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179A - 단자편의 접점구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자편의 접점구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179A
KR19980066179A KR1019970001541A KR19970001541A KR19980066179A KR 19980066179 A KR19980066179 A KR 19980066179A KR 1019970001541 A KR1019970001541 A KR 1019970001541A KR 19970001541 A KR19970001541 A KR 19970001541A KR 19980066179 A KR19980066179 A KR 19980066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material
head
thickness
contact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8306B1 (ko
Inventor
요시하루 유미쿠라
기요후미 마시카와
Original Assignee
이시이 쇼주
가부시키가이샤 간세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이 쇼주, 가부시키가이샤 간세이 filed Critical 이시이 쇼주
Publication of KR19980066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재료비 및 가공비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접점의 두께를 증대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자편의 접점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접점부(16)의 주벽부(18)의 동판(20) 소재가 두부(17)의 대략 중심방향을 향하여 몰려 프레스 형성되어 있다. 주벽부(18)의 동판(20) 소재가 두부(17)의 대략 중심방향을 향하여 이동하여 성형후의 두부(17)의 두께는 동판(20)의 두께(T)에 비하여 α 만큼 증대한다.
또 두부(17)의 두께가 주벽부(18)의 두께에 비하여 두껍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단자편의 접점구조 및 그 제조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단자편의 접점구조로서 도 2의 A-A선을 따른 위치의 요부 단면도,
도 2는 실시예 1의 단자편의 상면도,
도 3은 실시예 1의 단자편의 측면도,
도 4는 실시예 1의 단자편의 정면도,
도 5는 실시예 1의 단자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1차 프레스 성형시의 요부 부분 단면도,
도 6은 실시예 1의 단자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2차 프레스 성형시의 요부 부분 단면도,
도 7은 실시예 1의 단자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3차 프레스 성형시의 요부 부분 단면도,
도 8은 종래예의 단자편을 사용하는 자동차용 이그니션 스위치의 단면도
도 9는 종래예의 단자편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각부(脚部) 10 : 가동측 접점판(可動惻 接点板)
14 : 단자편(端子片) 15 : 기판부(基板部)
16 : 접점부 17 : 두부(頭部)
18 : 주벽부(周璧部) 19 : 1차 다이(die)
20 : 동판(금속소재) 21 : 1차 펀치
22 : 2차 다이 23 : 오목부
24 : 2차 펀치 25 : 3차 다이
27 : 3차 펀치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주로 자동차용 이그니션 스위치 등에 사용되는 단자편(端子片)의 접점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단자편의 접점구조 및 그 제조방법으로서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실개소62-98125호 공보참조).
이와 같은 단자편(1)에서는 다른 커넥터(2)의 커넥터 구멍(3, 3)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판상(板狀)의 각부(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단자편(1)에는 이 각부(4)에서 연장되는 기판부(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판부(5)는 상기 각부(4)와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갖고 한장의 동판(銅板)을 대략 직각으로 꺽음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판부(5)는 전기신호를 다른 단자접점인 가동측접점판(10)에 대하여 접촉, 비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 절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기판부(5)에는 프레스 성형을 함으로써 상기 가동측 접점판(10)의 방향으로 팽창하여 단면 형상을 대략 중절모자 모양으로 하는 접점부(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점부(6)에는 이 가동측 접점판(10)와 접촉하는 두부(7) 및 이 두부(7)의 주위에 형성되는 주벽부(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단자편(1)은 절연성 베이스부재(9)에 삽입 성형등으로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가동측 접점판(10)은 통모양 케이스(11)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전자(12)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생략한 이그니션키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자(12)가 회전함으로써 이 가동측 접점판(10)에 형성되는 각 가동접점부(13, 13)가 상기 각 접점부(6, 6)의 각 두부(7, 7)에 접촉, 비접촉되어 각 포지션 예를 들어 온, 오프, 스타트, 악세서리 등에서의 전기적 도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단자편의 접점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접점부(6)의 두부(7)가 프레스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때에 신장되고 만다.
