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6908A - 카오디오의 퓨우즈용단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카오디오의 퓨우즈용단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6908A
KR19980046908A KR1019960065336A KR19960065336A KR19980046908A KR 19980046908 A KR19980046908 A KR 19980046908A KR 1019960065336 A KR1019960065336 A KR 1019960065336A KR 19960065336 A KR19960065336 A KR 19960065336A KR 19980046908 A KR19980046908 A KR 19980046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voltage
car audio
rear end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진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65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6908A/ko
Publication of KR19980046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908A/ko

Link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오디오의 퓨우즈용단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과전류로 인한 퓨우즈용단시 고장의 원인이 육안으로는 쉽게 판단되지 않으므로 카오디오의 내부를 뜯어살피거나, 아예 수리센타에 들고가서 수리하게 되는 일이 많아 이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허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예시도면 도 2와 같이, 카오디오(16)의 연결선로상에 설치된 각 퓨우즈(F1)(F2)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전단의 전압은 감지되나 후단에서는 전압검출이 안되면 점등신호전압을 출력하는 낸드게이트(20)(20`)가 연결되고, 상기 낸드게이트(20)(20`) 후단에는 상기 점등신호전압으로 점등되도록 한 퓨우즈용단 표시용 발광다이오드(22)(22`)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장시간 사용중에 과전류유입으로 특정 퓨우즈가 용단되어 카오디오의 작동이 안되면, 상기 퓨우즈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을 낸드게이트가 비교하여 전단의 전압은 검출되나 후단의 전압은 검출되지 않게 되어 상기 낸드게이트가 신호전압을 출력시켜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켜줌으로써, 상기한 카오디오의 작동불능이 차체내부의 오손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특정 퓨우즈의 용단으로 인한 것임을 운전자가 바로 알수 있게 하여 신속한 사후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오디오의 퓨우즈용단 알림장치
본 발명은 카오디오의 퓨우즈용단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퓨우즈의 용단으로 인한 카오디오의 고장시 고장의 원인을 쉽게 알 수 있게 한 카오디오의 퓨우즈용단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크게 그 용도에 따라 엔진 전기장치와 섀시 전기장치로 구분되며, 엔진전기장치로는 실린더에 압축된 혼합가스에 전기적으로 불꽃을 일으켜 점화시키기 위한 장치인 점화장치와 엔진을 기동하기 위한 기동장치 그리고 엔진이 정상으로 운전될 때 자동차 전장품에 전류를 공급하고 또 그 일부를 자동차 배터리에 충전하는 충전장치 등이 있고, 섀시 전기장치로는 보안상 중요한 조명장치로서 전조등, 후미등 번호등과 각종 안전장치와 다종의 계기, 경보기 윈드시일드 와이퍼, 방향지시등, 그리고 차 안을 쾌적한 상태로 하기 위한 난방장치, 냉방장치 또한 오디오 등이 있다.
이들 모든 전장품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2차 전지인 자동차 배터리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는 2차 전지를 채용하여 엔진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재충전하여 사용함으로써 항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시도면 도 1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장품들의 배선상태 일례에 대한 개요도를 도시한 것으로, 부하(14)에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엔진 전기장치와 섀시 전기장치 등을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전장품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배터리(10)에서 출력되는 전원은 각종 전장품들로 공급될 수 있도록 분지되어 있다.
그리고 배터리(10)의 분지된 전원선로의 시작단과 부하(14) 사이에는 각 부하(14)의 각 전장품의 안전에 필요한 용량의 퓨우즈(F1 ∼ Fn)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카오디오(16)도 각종 전장품에 해당하는 부하(14)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부하(14)와 분리시켜 도시하였다.
