2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그레인 팬(15)은, 받이 망(3)의 전방부측으로부터 누하한 피처리물을 받아내어 비중차 선별하면서 후방으로 향하여 이송한다. 제1차프 시브(16)는, 받이 망(3)의 후방부측으로부터 누하한 피처리물과, 제1그레인 팬(15)에 의해 이송된 피처리물에서 낟알등을 알맹이 선별하여 누하시키면서, 나머지의 피처리물을 후방으로 향하여 이송한다. 제1스트로우 랙(18)은, 송진구(4)로부터 공급된 피처리물에서 낟알등을 체 선별하여 누하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피처리물을 후방으로 향하여 이송한다. 제2그레인 팬(17)은, 제1스트로우 랙(18)을 누하한 피처리물을 비중차 선별하면서 후방으로 향하여 이송한다. 제2차프 시브(19)는, 제2그레인 팬(17)에 의해 이송된 피처리물과, 제1스트로우 랙(18)을 경유한 피처리물에서 낟알등을 알맹이 선별하여 이등품 회수부(10)에 누하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피처리물을 후방으로 향하여 이송한다. 제2스트로우 랙(20)은, 제2차프 시브(19)에 의해 이송된 피처리물 중에서 낟알등을 체 선별하여 이등품 회수부(10)에 누하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피처리물을 후방으로 향하여 이송하여 기계 밖으로 배출한다. 제3그레인 팬(21)은, 제1차프 시브(16)로부터 누하한 피처리물을 비중차 선별하면서 후방으로 향하여 이송한다. 그레인시브(22)는, 제3그레인 팬(21)에 의해 이송된 피처리물과 제1차프 시브(16)로부터 공급된 피처리물 중에서 낟알을 정선별하여 일등품 회수부(9)에 누하시킴과 동시에, 나머지 피처리물을 후방으로 향하여 이송한다.
그레인시브(22)의 후방에는 선별조절판(23)이 장비되어 있다. 선별조절판(23)은, 그레인시브(22)에 의해 후방으로 향하여 이송된 피처리물을, 그레인시브(22)의 아래쪽으로 배치된 일등품 회수부(9)에 안내하는 기립자세와, 그레인시브(22)의 뒤의 아래쪽으로 배치된 이등품 회수부(10)에 안내하는 후방쓰러짐자세와, 그레인시브(22)의 뒤의 아래쪽으로 설정된 옆으로 향한 지점(P2) 주위에서 자세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하면, 선별조절판(23)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브케이스(6)의 횡측벽인 좌우양측벽(24)에 옆으로 향한 지점(P2) 주위에서 전후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그 좌단측에 조작 암(25)이 일체 요동가능하게 고착되어 있다. 조작 암(25)의 유단(遊端)에는, 좌외측 쪽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연계핀(25a)이 설치된다. 시브 케이스(6)의 좌측벽(24)에는, 옆으로 향한 지점(P2)를 중심으로 한 원호 형상의 긴 구멍(24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긴 구멍(24a)에는 연계핀(25a)이 삽통되어 있다. 또한, 좌측벽(24)에 있어서 전방부측의 횡외측면에는 좌외측쪽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걸어맞춤핀(24b)이 설치된다. 또한, 긴 구멍(24a)에 삽통된 연계핀(25a)의 삽통단에는, 평판상의 조작 레바(26)가 장착되어 있다. 조작 레바(26)는, 긴 구멍(24a) 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걸어맞춤핀(24b)으로 향하여 좌측벽(24)에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조작 레바(26)의 연장단에는 제1걸어맞춤구멍(26a)과 제2걸어맞춤구멍(26b)이 뚫어설치되어 있고, 조작 레바(26)를 전후방향으로 조작하여 제1걸어맞춤구멍(26a)을 걸어맞춤핀(24b)과 걸어맞춤시키면 선별조절판(23)은 기립자세로 유지되고, 한편, 제2걸어맞춤구멍(26b)을 걸어맞춤핀(24b)과 걸어맞춤시키면 선별조절판(23)은 후방쓰러짐자세로 유지된다. 