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8368A -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8368A
KR19980048368A KR1019960066938A KR19960066938A KR19980048368A KR 19980048368 A KR19980048368 A KR 19980048368A KR 1019960066938 A KR1019960066938 A KR 1019960066938A KR 19960066938 A KR19960066938 A KR 19960066938A KR 19980048368 A KR19980048368 A KR 19980048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resin
resin sheet
sheet according
antimicrobial
antimicrobial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6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6417B1 (ko
Inventor
김문선
장욱
Original Assignee
장용균
주식회사 에스케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균, 주식회사 에스케이씨 filed Critical 장용균
Priority to KR1019960066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6417B1/ko
Publication of KR19980048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6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6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5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필렌계 수지, 저분자 에틸렌계 수지 및 다공질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는 투명성, 내블록킹성 등이 우수하여 가공이 용이하며 항균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장식용 내장지, 고급 케이스 등은 물론 식품용 포장재 및 의료 용구와 의약품 등과 같이 항균 활성을 필요로 하는 물품용 포장재 또는 케이스 등으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블록킹성, 투명성 등이 양호하여 가공이 용이할 뿐 아니라 항균성이 우수하여 각종 포장재, 문구용품 및 실내장식용 내장제로는 물론 식품용 포장재 등과 같이 항균 활성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 적용 가능한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동식품, 분말식품, 생선류 등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포장 용기와 다기능화가 요구되는 각종 문구, 사무용품, 전기제품, 공구류, 완구류 등에 사용가능한 플라스틱 시이트 재료로는 폴리스티렌 시이트, 폴리염화비닐 시이트, 폴리테레프탈레이트 시이트 및 폴리올레핀 시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중, 폴리스티렌 시이트는 투명성 및 기계적 특성은 양호하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로 인하여 각종 질병을 일으킬 뿐 아니라 수지 가격이 비교적 고가이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지므로 범용적으로 사용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소각시에 검은 연기와 분진재 등을 발생시키는 환경 유해물질이라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비하여, 폴리염화비닐 시이트는 투명하며 값이 저렴하여 경제성은 있으나 연소시에 유해한 염소가스를 발생하기 때문에 폴리스티렌 시이트와 마찬가지로 환경문제를 일으킨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수지로서 각광을 받는 것이 폴리올레핀 수지인데, 특히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밀도가 0.90-0.92g/㎤ 정도로 가볍고 내열강도, 전기절연성, 내약품성, 가공성 및 내굴곡성이 우수하고 무해 무독하여 그 사용범위와 용도가 급속하게 다양화, 광범위화되고 있다.
통상,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에틸렌과 기타 올레핀계의 단량체의 공중합체이며, 공중합체 첨가 유무 및 구조에 따라서 호모폴리머, 랜덤 코폴리머, 앰팩트 코폴리머로 대별된다. 이중 호모폴리머는 결정성 및 강성이 우수하고 용융점이 높은 반면에 투명성이 좋지 않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랜덤 코폴리머는 상기 호모폴리머보다는 투명성이 좋으나 결정성, 용융점, 강성이 불량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임펙트 코폴리머는 내충격성 면에서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 사용목적 및 공정특성에 따라 혼합 사용함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물성을 갖는 수지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만들어진 시이트는 종래의 폴리스티렌 수지 시이트, 염화폴리비닐 수지 시이트에 비하여 투명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가 식품 포장재 뿐 아니라 병원 등에서 위생 또는 방균이 요구되는 각종 포장재 및 용기 등에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항균 특성의 개선 또한 시급하게 요구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투명성은 수지 자체의 개질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으나 이 방법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시이트 성형시 성형 장치 및 공정 조건을 제어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이 방법의 핵심은 급냉 공정을 통해 결정형성을 억제함으로써 투명성을 부여하는 방법인데, 일반적으로는 냉각롤에 의한 급냉방법이 사용되나 냉각효과에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냉각수를 통과시켜서 급냉시키는 방법이 주로 채용되고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가 각종 식품의 포장용기 등과 같이 항균성이 요구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채소와 같은 식물에서 발생되는 에틸렌 가스와 동물질의 부패시에 발생되는 질소산화물 및 암모니아, 인산물 등을 제거함으로써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의 번식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항균제를 첨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첨가제로는 무기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무기 항균제와 유기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 항균제가 있다. 이중 유기 항균제는 구성성분의 특성상 인체에 유해할 가능성이 높고 열안정성이 불량하며 분해되면서 냄새를 발생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기가 어렵다. 이에 반하여 무기 항균제는 플라스틱 제품의 물성을 다소 저해하기는 하나 무해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선호된다.
