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7770A -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7770A
KR19980057770A KR1019960077072A KR19960077072A KR19980057770A KR 19980057770 A KR19980057770 A KR 19980057770A KR 1019960077072 A KR1019960077072 A KR 1019960077072A KR 19960077072 A KR19960077072 A KR 19960077072A KR 19980057770 A KR19980057770 A KR 19980057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arm
vehicle
present
suspension
suspen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7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77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7770A/ko
Publication of KR19980057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770A/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좌,우,상,하로의 유동에 대해 자유로운 흡수 대응이 가능하여 차량의 승차감을 훨씬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후,좌,우,상,하로의 유동에 대해 자유로운 흡수 대응이 가능한 로어암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로어암의 각 단부가 힌지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현가장치의 로어암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
본 발명은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와 너클에 결합도는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에 관한 것이다.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현가장치는 보통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클과 로어암(4) 및 쇽업소오버(6)와 스테이빌라이져 바아(8) 등의 결합체로 구성되는데, 승차감을 더욱 좋게 하기 위하여 스프링 상수가 작은 스프링을 사용하면 선회시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한 차체의 기울기 증대와 아울러 롤링의 발생을 초래하게 된다.
상기한 스테이빌라이져 바아(8)는 롤링을 감소시켜 차체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토션바아와 함께 현가장치에 채용되는데, 이와 같은 스테이빌라이져 바아(8)는 그 양단이 한쌍의 드롭링크(10)에 의해 스트럿 어셈블리(S)와 결합되고, 그 중간부는 고정브라켓과 볼트로 프레임에 장착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로어암은 전,후,좌,우,상,하로의 유동에 대해 자유로운 흡수 대응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후,좌,우,상,하로의 유동에 대해 자유로운 흡수 대응이 가능하여 차량의 승차감을 훨씬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을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로어암 6 : 쇽업소오버
8 : 스테이빌라이져 바아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후,좌,우,상,하로의 유동에 대해 자유로운 흡수 대응이 가능한 로어암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로어암의 각 단부가 힌지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현가장치의 로어암을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 로어암에 대한 일실시예는 너클과 로어암(4) 및 쇽업소오버(6)와 스테이빌라이져 바아(8) 등의 결합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 승차감을 더욱 좋게 하기 위하여 스프링 상수가 작은 스프링을 사용하면 선회시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한 차체의 기울기 증대와 아울러 롤링의 발생을 초래하게 된다.
상기한 스테이빌라이져 바아(8)는 롤링을 감소시켜 차체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토션바아와 함께 현가장치에 기용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스테이빌라이져 바아(8)는 그 양단이 한쌍의 드롭링크(10)에 의해 스트럿 어셈블리(S)와 결합되고, 그 중간부는 프레임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를 갖는 스테이빌라이져 바아(8)는 차량의 주행시 좌우휠이 상하로 동시에 작용할 때에 작동하지 않고, 좌우휠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 작동할 경우에 비틀림에 의한 탄성력으로 차체의 기울기와 롤링을 감소시켜 차량의 승차감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로어암(4)은 차체와 상기 너클 사이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은 전,후,좌,우,상,하로의 유동에 대해 자유로운 흡수 대응이 가능하여 차량의 승차감을 훨씬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단지 예로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1)

  1. 전,후,좌,우,상,하로의 유동에 대해 자유로운 흡수 대응이 가능한 로어암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로어암의 각 단부가 힌지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현가장치의 로어암.
KR1019960077072A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 KR19980057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072A KR19980057770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072A KR19980057770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770A true KR19980057770A (ko) 1998-09-25

Family

ID=66396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7072A KR19980057770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77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0236A (ko) 2016-04-20 2017-10-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로어암의 볼조인트 어셈블리
KR20180064580A (ko) 2016-12-05 2018-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롤 강성 가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0236A (ko) 2016-04-20 2017-10-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로어암의 볼조인트 어셈블리
KR20180064580A (ko) 2016-12-05 2018-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롤 강성 가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55882B1 (en) Wheel suspension for a vehicle
CA2150718A1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KR940013895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0139521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940013892A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GB2300162A (en) Rear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KR19980057770A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
KR100320498B1 (ko) 자동차의리어서스펜션시스템
KR200153472Y1 (ko) 자동차의 스테이빌라이저 바와 쇽 어브소버 장착구조
KR0180374B1 (ko)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
KR200147824Y1 (ko) 리프스프링타입자동차의현가장치
KR200270375Y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100281822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0185450B1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KR100667427B1 (ko) 자동차의 맥퍼슨형 현가장치
KR200153165Y1 (ko) 자동차의 세미트레일링암식 리어현가장치
JPH08295114A (ja) 車両の後輪懸架装置
KR950008178A (ko) 자동차의 판 스프링형 독립 현가장치
KR19980054341U (ko) 리어서스펜션의 래터럴 로드 장착구조
KR200225042Y1 (ko) 자동차용현가장치의충격흡수장치
KR19980056278A (ko) 차량의 운전실용 서스펜션 구조
KR100201471B1 (ko) 자동차용 독립현가식 현가장치
KR100192404B1 (ko) 2중링크식 리어서스펜션
KR0139694Y1 (ko) 자동차의 가변형 스트럿 바
KR100422834B1 (ko) 맥퍼슨식 현가 장치용 스트럿 바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