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363B1 - 항균 탈취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기능성 메쉬 천공필름 - Google Patents

항균 탈취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기능성 메쉬 천공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363B1
KR100959363B1 KR1020080034702A KR20080034702A KR100959363B1 KR 100959363 B1 KR100959363 B1 KR 100959363B1 KR 1020080034702 A KR1020080034702 A KR 1020080034702A KR 20080034702 A KR20080034702 A KR 20080034702A KR 100959363 B1 KR100959363 B1 KR 100959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film
weight
powder
parts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9315A (ko
Inventor
한명동
김순철
임동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스물산
주식회사 한스케미칼
주식회사 고산화학
주식회사 한스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스물산, 주식회사 한스케미칼, 주식회사 고산화학, 주식회사 한스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스물산
Priority to KR1020080034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363B1/ko
Publication of KR20090109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1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26Phosphorus; Compound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통기성 필름 제조용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공필름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천공필름 제조용 컴파운드 조성물은, 무기충전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20 ~ 250 중량부, 항균제 0.1 ~ 5 중량부, 평균입경 1 ~ 20㎛의 황토분말 또는 숯분말을 0.1 ~ 20 중량부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공필름은 항균효과가 우수하고, 음이온 발산 효과 및 원적외선 발산 효과가 있으며, 탈취효과가 우수한 천공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천공필름, 황토, 숯, 항균제

Description

항균 탈취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메쉬 천공필름{Compound composition and perforated fil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위생용품 등으로 사용되는 천공필름에 대한 것으로, 항균제 및 기능성 무기물을 첨가하여 항균력을 향상시키고, 탈취 및 음이온, 원적외선 방사 등 인체에 유익한 기능을 향상시킨 천공필름 제조용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공필름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의 기저귀, 여성 생리대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천공필름(통기성 필름)의 성능을 좌우하는 요소로는 촉감, 인장강도, 신장률 등이 있다. 이러한 통기성 필름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 탄산칼슘 등을 사용하여 표면상태와 인장강도를 개선시키거나, 제조방법을 개선하여 필름의 물성을 좋게 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일반적인 통기성 필름의 성능 개선에만 중점을 둔 것으로 항균, 탈취 및 건강 증진 등과 같은 부가적인 효과는 없었다.
또, 건강 증진 효과를 갖기 위해 소량의 살균 물질, 음이온 발산 물질, 원적외선 발산 물질을 원료에 투입하여 필름을 만드는 기술이 제안되기는 하였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생용품으로 사용되는 천공필름으로서, 촉감이 부드럽고, 인장강도와 신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균력 및 탈취기능을 향상시킨 천공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능성 메쉬 천공필름에 관한 것으로, 황토 또는 숯분말과 같은 항균탈취 기능을 갖는 기능성 무기물을 첨가하고, 인체에 무해한 항균제를 첨가함에 따라 위생용 필름으로 적용 시 우수한 항균력뿐만 아니라 냄새제거 및 음이온 방출 등의 기능성이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기충전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20 ~ 250 중량부, 항균제 0.1 ~ 5 중량부, 평균입경 1 ~ 20㎛의 황토분말 또는 숯분말을 0.1 ~ 20 중량부 포함하는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과 폴리올레핀계수지를 1 : 1 ~ 1 : 10 중량비로 혼합물을 용융 성형한 원판 시이트를 면적연신배율 1.5배 ~ 36배 범위로 연신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메쉬 천공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공필름은 평량이 20 ~ 30 g/㎡이고, MD방향 인장강도가1500 ~ 2000 gf/50mm, CD방향 인장강도가 700 ~ 900 gf/25mm, MD방향 신율이 250 ~ 350%, CD방향 신율이 300 ~ 400%, JIS Z 2801:2000에 따른 항균활성치가 2.0 이상, 탈취율이 20 ~ 25%, 음이온 수가 100 ~ 200 10N/cc, 5 ~ 20 ㎛의 원적외선 방사율이 0.85 ~ 0.90인 천공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메쉬 천공필름은 다음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a) 무기충전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20 ~ 250 중량부, 항균제 0.1 ~ 5 중량부, 평균입경 1 ~ 20㎛의 황토분말 또는 숯분말을 0.1 ~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용융시킨 다음 압출 가공하여 펠렛 형태의 컴파운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펠렛 형태의 컴파운드 조성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펠렛을 1 : 1 ~ 1 : 10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물을 