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5740A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5740A
KR19980055740A KR1019960074976A KR19960074976A KR19980055740A KR 19980055740 A KR19980055740 A KR 19980055740A KR 1019960074976 A KR1019960074976 A KR 1019960074976A KR 19960074976 A KR19960074976 A KR 19960074976A KR 19980055740 A KR19980055740 A KR 19980055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ilicon layer
oxide film
film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4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7629B1 (ko
Inventor
한성오
손재현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60074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629B1/ko
Publication of KR19980055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5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6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055Deposition of semiconductive layers, e.g. poly - or amorphous silicon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 Local Oxidation Of Silic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 1 폴리실리콘층 마스크를 이용하여 제 1 폴리실리콘층을 소정두께 식각한 후 산화공정을 실시하여 산화막을 형성하고, 제 2 폴리실리콘층 형성후 자기정합 식각 방법으로 패터닝하여 액티브 영역의 손상 및 필드 산화막 상에 제 1 폴리실리콘층의 잔류물을 방지하며 또한 필드 산화막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래쉬 메모리에서 비트라인 액티브 영역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래쉬 메모리 소자는 제 1 폴리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지는 플로팅 게이트와 제 2 폴리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지는 컨트롤 게이트와 제 3 폴리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지는 셀렉트 게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플로팅 게이트와 컨트롤 게이트 및 셀렉트 게이트는 자기정합 식각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자기정합 식각방법이 실시될 때 도 2a 내지 2d에 도시된 바와같이 난드(NAND)형 플래쉬 메모리 셀에서는 비트라인 액티브 영역에 손상을 주게되고, 노어(AND)형 플래쉬 메모리 셀에서는 소스라인 영역에 손상을 주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래쉬 메모리 셀의 레이아웃도로서, 도 2a 내지 2d를 참조하여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필드 산화막(2)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1)의 전체 상부면에 터널 산화막(3)과 제 1 폴리실리콘층(4)과 유전체 막을 이루는 하부 산화막(5A) 및 질화막(5B)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제 1 폴리실리콘층 마스크(M1)를 이용하여 질화막(5B), 하부 산화막(5A), 제 1 폴리실리콘층(4) 및 터널 산화막(3)을 순차적으로 식각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b는 실리콘 기판(1)의 전체 상부면에 불순물 이온을 주입한 상태를 도시하며 도 2c는 실리콘 기판(1)의 전체 상부면에 산화공정을 실시한 후 실리콘 기판(1)의 전체 상부면에 제 2 폴리실리콘층(8)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산화공정에 의해 액티브 영역 및 제 1 폴리실리콘층(4)의 측벽에 산화막(7)이 형성되고, 질화막(5B) 상에 상부 산화막(5C)이 형성되어 상부 산화막(5C), 질화막(5B) 및 하부 산화막(5A)으로 이루어지는 유전체막(5)이 완성된다.
도 2d는 제 2 폴리실리콘층 마스크(M2)를 이용하여 자기정합 식각방법으로 제 2 폴리실리콘층(8), 유전체막(5) 및 제 1 폴리실리콘층(4)을 패터닝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액티브 영역과 필드 산화막(2)의 경계면에는 이온주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화살표 A로 도시된 바와같은 손상영역이 발생되고, 필드 산화막(2)의 일측 상부에는 화살표 B로 도시된 바와같은 산화막 잔류물이 발생된다. 이는 제 3 폴리실리콘층 형성후 단차로 인하여 식각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 1 폴리실리콘층 마스크를 이용하여 제 1 폴리실리콘층을 소정두께 식각한 후 산화공정을 실시하여 산화막을 형성하고, 제 2 폴리실리콘층 형성후 자기정합 식각 방법으로 패터닝하여 액티브 영역의 손상 및 필드 산화막 상에 산화막의 잔류물이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필드 산화막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의 전체 상부면에 터널 산화막과 제 1 폴리실리콘층과 유전체 막을 이루는 하부 산화막 및 질화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제 1 폴리실리콘층 마스크를 이용하여 질화막, 하부 산화막 및 제 1 폴리실리콘층을 순차적으로 패터닝 하는 단계와; 실리콘 기판의 전체 상부면에 산화공정을 실시하여 소정두께 식각된 제 1 폴리실리콘층을 산화막으로 변화시키고 질화막 상에 상부 산화막을 형성하여 유전체막을 완성하는 단계와; 실리콘 기판의 전체 상부면에 제 2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2 폴리실리콘층 마스크를 이용한 자기정합 식각방법으로 제 2 폴리실리콘층, 유전체막, 산화막 및 제 1 폴리실리콘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폴리실리콘층은 전체 두께의 1/2 내지 2/3 식각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레이아웃도.
