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6214A -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6214A
KR20140136214A KR1020130056450A KR20130056450A KR20140136214A KR 20140136214 A KR20140136214 A KR 20140136214A KR 1020130056450 A KR1020130056450 A KR 1020130056450A KR 20130056450 A KR20130056450 A KR 20130056450A KR 20140136214 A KR20140136214 A KR 20140136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eight
parts
waste
per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석
Original Assignee
박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석 filed Critical 박재석
Priority to KR1020130056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6214A/ko
Publication of KR20140136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21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06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without chemical re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9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J23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Abstract

본 발명은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폐 사일리지 필름 100 중량부, 퍼옥사이드계 수지가교결합제 0.05 ~ 0.50 중량부 및 무기물 블로킹 방지제 0.5 ~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재생수지 100 중량부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10 ~ 30 중량부를 포함한 혼합물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폐 사일리지 필름을 주성분으로 한 재생수지를 사용하여 필름을 성형하여도 필름의 기계적 강도, 개구성 등과 같은 물성 및 필름 성형 가공성이 우수해 진다.

Description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ilm using recycled resin with waste silage film}
본 발명은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폐 사일리지 필름을 주성분으로 한 재생수지를 사용하여 필름을 성형하여도 필름의 기계적 강도, 개구성 등과 같은 물성 및 필름 성형 가공성이 우수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일리지 필름은, 주로 목축 농가의 먹이로 사용하기 위해 수분 함량이 많은 목초, 야초, 생볏집, 근채류 등을 젖산발효시켜 부패균이나 분해균 등의 번식을 억제함으로써 생초의 양분 손실을 막고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농업용 필름이다.
사일리지 필름은, 노지 바닥의 그루터기, 돌 등의 돌출물에 의한 필름의 파손을 방지하고 씰링이 용이해지도록,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와의 혼합수지로 제조된 필름이 전단강도와 유연성이 우수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과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와의 혼합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의 전단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50~80:20~5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초산비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연성과 점착성이 증가하여 사일리지 필름으로서 더 적합해진다.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하여 다시 필름으로 성형하는 것은, 사일리지 필름 제조시에 받은 열 이력으로 신재 수지에 비해 폐 사일리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열분해에 의한 분자량 감소가 커서, 신재 사일리지 필름에 상응하는 기계적 물성을 가질 수 없고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가공성이 나빠지며 성형된 필름이 점착성을 지녀 필름 성형 과정 및 완성된 필름에서 개구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101812호에 "농업용 폐비닐과 폐비닐봉지의 재생방법"이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폐기된 농업용 필름을 구성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를 이용하여 필름, 시트, 비닐봉투를 제조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공보는 열악한 조건으로 폐기되는 비닐류를 재생처리하기 위하여 불순물과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농업용 비닐류에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출원의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렇게 분리된 재료를 이용하여 재활용 필름 또는 봉투에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는 단순히 폐비닐을 재생하는 방법에 대한 부분에만 개시되어 있고, 구체적인 재활용 필름 또는 봉투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아 이를 개선하여 필름 또는 봉투를 제조하고자 하는 사람이 이용하기에는 불편함이 뒤 따랐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좀더 자세하게는 폐기물로 배출된 사일리지 필름으로 다시 필름을 제조할 때에 필름의 물성 및 필름 성형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폐 사일리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물성을 보완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폐 사일리지 필름 100 중량부, 퍼옥사이드계 수지가교결합제 0.05 ~ 0.50 중량부 및 무기물 블로킹 방지제 0.5 ~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재생수지 100 중량부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10 ~ 30 중량부를 포함한 혼합물로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퍼옥사이드계 수지가교결합제는 퍼부틸퍼옥사이드, 디큐밀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및 하이드로젠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무기물 블로킹 방지제는 평균 입경 1 ~ 3 ㎛의 견운모 분말로서 γ-메타아크릴로일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표면 코팅처리된 견운모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생수지에 폐 스트레치 필름을 10 ~ 30 중량부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한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제조방법은 종래의 일반적인 재생수지를 이용한 필름보다 개구성, 기계적 강도 및 필름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여 신 재료를 이용한 것과 유사한 물성 및 필름 성형 가공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폐 사일리지 필름에 수지가교결합제, 무기물 블로킹 방지제를 첨가하여 이루어진 재생수지와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필름의 개구성 및 기계적 강도와 필름 성형 가공성이 우수해지도록 하는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사일리지 필름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된 필름으로서 인장강도가 횡방향 및 종방향에서 모두 3,000 N/㎠ 이상이고 신장율이 600 % 이상으로 폴리에틸렌계 필름 중에서 기계적 강도가 가장 우수하며 점착성을 지닌 필름이다.