이러한 전장품들은 대개 배터리(10)와 전장품의 연결선로상에 허용전류가 높은 퓨우즈(F1)나 상대적으로 허용전류가 낮은 서브 퓨우즈(F2 ∼ Fn)들이 중간에 연결되어 있어서 과부하에 의한 과전류 유입으로 각 전장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퓨우즈들은 전장품에 과부하로 인해 과대한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규정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퓨우즈가 순간적으로 녹아 끊어져 회로가 차단되도록 이루어진 것이고, 각 전장품의 허용전류를 고려한 용량의 것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장품들중 카오디오(16)에 과전류유입으로 인한 퓨우즈의 용단으로 상기 카오디오가 작동되지는 상황이 발생시, 사용자가 조금만 유의해서 살펴보면 고장원인의 발견과 함께 수리도 할 수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퓨우즈의 용단은 미숙련자의 육안으로는 쉽게 구분하기가 어려워 자체의 내부고장이라고 경솔히 단정하여 대개 차량정비소로 가서 서비스를 받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차량정비소로 가서 서비스를 받게 되면 시간과 비용의 낭비가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과전류유입으로 퓨우즈가 용단되어 카오디오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퓨우즈용단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되어져 카오디오의 고장원인이 다른 이유가 아니라 퓨우즈용단으로 발생한 것임을 운전자가 바로 알수 있도록 한 카오디오의 퓨우즈용단 알림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오디오의 연결선로상에 설치된 각 퓨우즈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전단의 전압은 감지되나 후단에서는 전압검출이 안되면 점등신호전압을 출력하는 낸드게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낸드게이트후단에는 상기 점등신호전압으로 점등되도록 한 퓨우즈용단 표시용 발광다이오드가 연결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시간 사용중에 과전류유입으로 특정 퓨우즈가 용단되어 카오디오의 작동이 안되면, 상기 퓨우즈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을 낸드게이트가 비교하여 전단의 전압은 검출되나 후단의 전압은 검출되지 않게 되어 상기 낸드게이트가 신호전압을 출력시켜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켜 줌으로써, 상기한 카오디오의 작동불능이 자체내부의 오손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특정 퓨우즈의 용단으로 인한 것임을 운전자가 바로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카오디오의 배선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오디오의 퓨우즈용단 알림장치의 회로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터리, F1 ∼ Fn - 퓨우즈 ,
14 - 부하, 16 - 카오디오,
20,20` - 낸드게이트, 22,22` - 발광다이오드.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카오디오(16)의 연결선로상에 설치된 각 퓨우즈(F1)(F2)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전단의 전압은 감지되나 후단에서는 전압검출이 안되면 점등신호전압을 출력하는 낸드게이트(20)(20`)가 연결되고, 상기 낸드게이트(20) (20`) 후단에는 상기 점등신호전압으로 점등되도록 한 퓨우즈용단 표시용 발광다이오드(22)(22`)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예시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오디오의 퓨우즈용단 알림장치의 회로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배터리(10)의 분지된 전원선로의 시작단과 카오디오(16)사이에는 카오디오(16)의 안전에 필요한 용량의 퓨우즈(F1)(F2)가 연결되어 있으며, 퓨우즈(F1) (F2)들은 대개 배터리(10)와 전장품의 연결선로상에 허용전류가 높은 퓨우즈(F1)나 상대적으로 허용전류가 낮은 서브 퓨우즈(F2)가 중간에 연결되어 있어서 과부하에 의한 과전류 유입으로 카오디오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퓨우즈(F1) (F2)들은 카오디오(16)에 과부하로 인해 과대한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규정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퓨우즈가 순간적으로 녹아 끊어져 회로가 차단되도록 이루어진 것이고, 각 전장품의 허용전류를 고려한 용량의 것이 사용됨은 종래와 같다.