결국,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별조절판(23)이 기립자세로 전환유지되면, 그레인 시브(22)에 의해 후방으로 향하여 이송된 피처리물은, 그레인시브(22)의 아래쪽으로 배치된 일등품 회수부(9)에 안내되고,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별조절판(23)이 후방쓰러짐자세로 전환유지되면, 그레인시브(22)에 의해 후방으로 향하여 이송된 피처리물은, 그레인시브(22)의 뒤의 아래쪽으로 배치된 이등품 회수부(10)에 안내된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예컨대, 수확작물이 보리와 같이 탈곡처리시에 짚 조각이 발생하기 쉬운 경우에는, 선별조절판(23)을 후방쓰러짐자세로 전환하여 놓으면, 그레인시브(22)로부터 누하하지않고서 그레인시브(22)의 후단까지 이송된, 짚 조각 함유량이 많은 이등품을 이등품 회수부(10)에 안내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짚 조각 함유량이 많은 이등품이 일등품 회수부(9)에 회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이등품을, 이등품 회수부(10)로부터 이번 스크류(13) 및 이번 환원스크류(14)를 통하여 시브 케이스(6)로 환원할 수 있고, 낟알과 짚 조각등으로 재선별처리할 수 있다. 결국, 수확작물이 보리등인 경우에는, 선별조절판(23)을 후방 쓰러짐자세로 전환하여 놓는 것에 따라 선별정밀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반대로, 예컨대, 수확작물이 벼와 같이 탈곡처리시에 짚 조각이 발생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선별조절판(23)을 기립자세로 전환하여 놓는 것에 따라, 그레인시브(22)로부터 누하하지 않고 그레인시브(22)의 후단까지 이송된, 거의 낟알만의 이등품을 일등품 회수부(9)에 안내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거의 곡물만으로 구성된 이등품을, 시브 케이스(6)에 있어서 재선별 처리하는 번거로움 없이, 일등품 회수부(9)로부터 일번 스크류(11) 및 이송스크류(12)를 통해 저류부에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결국, 수확작물이 벼 등인 경우에는, 선별 조절판(23)을 기립자세로 전환하여 놓는 것에 따라 선별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에 있어서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장치의 좌측벽에서의 전방부측에는, 일등품 회수부(9)에 회수된 일등품의 선별정밀도를 점검하기 위한 사각형의 점검구(27)가, 시브 케이스(6)의 전방부 횡측으로부터 일등품 회수부(9)의 윗쪽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이 점검구(27)로부터, 시브 케이스(6)의 걸어맞춤핀(24b)에 대한 조작 레바(26)의 제1걸어맞춤구멍(26a) 또는 제2걸어맞춤구멍(26b)의 걸어맞춤조작 혹은 계합해제조작을 행할 수 있다. 결국, 선별조절판(23) 조작용의 조작 레바(26)을 전방으로 향하여 연장함으로써, 선별조절판(23)의 자세를 전환조작할 때에 기존의 점검구(27)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차프 시브(16)는, 전후방향으로 병설된 시브판(16A) 군과 연결판(29)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브판(16A) 군은, 개도조절의 목적으로 옆으로 향한 지점(P3) 주위에서 요동 자유자재가 되도록, 시브 케이스(6)의 좌우양측벽(24, 24) 사이에 연결부재(28)을 통해 피벗연결되어 있다. 또한, 모든 시브판(16A)이 항상 서로의 개도를 가지런히 한 상태로 요동하도록, 연결판(29)은, 시브판(16A) 군의 모두와 연동연결되어 복수의 4점 링크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시브판(16A)의 한 장은, 코일 스프링(30) (탄성수단의 일례)으로 이루어지는 가압수단(Z)에 의해서 닫히는 측에 탄성 가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제1차프 시브(16)상에 퇴적하는 피처리물량이 많아져 중량이 커질수록, 그 중량에 의해, 제1차프 시브(16)상의 피처리물량에 대략 비례하는 상태로 제1차프 시브(16)의 개도가 커지고, 또한 반대로, 제1차프 시브(16)상에 퇴적하는 피처리물량이 적어져 중량이 작아질수록, 가압수단(Z)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제1차프 시브(16)상의 피처리물량에 대략 비례하는 상태로 제1차프 시브(16)의 개도가 축소된다.