그러나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하여 다시 필름을 성형할 경우 폐 사일리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열 이력에 의한 열화로 상기 사일리지 필름에 근접한 기계적 강도가 나타나기 어렵고 개구성이 저하되며, 또한 인플레이션 방법으로 성형되는 필름의 버블 안정성이 저하되고 점도 저하로 인하여 압출 온도를 낮추거나 압출속도를 줄이는 등과 같이 필름 성형 가공성도 나빠지게 되므로, 폐 사일리지 필름에 수지가교결합제, 무기물 블로킹 방지제를 첨가하여 재생수지로 만들고 상기 재생수지와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물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폐 사일리지 필름은 점착성 향상을 위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성분을 포함하는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및 고무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잘 섞일 수 있으며, 초산비닐의 함량이 증대되면서 유연성이 더욱 증가하지만 융점이 저하하여 점착성과 끈적임이 나타나게 되어 개구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폐 사일리지 필름에 퍼옥사이드계 수지가교결합제를 첨가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의 측쇄 부분 특히 분지(branching) 정도가 상대적으로 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분자구조를 선형구조에서 3차원 망상구조로 보다 안정된 구조로 전환시켜 점착성과 끈적임의 발생을 방지하며, 열화된 폐 사일리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저하된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망상구조로 폐 사일리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저하된 점도를 상승시켜 필름의 성형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퍼옥사이드계 수지가교결합제로서 퍼부틸퍼옥사이드, 디큐밀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하이드로젠퍼옥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퍼옥사이드계 수지가교결합제의 사용량은 상기 폐 사일리지 필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 0.50 중량부 범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필름 압출 가공성, 성형 가공성, 개구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는 무기물 블로킹 방지제로서 견운모 분말을 사용하여 필름의 개구성을 향상시킨다.
견운모는 일반적으로 질이 치밀하거나 미세한 비늘 모양 백운모의 총칭으로, 비늘 모양의 판상이 뚜렸하고 광택이 좋으며, 분말은 감촉이 비단과 같은 부드러운 효과를 나타낸다.
견운모는 대략 이산화규소(SiO2) 60 %, 산화알루미늄(Al2O3) 10 %, 산화칼륨(K2O) 9.0 %, 산화마그네슘(MgO) 2.9 %, 산화제이철(Fe2O3) 1.8 %, 산화칼슘(CaO) 0.1 %, 산화나트륨(Na2O) 0.1 % 및 기타 물 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공질 구조를 가져 흡착제로서 탈취 및 대기정화에 좋은 재료이며, 원적외선 음이온 방사가 많고, 항균 및 항곰팡이성, 방오성 등의 기능이 우수한 천연 무기재료이다.
