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9049A -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 Google Patents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9049A
KR19980049049A KR1019960067722A KR19960067722A KR19980049049A KR 19980049049 A KR19980049049 A KR 19980049049A KR 1019960067722 A KR1019960067722 A KR 1019960067722A KR 19960067722 A KR19960067722 A KR 19960067722A KR 19980049049 A KR19980049049 A KR 19980049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ed
strut
piston rod
insulator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7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2406B1 (ko
Inventor
송재명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67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2406B1/ko
Publication of KR19980049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4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 B60G15/063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pring on the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30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 B60G2202/31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with the spr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e.g. MacPherson strut
    • B60G2202/312The spring being a wound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8Damper mount on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5Stops limiting travel
    • B60G2204/4502Stops limiting travel using resilient buf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쇽 업소버의 피스톤로드(1)와 이 피스톤로드(1)에 범퍼고무(10)와 밀접되게 끼워지는 컵플레이트(5) 사이에 개재되어 일체로 가류접착되는 댐퍼고무(6)와, 차체(3)에 보울트(4)를 매개로 체결되면서 하면에는 스트러트의 외주에 끼워진 코일스프링(7)의 상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패드(8)가 부착됨과 더불어 상기 컵플레이트(5)가 압입되어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9)를 갖춘 구조로 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를 줄여서 중량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 힘의 고른 분산을 통해 댐퍼고무의 조기파손과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며, 승차감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본 발명은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스트러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에 체결되는 상부 플레이트에 댐퍼고무와 가류접착된 컵이 압입되어, 스트러트의 외주에 끼워진 범퍼고무를 통해 가해지는 힘을 차체의 고르게 전달하여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부품수를 줄여서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도록 된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만드는 장치로서 노면으로부터 충격을 완화시키는 섀시 스프링과, 섀시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 업소버 및 차량의 롤링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섀시 스프링은 차체와 바퀴사이에 설치되어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바퀴의 진동을 흡수하여 차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금속 스프링에는 리프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 및 토션 바 스프링이 있고, 이밖에 고무 스프링과 공기 스프링 등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쇽 업소버는 차량의 주행중 스프링이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고유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을 빨리 감쇠시켜 승차감을 좋게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는 작용을 하고, 그 방식에 따라 고체 마찰식과 유압식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유압식이 많이 사용되며, 또 작동상으로는 신장시에 감쇠력을 발휘하는 단동식과, 신장시와 압축시에 모두 감쇠력을 발휘하는 복동식이 있다.
한편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좌우의 로어 현가 아암에 양단이 장착되어 좌우의 바퀴가 서로 동시에 상하운동하는 경우에는 작용하지 않지만, 좌우의 바퀴가 서로 상하운동하는 경우에는 비틀려져 그 때에 발생하는 스프링 복원력으로 차체의 기울기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현가장치는 자동차의 장착부위에 따라 앞현가장치와 뒤현가장치로 구분되어지고, 또 좌우의 바퀴가 1개의 차축으로 연결된 일체 차축식 앞차축을 스프링으로 차체와 연결시킨 차축현가식과, 좌우 양바퀴에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차체에 설치되면서 스프링 하중량이 가볍고 승차감이 좋으며 접지성이나 조정성 등이 뛰어난 독립현가식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상기 앞현가장치는 프레임과 차축사이를 연결하여 차의 중량을 지지하면서 바퀴의 진동을 흡수하는 장치로서, 앞차축의 형식에 따라 차축현가식과, 독립현가식으로 구분되어지는 데, 승차감이나 조종성을 중요시하는 승용차에는 독립현가식이 많이 사용되는 반면에 버스나 트럭 등에는 차축현가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독립현가식은 V형으로 된 상하 2개의 서스펜션 아암이 축에 의해 프레임에 설치됨과 더불어 각 서스펜션 아암의 끝은 보올 조인트에 의해 너클에 장착된 위시본형과, 리이프 스프링을 가로로 설치하여 위 또는 아래 서스펜션 아암의 작용을 스프링이 겸하도록 된 가로놓은 스프링형, 차의 뒤쪽으로 향한 1개 또는 2개의 아암에 의해 바퀴를 지지하는 트레일링 링크형, 상기 위시본형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구성부품이 적을 뿐만 아니라 로드 홀딩 및 승차감이 좋은 맥퍼어슨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맥퍼어슨형(스트러트식) 현가장치는 너클과 일체로 연결되면서 쇽업소버가 내장된 스트러트와 현가아암, 이 현가아암과 스트러트의 아랫부분을 연결하는 보올 조인트 및 스프링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러트의 하부는 장착브라켓을 매개로 너클에 체결되는 반면에 스트러트의 상부는 베어링을 매개로 인슐레이터에 끼워져서 차체에 대해 상대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지지되게 되어 있다.