이 때문에 두부(7)의 두께가 다른 기판부(5)의 두께에 비하여 얇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접점부(13, 13)와의 접촉, 비접촉에 의한 마모(摩耗)에 의하여 내구성을 손상할 염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판부(5) 및 각부(4)의 두께를 2∼2.5배 정도로 증대시켜 두부(7)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 금속소재인 동판의 두께를 증대시킨 만큼의 원재료비가 증대됨과 아울러 상기 각부(4)와 기판부(5)를 절곡가공(折曲加工)하거나 혹은 각부(4)를 상기 커넥터(2)의 커넥터 구멍(3)에 삽입할 수 있도록 가공하는 등의 가공비가 증대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재료비 및 가공비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접점의 두께를 증대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자편의 접점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1은, 다른 커넥터 구멍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판 모양의 각부(脚部)와, 상기 각부에서 연장되어 전기신호를 접촉하는 다른 단자접점에 도통시킴과 아울러 상기 각부와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갖는 기판부를 갖고, 상기 기판부에는 상기 다른 접점단자의 배치방향으로 팽창함으로써 다른 접점단자에 접촉하는 두부(頭部) 및 그 두부의 주위에 형성되는 주벽부(周璧部)를 갖고 단면 형상을 대략 중절모자 모양으로 하는 접점을 갖는 금속제 단자편의 접점구조로서, 상기 두부는 주벽부의 금속소재를 상기 두부의 대략 중심방향으로 몰리도록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한 단자편의 접점구조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청구항 1의 단자편의 접점구조에서는, 상기 주벽부의 금속소재가 상기 두부의 대략 중심방향을 항하여 몰리도록 프레스 성형되어 있으므로 상기 주벽부의 금속소재가 상기 두부의 대략 중심방향을 향하여 이동하여 상기 두부의 두께가 증대된다. 이 때문에 접점간의 접촉, 비접촉에 의한 마모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두부의 두께가 상기 주벽부의 두께에 비하여 두껍게 되도록 형성하는 청구항 1의 단자편의 접점구조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상기 두부의 두께가 상기 주벽부의 두께에 비하여 두껍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같은 금속소재를 사용하여도 접점중에 각 접점간의 접촉, 비접촉에 의한 마모가 가장 심한 두부의 두께를 증대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두부의 두께를 상기 기판부의 다른 부분의 두께에 비하여 동일 혹은 두껍게 되도록 형성하는 청구항 1의 단자편의 접점구조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두부의 두께가 상기 기판부의 다른 부분의 두께에 비하여 동일 또는 두껍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두부의 두께만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증대시키면 되므로 원재료비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기판부 및 각부의 두께의 증대를 억제시켜 절곡가공 또는 다른 커넥터 등에 적응할 수 있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청구항 4의 발명은, 평판 모양의 다이(die)에 기판부를 형성하는 판 모양의 금속소재를 놓고, 압력면이 원추형인 펀치로 주위의 금속소재를 중심방향으로 몰리도록 프레스 성형하는 단자편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평판 모양의 다이(die)에 기판부를 형성하는 판 모양의 금속소재가 놓여지고, 압력면이 원추형인 펀치로 금속소재가 중심방향으로 몰리도록 프레스 성형된다.
이와 같이 주위의 금속소재가 중심방향으로 몰리어 접점의 두께를 증대시키는 데에 기여한다.
이 때문에 접점의 두께가 주위의 두께에 비하여 커지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5의 발명은, 오목부를 갖는 다이(die)에 금속소재를 놓고 그 오목부의 가장자리의 금속소재를 몰리게 하면서 상기 오목부내로 들어가도록 펀치로 누르는 단자편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오목부를 갖는 다이(die)에 금속소재가 올려지고 펀치로 눌려짐으로써 그 오목부의 가장자리의 금속소재가 몰리면서 상기 오목부내로 들어간다.
이렇게 들어간 주위의 금속소재는 접점의 두께를 증대시기는 데에 기여하고, 접점의 두께가 주위의 두께에 비하여 증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6의 발명은, 평판 모양의 1차 다이(die)에 기판부를 형성하는 판 모양의 금속소재를 놓고 압력면이 원추형인 1차 펀치로 주위의 금속소재를 중심방향으로 몰리도록 1차 프레스 성형함과 아울러, 상기 몰린 금속소재 부분이 들어가는 오목부를 갖는 2차 다이(die)에 상기 1차 프레스 성형이 끝난 금속소재를 놓고 2차 펀치로 상기 몰려진 금속소재 부분을 오목부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2차 프레스 성형하는 단자편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평판 모양의 1차 다이(die)에 기판부를 형성하는 판 모양의 금속소재가 놓여지고, 압력면이 원추형인 1차 펀치로 주위의 금속소재가 중심방향으로 몰리도록 1차 프레스 성형된다.