도 8 내지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시브판(16A)의 각 상단부에서의 좌우양단부위에는, 각 시브판(16A)을 연결부재(28)를 통하여 시브 케이스(6)의 좌우양측벽(24)에 피벗연결하기위한 피벗연결부(16a)가 형성됨과 동시에, 각 시브판(16A)에서의 피벗연결부(16a) 이외의 상단부분(16b)이 옆으로 향한 지점(P3)에서 윗쪽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제1차프 시브(16)상의 피처리물의 중량으로 제1차프 시브(16)의 개도를 크게할 때에 제1차프 시브(16)상의 피처리물이 시브판(16A)의 요동을 저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제1차프 시브(16)상의 피처리물의 중량에 의한 제1차프 시브(16)의 개도조절을, 제1차프 시브(16)상의 피처리물량에 알맞은 상태로, 보다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차프 시브(16)에 있어서 후방에서 두번째의 시브판(16A)의 유단으로부터는, 좌외측쪽을 향해서 조작핀(31)이 돌출하고 있다. 한편, 시브 케이스(6)의 좌측벽(24)에서는, 조작핀(31)과 걸어맞춤함으로써, 제1차프 시브(16)의 개폐동작에 따른 조작핀(31)의 이동범위를 일정범위로 한정하는 고정 긴 구멍(24c)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긴 구멍(24c)은, 조작핀(31)이 장착된 시브판(16A)의 요동지점인 옆으로 향한 지점(P3)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전단에 조작핀(31)이 닿는 상태에서는 제1차프 시브(16)가 전부 닫힌 상태(최소개도 상태)로 되고, 또한, 그 후단에 조작핀(31)이 닿는 상태에서는 제1차프 시브(16)가 완전 개방상태(최대개도 상태)가 되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시브 케이스(6)에 있어서 좌측벽(24)의 횡외측에는, 제1차프 시브(16)를 개폐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바(32)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레바(32)는, 제1차프 시브(16)에 있어서 후방에서 두번째의 시브판(16A)을 지지하는 요동지점축(33)상에, 요동지점축(33)의 축심(P3) 주위에 요동이 자유롭게 피벗연결되어 있고, 그 요동지점측의 부위에는, 제1차프 시브(16)의 개폐동작에 따른 조작핀(31)의 이동의 이동범위를 (고정 긴 구멍(24c)과는 별도로) 일정하게 한정하는 가동 긴 구멍(32a)이, 요동지점축(33)(옆으로 향한 지점(P3))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긴 구멍(32a)의 전단을 조작핀(31)에 닿게한 상태로 조작레바(32)를 후방측에 요동조작함으로써, 가압수단(Z)의 탄성가압에 저항하여 제1차프 시브(16)의 개도를 크게할 수 있고, 또한, 전방측으로 요동조작함으로써, 가압수단(Z)의 탄성가압에 의해 제1차프 시브(16)의 개도를 작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시브 케이스(6)의 좌측벽(24)에 있어서 고정 긴 구멍(24c)의 앞아래쪽 부분에는, 외측쪽에 향하여 돌설된 걸어맞춤구(34)가 설치된다. 걸어맞춤구(34)는, 제1걸어맞춤핀(34a)∼제6걸어맞춤핀(34f)이라는 6개의 걸어맞춤핀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요동지점축(33)을 중심으로 하여 그려지는 만곡선상에 소정간격을 두고 한줄로 되어 있다. 한편, 조작레바(32)의 유단측에는, 제1걸어맞춤핀(34a)∼제6걸어맞춤핀(34f)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구멍(32b)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구멍(32b)을 제1걸어맞춤핀(34a)∼제6걸어맞춤핀(34f)중 어딘가에 걸어맞춤시키는 것에 따라, 조작레바(32)의 자세는 유지된다.
시브판(16A)의 조작핀(31)의 이동범위는, 그 때에 조작레바(32)가 유지되고 있는 자세에 따라서 얻을 수 있는 고정 긴 구멍(24c)과 가동 긴 구멍(32a)의 겹친 상태에 따라서 결정되고, 이것에 의해서, 제1차프 시브(16)의 최소개도와 최대개도가 설정가능해진다.