용융 압출하여 성형한 원판 시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원판 시이트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유리점 이상 용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면적연신배율 1.5배 ~ 36배 범위로 연신하여 천공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a)단계에서 황토분말 또는 숯분말은 황토 또는 숯을 분쇄한 후 물과 혼합하여 교반하면서 숙성시킨 후, 물을 분리하고 건조하여 평균입경이 1 ~ 20㎛인 입자를 분리한 후 첨가하여 탈취 및 음이온, 원적외선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황토분말 또는 숯분말이 컴파운드 조성물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혼합 시 고르게 분산되고 혼합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건조된 분말을 분리한 후,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대두인지질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건조 분말 중량에 대하여 0.1 ~ 5 중량비로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더 추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무기충전제는 탄산칼슘, 탈크, 클레이, 카올린, 실리카,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염화칼슘, 황산칼슘, 수산화알미늄, 산화아연, 수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탄, 알루미나, 마이카, 아스베스토분, 제오라이트, 규산백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무기충전제의 형태로서는 판상, 침상, 구상 등이 있으나, 구상이 가장 바람직하며, 그 평균입경은 0.1 ~ 5㎛, 바람직하기로는 0.5 ~ 3㎛ 범위의 것이다. 평균입경이 0.1㎛ 미만일 경우는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계 중합체의 코팅상태가 너무 불량해질 우려가 있고 5㎛를 초과하면 연신 형성된 천공필름의 표면 외관이 불량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에서 선택되는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한 공중합체와; 아이소탁틱 또는 신디오탁틱 구조의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은 종래 폴리에틸렌만을 사용하던데 비하여 신디오탁틱 또는 아이소탁틱 구조의 입체 규칙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하여 사용함에 따라 천공필름의 강도를 보다 보강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필름을 형성하는 정도의 분자량을 가지는 것이라면 제한을 두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용융지수(190℃, 2.16Kg)가 1~10g/10min 범위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기계적 물성과 통기성을 유지하는 용도에 유용하다.
상기 통기성 필름 제조용 콤파운드조성물은 상기한 무기충전제와 폴리올레핀계 수지 이외에도 산화방지제, 자외선차단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밖에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균제는 인체에 해가 없는 것으로 FDA승인을 얻은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의 은 함유 지르코늄 포스페이트 화합물, 하기 화학식 2의 은 또는 아연 함유 제올라이트 화합물, 이소프로필메틸페놀, 또는 피리치온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화학식 1]
AgxHyZr2(PO4)3
(상기 식에서 x+y=1이다.)
[화학식 2]
M2 / nO·Na2O·2SiO2 ·xH2O
(상기 식에서, M은 Ag 또는 Zn이다.)
항균제는 무기충전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경제적으로 효과적이지 못하다.
상기 황토분말 또는 숯분말은 황토 또는 숯을 분쇄한 후 물과 혼합하여 교반하면서 숙성시킨 후, 평균입경이 1 ~ 20㎛인 입자를 분리한 후 건조하여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물과 혼합하여 교반하면서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유는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 되면 황토 또는 숯의 기능이 더욱 활성화되어 이들의 효과가 더욱 향상되기 때문이다. 상기 숙성 시 상온의 물에서 교반을 하며, 숙성 시간은 1 ~ 7일간 지속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렇게 활성화시킨 황토 또는 숯은 평균입경이 1 ~ 20㎛인 입자만을 분리해내어 사용하며, 이들 입자의 크기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는 제조된 천공필름의 감촉이 좋지 않고, 강도가 약해지며,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폴리에틸렌수지와의 분산성이 좋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숙성 후 건조된 분말에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대두인지질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건조 분말 중량에 대하여 0.1 ~ 5 중량비로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더 추가하여 수지와의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황토분말 또는 숯분말은 무기충전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2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탈취, 음이온방사 및 원적외선 방사효율이 떨어지며, 2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필름의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본 발명의 천공 필름용 조성물 및 천공필름의 제조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무기충전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20 ~ 250 중량부, 항균제 0.1 ~ 5 중량부, 평균입경 1 ~ 20㎛의 황토분말 또는 숯분말을 0.1 ~ 20 중량부 포함하는 기능성 메쉬 천공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을 단축 스크류 압출기, 2축 스크류 압출기, 믹싱롤, 밤바리믹서, 니더 등에 의해 혼련 분산시켜 펠렛을 제조한다.