또한, 견운모는 가소성(可塑性, plasticity), 건조강도(drying strength), 생강도(生强度, green strength)가 높아서 요업분야에 주로 이용되며, 도료, 전기절연체, 활마재(滑摩材),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도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견운모 분말을 상기 폐 사일리지 필름 100 부에 대하여 0.5 ~ 1.0 중량부 범위로 첨가한다. 이때 상기 견운모 분말의 함량이 0.5 중량부보다 적으면 필름의 개구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1.0 중량부보다 크면 필름의 투명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평균 입경 1 ~ 3 ㎛의 견운모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재생수지의 점도를 상승시켜,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할 때에 재생수지가 다이로부터 인출되어 용융된 상태에서 냉각되어 고화되는 결빙선 영역에서 용융 강도를 향상시켜 필름의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형태 안정성을 부여하여 필름 성형 가공성을 향상시키며, 필름의 표면에서 거친 면을 형성하고 블로킹성을 부여하여 개구성을 향상시키며, 필름의 표면에 저분자 물질이 묻어 나오지 않도록 저분자 물질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용분의 이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견운모 분말의 평균 입경이 1 ㎛ 미만이면 필름의 개구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3 ㎛보다 크면 필름의 외관이 나빠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서 견운모 분말의 겉보기비중(Bulk Density)은 0.4~0.6 g/㎖이다. 견운모 분말의 겉보기비중이 0.4 g/㎖ 미만이면 필름의 외관이 나빠지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0.6 g/㎖보다 크면 필름의 투명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견운모 분말은, 용융 혼합되어 상기 재생수지로 제조될 때에 퍼옥사이드계 수지가교결합제에 의해 용이하게 섞여 결합하여 상기 재생수지내에서 균일하게 결합 분산되어,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할 때에 필름이 상향으로 당겨지는 과정에서 무기물이 결함으로 작용하여 구멍이 나는 것을 방지하여 필름의 성형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견운모 분말의 첨가는, 사용자에게 역겨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가 가지는 특유의 초산 냄새와 폐 사일리지 필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냄새를 흡착하여 제거함으로써 필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견운모 분말의 첨가는, 다른 무기물의 첨가가 필름의 표면에서 거친 촉감을 나타내는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필름의 표면이 비단과 같이 부드러운 촉감을 지닐 수 있도록 하여 필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γ-메타아크릴로일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표면 코팅처리된 견운모 분말을 더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코팅처리된 견운모 분말은, 아크릴레이트기 관능기가 도입됨에 따라 견운모 분말의 실라놀 그룹에 의한 친수성에 의해 견운모가 소수성의 폴리에틸렌과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재생수지내에서 폐 사일리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및 퍼옥사이드계 수지가교결합제와 결합력이 더욱 강해져 인플레이션 필름의 성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견운모 분말을 소수성으로 만들어 견운모 분말 사이에 응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재생수지내에서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γ-메타아크릴로일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처리된 견운모 분말은, 용제인 메탄올에 견운모 100 중량부, γ-메타아크릴로일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0~30 중량부 및 초산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반응시키고 용제와 초산을 제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재생수지에 폐 스트레치 필름을 10 ~ 30 중량부 더 첨가할 수 있다.
스트레치 필름은 파렛트 스트레치 포장에 사용되는 필름으로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며 연신성, 수축성, 자기점착성(블로킹성), 투명성,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우수한 필름이다.
본 발명은, 사일리지 필름보다 강도가 우수한 상기 스트레치 필름을 더 첨가함으로써, 상기 폐 사일리지 필름으로 제조되는 재생수지를 사용할 경우보다 필름의 인장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첨가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필름이 끈적이게 되어 개구성이 나빠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생수지의 제조방법은 통상의 수지 압출기를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재생수지와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필름을 성형함으로써 필름의 개구성, 기계적 강도 및 필름 성형 가공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재생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10 ~ 3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게 되면 형성된 필름의 개구성, 기계적 강도 및 필름 성형 가공성이 저하되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제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통상 융점이 132 ~ 138 ℃인 극성 고분자로서 가지(branch)가 적고 결정성이 높은 밀도 0.95 g/㎤ 이상의 폴리에틸렌으로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보다 용융 강도, 경도 및 내열성이 우수하여 본 발명에서 상기 재생수지를 보완하여 형성된 필름의 개구성, 기계적 강도 및 필름 성형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재생수지의 용융 강도를 보완 상승시켜 필름 성형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필름을 용이하게 성형하고 상기 재생수지의 기계적 물성을 보완할 수 있도록 용융지수가 0.02 ~ 1.00 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고분자량 분포 및 저분자량 분포를 동시에 형성하는 바이모달(bi-modal)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이 상기 재생수지와 혼합에 있어서 상용성이 증가하고 필름 성형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필름의 제조방법은 공지의 인플레이션 필름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필름으로 적용하기 위해 일반적인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용 첨가제를 본 발명의 재생수지에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색소 마스터배치, 산화방지제, 열 및 광 안정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방부제, 가공조제, 슬립제, 점착방지제, 안료, 난연제, 발포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불순물이 제거되고 분쇄된 폐 사일리지 필름 100 중량부에 수지의 가교결합제로 디큐밀 퍼옥사이드계 가교제(329541-100G, Aldrich) 0.1 중량부 및 평균 입경 2 ㎛의 견운모 분말 0.5 중량부를 첨가하여 헨셀믹서에서 혼합한 후 2축 압출기로 250 ℃에서 압출하고 냉각 고화하여 펠렛상의 재생수지를 얻었다.