한편,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레바(32)의 가동 긴 구멍(32a)의 길이는, 조작레바(32)를 제4걸어맞춤핀(34d)에 걸어맞춤시키고 있을 때에, 가동 긴 구멍(32a)의 전단과 고정 긴 구멍(24c)의 전단이 일치하고, 또한, 조작레바(32)의 요동지점인 요동지점축(33)과 제1걸어맞춤핀(34a)을 잇는 제1가상선(L1)의 선상에서, 요동지점축(33)과 제5걸어맞춤핀(34e)을 잇는 제5가상선(L5)의 선상까지의 범위에서 시브판(16A)의 조작핀(31)이 이동 가능하도록, 결국, 고정 긴 구멍(24c) 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결국, 제1차프 시브(16)의 최소개도는, 조작레바(32)가 제4걸어맞춤핀(34d)에 걸어맞춤하고 있을 때에 전폐로 설정되지만, 걸어맞춤구(34)의 설치영역은, 이 제4걸어맞춤핀(34d)을 또한 닫히는 측에 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고, 이 여분인 영역에 제1걸어맞춤핀(34a)∼제3걸어맞춤핀(34c)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레바(32)를 제1걸어맞춤핀(34a)∼제3걸어맞춤핀(34c)중 어딘가에 걸어맞춤시킨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30)의 상단은 조작레바(32)와 함께 윗쪽으로 이동한 상태가 됨에도 불구하고, 코일 스프링(30)의 하단은 고정 긴 구멍(24c)의 전단에 인접, 내지 닿는 위치에 멈추게 된 채이므로, 결과적으로, 조작레바(32)가 제4걸어맞춤핀(34d)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경우보다도 코일 스프링(30)이 신장하여, 최소 개도에 있어서 시브판(16A)을 닫는 측에 가압하는 가압력이 높아진다. 게다가, 제1걸어맞춤핀(34a)∼제3걸어맞춤핀(34c)의 안에서도, 특히 제1걸어맞춤핀(34a)측에 조작레바(32)를 걸어맞춤시킬수록 가압력이 증대하는 작용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하여, 시브판(16A)의 여는 조작이 개시되는 처리물중량의 임계치, 바꿔 말하면, 제1차프 시브(16)상의 처리물의 중량에 의한 시브판(16A)의 개도조절조작의 난이도를, 수확하는 작물의 종류나 젖은 상태등에 따라서 설정변경할 수 있다.
한편, 조작레바(32)를 제4걸어맞춤핀(34d)∼제6걸어맞춤핀(34f)중 어딘가에 걸어맞춤시킨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30)의 상단과 하단의 쌍방이 조작레바(32)와 동시에 이동하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30)이 여분으로 신장하는 일은 없고, 최소개도에 있어서 시브판(16A)을 닫는 측에 가압하는 가압력도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조작범위에서는, 제1차프 시브(16)상의 처리물의 중량에 의한 시브판(16A)의 개도조절조작의 난이도를 바꾸는 일 없이, 수확하는 작물의 종류나 젖은 상태등에 따라서 시브판(16A)의 최소개도와 최대개도를 설정 변경할 수 있다.
이하, 조작레바(32)를 제1걸어맞춤핀(34a)∼제6걸어맞춤핀(34f)의 각각에 걸어맞춤시킨 경우에 설정되는 제1차프 시브(16)의 최소개도와 최대개도에 관하여 각각 상술한다.
조작레바(32)를 제1걸어맞춤핀(34a)에 걸어맞춤시킨 경우에는, 조작레바(32)는 시브판(A)의 최소개도가 설정되는 위치에서의 제4걸어맞춤핀(34d) 보다도 크게 닫히는 측에 변위시킨 위치로 유지되므로, 코일 스프링(30)의 가압력을 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제1차프 시브(16)상의 처리물의 중량에 의하여 시브판(16A)을 여는 조작을 보다 행하기 어려운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조작핀(31)은 제1가상선(L1)의 선상에서, 요동지점축(33)과 제2걸어맞춤핀(34b)을 잇는 제2가상선(L2) 까지의 범위로 이동가능해지기 때문에, 제1차프 시브(16)의 최소개도는, 조작핀(31)이 고정 긴 구멍(24c)의 전단에 닿는 개도, 즉 전부 닫힌 상태로 설정되고, 또한, 제1차프 시브(16)의 최대개도는, 조작핀(31)이 가동 긴 구멍(32a)의 후단에 닿아서, 제2선(L2)의 대략 선상에 위치하는 작은 개도로 설정된다.
조작레바(32)를 제2걸어맞춤핀(34b)에 걸어맞춤시킨 경우에도, 역시 조작레바(32)는 시브판(A)의 최소개도가 설정되는 위치에서의 제4걸어맞춤핀(34d) 보다도 크게 닫히는 측으로 변위시킨 위치에 유지되므로, 코일 스프링(30)의 가압력을 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제1차프 시브(16)상의 처리물의 중량에 의하여 시브판(16A)을 여는 조작을 (제1걸어맞춤핀(34a)에 걸어맞춤시킨 경우정도는 아니지만) 행하기 어려운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조작핀(31)은, 상기 제1선(L1)의 선상에서 요동지점축(33)과 제3걸어맞춤핀(34c)을 잇는 제3선(L3)의 대략 선상에 걸치는 범위로 이동이 허용되므로, 제1차프 시브(16)의 최소개도는, 조작핀(31)이 고정 긴 구멍(24c)의 전단에 닿는 전부 닫힌 상태로 설정되어, 제1차프 시브(16)의 최대개도는, 조작핀(31)이 가동 긴 구멍(32a)의 후단에 닿아 제3선(L3)의 대략 선상에 위치하는 비교적 작은 개도상태로 설정된다.