본 발명은 각 퓨우즈(F1)(F2)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전단의 전압은 감지되나 후단에서는 전압검출이 안되면 점등신호전압을 출력하는 낸드게이트(20)(20`)가 연결되고, 상기 낸드게이트(20)(20`)후단에는 상기 점등신호전압으로 점등되도록 한 퓨우즈용단 표시용 발광다이오드(22)(22`)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퓨우즈용단 표시용 발광다이오드(22)(22`)는 계기판상에 독자적인 경고등으로 장착될 수도 있고, 퓨우즈박스내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카오디오(16)측에 장착시킬 수 있는 것으로, 고장시 운전자나 탑승자가 쉽게 볼 수 있는 곳에 위치토록 한다.
따라서, 카오디오(16)사용시에 과전류유입으로 퓨우즈(F1))(F2)가 용단되어 카오디오의 작동이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퓨우즈용단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22)(22`)가 점등되어져 카오디오(16)의 작동불능이 퓨우즈(F1)(F2)의 용단으로 발생한 것임을 금방 알게 되어 사후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시간 사용중에 과전류유입으로 특정 퓨우즈가 용단되어 카오디오의 작동이 안되면, 상기 퓨우즈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을 낸드게이트가 비교하여 전단의 전압은 검출되나 후단의 전압은 검출되지 않게 되어 상기 낸드게이트가 신호전압을 출력시켜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켜줌으로써, 상기한 카오디오의 작동불능이 자체내부의 오손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특정 퓨우즈의 용단으로 인한 것임을 운전자가 바로 알 수 있게 하여 신속한 사후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카오디오(16)의 연결선로상에 설치된 각 퓨우즈(F1)(F2)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전단의 전압은 감지되나 후단에서는 전압검출이 안되면 점등신호전압을 출력하는 낸드게이트(20)(20`)가 연결되고, 상기 낸드게이트(20)(20`) 후단에는 상기 점등신호전압으로 점등되도록 한 퓨우즈용단 표시용 발광다이오드(22) (22`)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 퓨우즈용단 알림장치.
KR1019960065336A 1996-12-13 1996-12-13 카오디오의 퓨우즈용단 알림장치 KR19980046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336A KR19980046908A (ko) 1996-12-13 1996-12-13 카오디오의 퓨우즈용단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336A KR19980046908A (ko) 1996-12-13 1996-12-13 카오디오의 퓨우즈용단 알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908A true KR19980046908A (ko) 1998-09-15

Family

ID=6652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336A KR19980046908A (ko) 1996-12-13 1996-12-13 카오디오의 퓨우즈용단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69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6928B1 (en) Electric current distribution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US5703746A (en) Electric junction box and electric current distribution system
KR19980046908A (ko) 카오디오의 퓨우즈용단 알림장치
KR101860107B1 (ko) 소형엔진 충전표시장치
JPH06139916A (ja) ヒューズボックス
KR100350888B1 (ko) 자동차의과전류경고방법
JP2006278003A (ja) リレーシステム
KR19980026966U (ko) 자동차 전장품의 퓨우즈단선 경고장치
JP3729650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故障検出装置
KR0139784Y1 (ko) 회로 보호를 위한 선로 모니터 장치
KR19990024923U (ko) 자동차의 전장부품 이상여부 디스플레이장치
KR19980047264U (ko) 자동차 퓨즈 단락 검출장치
KR970006406Y1 (ko) 자동차의 휴즈단락시 경보장치
KR100197144B1 (ko) 자동차의 등화단선 검출장치
KR0135615Y1 (ko) 자동차의 전기회로 검사장치
KR970002511Y1 (ko) 자동차의 퓨즈 점검장치
JPH07191074A (ja) 車載ワイヤハーネスのショート検出装置
KR20020055659A (ko) 차량의 퓨즈 페일 감지시스템
KR19980045198U (ko) 자동차의 충돌시 전원차단장치
JPS6330202Y2 (ko)
KR940002802Y1 (ko)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KR20020039772A (ko) 자동차용 퓨즈 손상 감지회로
KR19980049549U (ko) 자동차 퓨즈 단선 표시 장치
KR19990027654U (ko) 자동차의 램프단선 검출장치
KR19980017370A (ko) 자동차의 퓨즈 단선 표시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