상기 얻어진 재생수지 100 중량부에 고밀도 폴리에틸렌(F123A, 삼성토탈) 2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L/D 35인 40mm 일축 압출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기에서 압출온도는 160~230 ℃(최종온도 230℃), 압출기 성형 속도는 200 rpm, BUR(Blow Up Ratio)은 3이고 결빙선 높이는 30 cm로하여 25 ㎛ 두께의 필름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2]
불순물이 제거되고 분쇄된 폐 사일리지 필름 100 중량부에 수지의 가교결합제로 디큐밀 퍼옥사이드계 가교제(329541-100G, Aldrich) 0.1 중량부, 평균 입경 2 ㎛의 견운모 분말 0.5 중량부 및 불순물이 제거되고 분쇄된 폐 스트레치 필름 20 중량부를 첨가하여 헨셀믹서에서 혼합한 후 2축 압출기로 250 ℃에서 압출하고 냉각 고화하여 펠렛상의 재생수지를 얻었다.
상기 얻어진 재생수지 100 중량부에 고밀도 폴리에틸렌(F123A, 삼성토탈) 3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L/D 35인 40mm 일축 압출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기에서 압출온도는 160~230 ℃(최종온도 230℃), 압출기 성형 속도는 200 rpm, BUR(Blow Up Ratio)은 3이고 결빙선 높이는 30 cm로하여 25 ㎛ 두께의 필름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3]
용제로 메탄올에 평균 입경 2 ㎛의 견운모 분말 100 중량부, γ-메타아크릴로일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0 중량부 및 초산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키고 용제를 휘발시키고 초산을 제거하여 γ-메타아크릴로일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코팅된 견운모 분말을 제조하였다.
불순물이 제거되고 분쇄된 폐 사일리지 필름 100 중량부에 수지의 가교결합제로 디큐밀 퍼옥사이드계 가교제(329541-100G, Aldrich) 0.1 중량부 및 평균 입경 2 ㎛의 상기 γ-메타아크릴로일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코팅된 견운모 분말 0.5 중량부를 첨가하여 헨셀믹서에서 혼합한 후 2축 압출기로 250 ℃에서 압출하고 냉각 고화하여 펠렛상의 재생수지를 얻었다.
상기 얻어진 재생수지 100 중량부에 고밀도 폴리에틸렌(F123A, 삼성토탈) 2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L/D 35인 40mm 일축 압출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기에서 압출온도는 160~230 ℃(최종온도 230℃), 압출기 성형 속도는 200 rpm, BUR(Blow Up Ratio)은 3이고 결빙선 높이는 30 cm로하여 25 ㎛ 두께의 필름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수지가교결합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필름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수지가교결합제를 0.6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필름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견운모 분말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필름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견운모 분말을 1.1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필름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필름을 성형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성형된 필름에 대하여 하기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물성을 평가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방법]
(1) 필름 성형 가공성
상기 성형된 필름 제조시 필름 성형성을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한다.
○: 필름 성형시 버블이 흔들리지 않고 성형상 문제 없음
X : 버블이 흔들려 필름 두께 및 폭이 일정치 않음
(2) 개구성
ASTM D3354법으로 필름의 Blocking Load를 측정한다.
(3) 인장강도
KS M 3006에 제시된 표준 인장 시편을 사용하여 로이드 만능재료시험기에서 측정하였다.