얻어진 컴파운드 조성물 펠렛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펠렛을 드라이 블렌딩 또는 용융 혼합하여 기능성 메쉬 천공필름용 조성물 펠렛을 제조한다. 이러한 조성물 펠렛을 호퍼에 투입하여 압출가공에 의한 통상의 필름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준하여 원판 시이트를 성형하게 되는데, 원형 다이에 의한 인플레이숀 성형, 티-다이에 의한 압출성형 등을 적절히 채용하여 실시하면 좋다.
다음으로 압출법에 의거 성형된 원판 시이트를 유리전이점 이상, 용융점 이하 사이의 온도에서 1.5배~36배 범위로, 바람직하게는 1.5배~5배 범위로 1축 연신한다. 이 때 유리점 미만의 경우에는 신도가 항복점을 넘기 이전에 필름의 파열이 발생하여 연신할 수 없고, 용융점을 넘게 되는 경우는 분자사슬의 유동에 의해 만족할 만한 통기성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연신배율이 1.5배 미만일 경우는 충분한 통기성을 얻을 수 없고, 연신배율을 36배 초과하는 경우는 연신 중 파단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안정하게 필름을 얻을 수 없다.
이어서 상기 1축 연신 때와 동일한 연신온도, 연신율 조건 범위 내에서 2축 연신을 실시하여 2축 연신 통기성 필름을 얻는다. 상기와 같이 2축 연신을 하지 않고 1축연신만 한 1축 연신필름으로도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한 필름을 얻을 수 있 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통기성 필름은 1축 또는 2축 연신 어느 방식으로도 제조될 수 있고, 총 면적 연신 배율이 1.5~36배의 범위로 되게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적연신배율 1.5배 미만에서는 충분한 통기성을 얻을 수 없고, 필름이 딱딱해 촉감이 저하되며, 36배를 초과하는 경우는 통기성은 우수하지만, 기계적 강도가 현저히 나빠질 우려가 있다. 연신 후의 필름은 그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고정을 행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메쉬 천공필름은 강도 및 신율이 우수하고, 항균성이 우수하며, 탈취 기능을 갖는 천공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황토를 사용함에 따라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효능이 있어 건강 증진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천공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천공필름은 위생용품 등 인체에 접촉되는 필름에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하나의 예시일 뿐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천공필름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평량)
KS M3001의 방법에 의해 평량을 측정하였다.
(인장강도 및 신율)
ASTM D882에 준해 시료의 파단 시 강도 및 신도(%)를 주행방향(MD), 주행방향에 수직인 폭방향(TD)에 대해 각각 측정하였다(시료크기: 100mm 길이 x 50mm 폭, 인장속도 200mm/min, 측정온도 23± 1℃)
[실시예 1]
헨셀믹서에 평균입경 1.7㎛의 탄산칼슘(오미야제, 일본)를 투입하고, 탄산칼슘(A) 100중량부에 대해 용융지수(190℃, 2.16Kg) 2.7g/10min, 밀도 0.932g/cm3인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SK(주), FT811) 100중량부, 항균제(진성케미칼, Promicide IZA, 평균입경 10 ~ 11㎛인 특수가공된 유리질에 은을 담지한 무기은계 항균제) 및 평균입경 10㎛의 황토분말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이를 스크류 직경 130mm인 2축 스크류 압출기에 주입하고 용융 압출시켜 펠렛상태의 컴파운드 조성물을 얻었다.
