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1156U - 자동차용 시트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1156U
KR19980051156U KR2019960064333U KR19960064333U KR19980051156U KR 19980051156 U KR19980051156 U KR 19980051156U KR 2019960064333 U KR2019960064333 U KR 2019960064333U KR 19960064333 U KR19960064333 U KR 19960064333U KR 19980051156 U KR19980051156 U KR 199800511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frame
rack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4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효진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4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1156U/ko
Publication of KR199800511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15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4Adjustable seat-cushion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 쿠션을 지지하고 있는 시트 프레임을 2개로 분할하여 구성한 다음, 이를 시트 프레임에 랙을 설치함으로써,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랙을 이동시켜 시트의 전체적인 크기를 조절하여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것은 가이드 레일(38)을 개재하여 플로어(40)에 장착되는 제1시트 프레임(8)과, 제1시트 프레임(8)내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시트 프레임(24)과, 제1시트 프레임(8)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32)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것으로, 일단은 고정볼트(28)에 의해 제2시트 프레임(24)에 고정된 랙(26)과, 커넥팅 로드(12)를 개재하여 제1시트 프레임(8)에 부착된 고정대(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랙(26)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기어(14)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조절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 쿠션을 지지하고 있는 시트 프레임을 2개로 분할하여 구성한 다음, 이들 시트 프레임에 랙을 설치함으로써,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랙을 이동시켜 시트 쿠션의 전체적인 크기를 조절하여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플로어(floor)에는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프론트 시트는 주로 분리식을 채용하는 반면, 리어 시트는 2개의 좌석이 일체로 결합된 벤치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들 시트에는 충돌 사고시, 탑승자가 시트로부터 이탈됨으로써 2차 부상을 입는 것을 막기 위한 안전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통상, 프론트 시트는 운전자가 앉는 부분인 시트 쿠션과, 시트 쿠션에 앉아 등을 기대는 부분인 시트 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트 백에는 머리를 기대거나 후면 추돌사고시에 승객의 목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헤드레스트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는 운전자의 체형에 관계없이 일정한 크기를 지니므로, 운행하는데 상당한 불편이 따르며, 특히, 여성 운전자의 경우에는 시트 쿠션의 길이가 필요 이상으로 길기 때문에 편안한 자세로 시트 백에 등을 기댈 수 없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시트 쿠션을 지지하고 있는 시트 프레임을 2개로 분할하여 구성한 다음, 이들 시트 프레임에 랙을 설치함으로써,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랙을 이동시켜 시트 쿠션의 전체적인 크기를 조절하여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이드 레일(38)을 개재하여 플로어(40)에 장착되는 제1시트 프레임(8)과, 제1시트 프레임(8)내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시트 프레임(24)과, 제1시트 프레임(8)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32)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것으로, 일단은 고정볼트(28)에 의해 제2시트 프레임(24)에 고정된 랙(26)과, 커넥팅 로드(12)를 개재하여 제1시트 프레임(8)에 부착된 고정대(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랙(26)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기어(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절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제1시트 프레임과 제2시트 프레임 간의 상대적인 길이를 변화시켜 시트의 전체적인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자신의 체형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여 가장 편안한 자세로 운행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 조절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2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조절장치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시트 쿠션4 : 시트 백
6 : 헤드레스트8 : 제1시트 프레임
10 : 지지대12 : 커넥팅 로드
12a : 손잡이14 : 회전기어
16 : 모터축18 : 구동기어
20 : 모터22 : 종동기어
24 : 제2시트 프레임26 ; 랙
32 : 가이드 브라켓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조절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 조절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시트의 구성을 보면, 승객이 앉는 시트 쿠션(2)과, 등을 기대는 시트 백(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트 백(4)에는 머리를 기댈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6)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프론트 시트에 있어서,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시트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고안에서는 시트 쿠션(2)의 하부에 배치되는 시트 프레임을 2개로 분할하여 구성된 다음, 이들 시트 프레임(24)에는 브라켓(32)을 고정시켰다. 또한, 브라켓(32)상에는 랙(26)을 설치하였으며, 시트 프레임(24)에 부착된 고정대(10)에는 랙(26)과 맞물리는 회전기어(14)를 장착하였다. 회전기어(14)는 커넥팅 로드(12)의 양단에 설치되어 랙(26)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일단을 연장하여 형성한 손잡이(12a)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랙(26)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를 다음의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 조절장치를 보인 측면도로, 시트 쿠션(2) 및 시트 백(4)은 도시하지 않았다.