도 2a 내지 2d는 종래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A-A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A-A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1:제 1 폴리실리콘층 마스크M2:제 2 폴리실리콘층 마스크
1 및 11:실리콘 기판2 및 12;필드 산화막
3 및 13:터널 산화막4 및 14:제 1 폴리실리콘층
5 및 15:유전체막5A 및 15A:하부 산화막
5B 및 15B:질화막5C 및 15C:상부 산화막
7 및 17:산화막8 및 18:제 2 폴리실리콘층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3d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로서, 도 3a는 필드 산화막(12)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11)의 전체 상부면에 터널 산화막(13)과, 제 1 폴리실리콘층(14)과 유전체 막을 이루는 하부 산화막(5A) 및 질화막(15B)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제 1 폴리실리콘층 마스크(M1)를 이용하여 질화막(15B), 하부 산화막(5A) 및 제 1 폴리실리콘층(14)을 순차적으로 식각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제 1 폴리실리콘층(14)은 전체 두께의 1/2 내지 2/3 정도 식각된다.
도 3b는 실리콘 기판(11)의 전체 상부면에 산화공정을 실시한 후 실리콘 기판(11)의 전체 상부면에 제 2 폴리실리콘층(18)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산화공정에 의해 소정두께 식각된 제 1 폴리실리콘층(14)은 산화막(17)으로 변화되고, 질화막(15B) 상에는 상부 산화막(15C)이 형성되어 상부 산화막(15C), 질화막(15B) 및 하부 산화막(5A)으로 이루어지는 유전체막(15)이 완성된다.
도 3c는 제 2 폴리실리콘층 마스크(M2)를 이용한 자기정합 식각방법으로 제 2 폴리실리콘층(18), 유전체막(15), 산화막(17) 및 제 1 폴리실리콘층(14)을 패터닝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액티브 영역은 산화막(17)이 소정두께 남아있으며 화살표 C로 도시된 바와같이 손상되지 않고, 필드 산화막(12)의 일측 상부에는 화살표 D로 도시된 바와같은 산화막 잔류물이 남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폴리실리콘층 마스크를 이용하여 제 1 폴리실리콘층을 소정두께 식각한 후 산화공정을 실시하여 산화막을 형성하고, 제 2 폴리실리콘층 형성후 자기정합 식각 방법으로 패터닝하여 액티브 영역의 손상 및 패드 산화막 상에 산화막 잔류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필드 산화막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필드 산화막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의 전체 상부면에 터널 산화막과 제 1 폴리실리콘층과 유전체 막을 이루는 하부 산화막 및 질화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제 1 폴리실리콘층 마스크를 이용하여 질화막, 하부 산화막 및 제 1 폴리실리콘층을 순차적으로 패터닝 하는 단계와;
    상기 실리콘 기판의 전체 상부면에 산화공정을 실시하여 소정두께 식각된 제 1 폴리실리콘층을 산화막으로 변화시키고 질화막 상에 상부 산화막을 형성하여 유전체막을 완성하는 단계와;
    상기 실리콘 기판의 전체 상부면에 제 2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2 폴리실리콘층 마스크를 이용한 자기정합 식각방법으로 제 2 폴리실리콘층, 유전체막, 산화막 및 제 1 폴리실리콘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실리콘층은 전체 두께의 1/2 내지 2/3 식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19960074976A 1996-12-28 1996-12-28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227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4976A KR100227629B1 (ko) 1996-12-28 1996-12-28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4976A KR100227629B1 (ko) 1996-12-28 1996-12-28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740A true KR19980055740A (ko) 1998-09-25
KR100227629B1 KR100227629B1 (ko) 1999-11-01

Family

ID=19491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4976A KR100227629B1 (ko) 1996-12-28 1996-12-28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6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976B1 (ko) 2008-08-18 2010-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허리둘레 자동 측정 벨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7629B1 (ko) 199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404B1 (ko) 집적 회로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US7262093B2 (en) Structure of a non-volatile memory cell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0368594B1 (ko)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메모리소자
KR100694973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JP2005530357A (ja) 導電スペーサで拡張されたフローティングゲート
US5550071A (en) Method for forming micro contacts of semiconductor device
KR20020091982A (ko)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 구조를 가지는 비휘발성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397176B1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평탄화 방법
KR100845103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US6146932A (en) Method for fabricating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device
US2005001433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10022762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6958274B2 (en) Method of fabricating split gate flash memory device
KR100480894B1 (ko) 복합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100673225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376269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86120B1 (ko) Mos 트랜지스터의 형성 방법
KR100301244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KR20030049781A (ko)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
KR100958632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39420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762865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689672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277891B1 (ko) 플래쉬 메모리 셀 제조방법
KR100300871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의게이트산화막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