도 1은 상기한 종래의 인슐레이터에 스트러트의 상부가 끼워져서 차체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인 바, 즉 스트러트에 끼워진 쇽 업소버의 피스톤로드(111)가 인슐레이터(112)에 끼워져 체결되고, 이 인슐레이터(112)는 차체(113)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인슐레이터(112)는 차체(113)에 보울트(114)로 체결되면서 한쪽 선단부가 절곡되어 댐퍼고무(115)속에 삽입되면서 일체로 가류접착된 마운팅 플레이트(116)와, 상기 피스톤로드(111)의 외주에서 댐퍼고무(115) 속에 압입되는 상부 플레이트(117) 및, 상기 피스톤로드(111)의 외주에 끼워져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17)와 용접되는 하부 플레이트(118)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댐퍼고무(115)의 하면에는 피스톤로드(111)의 외주에 끼워진 코일스프링(119)의 상부가 안착되어 지지되게 되어 있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118)에는 피스톤로드(111)의 외주에 끼워진 범퍼고무(120)가 밀접되게 장착되며, 이 범퍼고무(120)의 하부에는 더스트 카버(121)가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는 쇽 업소버의 피스톤로드를 통해 전달되는 힘과 코일스프링을 통해 전달되는 힘이 모두가 상기 댐퍼고무에 가해져서 댐퍼고무의 조기파손이 유발될 뿐만 아니라 노이즈가 심하고, 또 3개의 플레이트가 사용됨에 따라 부품수도 많으며,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전체면에 걸쳐서 댐퍼고무와 가류접착되기 때문에 금형의 셋트수가 많아지게 되어, 제작 코스트가 높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범퍼고무를 통해 전달되는 힘은 댐퍼고무에 가해지지 않고 차체로 전달되게 하여 힘을 분산을 통한 댐퍼고무의 조기파손과 노이즈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승차감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부품수를 줄여서 중량 및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스트러트의 상부에 인슐레이터가 끼워져 차체에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스트러트의 상부에 인슐레이터가 끼워져 차체에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피스톤로드2-인슐레이터
3-차체4-보울트
5-컵플레이트6-댐퍼고무
7-코일스프링8-패드
9-상부플레이트10-범퍼고무
11-더스트카버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쇽 업소버의 피스톤로드와 이 피스톤로드에 끼워지는 컵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일체로 가류접착되는 댐퍼고무와, 차체에 보울트를 매개로 체결되면서 하면에는 스트러트의 외주에 끼워진 코일스프링의 상부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패드가 부착됨과 더불어 상기 컵플레이트가 압입되어 결합되도록 된 상부 플레이트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스트러트의 상부에 인슐레이터가 끼워져 차체에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인 바, 즉 스트러트에 끼워진 쇽 업소버의 피스톤로드(1)가 인슐레이터(2)에 끼워져서 지지되게 체결되면서 이 인슐레이터(2)는 차체(3)에 보울트(4)를 매개로 체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인슐레이터(2)는 상기 피스톤로드(1)와 이 피스톤로드에 끼워지는 컵플레이트(5) 사이에 개재되어 일체로 가류접착되는 댐퍼고무(6)와, 차체(3)에 보울트(4)를 매개로 체결되면서 하면에는 스트러트의 외주에 끼워진 코일스프링(7)의 상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패드(8)가 부착됨과 더불어 상기 컵플레이트(5)가 압입되어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9)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컵플레이트(5)에는 피스톤로드(1)의 외주에 끼워진 범퍼고무(10)가 밀접되게 장착되며, 이 범퍼고무(10)의 외주에는 더스트 카버(11)가 씌워져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로드(1)를 통해 전달되는 힘은 댐퍼고무(6)에 가해져서 적절히 흡수되게 되고, 상기 범퍼고무(10)를 통해 전달되는 힘은 상기 댐퍼고무(6)에 전달되지 않고 상기 컵플레이트(5)를 통해 차체(3)로 전달되어, 힘이 적절히 분산됨에 따라 댐퍼고무의 조기파손과 노이즈를 방지하고, 또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컵플레이트(5)와 상부 플레이트만으로 구성되어 종래에 비해 부품수가 줄어들고, 그 만큼 제작단가와 중량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를 줄여서 중량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 힘의 고른 분산을 통해 댐퍼고무의 조기파손과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며, 승차감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쇽 업소버의 피스톤로드(1)와 이 피스톤로드(1)에 범퍼고무(10)와 밀접되게 끼워지는 컵플레이트(5) 사이에 개재되어 일체로 가류접착되는 댐퍼고무(6)와, 차체(3)에 보울트(4)를 매개로 체결되면서 하면에는 스트러트의 외주에 끼워진 코일스프링(7)의 상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패드(8)가 부착됨과 더불어 상기 컵플레이트(5)가 압입되어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9)를 갖춘 구조로 된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KR1019960067722A 1996-12-19 1996-12-19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KR100192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7722A KR100192406B1 (ko) 1996-12-19 1996-12-19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7722A KR100192406B1 (ko) 1996-12-19 1996-12-19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049A true KR19980049049A (ko) 1998-09-15
KR100192406B1 KR100192406B1 (ko) 1999-06-15

Family

ID=19489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7722A KR100192406B1 (ko) 1996-12-19 1996-12-19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24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2406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3704A (en) Dual strut wheel suspension
KR100192406B1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KR100264649B1 (ko) 자동차용 맥퍼어슨식 독립현가현가장치
KR100313801B1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KR100579227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199753B1 (ko) 스테빌라이저 바아 장착링크구조
KR19980049046A (ko) 비가류식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KR100361302B1 (ko) 자동차의 전륜 현가장치
KR100422553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상부체결구조
KR200187362Y1 (ko) 자동차용 리어로어암의 고정구조
KR19980054163A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구조
KR200155765Y1 (ko) 뒤 현가장치의 어퍼 아암 차체장착브라켓
KR100199741B1 (ko) 위시본식 전방서스펜션
KR20010045889A (ko) 자동차의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19980027139U (ko) 2개의 스프링과 쇽 업소버를 가진 2중 현가장치
KR100261428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9980049006A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KR100192407B1 (ko)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
KR19980043883A (ko) 크로스 멤버의 로어 아암 체결구조
KR20080023557A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트 구조
KR19990011058U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구조
KR19980046563A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용 부시
KR19980035595A (ko) 현가장치의 스트럿 바아구조
KR20070027086A (ko) 차량의 스트러트용 인슐레이터
KR19990015754U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범퍼고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