다음에 2차 다이(die)에 상기 1차 프레스 성형이 끝난 금속소재가 놓여지고 2차 펀치로 상기 몰려진 금속소재 부분을 오목부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몰린 금속소재 부분이 오목부에 들어가 2차 프레스 성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금속소재가 1차 프레스 성형에서 상기 두부을 향하여 몰려지고, 2차 프레스 성형에서 오목부에 들어가므로 금속소재에 손상을 줄 염려가 적고 상기 두부의 두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7의 발명은, 상기 오목부의 직경은, 상기 오목부에 금속소재를 들여보내는 상기 펀치의 직경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의 단자편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오목부의 직경이 상기 오목부에 금속소재를 들여보내는 상기 펀치의 직경보다 작게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핀치에 의하여 눌려지는 금속소재의 체적만큼 많은 금속소재가 상기 오목부내로 들어가므로, 상기 펀치의 선단으로부터 두부의 선단까지의 높이를 금속소재의 두께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두부의 두께를 다른 금속소재의 두께에 비하여 크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8의 발명은, 상기 오목부에 들어가는 금속소재를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수지제(樹脂製) 베이스부재에 삽입 성형할 때에 상기 두부가 상기 수지제 베이스로부터 나오는 형상이 되도록 상기 주벽부를 형성하는 청구항 5내지 청구항 7의 단자편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오목부에 들어가는 금속소재의 상기 주벽부가 수지제(樹脂製) 베이스부재에 삽입 성형될 때에 상기 두부가 상기 수지제 베이스로부터 나오는 형상이 되도록 프레스 성형된다.
이 때문에 용이하게 수지제 베이스부재에 삽입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종래예와 동일하거나 균등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우선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중에 부호 14는 실시예 1의 단자편으로서, 이 단자편(14)은 다른 커넥터의 커넥터 구멍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판상의 각부(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단자편(14)에는 이 각부(4)에서 연장되어 기판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판부(15)는 상기 각부(4)와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갖고 한장의 동판(20)을 상기 각부(4)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 되도록 꺽음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판부(15)는 전기신호를 다른 단자접점인 상기 가동측접점판(10)에 대하여 접촉, 비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 절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기판부(15)에는 프레스 성형을 함으로써 상기 가동측 접점판(10)의 배치방향으로 팽창하여 단면 형상을 대략 중절모자 모양으로 하는 접점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점부(16)에는 상기 가동측 접점판(10)의 가동접점부(13)와 접촉하는 평평한 원판 모양의 두부(17) 및 이 두부(17)의 주위에 형성되는 주벽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 1에서는 두부(17)의 두께가 상기 주벽부(18)의 두께에 비하여 두껍게 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이 두부(17)의 두께가 상기 기판부(15)의 다른 부분의 두께에 비하여 두껍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 1의 단자편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5내지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단자편(14)의 기판부(15)는 한 장의 금속소재인 동판(20)을 평판 모양의 다이(die) 등에 놓고 압력면이 원추형(원圓錐形)인 펀치(21) 등에 의하여 주위의 동판(20) 소재를 중심방향으로 모으도록 3회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우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 모양의 1차다이(19)상에 상기 기판부(15)를 형성하는 판 모양의 동판(20)을 놓고, 압력면이 원추형인 1차펀치(21)에 의하여 주위의 금속소재를 중심방향으로 모으도록 1차 프레스 성형이 이루어진다.
이 1차펀치(21)는 직경방향의 치수(X)를 갖는 대략 원주형이고, 도면중의 하면측의 압력면에는 중심에 형성되는 정상부(21a)까지 소정의 깊이를 갖는 원추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압력면이 원추형인 1차펀치(21)로 주위의 동판(20)이 중심방향인 정상부(21a)로 모이도록 프레스 성형된 부분(21a')이 형성된다. 이 1차 프레스 성형에 의하여 상기 동판(20)의 하단면에서 이 정상부(21a)까지의 거리는 동판(20)의 판두께(T)에 더하여 모인 부분 α만큼 높게 형성된다.