이러한 항균제에 대한 연구의 예로서, 일본국 특개소 63-86757호, 특개평 2-101003호, 특개평 2-147059호, 특개평 4-21614호에는 무기물 미립자를 사용하여 채소의 신선도 유지를 도모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으며, 일본국 특개평 1-207339호에는 흡착성 무기물을 사용하여 항균 및 탈취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연신 필름이나 단순 사출 제품에만 적용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즉, 이러한 종래의 기술을 고결정도를 갖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제조에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공이 용이하며 투명성 및 항균 활성을 갖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공이 용이하며 투명성 및 항균 활성을 갖는 투명한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프로필렌계 수지, 저분자 에틸렌계 수지 및 다공질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는 용융지수가 1-20g/10분이고 용융 온도가 130-180℃인 것이 바람직한데, 그 구성비는 프로필렌이 95-99.99몰%, 프로필렌 이외에 에틸렌 또는 부텐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올레핀이 0.01-5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로필렌계 수지의 예로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저분자 에틸렌계 수지는 용융지수가 20-40g/10분이고 용융 온도가 90-130℃인 것으로서, 그의 함량은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5중량%이다. 이러한 저분자 에틸렌계 수지의 예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만약, 상기 저분자 에틸렌 공중합체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가 없다. 이에 반하여, 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프로필렌계 수지와의 균일한 혼련이 어려워서 시이트 표면에 기포 및/또는 다이라인 등이 발생하여 외관 불량이 초래되고 저분자 수지의 지나친 표면 전이 현상으로 인하여 벨트 표면에 응착되거나 시이트 경면 간의 마찰력이 커지게 된다.
상기 다공질 무기입자의 예로는 알루미나, 실리카, 제올라이트, 탈크 또는 카올린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Al, Si 등 안정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광성이 양호하고 40℃에서 90% 이상의 원적외선 효과를 가지고 있고 입자간의 분산상태도 양호하여 멸균 및 항균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다공질 무기 입자의 평균 입경과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결정짓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서, 먼저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1-5㎛, 더욱 바람직하게는 0.5-3㎛이다. 만약 평균 입경이 0.1㎛보다 작으면 미소립자의 응집 현상이 심화되어 표면 광택이나 투명도가 저하되고, 반대로 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시이트 표면이 거칠어질 뿐 아니라 압출시 필터압이 급상승하는 공정상의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다공질 무기 입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5중량%이다. 만약 상기 함유량이 1중량%보다 적으면 항균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10중량%를 초과하면 강도 등 기계적 물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함유량을 결정하는 것이 유익하다.
보다 효율적인 항균 효과를 얻으려면 상기 다공성 무기 입자의 표면 전부 또는 일부, 또는 기공 내의 전계면을 은, 구리, 아연 등과 같이 흡착 분해 능력이 우수한 금속 이온으로 소정 두께만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이온의 도포량은 상기 다공성 무기 입자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0-1,000ppm/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도포된 다공성 무기 입자는 자체 발생되는 활성 산소에 의한 살균 작용, 금속 이온에 의한 가스 흡착 및 분해 작용에 의하여 더욱 바람직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외에도, 공지의 첨가제들, 예를 들면 대전방지제, 분산제, 슬립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안정화제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용융지수가 1-20g/10분이고 용융 온도가 130-150℃인 프로필렌계 수지, 용융지수가 20-40g/10분이고 용융 온도가 90-130℃인 저분자 에틸렌계 수지 및 평균 입경이 0.1-5㎛인 다공성 무기 입자가 85-99.89:0.01-5:1-10의 혼합비로 혼합된 수지 혼합물을 압출기에서 용융, 혼련한 다음, 다이를 통하여 용융 시이트의 형태로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출되는 용융 시이트를 급속 냉각시켜서 시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의 제조방법에서 있어서, 프로필렌계 수지, 저분자 에틸렌계 수지 및 다공질 무기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물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100-150 스크류 rpm의 조건하에서 압출 온도를 200-270℃로, 압출 속도를 250-300㎏/h로 하여 압출한 다음, 압출된 용융 시이트를 15-40℃로 유지되는 냉각롤에 통과시켜 급냉시킨다. 