조작레바(32)를 제3걸어맞춤핀(34c)에 걸어맞춤시킨 경우에는, 조작레바(32)는 시브판(A)의 최소개도가 설정되는 위치에서의 제4걸어맞춤핀(34d) 보다도 조금만 닫히는 측으로 변위시킨 위치에 유지되므로, 코일 스프링(30)의 가압력을 조금만 크게 할 수 있고, 제1차프 시브(16)상의 처리물의 중량에 의하여 시브판(16A)를 여는 조작을 약간 행하기 어려운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조작핀(31)은, 제1선(L1)의 선상에서 요동지점축(33)과 제4걸어맞춤핀(34d)을 잇는 제4선(L4)의 대략 선상에 걸치는 범위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므로, 제1차프 시브(16)의 최소개도는, 조작핀(31)이 고정 긴 구멍(24c)의 전단에 닿는 전부 닫힌 상태로 설정되어, 제1차프 시브(16)의 최대개도는, 조작핀(31)이 가동 긴 구멍(32a)의 후단에 닿아 제4선(L4)의 대략 선상에 위치하는 개도상태로 설정된다.
조작레바(32)를 제4걸어맞춤핀(34d)에 걸어맞춤시킨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레바(32)는 시브판(A)의 최소개도가 설정되는 위치에서의 제4걸어맞춤핀(34d)에 걸어맞춤되는 것이므로, 코일 스프링(30)의 가압력은 보통의 레벨로 설정되어, 제1차프 시브(16)상의 처리물의 중량에 의하여 시브판(16A)을 여는 조작도 보통의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조작핀(31)은, 제1선(L1)의 선상에서 제5선(L5)의 선상에 걸치는 범위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므로, 제1차프 시브(16)의 최소개도는, 조작핀(31)이 고정 긴 구멍(24c)의 전단에 닿는 전폐상태로 설정되어, 제1차프 시브(16)의 최대개도는, 조작핀(31)이 가동 긴 구멍(32a)의 후단에 닿아 제5선(L5)의 선상에 위치하는 개도 상태로 설정된다.
조작레바(32)를 제5걸어맞춤핀(34e)에 걸어맞춤시킨 경우에는, 조작레바(32)는 시브판(A)의 최소개도가 설정되는 위치에서의 제4걸어맞춤핀(34d)의 위치보다도 여는 측에 변위한 위치에 걸어맞춤되므로, 코일 스프링(30)의 가압력은 보통의 레벨로 설정되어, 제1차프 시브(16)상의 처리물의 중량에 의하여 시브판(16A)을 여는 조작도 보통의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조작핀(31)은, 제2선(L2)의 대략 선상에서 요동지점축(33)과 제6걸어맞춤핀(34f)을 잇는 제6선(L6)의 대략 선상에 걸치는 범위로 이동하는것이 허용되므로, 제1차프 시브(16)의 최소개도는, 조작핀(31)이 가동 긴 구멍(32a)의 전단에 닿아 제2선(L2)의 대략 선상에 위치하는 개도상태로 설정되고, 제1차브 시브(16)의 최대개도는, 조작핀(31)이 가동 긴 구멍(32a)의 후단에 닿아서 제6선(L6)의 대략 선상에 위치하는 개도상태로 설정된다.