다음에 도 6과 같이 이 동판(20)의 모여진 부분(21a')을 2차다이(22)에 형성된 오목부(23)에 맞추어 올려 놓고 2차 성형 프레스가 이루어진다.
이 오목부(23)는 동판(20)의 모여진 부분(21a')이 두들겨져야 들어가도록 상기 1차펀치(21)의 직경방향의 치수(X)보다도 작은 직경(Z)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1차 프레스 성형이 끝난 동판(20)이 2차다이(22)상에 놓여지면 도 6중의 상방에서 2차펀치(24)에 의하여 동판(20)의 모여진 부분(21a')이 상기 오목부(23) 방향으로 눌려진다.
이 2차펀치(24)는 직경방향의 치수(Y)를 상기 1차펀치(21)의 직경방향의 치수(X)와 같게 되도록 대략 원주형으로 형성되고 도 6중에서 하면측의 압력면(24a)은 평면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2차 프레스 성형에서는 오목부(23)를 갖는 2차다이(22)에 동판(20)이 놓여지고 2차펀치(24)로 눌려짐으로써 오목부(23) 가장자리의 동판(20)의 소재가 몰리면서 상기 오목부(23)내로 들어가는 부분(23a)이 형성된다.
이렇게 들어간 주위의 동판(20) 소재는 접점의 두께를 증대시키는데에 기여하여 접점의 두께가 주위의 두께에 비하여 커진다. 본 실시예 1에서는 오목부에 들어간 동판(20)의 선단에서 상기 압력면(24a)으로 눌려진 도 6중의 상단면까지의 높이가, 판두께(T)에 더하여 모여져 오목부에 들어간 동판(20) 소재본 α 만큼 높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2차 성형 프레스가 종료한 동판(20)은 3차다이(25)상에 놓여지고 3차 프레스 성형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2차 프레스 성형에 의하여 상기 오목부(23)에 들어간 동판(20) 부분(23a)은 3차다이(25)에 형성된 오목부(26)와 맞추어져 놓여진다.
이 오목부(26)는 직경방향의 치수(Q)를 상기 오목부(23)의 치수(Z)와 같게 함과 아울러 저면부(26a)에는 접점부(16)의 두부(17) 곡선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곡선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오목부(26)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주벽부(18)를 형성하는 주벽형성부(26b)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3차 프레스 성형에서는 3차펀치(27)가 사용된다. 이 3차펀치(27)는 직경방향의 치수(Z)를 상기 1차펀치(21) 및 2차펀치(24)의 직경방향의 치수(X, Y)와 동일하도록 대략 원주형으로 구성되고, 압력면인 도 7중의 하면측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주벽부(18)를 형성하기 위하여소정의 각도를 갖는 곡선부(27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3차 프레스 성형을 함으로써 상기 접점부(16)의 두부(17)는 다른 접점단자와의 접촉, 비접촉에 적당한 곡선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주벽부(18)가 상기 수지제 베이스부재인 절연성 베이스부재(9) 등에 삽입 성형되는 때에 상기 두부(17)가 상기 절연성 베이스부재(9)로부터 나오도록, 주벽부(18)는 상기 기판부(15)의 상면(15a)으로부터 소정의 높이(U)를 갖는 형상이 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밀려져 신장하도록 형성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 1의 단자편(14)의 접점구조에서는 상기 접점부(16)의 주벽부(18)의 동판(20) 소재가 상기 두부(17)의 대략 중심방향을 항하여 몰리도록 프레스 성형되어 있으므로 상기 주벽부(18)의 동판(20) 소재가 상기 두부(17)의 대략 중심방향을 향하여 이동하고 성형후의 두부(17)의 두께는 동판(20)의 두께(T)에 비하여 α만큼 증가한다. 이 때문에 접점부(16)와 가동접점부(13)간의 사이의 접촉, 비접촉에 의한 마모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 두부(17)의 두께가 주벽부(18)의 두께에 비하여 두껍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같은 동판(20) 소재를 사용하여도 접점중에 각 접점부(16)와 가동접점부(13)간의 접촉, 비접촉에 의한 마모가 가장 심한 두부(17)의 두께를 증대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부(17)의 두께가 기판부(15)의 다른 부분의 두께에 비하여 두껍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두부(17)의 두께만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증대시키면 되므로 원재료비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기판부(15) 및 각부(4)의 두께의 증대를 억제시켜 기판부(15)와 각부(4)간을 직각으로 꺽는 절곡가공 또는 다른 커넥터(2)의 커넥터 