냉각 온도가 15℃ 미만인 경우에는 투명성은 우수해지지만 역권취 현상이 발생하여 효율적으로 성형하기가 어렵고, 반대로 4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는 표면의 결정이 너무 커져서 부스러질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수지 혼합물은 건상 혼합 또는 용융 혼합될 수 있는데, 균일하고 충분히 혼합되도록 하려면 용융 혼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는 기존의 어떠한 성형기에 의해서도 제조가 가능하지만 특히 삼각 (△)형 벨트식 시이트 성형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로서 요구되는 물성의 하나인 투명성은 시이트 표면의 고광택화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데, 이를 위해서는 시이트와 접촉하는 롤이나 벨트 표면에 충분히 밀착되도록 시이트 표면을 경면화시킴으로써 시이트 표면으로의 충분한 전사 및 결정 형성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수지의 고임 현상 (뱅킹 현상)을 유도하면서 시이트로 성형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이트 표면의 경면화가 과도하게 되면 시이트 간의 블록킹 현상이 일어나고 표면의 반사에 의한 눈부심이 너무 커서 시이트의 불량을 초래하기 쉽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요철이 형성된 롤릉 이용하여 시이트에 대하여 재열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요철의 형상, 단위 표면적 및 깊이 등은 제조되는 시이트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위 평면적이 1-500μ㎡, 깊이 0.1-5.0㎛이며, 각 형상간의 간격은 0.01-0.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요철의 형태는 피라밋, 다이아몬드, 원추, 구, 타원 등과 같은 다양한 모양이 양각 또는 음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형상보다는 불규칙성을 갖는 복합적 형상을 부여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요철이 엠보싱된 롤을 이용하여 시이트를 재열처리함으로써 시이트의 표면을 엠보싱 처리한다. 이 경우에 재열 처리 조건은 50-70℃의 온도 및 1-10㎏f/㎠의 압력 조건하에서 1회 또는 다수회에 걸쳐 반복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가 50℃보다 낮으면 시이트 표면으로의 형상 전이가 어렵고, 이에 반하여 70℃를 초과하면 롤에 수지가 붙어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오히려 표면 광택을 해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는 크기가 250-500Å인 표면 결정을 가지며 표면 결정화도는 60-80%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시이트의 각종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하기에 기재하였다:
1) 결정화도
사염화탄소와 노르말헵탄으로 이루어진 밀도 구배관을 이용하여, 25℃의 온도 조건하에서 부침법에 의해 밀도(χ)를 측정한 후, 다음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2) 결정 크기
피가쿠(PCGAKU)사의 X-레이 회절기(모델명: D-MAX3C)를 이용하여 각도별 회절강도를 측정한 다음, 결정크기를 계산하였다.
3) 광택도
가드너 네오텍사(미국)의 광택도 측정기(모델명: GC-401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기준경: 흑색경, 측정강도: 60도).
4) 표면 조도
코사카사(일본)의 접촉식 2차원 표면조도 측정기(모델명: SE-30D)를 이용하여 컷 오프 (cutoff ) 2.0㎜ 및 스타일러스 (stylus) 2u의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5) 내블록킹성 평가
세이사쿠쇼사 (Seisaku-sho社, 일본)의 표면성 시험기 (모델명: 2227001)를 이요하여 하중 1.0㎏, 속도 150㎜/분의 조건에서 정마찰계수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내블록킹성을 평가하였다.
6) 항균성 평가
이스케리키아 콜라이 (Escherichia Coli: ATCC 25922)를 균주로 사용하여 시험균액을 시편에 접촉시킨 다음, 25℃에서 24시간 정치 배양시킨후 균수를 세어서 항균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
용융지수가 2g/10분이고 용융온도가 160℃인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g, 용융지수가 20g/10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1.5g 및 표면이 구리 이온으로 피복된 다공질 실리카 입자 (평균 입경: 2㎛) 6g을 혼합하여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지 혼합물을 압출 온도 210℃, 스크류 rpm 120의 조건하에서 270㎏/h의 속도로 압출하여 용융 시이트를 제조하였다. 이 용융 시이트를 30℃의 냉각롤에 냉각시켜서 20m/분의 속도로 회전하여 벨트에 성형시켜서 두께가 200㎛인 시이트를 얻었다.