헨셀믹서에 용융지수(190℃, 2.16Kg) 2.7g/10min, 밀도 0.923g/cm3인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한화석유화학, HS1700) 100중량부를 넣고, 펠렛상태의 컴파운드 조성물을 50 중량부로 혼합하여 2 : 1 중량비로 첨가한 후 블랜딩하여 천공필름용 혼합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조성물을 호퍼에 투입하여 스크류직경 130mm인 티-다이 성형기를 사용하여 원판 시이트를 성형하였다. 성형된 원판 시이트를 연신온도 70℃에서 2.5배 로 1축연신하여 평량 30g/㎡의 통기성 필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황토분말 대신 숯분말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08026759742-pat00001
[실험예 1]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천공필름을 이용하여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JIS Z 2801:2000에 준하여 FITI시험연구원에 의뢰를 하여 측정을 하였다.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표준필름 : Stomacher 400 POLY-BAG
시험조건 : 시험균액을 (35± 1)℃, RH 90%에서 2시간 정치 배양 후 균수 측정
사용공시균주 : 균주 1 -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균주 2 - Escherichia coli ATCC 8739
항균효과 : 항균활성치 2.0 log이상
[표 2]
Figure 112008026759742-pat00002
[실험예 2]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천공필름을 이용하여 가스검지관법에 의해 탈취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시험편 : 10 × 10cm
가스백 : 5L
가스백 내 가스량 : 3L
측정시간 : 2시간 경과 후
초기농도 : 암모니아(100ppm)
탈취율(%) = ((Cb -Cs)/Cb) × 100
Cb : BLACK. 2시간 경과 후 시험가스백안에 남아 있는 시험가스의 농도
Cs : 시료. 2시간 경과 후 시험가스백안에 남아 있는 시험가스의 농도
[표 3]
Figure 112008026759742-pat00003
[실험예 3]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천공필름을 이용하여 음이온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한국원적외선응용평가연구원에 의뢰하였으며, KFIA-FI-1042법에 따라 시험편은 100 ×150mm로 하고, 전하입자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온도 20℃, 습도 34%, 대기중 음이온수 102/cc 조건에서 시험하였으며, 측정대상물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을 측정하여 단위체적당 10N수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경우 140 10N/cc, 실시예 2의 경우 134 10N/cc로 측정되었다.
[실험예 4]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천공필름을 이용하여 원적외선 방사율을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KFIA-FI-1005법에 의해 시험편은 10×10㎝로 하고, 100ppm의 암모 니아를 이용하여 2 시간 경과 후를 측정하였다. 실험 조건은 40℃에서 시험하였으며, FT-IR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BLACK BODY 대비 측정을 하였다. 이는 한국원적외선응용평가연구원에 의뢰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표 4]
Figure 112008026759742-pat00004

Claims (10)

  1. 무기충전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20 ~ 250 중량부, 항균제 0.1 ~ 5 중량부, 평균입경 1 ~ 20㎛의 황토분말 또는 숯분말을 0.1 ~ 20 중량부 포함하는 기능성 메쉬 천공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하기 화학식 1의 은 함유 지르코늄 포스페이트 화합물, 은 또는 아연 함유 제올라이트 화합물, 이소프로필메틸페놀, 또는 피리치온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메쉬 천공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화학식 1]
    AgxHyZr2(PO4)3
    (상기 식에서 x+y=1이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분말 또는 숯분말은 황토 또는 숯을 분쇄한 후 물과 혼합하여 교반하면서 숙성시킨 후, 평균입경이 1 ~ 20㎛인 입자를 분리한 후 건조하여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메쉬 천공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충전제는 평균입경 0.1 ~ 5㎛인 탄산칼슘, 탈크, 클레이, 카올린, 실리카,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염화칼슘, 황산칼슘, 수산화알미늄, 산화아연, 수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탄, 알루미나, 마이카, 아스베스토분, 제오라이트, 규산백토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메쉬 천공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에서 선택되는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한 공중합체와; 아이소탁틱 또는 신디오탁틱 구조의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메쉬 천공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컴파운드 조성물과 폴리올레핀계수지를 1 : 1 ~ 1 : 10 중량비로 혼합물을 용융 성형한 원판 시이트를 면적연신배율 1.5배 ~ 36배 범위로 연신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메쉬 천공필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필름은 평량이 20 ~ 30 g/㎡이고, MD방향 인장강도가1500 ~ 2000 gf/50mm, CD방향 인장강도가 700 ~ 900 gf/25mm, MD방향 신율이 250 ~ 350%, CD방향 신율이 300 ~ 400%, JIS Z 2801:2000에 따른 항균활성치가 2.0 이상, 탈취율이 20 ~ 25%, 음이온 수가 100 ~ 200 10N/cc, 5 ~ 20 ㎛의 원적외선 방사율이 0.85 ~ 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메쉬 천공필름.