조작레바(32)를 제6걸어맞춤핀(34f)에 걸어맞춤시킨 경우에는, 조작레바(32)는 시브판(A)의 최소개도가 설정되는 위치에서의 제4걸어맞춤핀(34d)의 위치 보다도 여는 측에 변위한 위치에 걸어맞춤되므로, 코일 스프링(30)의 가압력은 보통의 레벨로 설정되고, 제1차프 시브(16)상의 처리물의 중량에 의하여 시브판(16A)을 여는 조작도 보통의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조작핀(31)은, 제3선(L3)의 대략 선상에서 가동 긴 구멍(32a)의 후단(이것은 고정 긴 구멍(24c)의 후단과 일치하고 있다)에 닿는 범위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므로, 제1차프 시브(16)의 최소개도는, 조작핀(31)이 가동 긴 구멍(32a)의 전단에 닿아 제3선(L3)의 대략 선상에 위치하는 개도상태로 설정되어, 제1차프 시브(16)의 최대개도는, 조작핀(31)이 고정 긴 구멍(24c)의 후단에 닿는 완전 개방상태로 설정된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예컨대, 수확하는 작물의 종류가 보리와 같이 탈곡처리시에 짚 조각이 발생하기 쉬운 것인 경우나, 수확하는 작물이 마른 상태로 제1차프 시브(16)로부터 누하하기 쉬운 경우에는, 그것들의 상태에 따라서 조작레바(32)를 제1걸어맞춤핀(34a)∼제3걸어맞춤핀(34c)중 어딘가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제1차프 시브(16)의 최소개도를 전부 닫힌 상태로 설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차프 시브(16)의 최대개도를 비교적 작은 개도상태로 설정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제1차프 시브(16)상의 피처리물에 많이 함유되는 끊긴 짚의 제1차프 시브(16)에서의 누하를 억제할 수 있고, 또, 선별정밀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반대로, 수확하는 작물의 종류가 벼와 같이 탈곡처리시에 짚 조각이 발생하기 어려운 경우나, 수확하는 작물이 젖은 상태로 제1차프 시브(16)로부터 누하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그것들의 상태에 따라서 조작레바(32)를 제4걸어맞춤핀(34d)∼제6걸어맞춤핀(34f)중 어딘가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제1차프 시브(16)의 최소개도를 전부 닫힌 상태, 시브판(16A)의 조작핀(31)이 제2선(L2)의 대략선상에 위치하는 비교적 작은 개도상태, 또는, 시브판(16A)의 조작핀(31)이 제3선(L3)의 대략 선상에 위치하는 비교적 큰 개도 상태의 어딘가에 설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차프 시브(16)의 최대개도를 비교적 큰 개도상태로 설정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제1차프 시브(16)상의 피처리물에 많이 함유되는 낟알의 제1차프 시브(16)에서의 누하를 촉진시킬 수 있고, 또, 선별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결국, 수확하는 작물의 종류나 젖은 상태등에 따라서 조작레바(32)의 걸어맞춤 위치를 변경함에 의해, 수확하는 작물의 종류나 젖은 상태등을 고려한 제1차프 시브(16)의 최소개도와 최대개도의 설정을 행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선별효율 및 선별정밀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를테면, 조작레바(32)를 구성하는 부재는, 시브 케이스(6)의 좌측벽(24)측에 따른 상태로 탄성복귀하는 스프링재로 구성되어 있고, 그 복귀력에 저항하여 유단측을 탄성변형시킴에 따라 걸어맞춤구(34)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복귀력에 의해서 걸어맞춤구(34)와의 걸어맞춤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변형에 의해 걸어맞춤구(34)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함으로써, 걸어맞춤구멍(32b)은, 조작레바(32)의 연출방향이 길게 되는 긴 구멍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4 및 도 8에 가리키는 부호(35)는, 조작레바(32)를 탄성변형시켜 걸어맞춤구(34)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때에, 시브판(16A)의 조작핀(31)으로부터 조작레바(32)의 가동 긴 구멍(32a)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방지 부재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30)은, 조작레바(32)에 대하여 출퇴 자유로이 나사결합된 조절나사(36)(조정장치의 일례)를 통해 조작레바(32)에 연결되어 있고, 이 조절나사(36)의 출퇴조작에 의해서, 제1차프 시브(16)를 닫는 측에 탄성가압하는 코일 스프링(30)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차프 시브(16)에는, 시브판군이 그 자중에 따라서 나타나는 여는 측으로의 요동경향을 억제하기 위한 밸런스 웨이트(37)가 설치된다. 밸런스 웨이트(37)는, 후방에서 두번째의 시브판(16A)의 요동지점축(33)과 조작핀(31)을 통해, 상기 후방에서 두번째의 시브판(16A)과 일체 요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밸런스 웨이트(37)가 가지는 연출부(37A)는, 요동지점축(33)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연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브케이스(6)는, 제1그레인 팬(15)과 제2그레인 팬(17)과 제1스트로우 랙(18)이 일체 형성된 틀 형상의 전방부 조선별체(粗選別體)(6A)와, 제2차프 시브(19)와 제2스트로우 랙(20)이 일체 형성된 후방부 조선별체(6B)와, 제3그레인 팬(21)과 그레인시브(22)가 일체 형성됨과 동시에 전방부 조선별체(6A)와 후방부 조선별체(6B)를 감싸는 틀 형상으로 형성된 시브 케이스 본체(6C)와 3분할 가능한 수지성형품의 연결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도 2 내지 4,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차프 시브(16)는, 시브 케이스(6)의 횡측벽(24)의 일부인 전방부 조선별체(6A)의 횡측벽(6a)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차프 시브(16)의 개폐동작에 따른 조작핀(31)의 이동을 허용하는 고정 긴 구멍(24c), 및, 조작레바(32)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제1차프 시브(16)의 최소개도와 최대개도를 설정하는 걸어맞춤구(34)는, 시브케이스(6)의 횡측벽(24)의 일부인 시브 케이스 본체(6C)의 좌측벽(6c)에 갖춰지게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열기한다.