다음으로, 수득된 시이트를 최종적으로 권취하기 전에 단위 표면적이 250㎛2이고 높이가 4㎛인 피라밋 양각 형상이 0.07㎜ 간격으로 엠보싱 처리된 롤을 이용하여 60℃의 온도 및 4㎏f/㎠의 압력 조건 하에서 재열 처리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결정화도, 결정 크기, 광택도, 표면조도, 내블록킹성, 항균성 등에 대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5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 방법을 사용하되, 제조 조건을 하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화시켜서 시이트를 제조하였다. 수득된 시이트에 대한 평가 역시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항목에 대하여 같은 방법 및 기준에 따라 실시하여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5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 방법을 사용하되, 제조 조건을 하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도록 변화시켜서 시이트를 제조하였다. 수득된 시이트에 대한 평가 역시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항목에 대하여 같은 방법 및 기준에 따라 실시하여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구분 폴리프로필렌 수지 저밀도 에틸렌 수지 실리카 금속 이온 엠보싱된 롤의 요철 표면적 시이트의 물성
용융지수 용융온도 입경 첨가량 금속 도포량 결정화도 결정크기 광택도 표면조도 블록킹성 항균성
단위 g/10분 중량% 중량% - ppm/g 2 % %(내/외) μ - 세균수/㎖
실시예 1 2 160 1.5 2.0 6 Cu 170 250 79 420 145/146 0.011 0.7 2.5×102
2 11 165 1.0 3.1 4 Cu 220 270 75 314 143/144 0.015 1.1 1.9×102
3 15 155 2.0 1.9 6.5 Ag 620 320 81 370 144/146 0.016 0.9 2.0×102
4 9 160 0.5 1.6 7.2 Ag 450 200 76 390 143/145 0.010 1.2 1.6×102
5 5.5 162 3.0 2.9 5.5 Zn 855 120 76 290 141/142 0.009 1.0 1.2×102
비교예 1 15 140 1.5 0 0 - - 경면 69 910 140/155 0.005 2.0!?/CEL> 7.9×103
2 10 160 0 2.1 3 Cu 20 경면 62 960 135/147 0.004 2.0!?/CEL> 1.2×103
3 5 162 1.0 4.5 5 Cu 570 경면 70 1100 130/142 0.005 2.0!?/CEL> 2.1×102
4 9 155 6.5 9.5 9 Ag 450 경면 68 1265 121/136 0.084 2.0!?/CEL> 2.9×102
5 6.2 156 0.05 3.2 15 Zn 1,050 경면 66 1121 120/129 0.091 2.0!?/CEL> 3.2×102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는 투명성, 내블록킹성 등이 우수하여 가공이 용이하며 항균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장식용 내장지, 고급 케이스 등은 물론 식품용 포장재, 및 의료 용구와 의약품 등과 같이 항균 활성을 필요로 하는 물품용 포장재 또는 케이스 등으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6)

  1. 프로필렌계 수지, 저분자 에틸렌계 수지 및 다공질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가, 용융지수가 1-20g/10분이고, 용융 온도가 130-180℃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가 95-99.99몰%의 프로필렌 및 0.01-5몰%의 올레핀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이 에틸렌 또는 부텐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 에틸렌계 수지가, 용융지수가 20-40g/10분이고 용융 온도가 90-130℃인 것임을 특징으로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 에틸렌계 수지가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 에틸렌계 수지의 함량이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무기입자가 알루미나, 실리카, 제올라이트, 탈크 및 카올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무기 입자가 평균 입경이 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무기 입자가 평균 입경이 0.5-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무기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무기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무기 입자의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 또는 기공 내의 전계면에 은, 구리 또는 아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 이온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이온의 도포량이 상기 다공성 무기 입자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0-1,000ppm/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16. 용융지수가 1-20g/10분이고 용융온도가 130-180℃인 프로필렌계 수지, 용융지수가 20-40g/10분이고 용융 온도가 90-130℃인 저분자 에틸렌계 수지 및 평균 입경이 0.1-5㎛인 다공성 무기 입자가 85-99.89:0.01-5:1-10의 혼합비로 혼합된 수지 혼합물을 압출기에서 용융, 혼련한 다음, 다이를 통하여 용융 시이트의 형태로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출되는 용융 시이트를 급속 냉각시켜서 시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수지가 에틸렌 및 부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올레핀과 프로필렌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의 제조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무기입자가 알루미나, 실리카, 제올라이트, 탈크 및 카올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의 제조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무기입자의 평균 입경이 0.5-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의 제조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무기 입자의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 또는 기공 내의 전계면에 은, 구리 또는 아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 이온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의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이온의 도포량이 상기 다공성 무기 입자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0-1,000ppm/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의 제조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압출이 200-270℃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의 제조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압출이 250-300㎏/h의 속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의 제조방법.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 냉각이 15-40℃의 냉각롤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의 제조방법.