필름 성형 가공성 개구성(g) 인장강도(N/㎠)
실시예 1 30 3000
실시예 2 32 3100
실시예 3 31 3070
비교예 1 X 81 2700
비교예 2 X 35 2900
비교예 3 X 97 2800
비교예 4 37 2700
비교예 5 X 102 2600
상기 표 1로부터 본 발명의 수지가교결합제, 무기물 블로킹 방지제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3 및 5는 필름 성형가공성, 개구성 및 인장강도의 모든 평가항목에서 실시예 보다 저하된 측정값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어느 한 성분이라도 없을 경우 폐 사일리지 필름으로부터 재활용하여 제조되는 필름의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지가교결합제나 무기물 블로킹 방지제의 사용량이 너무 많은 경우(비교예 2 및 4)에는 수지의 과도한 가교가 발생하거나 무기물 블로킹 방지제가 오히려 불순물로서 결함으로 작용하여 인장강도가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한편, 비교예 4의 경우 필름의 투명성이 실시예보다 현저히 저하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상기 표 1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필름 성형가공성, 개구성 및 인장강도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폐 사일리지 필름 100 중량부, 퍼옥사이드계 수지가교결합제 0.05 ~ 0.50 중량부 및 무기물 블로킹 방지제 0.5 ~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재생수지 100 중량부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10 ~ 30 중량부를 포함한 혼합물로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퍼옥사이드계 수지가교결합제는 퍼부틸퍼옥사이드, 디큐밀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및 하이드로젠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블로킹 방지제는 평균 입경 1 ~ 3 ㎛의 견운모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견운모 분말은 γ-메타아크릴로일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표면 코팅처리된 견운모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지에 폐 스트레치 필름을 10 ~ 30 중량부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6. 제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한 필름.
KR1020130056450A 2013-05-20 2013-05-20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KR201401362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450A KR20140136214A (ko) 2013-05-20 2013-05-20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450A KR20140136214A (ko) 2013-05-20 2013-05-20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214A true KR20140136214A (ko) 2014-11-28

Family

ID=5245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450A KR20140136214A (ko) 2013-05-20 2013-05-20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62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225909B2 (en) * 2015-09-16 2020-11-05 Gale Pacific Limited A cover suitable for covering grain
KR102474153B1 (ko) * 2022-01-21 2022-12-07 주식회사 제이엠이엔씨 재활용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탄소절감 열수축 포장필름, 그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CN117820753A (zh) * 2024-03-01 2024-04-05 山东龙兴塑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茂金属聚乙烯的组合物及其在青贮膜中的应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225909B2 (en) * 2015-09-16 2020-11-05 Gale Pacific Limited A cover suitable for covering grain
KR102474153B1 (ko) * 2022-01-21 2022-12-07 주식회사 제이엠이엔씨 재활용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탄소절감 열수축 포장필름, 그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CN117820753A (zh) * 2024-03-01 2024-04-05 山东龙兴塑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茂金属聚乙烯的组合物及其在青贮膜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12479A1 (en) Lignin Composites
AU2009276300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thermoplastic starch
CN108276640B (zh) 一种双向易撕流延pe膜及其制备方法
CN111662539A (zh) 一种生物降解气泡袋材料及其制备方法
GB2383046A (en) Calcium carbonate filler in stretched polyolefin film
CA2349489C (en) Resin compositions, method of producing resin compositions and filler blends for use in resin compositions
KR20140136214A (ko)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KR102302715B1 (ko) 재활용성 항균 방수 코팅 종이 및 이로부터 얻어지는 마스크용 포장재
US2009032608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Articles from Recycled Materials
CN107446226A (zh) 一种功能型聚乙烯薄膜材料及其制备方法
JP2016196589A (ja) 高濃度アンチブロッキング剤マスターバッチ樹脂組成物
US7314901B2 (en) Polypropylene films
CN110938275A (zh) 一种高耐候高阻燃热塑性弹性体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738723B1 (ko) 저온 열봉합 특성이 우수한 어텍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90076451A (ko) 산화생분해성 필름용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통기성의 산화생분해성 필름
KR20070071028A (ko) 폴리염화비닐 수지 랩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랩 필름
KR20070052957A (ko) 저투습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의 제조방법
KR100801552B1 (ko) 표면특성 및 가공특성이 우수한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조성물
KR100197902B1 (ko)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WO2020192834A1 (de) Thermoplastische elastomerzusammensetzung mit niedriger dichte und guten mechanischen eigenschaften durch verwendung von unbeschichteten glashohlkugeln
KR101358915B1 (ko) 염화비닐수지 랩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랩필름
EP0708144A1 (en) Melt-processed blends containing poly(vinyl alcohol)
CN115449195B (zh) 超疏水高阻隔保墒增湿耐老化全生物降解地膜材料及其制备方法
CN111073122A (zh) 一种聚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13003591A2 (en) Moisture resistant polymeric compo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