(1) 차프 시브(16)에서는, 최대개도는 항상 일정하고, 최소개도만이 설정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라도 좋다.
(2) 가압수단(Z)을 구성하는 코일 스프링(30)을, 조작레바(32)에서 시브케이스(6)의 좌측벽(24)에 가설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3) 상기 실시예의 조작레바(3)의 대신에, 도 11에 가리키는 것 같은, 조작핀(31)과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132c)를 갖춘 막대모양의 스프링재로 형성된 조작레바(132)를 사용하여, 조작레바(132) 자신이, 각 시브판(16A)을 닫는 측에 탄성가압하는 가압수단(Z)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서도, 차프 시브상에 얹어 있는 피처리물의 중량에 따라 시브판(16A)의 개도가 변화하는 것 같은 구성이 가능하고, 또한, 조작레바(132)의 유단측에 걸어맞춤부(34)와의 걸어맞춤개소를 설치하는 것에 따라, 피처리물의 중량에 의한 작용이 없을 때의 시브판군의 개도를 조절하는 최소개도 조절기구가 구성된다. 또한, 이 다른 실시예에서도, 조작레바(132)를 제1걸어맞춤핀(34a) 내지 제3걸어맞춤핀(34c)중 어딘가에 걸어맞춤시킨 경우에는, 조작핀(31)은 고정 긴 구멍(24c)의 전단에 인접, 내지 닿은 위치에 유지된 채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조작레바(132)에는 결합부(132c)를 상향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힘이 작용해, 결과적으로, 최소개도에 있어서 시브판(16A)을 닫는 측에 가압하는 가압력이 높아진다. 그리고, 제1걸어맞춤핀(34a)∼제3걸어맞춤핀(34c) 중에서도, 특히 제1걸어맞춤핀(34a)측에 조작레바(132)를 걸어맞춤시킬수록 가압력이 증대하는 작용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하여, 시브판(16A)의 여는 조작이 개시되는 처리물중량의 임계치, 바꿔 말하면, 제1차프 시브(16)상의 처리물의 중량에 의한 시브판(16A)의 개도조절조작의 난이도를, 수확하는 작물의 종류나 젖은 상태등에 따라서 설정변경할 수 있다.

Claims (10)

  1. 시브 케이스(6)에 장비되는 차프 시브(16)를 구성하는 시브판(16A)의 각각을, 옆으로 향한 축심(P3) 주위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연동연결하여 개도변경가능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시브판(16A)군을 닫는 측에 탄성가압하는 가압수단(Z)을 설치하여, 상기 차프 시브(16)상에 얹어 있는 피처리물의 중량에 따라서 상기 개도가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의 시브케이스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물의 중량에 의한 작용이 없을 때의 상기 시브판(16A)군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최소개도 조절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의 시브케이스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브판(16A)에서 옆으로 향해서 돌출한 조작핀(31)을 설치하여, 상기 조작핀(31)과 걸어맞춤하여 상기 조작핀(31)의 이동범위를 일정 범위에 한정하는 긴 구멍(32a)을 갖춘 조작레바(32)를, 상기 시브판(16A)의 요동축심(P3)과 공통축심 주위에서 요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조작레바(32)와 걸어맞춤함으로써 상기 조작레바(32)의 요동각도를 선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걸어맞춤구(34)를 설치하여 상기 최소 개도 조절기구로 하고, 상기 조작핀(31)을 상기 긴 구멍(32a)의 전단부로 향하여 가압유지하도록, 상기 가압수단(Z)을 상기 조작핀(31)과 상기 조작레바(32)의 사이에 가설된 탄성수단(30)에 의해서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의 시브케이스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브판(16A)으로부터 옆으로 향하여 돌출한 조작핀(31)을 설치하여, 상기 조작핀(31)과의 연결부(132c)를 가지는 조작레바(132)를, 상기 시브판(16A)의 요동축심(P3)과 공통축심 주위에서 요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조작레바(132)와 걸어맞춤함으로써 상기 조작레바(132)의 요동각도를 선택적으로 유지하기위한 복수의 걸어맞춤구(34)를 설치하여 상기 최소개도 조절기구로 하여, 상기 조작레바(132)가 상기 가압수단(Z)을 겸하도록 스프링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의 시브케이스 구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개도에 있어서 상기 시브판(16A)을 닫는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설정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의 시브케이스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구(34)의 설치영역이, 상기 시브판(16A)의 상기 최소개도를 전폐로 설정하는 위치를 상기 닫는 측을 향해서 넘는 위치까지 연장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의 시브케이스 구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30)의 가압력을 변경하기 위한 조절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의 시브케이스 구조.