여기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38)을 개재하여 플로어(40)에 장착되는 제1시트 프레임(8)내에는 제2시트 프레임(24)이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제1시트 프레임(8)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32)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랙(26)의 일단은 스페이서(30)를 끼운 다음, 고정볼트(28)를 사용하여 제2시트 프레임(24)에 고정하였다. 이 백(26)과 맞물려 있는 회전기어(14)는 커넥팅 로드(12)에 의해 제1시트 프레임(8)에 부착된 고정대(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12a)를 회전시키면 회전기어(14)가 함께 회전되면서 랙(26)을 이동시키게 되고, 랙(26)의 이동에 따라 하부의 브라켓(32)이 이동함으로써, 제1시트 프레임(8)을 그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이동시키게 된다. 이를 도 3에 단면하여 표시하였다.
즉, 도 3에 도시한 단면하여 표시한 바와 같이, 제1시트 프레임(8)내에는 제2시트 프레임(24)이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제2시트 프레임(24)상에는 용접에 의해 브라켓(32)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브라켓(32)상에는 미끄럼 부(34)를 통해 랙(26)이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어, 회전기어(14)의 의해 랙(26)을 이동시키면, 브라켓(32)이 함께 미끄럼 이동하면서 하부의 제1시트 프레임(8)을 반대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때, 랙(26)은 고정볼트(28)에 의해 제2시트 프레임(24)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시트 프레임(8)과의 상대적인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자신의 체형에 맞게 시트의 전체적인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조절장치를 보인 평면도로, 여기에서는 조작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손잡이(12a)와는 별도로 모터(20)를 설치하였다. 모터(20)를 구동하는 모터축(16)에는 구동기어(18)가 장착하였으며, 커넥팅 로드(12)에는 구동기어(18)와 맞물리는 종동기어(22)를 장착하였다. 그러므로, 스위치를 조작하여 모터(20)를 회전시키면, 모터축(16)에 의해 구동기어(18)가 회전하면서 종동기어(22)를 회전시킴으로써, 커넥팅 로드(12)가 이동하면서 회전기어(14)를 회전시킨다. 그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랙(26)이 이동하면서 제1시트 프레임(8)과 제2시트 프레임(24)간의 상대적인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제1시트 프레임과 제2시트 프레임 간의 상대적인 길이를 변화시켜 시트의 전체적인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자신이 체형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여 가장 편안한 자세로 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가이드 레일(38)을 개재하여 플로어(40)에 장착되는 제1시트 프레임(8)과, 상기 제1시트 프레임(8)내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시트 프레임(24)과, 상기 제1시트 프레임(8)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32)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것으로, 일단은 고정볼트(28)에 의해 상기 제2시트 프레임(24)에 고정된 랙(26)과, 커넥팅 로드(12)를 개재하여 상기 제1시트 프레임(8)에 부착된 고정대(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랙(26)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기어(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커넥팅 로드(12)에는 종동기어(22)가 장착되어 있으며, 모터축(16)을 개재하여 상기 종동기어(22)와 맞물려 있는 구동기어(18)를 회전시키는 모터(2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절장치.
KR2019960064333U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시트 조절장치 KR199800511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4333U KR19980051156U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시트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4333U KR19980051156U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시트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156U true KR19980051156U (ko) 1998-10-07

Family

ID=54002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4333U KR19980051156U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시트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115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494B1 (ko) * 2007-10-05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쿠션 길이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494B1 (ko) * 2007-10-05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쿠션 길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26066A1 (en) Backrest for a Vehicle Seat With an Upper Backrest Having Adjustable Inclination
KR20040013862A (ko) 자동차용 프론트시트의 리클라이너 잠금장치
KR19980051156U (ko) 자동차용 시트 조절장치
JP3318042B2 (ja) 3人掛けの座席
KR20030018653A (ko) 럼버 서포트를 이용한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 장치
JPH10262776A (ja) 自動車用シート
KR200161250Y1 (ko) 자동차용 시트의 가변형 헤드레스트
JP2903398B1 (ja) 座席用脇の下支持装置
KR20040042946A (ko) 자동차의 센터 시트 마운팅 구조
KR100387615B1 (ko)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서포터 조절장치
KR0163338B1 (ko) 허리받이쿠션이 내장된 자동차의 시트
KR100292865B1 (ko) 자동차용리어시트의쿠션조절장치
KR100410928B1 (ko)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헤드 레스트
KR200143062Y1 (ko) 자동차용 백시트의 머리 받침 가변장치
KR960007631Y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각도조절장치
KR980008729A (ko) 자동차 세퍼레이트 시트용 볼스터(Bolster) 조절장치
KR970006346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회전 구조
KR19980022842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헤드레스트
KR950008607Y1 (ko) 자동차용 일체형 시트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
KR0140166Y1 (ko) 자동차시트의 요추받침대
KR20030017727A (ko) 자동차용 시트
JPH0729888Y2 (ja) 可動式ヘッドレスト構造
KR19980043182U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전.후이동조절장치
KR19980060250A (ko) 쿠션용 헤드 레스트
KR970074208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전.후 이동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