  25. 제16항에 있어서, 단위 평면적이 1-500μ㎡, 깊이 0.1-5.0㎛인 요철이 0.01-0.1㎜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엠보싱된 롤 표면을 이용하여, 상기 압출된 시이트를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의 제조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가 50-70℃의 온도 및 1-10㎏f/㎠의 압력 조건하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의 제조방법.
KR1019960066938A 1996-12-17 1996-12-17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206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938A KR100206417B1 (ko) 1996-12-17 1996-12-17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938A KR100206417B1 (ko) 1996-12-17 1996-12-17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368A true KR19980048368A (ko) 1998-09-15
KR100206417B1 KR100206417B1 (ko) 1999-07-01

Family

ID=1948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6938A KR100206417B1 (ko) 1996-12-17 1996-12-17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64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925A (ko) * 2002-04-23 2003-11-01 허균 음료용기 뚜껑 내부에 부착되어 음료용기 주입구와밀봉되는 내부 마개용 항균성 합성수지 조성물
KR100468909B1 (ko) * 1997-11-24 2005-04-08 주식회사 효성 항균카페트용폴리프로필렌섬유의제조방법
KR100558840B1 (ko) * 1998-09-24 2006-07-0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미다공성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329085B1 (ko) * 2011-02-24 2013-11-14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저감시킨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12812424A (zh) * 2020-12-25 2021-05-18 上海日之升科技有限公司 一种持久抗菌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000B1 (ko) 2007-08-03 2009-04-20 남정욱 선팽창 계수를 이용한 냉동식품 박리 및 보관용 피막의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909B1 (ko) * 1997-11-24 2005-04-08 주식회사 효성 항균카페트용폴리프로필렌섬유의제조방법
KR100558840B1 (ko) * 1998-09-24 2006-07-0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미다공성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83925A (ko) * 2002-04-23 2003-11-01 허균 음료용기 뚜껑 내부에 부착되어 음료용기 주입구와밀봉되는 내부 마개용 항균성 합성수지 조성물
KR101329085B1 (ko) * 2011-02-24 2013-11-14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저감시킨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12812424A (zh) * 2020-12-25 2021-05-18 上海日之升科技有限公司 一种持久抗菌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2812424B (zh) * 2020-12-25 2022-07-29 上海日之升科技有限公司 一种持久抗菌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6417B1 (ko) 199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8846A (en) Polyolefin-based composition an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shaped objects from this composition
US5011698A (en) Breathable microporous film and methods for making it
JP2752465B2 (ja) 抗菌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成形品の製造法
US4923650A (en) Breathable microporous film and methods for making it
JPS62148537A (ja) 多孔性フイルムの製造法
US3423274A (en) Thermoplastic wrapping materials having translucent areas and process therefor
SG147306A1 (en) Isotactic propylene copolymers, their preparation and use
EA007770B1 (ru) Многослойные ориентированные противомикробные и предотвращающие запотевание пленки
KR100206417B1 (ko)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및 그 제조방법
CA2445848C (en) Pla film having good antistatic properties
JPS6311968B2 (ko)
IE46694B1 (en) Making cupped articles from mixed polyolefin plastics sheet
JPS6218435A (ja) 通気性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3544041B2 (ja) 多孔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多孔性シート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H04252249A (ja) 微生物崩壊性樹脂成形体
JPH08332687A (ja) 多孔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16467B1 (ko) 고투습성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통기성 필름
JP3143244B2 (ja) 好外観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959363B1 (ko) 항균 탈취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기능성 메쉬 천공필름
JPS62167332A (ja) ポリオレフイン多孔性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022298B2 (ja) 抗菌性フィルム
JP3081342B2 (ja) 充填材入り合成樹脂製シート
JPH10237200A (ja) 多孔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S62250038A (ja) 多孔性フイルム
KR0165830B1 (ko) 프로필렌계 수지 쉬트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