구멍(3) 등에 적응할 수 있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동판(20) 소재가 1차 프레스 성형에서 상기 두부(17)를 향하여 몰려지고, 2차 프레스 성형에서 오목부(23)에 들어가므로 동판(20) 소재에 대한 신장방향이 다른 각 프레스 성형이 분리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동판(20) 소재에 균열 등의 손상을 줄 염려가 적고 두부(17)의 두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오목부(23)의 직경이, 오목부(23)에 동판(20) 소재를 들어가게 하는 상기 2차펀치(24)의 직경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2차펀치(24)의 직경이 오목부(23)의 직경을 넘는 부분의 동판(20) 소재의 체적만큼 상기 오목부(23)내에 많은 금속소재가 들어가므로, 상기 2차펀치(24)의 선단(24a)으로부터 두부(17)의 선단까지의 높이를 금속소재의 두께(T)보다 α만큼 큰 T + α 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두부(17)의 두께를 다른 동판(20) 소재의 두께(T)에 비하여 크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접점부(16)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26)에 들어간 동판(20) 소재의 주벽부(18)가 상기 수지제 베이스부재인 절연성 베이스부재(9)에 삽입 성형되는 때에 상기 두부가(17)가 상기 절연성 베이스부재(9) 표면으로부터 나오도록, 주벽부(18)는 소정의 높이(U)를 형성하는 3차 프레스 성형이 되어 있다.
3차 프레스 성형시에 상기 1, 2차 프레스 성형에 의하여 동판(20)소재의 오목부(26) 가장자리 부분은 중앙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상기 주벽형성부(26b)와 곡선부(27a)의 사이에 협지(挾持)되고 신장되는 동판(20) 소재의 체적이 적으므로 비교적 용이하게 소정의 높이(U)를 갖도록 주벽부(18)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용이하게 절연성 베이스부재(9) 등에 삽입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구체적인 구성은 본 실시예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 1에서는 금속소재로서 동판(20)을 사용한 것을 나타내고 설명하였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금, 철 등 다른 도전체라도 무방한 것은 당연하다.
또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주벽부(18)에 소정의 각도가 형성되어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상기 다른 기판부(15)의 상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되는 주벽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상기 두부(17)의 두께가 상기 기판부(15)의 다른 부분의 두께에 비하여 두껍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특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동일한 두께라도 내구성이 향상되는 정도로 두께가 증대되어 있는 것이라면 좋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하면, 상기 주벽부의 금속소재가 상기 두부의 대략 중심방향을 항하여 몰리도록 프레스 성형되어 있으므로 상기 주벽부의 금속소재가 상기 두부의 대략 중심방향을 향하여 이동하여 상기 두부의 두께가 증대된다. 이 때문에 접점간의 접촉, 비접촉에 의한 마모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상기 두부의 두께가 상기 주벽부의 두께에 비하여 두껍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점중에 각 접점간의 접촉, 비접촉에 의한 마모가 가장 심한 두부의 두께를 증대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상기 두부의 두께가 상기 기판부의 다른 부분의 두께에 비하여 동일 혹은 두껍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두부의 두께만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증대시키면 되므로 원재료비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기판부 및 각부의 두께의 증대를 억제시켜 절곡가공 또는 다른 커넥터 등에 적응할 수 있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청구항 4의 발명은, 평판 모양의 다이(die)에 기판부를 형성하는 판 모양의 금속소재를 놓고, 압력면이 원추형인 펀치로 주위의 금속소재를 중심방향으로 몰리도록 프레스 성형한다.
이와 같이 주위의 금속소재가 중심방향으로 몰리어 접점의 두께를 증대시키는 데에 기여한다.
