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7310A - 자동차용 뒷좌석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뒷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7310A
KR19980057310A KR1019960076584A KR19960076584A KR19980057310A KR 19980057310 A KR19980057310 A KR 19980057310A KR 1019960076584 A KR1019960076584 A KR 1019960076584A KR 19960076584 A KR19960076584 A KR 19960076584A KR 19980057310 A KR19980057310 A KR 19980057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rest
rear seat
hoo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8615B1 (ko
Inventor
허준열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76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8615B1/ko
Publication of KR19980057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6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60N2/36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3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뒷좌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뒷좌석의 등받이에 노브에 의하여 걸림과 해제가 자유로운 후크를 설치하여서, 뒷좌석의 등받이를 절첩하여 화물 등을 적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시트는 현위치의 앞쪽으로 절첩되고 상기 등받이가 차체에 설치된 시트 안전브라켓에 견고하게 걸려지므로서 차량의 충돌시 뒷좌석이 운전자가 있는 앞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주행시에도 상기 등받이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아 소음이 발생되므로서 운전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뒷좌석
본 발명은 자동차용 뒷좌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뒷좌석의 등받이에 해제 노브를 가지는 록크장치를 설치하여서 필요에 따라 등받이를 절첩고정 및 해제 할수 있도록 하므로서 충돌사고로부터 보다 안전하고, 주행시 뒷좌석의 등받이부분으로부터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종래 웨건등의 자동차용 뒷좌석은 첨부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0)의 하부에 걸림홈(1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2)과 상응되는 차체부에는 시트안전브라켓(13)이 설치되어 있어서, 시트(10)의 걸림홈(12)이 시트안전브라켓(13)에 걸림으로서 차량의 충돌시 등에 뒷좌석이 운전자가 있는 차량의 앞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서 대형사고를 예방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뒷좌석의 시트가 운전석이 있는 앞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 할 수는 있으나, 뒷좌석의 등받이가 차량의 충돌력으로 접혀지는 문제와 주행시 상기 뒷좌석의 등받이가 절첩된상태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뒷좌석의 등받이에 노브에 의하여 걸림과 해제가 자유로운 후크를 설치하여서, 뒷좌석의 등받이를 절첩하여 화물 등을 적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시트는 현위치의 앞쪽으로 절첩되고 상기 등받이가 차체에 설치된 시트 안전브라켓에 견고하게 걸려지므로서 차량의 충돌시 뒷좌석이 운전자가 있는 앞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주행시에도 상기 등받이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아 소음이 발생되므로서 운전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종래 자동차용 뒷좌석에 대한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뒷좌석에 대한 구성도,
도3는 제2도의 요부상세도,
도4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시트 11: 힌지
12: 걸림홈 13: 시트안전브라켓
14: 힌지 15: 등받이
16: 랫치 16': 스트라이커
17: 노브18: 후크
18': 스프링19: 고정편
20: 작동편21: 관통공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시트(10)의 앞쪽에 힌지(11)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걸림홈(12)이 형성되어서 차체에 형성된 시트 안전 브라켓(13)에 걸려지도록 된 자동차용 뒷좌석에 있어서, 힌지(14)를 가지는 등받이(15)의 내부에 랫치(16)와, 노브(17)를 가지는 후크(18)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랫치(16)와 상응되는 차체부에는 스트라이커(16')가 설치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후크(18)는 지지편(19)과 작동편(20)으로 구성되어서 복원스프링(18')이 설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뒷좌석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뒷좌석은 시트(10)와 등받이(15)로 이루어지되, 상기 시트(4)는 앞쪽의 하부에 힌지(11)가 설치되어 있으며, 뒤쪽의 하부에는 걸림홈(12)이 형성되어져 있는 동시에 상기 걸림홈(12)과 상응되는 차체에는 시트안전브라켓(13)이 설치되어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15)는 하부가 차체와 힌지(14)로 연결되어져 있으며, 내부에 랫치(16)와 후크(18)가 설치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랫치(16)와 상응되는 차체부에는 스트라이커(16')가 설치되어져 있으며, 후크(18)는 지지(19)와 작동편(20)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작동편(20)의 일측에는 복원스프링(18')과, 랫치(16)를 경유하여 등받이(15)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17)가 설치되어져 있다.
도면부호 21은 관통공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뒷좌석이 등받이(15)와 시트(10)가 일정각도를 갖도록 펼쳐져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시트(10)의 걸림홈(12)내에 시트 안전브라켓(13)이 걸려지고, 등받이(15)는 랫치(16)가 차체에 고정설치된 스트라이커(16')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시트(10)와 등받이(15)가 각각 견고하게 차체에 고정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뒷좌석부분에 화물을 적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트(10)를 앞쪽의 힌지(11)를 중심으로 앞쪽으로 절첩하여 세우는 동시에 등받이(15)의 노브(17)를 당기면 랫치(16)가 작동되어 스트라이커(16')로부터 해제되는 동시에 하부의 힌지(14)로부터 절첩가능한 상태가 되게 된다.
따라서, 등받이(15)를 앞으로 절첩하면 시트(10)의 걸림홈(12)을 걸어주고 있던 시트안전브라켓(13)이 상기 등받이(15)의 관통공(21)을 통하여 후크(18)의 작동편(20)에 걸려지게 되므로서 상기 시트(10)와 등받이(15)가 절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후크(18)의 작동편(20)은 복원스프링(18')에 의하여 항시 복원력을 유지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절첩되어진 뒷좌석을 승객이 앉을수록 전개하고자 할 경우에는 등받이(15)의 외부로 노출되어져 있는 노브(17)를 당김으로서 시트 안전브라켓(13)으로부터 후크(20)의 걸림이 해제되어 힌지(14)를 중심으로 한 등받이(15)의 전개와 시트(10)의 복원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시트(10)는 걸림홈(12)이 시트안전브라켓(13)에 걸려지게 되며, 등받이(15)는 랫치(16)가 스트라이커(16')에 걸려지는 최초의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뒷좌석의 시트와 등받이가 절첩 및 전개되어진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등으로 운전석쪽으로 이동되거나, 주행중 소음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므로서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운전자와 승객등에게 보다 안락한 승차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3)