  8. a) 무기충전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20 ~ 250 중량부, 항균제 0.1 ~ 5 중량부, 평균입경 1 ~ 20㎛의 황토분말 또는 숯분말을 0.1 ~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용융시킨 다음 압출 가공하여 펠렛 형태의 컴파운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펠렛 형태의 컴파운드 조성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펠렛을 1 : 1 ~ 1 : 10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물을 용융 압출하여 성형한 원판 시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원판 시이트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유리점 이상 용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면적연신배율 1.5배 ~ 36배 범위로 연신하여 천공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메취 천공필름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황토분말 또는 숯분말은 황토 또는 숯을 분쇄한 후 물과 혼합하여 교반하면서 숙성시킨 후, 물을 분리하고 건조하여 평균입경이 1 ~ 20㎛인 입자를 분리한 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메쉬 천공필름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분말을 분리한 후,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대두인지질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건조 분말 중량에 대하여 0.1 ~ 5 중량비로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더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메쉬 천공필름의 제조방법.
KR1020080034702A 2008-04-15 2008-04-15 항균 탈취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기능성 메쉬 천공필름 KR100959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702A KR100959363B1 (ko) 2008-04-15 2008-04-15 항균 탈취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기능성 메쉬 천공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702A KR100959363B1 (ko) 2008-04-15 2008-04-15 항균 탈취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기능성 메쉬 천공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315A KR20090109315A (ko) 2009-10-20
KR100959363B1 true KR100959363B1 (ko) 2010-05-20

Family

ID=41552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702A KR100959363B1 (ko) 2008-04-15 2008-04-15 항균 탈취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기능성 메쉬 천공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3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69411B (zh) * 2023-08-24 2023-10-17 广州博达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一次性抗菌手术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032A (ko) * 2004-03-25 2004-05-04 (주)큐엔디 식품포장용 바이오 포장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032A (ko) * 2004-03-25 2004-05-04 (주)큐엔디 식품포장용 바이오 포장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315A (ko) 2009-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674B1 (ko) 통기성 필름
RU2658044C2 (ru)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полученная способом непрерывной экструзии суспензии наполнителя
KR101519689B1 (ko)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의 블렌드로부터 형성된 필름
CN105566831B (zh) 一种水发泡抗菌透气微孔薄膜母料、薄膜及制备方法
CN103571013A (zh) 具有干燥功能的防水透气塑料膜、其制备方法及应用
KR101595999B1 (ko) 친환경 수지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JPS62129321A (ja) 多孔性シ−トの製造方法
JP2005511838A (ja) 通気性フィルム
JP6346305B2 (ja) 顆粒状樹脂用添加剤の製造方法、その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顆粒状樹脂用添加剤、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KR100959363B1 (ko) 항균 탈취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기능성 메쉬 천공필름
KR20140136214A (ko)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JP6884431B2 (ja) 活動性細孔を有する滅菌可能な医療用包装
JP2007161787A (ja) ポリエチレン系多孔質フィルム
KR100667106B1 (ko) 음이온 발산률이 높은 통기성 필름과 그 제조방법
JP2006241276A (ja) ポリエチレン系多孔質フィルム
KR100616467B1 (ko) 고투습성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통기성 필름
KR20220055637A (ko) 소취성 항균 플라스틱 제조방법
CN108099325B (zh) 一种可降解双向拉伸聚丙烯胶带基膜及其制备方法
JPH08332687A (ja) 多孔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351811A (ja) 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ケン化物およびその積層体
KR19980048368A (ko)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이트 및 그 제조방법
CN114716751B (zh) 一种聚烯烃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357454B1 (ko) 난연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의 제조방법
KR20090013596A (ko) 숯이 첨가된 폴리에틸렌 발포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성형제품
KR10174065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