이 때문에 접점의 두께가 주위의 두께에 비하여 커지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오목부를 갖는 다이(die)에 금속소재가 올려지고 펀치로 눌려짐으로써 그 오목부의 가장자리의 금속소재가 몰리면서 상기 오목부내로 들어간다.
이렇게 들어간 주위의 금속소재는 접점의 두께를 증대시키는 데에 기여하고, 접점의 두께가 주위의 두께에 비하여 증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평판 모양의 1차 다이(die)에 기판부를 형성하는 판 모양의 금속소재가 놓여지고, 압력면이 원추형인 1차 펀치로 주위의 금속소재가 중심방향으로 몰리도록 1차 프레스 성형된다.
다음에 2차 다이(die)에 상기 1차 프레스 성형이 끝난 금속소재가 놓여지고 2차 펀치로 상기 몰려진 금속소재 부분을 오목부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몰린 금속소재 부분이 오목부에 들어가 2차 프레스 성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금속소재가 1차 프레스 성형에서 상기 두부을 향하여 몰려지고, 2차 프레스 성형에서 오목부에 들어가므로 금속소재에 손상을 줄 염려가 적고 상기 두부의 두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7의 발명은, 상기 오목부의 직경이 상기 오목부에 금속소재를 들여보내는 상기 펀치의 직경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펀치에 의하여 눌려지는 금속소재의 체적만큼 많은 금속소재가 상기 오목부내로 들어가므로, 상기 펀치의 선단으로부터 두부의 선단까지의 높이를 금속소재의 두께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두부의 두께를 다른 금속소재의 두께에 비하여 크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오목부에 들어가는 금속소재의 상기 주벽부가 수지제(樹脂製) 베이스부재에 삽입 성형될 때에 상기 두부가 상기 수지제 베이스로부터 나오는 형상이 되도록 프레스 성형된다.
이 때문에 용이하게 수지제 베이스부재에 삽입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실용상의 유익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다른 커넥터 구멍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판 모양의 각부(脚部)와, 상기 각부에서 연장되어 전기신호를 접촉하는 다른 단자접점에 도통시킴과 아울러 상기 각부와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갖는 기판부를 갖고, 상기 기판부에는 상기 다른 접점단자의 배치방향으로 팽창함으로써 다른 접점단자에 접촉하는 두부(頭部) 및 그 두부의 주위에 형성되는 주벽부(周璧部)를 갖고 단면 형상을 대략 중절모자 모양으로 하는 접점을 갖는 금속제 단자편의 접점구조로서, 상기 두부는 주벽부의 금속소재를 상기 두부의 대략 중심방향으로 몰리도록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편의 접점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의 두께를 상기 주벽부의 두께에 비하여 두껍게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편의 접점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의 두께를 상기 기판부의 다른 부분의 두께에 비하여 동일 혹은 두껍게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편의 접점구조.
  4. 평판 모양의 다이(die)에 기판부를 형성하는 판 모양의 금속소재를 놓고, 압력면이 원추형인 펀치로 주위의 금속소재를 중심방향으로 몰리도록 프레스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편의 제조방법.
  5. 오목부를 갖는 다이(die)에 금속소재를 놓고 그 오목부의 가장자리의 금속소재를 몰리게 하면서 상기 오목부내로 들어가도록 펀치로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편의 제조방법.
  6. 평판 모양의 1차 다이(die)에 기판부를 형성하는 판 모양의 금속소재를 놓고 압력면이 원추형인 1차 펀치로 주위의 금속소재를 중심방향으로 몰리도록 1차 프레스 성형함과 아울러, 상기 몰린 금속소재 부분이 들어가는 오목부를 갖는 2차 다이(die)에 상기 1차 프레스 성형이 끝난 금속소재를 놓고 2차 펀치로 상기 몰려진 금속소재 부분을 오목부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2차 프레스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편의 제조방법.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직경은, 상기 오목부에 금속소재를 들여보내는 상기 펀치의 직경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편의 제조방법.
  8. 제 5항 또는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들어가는 금속소재를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수지제(樹脂製) 베이스부재에 삽입 성형할 때에 상기 두부가 상기 수지제 베이스로부터 나오는 형상이 되도록 상기 주벽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편의 제조방법.