  8. 제 1 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시브판(16A)이 여는 측으로 요동할 때에 시브판(16A)에 의한 상기 피처리물의 억지로 올림이 생기지 않도록, 여는 측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기 각 시브판(16A)의 상단(16b)에 절결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의 시브케이스 구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시브판(16A)이 그 자중에 따라서 나타나는 상기 여는 측으로의 요동을 억제하기 위한 밸런스 웨이트(3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의 시브케이스 구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브판(16A)의 개도를 변경가능한 조작레바(32, 132)가 요동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조작레바(32, 132)에 의해서 상기 가압수단(Z)의 가압력을 변경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의 시브케이스 구조.
KR1019970024003A 1996-11-29 1997-06-11 탈곡장치의 시브케이스 구조 KR100227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19346 1996-11-29
JP31934696A JP3393023B2 (ja) 1996-11-29 1996-11-29 脱穀装置のシーブケース構造
JP97-34617 1997-02-19
JP97-34616 1997-02-19
JP03461797A JP3416446B2 (ja) 1997-02-19 1997-02-19 脱穀装置のシーブケース構造
JP03461697A JP3416445B2 (ja) 1997-02-19 1997-02-19 脱穀装置のシーブケース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792A true KR19980069792A (ko) 1998-10-26
KR100227461B1 KR100227461B1 (ko) 1999-11-01

Family

ID=2728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003A KR100227461B1 (ko) 1996-11-29 1997-06-11 탈곡장치의 시브케이스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27461B1 (ko)
CN (1) CN108008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1209A1 (ja) * 2004-07-29 2006-02-02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5190018B2 (ja) * 2009-04-06 2013-04-24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03688684B (zh) * 2013-12-16 2017-01-11 江苏大学 一种联合收获机清选筛筛片开度的调节装置及调节方法
US10757863B2 (en) * 2018-06-22 2020-09-01 Cnh Industrial America Llc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cleaning shoe shaker arm angle
US10959380B2 (en) * 2019-03-12 2021-03-30 Cnh Industrial America Llc Sieve for an agricultural harvester with adjustable louvers and associated adjustmen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13811A3 (en) * 1985-08-16 1987-09-09 Johnson Matthey, Inc., Bateriocin-targeted compounds for cancer therapy
US4770190A (en) * 1987-05-15 1988-09-13 Deere & Company Cleaning shoe screen for an agricultural combine having readily replaceable louvers
JP3533765B2 (ja) * 1995-07-11 2004-05-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の製造方法
JPH0974684A (ja) * 1995-09-01 1997-03-18 Fuji Electric Co Ltd 系統連系用インバータの単独運転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086C (zh) 2002-03-06
KR100227461B1 (ko) 1999-11-01
CN1183889A (zh) 1998-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7461B1 (ko) 탈곡장치의 시브케이스 구조
JP2003259720A (ja) 脱穀装置
JP3393023B2 (ja) 脱穀装置のシーブケース構造
JP3970287B2 (ja) 脱穀装置のシーブケース構造
JP2003009642A (ja) 脱穀装置のシーブケース構造
JP3416446B2 (ja) 脱穀装置のシーブケース構造
JPH10229737A (ja) 脱穀装置のシーブケース構造
JP3411521B2 (ja) 脱穀装置のシーブケース構造
JP6674003B2 (ja) コンバイン
JP4580227B2 (ja) 脱穀機
JPH0343959Y2 (ko)
JP2000166365A (ja) 脱穀機における選別物の層厚センサ
JP2002272251A (ja) 脱穀装置のシーブケース構造
JP2010081812A (ja) 脱穀装置
JP2002065041A (ja) 選別装置
JP2004065247A (ja) コンバイン
JP5452185B2 (ja) コンバイン
JP4119312B2 (ja) コンバイン
JP2007203186A (ja) 籾摺選別機の籾供給量調節装置
JP2001245525A (ja) 脱穀装置のシーブケース構造
JP2003235331A (ja) 脱穀装置
JP2502176Y2 (ja) 脱穀装置
JP2001245526A (ja) 脱穀装置のシーブケース構造
KR101762412B1 (ko)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
JP2002058328A (ja) 脱穀装置のシーブケー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