  1. 시트(10)의 앞쪽에 힌지(11)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걸림홈(12)이 형성되어서 차체에 형성된 시트 안전 브라켓(13)에 걸려지도록 된 자동차용 뒷좌석에 있어서, 힌지(14)를 가지는 등받이(15)의 내부에 랫치(16)와, 노브(17)를 가지는 후크(18)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랫치(16)와 상응되는 차체부에는 스트라이커(16')가 설치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뒷좌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18)는 지지편(19)과 작동편(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뒷좌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편(20)은 복원스프링(18')이 설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뒷좌석.
KR1019960076584A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뒷좌석 KR100208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584A KR100208615B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뒷좌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584A KR100208615B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뒷좌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310A true KR19980057310A (ko) 1998-09-25
KR100208615B1 KR100208615B1 (ko) 1999-07-15

Family

ID=19492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584A KR100208615B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뒷좌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86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748B1 (ko) * 2000-07-25 2002-08-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더블 폴딩 리어 시트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748B1 (ko) * 2000-07-25 2002-08-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더블 폴딩 리어 시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8615B1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1081A (en) Vehicle seat
JPH04503197A (ja) 安全枠をもつキャブリオレー型の自動車
CN109094439B (zh) 车辆座椅和车辆
JP2009166774A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JPH11348626A (ja) トランクスルー装置
US6048027A (en) Vehicle seat with integral child restraint seat
KR100208615B1 (ko) 자동차용 뒷좌석
US2828806A (en) Latchable tilting seat back
JP3090735B2 (ja) 自動車のシ−トベルト構造
JPH0236754Y2 (ko)
KR100461110B1 (ko) 자동차용 시트백 록킹 장치
JPH03281454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KR20010059688A (ko) 리어 시트백 잠금장치
KR970002183Y1 (ko) 승용차 리어시트의 시트백 고정 및 해제장치
JP3166642B2 (ja) 乗員拘束装置
KR100520775B1 (ko) 차량의 자동접이식 시트
KR100324682B1 (ko) 시트의 폴딩장치용 고정 구조
KR0171344B1 (ko) 에어백을 이용한 트렁크 안전장치
JP3244805B2 (ja) 車両のインパネ形成方法
KR200151719Y1 (ko) 자동차용 뒤의자
JPH0511074Y2 (ko)
KR970036583A (ko) 차량용 폴딩 시트의 로킹장치(folding seat locking device for vehicle)
JPH06107106A (ja) 自動車用装備品
KR19980047786U (ko) 자동차 리어 시트의 아암 레스트구조
KR0161636B1 (ko) 시트 벨트 리트렉터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