KR1019970001541A 1996-03-15 1997-01-21 단자편의접점구조및그제조방법 KR100388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59245 1996-03-15
JP05924596A JP3801679B2 (ja) 1996-03-15 1996-03-15 端子片の接点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179A true KR19980066179A (ko) 1998-10-15
KR100388306B1 KR100388306B1 (ko) 2003-10-04

Family

ID=1310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541A KR100388306B1 (ko) 1996-03-15 1997-01-21 단자편의접점구조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70610A (ko)
JP (1) JP3801679B2 (ko)
KR (1) KR1003883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5565B2 (en) 2003-02-04 2007-09-04 Microfabrica Inc. Cantilever microprobes for contact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methods for making such probes
US20060051948A1 (en) * 2003-02-04 2006-03-09 Microfabrica Inc. Microprobe tips and methods for making
US20060053625A1 (en) * 2002-05-07 2006-03-16 Microfabrica Inc. Microprobe tips and methods for making
US20080211524A1 (en) * 2003-02-04 2008-09-04 Microfabrica Inc. Electrochemically Fabricated Microprobes
US10416192B2 (en) 2003-02-04 2019-09-17 Microfabrica Inc. Cantilever microprobes for contacting electronic components
US20080108221A1 (en) * 2003-12-31 2008-05-08 Microfabrica Inc. Microprobe Tips and Methods for Making
JP6839969B2 (ja) * 2016-11-28 2021-03-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11262383B1 (en) 2018-09-26 2022-03-01 Microfabrica Inc. Probes having improved mechanical and/or electrical properties for making contact between electronic circuit elements and methods for maki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58745A (en) * 1941-02-19 1944-09-19 Frank Adam Electric Co Method of forming solderless connectors
US2610390A (en) * 1947-06-10 1952-09-16 Louis P Locke Method of making electrical terminals
US3377700A (en) * 1963-01-02 1968-04-16 Gen Electric Method of making electrical contact member
JPS5351172A (en) * 1976-10-21 1978-05-10 Wako Kk Method of fabricating flanged hollow products
DE3108502A1 (de) * 1979-11-28 1982-09-30 Fa. Leopold Kostal, 5880 Lüdenscheid Elektrischer kontaktgeber und ein zur herstellung desselben geeignetes verfahren
SU986575A1 (ru) * 1981-07-06 1983-01-07 Уфимский авиационный институт им.Орджоникидзе Способ штамповки чашеобразных деталей
JPS6298125A (ja) * 1985-10-22 1987-05-07 House Food Ind Co Ltd 電子レンジ用調理用容器
US5161403A (en) * 1991-06-25 1992-11-10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planar contact projections on flexible circu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8306B1 (ko) 2003-10-04
JP3801679B2 (ja) 2006-07-26
US5970610A (en) 1999-10-26
JPH09251817A (ja) 1997-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8297B1 (ko) 플렉시블기판용전기커넥터
CN202308403U (zh) 同轴连接器
CN108123242B (zh) 同轴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KR19980066179A (ko) 단자편의 접점구조 및 그 제조방법
US5533910A (en) Electrical connector
CN1043493C (zh) 按钮开关和制造一按钮开关的方法
JP2929407B2 (ja) ピンターミナル
JP4042293B2 (ja) スイッチ付きicカード用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3096901B2 (ja) コネクタ
EP1014405A2 (en) Push switch
CN108963710B (zh) 弹片制造方法
JP7191380B2 (ja) コネクタ
US700031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ors for enhancing coplanarity
JPH1141754A (ja) 三次元立体回路体
CN110247212A (zh) 压配端子及用于制造压配端子的方法
CN219760010U (zh) 一种一体式成型出件电控铜端子
WO2003050921B1 (en) Miniaturized connector
CN108817228B (zh) 一种应用于电池箱的u形连接件冲压模具
KR200199694Y1 (ko) 커넥터용 프레스 금형장치
US20040183631A1 (en) Switching termina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00057887A (ja) 押釦スイッチ
JP2000133356A (ja) ソケットコンタクト
JPS61126712A (ja) ねじ端子装置の製造方法
CN2417554Y (zh) 触动开关
CN111696807A (zh) 按钮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