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888B1 - 자동차의과전류경고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과전류경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888B1
KR100350888B1 KR1019960065345A KR19960065345A KR100350888B1 KR 100350888 B1 KR100350888 B1 KR 100350888B1 KR 1019960065345 A KR1019960065345 A KR 1019960065345A KR 19960065345 A KR19960065345 A KR 19960065345A KR 100350888 B1 KR100350888 B1 KR 100350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amount
current capacity
warning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6917A (ko
Inventor
임성익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65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888B1/ko
Publication of KR19980046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8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임의의 전장품에서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를 검출하여 경고장치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자동차의 과전류 경고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어느 전장품에 과전류가 흐를때 그 전장품의 전원입력단에 설치된 퓨우즈만을 단선시킬 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미리 표시해 주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전장품의 파손에 따른 불편함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각 전장품이 독립적으로 작동될 때 각 전장품에 흐르는 전류량을 미리 저장시켜 놓고, 주행중에는 현재 작동중인 전장품에 대한 저장 전류량을 독출하여 합산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합산된 저장 전류량에 기본 전류량을 가산하여 기준 전류량을 판단하는 한편, 각 전장품에 흐르는 전류량을 각각 감지하고 이를 합산하여 감지전류량을 검출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기준 전류량과 감지전류량을 비교하여 감지전류량이 기준전류량보다 큰 경우 경고수단을 작동시키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발명임.

Description

자동차의 과전류 경고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의 임의의 전장품에서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를 검출하여 경고장치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자동차의 과전류 경고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분지시켜 다수의 전장품으로 공급함에 있어 동작중인 전장품의 이론전 전류값보다 실제 흐르는 전류값이 큰 경우 과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감지하여 경고장치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자동차의 과전류 경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크게 그 용도에 따라 엔진 전기장치와 섀시전기장치로 구분되며, 엔진전기장치로는 실린더에 압축된 혼합 가스에 전기적으로불꽃을 일으켜 점화시키기 위한 장치인 점화장치와 엔진을 기동하기 위한 기동장치 그리고 엔진이 정상으로 운전될 때 자동차 전장품에 전류를 공급하고 또 그 일부를 자동차배터리에 충전하는 충전장치 등이 있고, 섀시전기장치로는 보안상 중요한 조명장치로서 전조등, 후미등 번호등과 안전장치와 각종의 계기, 경보기 윈드시일드와이퍼, 방향지시기, 그리고 차 안을 쾌적한 상태로 하기 위한 난방 장치, 냉방장치, 또한 라디오 등이 있다.
이들 모든 전장품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2차 전지인 자동차배터리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자동차배터리는 2차 전지를 채용하여 엔진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재충전하여 사용함으로써 항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시도면 도 1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장품들의 배선상태 일례에 대한 개요도를 도시한 것으로, 부하에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엔진전기장치(12)와 샤시전기장치(14) 등을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전장품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자동차배터리(10)에서 출력되는 전원은 각종 전장품들로 공급될 수 있도록 분지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차배터리(10)의 분지된 전원선로의 시작단과 각 전장품들 사이에는 각 전장품의 안전에 필요한 용량의 퓨우즈(F1∼Fn)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전장품들은 대개 배터리(10)와 전장품의 연결선로상에 허용전류가 높은 퓨우즈나 상대적으로 허용전류가 낮은 서브 퓨우즈들이 중간에 연결되어 있어서 과부하에 의한 과전류의 유입으로 각 전장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퓨우즈들은 전장품에 과부하로 인해 과대한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규정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퓨우즈가 순간적으로 녹아 끊어져 회로가 차단되도록 이루어진 것이고, 각 전장품의 허용전류를 고려한 용량의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어느 전장품에 과전류가 흐를때 그 전장품의 전원입력단에 설치된 퓨우즈만을 단선시킬 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미리 표시해 주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현재 사용중에 있는 전장품에 의한 전류량이 기준치로 미리 설정해 놓은 허용전류치보다 큰 경우 경고음이나 경고등을 점등시켜 과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경고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과전류 경고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 전장품이 독립적으로 작동될 때 각 전장품에 흐르는 전류량을 미리 저장시켜 놓고, 실제 자동차의 주행중에 배터리로 부터 각 전장품에 흐르는 전류량을 각각 감지하여 합산한 전류량과 현재 작동중에 있는 각 전장품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에 대해 미리 기억되어 있던 전류량의 합과를 비교하여 측정된 전류량이 기억된 전류량보다 비정상적으로 차이가 날때 과전류가 흐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자동차내 전기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경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자동차배터리, 12 - 엔진전기장치,
14 - 샤시전기장치, F1∼Fn - 퓨우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예시도면에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각 전장품이 독립적으로 작동될 때 각 전장품에 흐르는 전류량을 미리 저장시켜 놓고, 주행중에는 현재 작동중인 전장품에 대한 저장 전류량을 독출하여 합산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합산된 저장 전류량에 기본 전류량을 가산하여 기준 전류량을 판단하는 한편, 각 전장품에 흐르는 전류량을 각각 감지하고 이를 합산하여 감지전류량을 검출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기준 전류량과 감지전류량을 비교하여 감지전류량이 기준전류량보다 큰 경우 경고수단을 작동시키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예시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퓨우즈단선 경고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거 어떤 전장품에서 과전류가 흐르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전류량으로서, 먼저 각 전장품들이 정상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작동될 때 각 전장품에 흐르는 전류량을 저장하여 놓는다.
이는 자동차에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전자제어장치(ECU)의 기억소자에 저장시켜 놓는다.
그리고 엔진기동에 의거 주행중이거나 아이들 상태에 있는 경우 과전류의 흐름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즉, 과전류의 흐름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현재 동작중에 있는 전장품이 어떠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바, 이때에는 각 전장품의 입력단에서 전류량을 감지하여 전장품의 동작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동작중인 전장품이 있다면동작중인 전장품에 대한 사정정보로서 기억시켜 놓은 값으로서 그 전장품이 동작중일 때 흐르는 전류량을 독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현재 동작중에 있는 전장품을 판단하고 그리고 동작중에 있는 모든 전장품이 독립적으로 동작할 때 흐르는 전류량데이타를 독출하여 합산한다.
도 2에서는 각 전장품을 문자 C에 아라비아숫자를 아래첨자로 붙여 표시하였고 그리고 그 전장품이 독립적으로 동작할 때 그 전장품에 흐르는 전류값도 동일한 기호로 표시하였다.
이어 상기와 같이 검출하여 합산한 작동 전장품 전류량에 각 전장품의 전기부하 오프시 흐르는 기본 전류량을 합하여 기준전류량을 판단한다.
한편 실 전류량은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류량을 전류검출소자에 의거 검출한다.
그리고 나서 실전류량과 기준전류량을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실전류량이 기준전류량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이는 과전류가 흐르고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하여 경고음이나 경고등을 점등시키는 경고수단을 작동시켜 운전자에게 주의를 준다.
그러나 다시 실전류량이 기준전류량과 동일하면은 경고수단을 원상태로 오프시킨다.
상기의 실전류량과 기준전류량을 비교할 때 그 결과에 대해 허용오차를 두어 오판에 의한 경고수단의 작동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운행시 전선이 손상되어 차량에 쇼트가 발생되어 과대한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정상상태의 전류량과 비교하여 이상유무를 판별하므로 전장품의 파손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각 전장품이 독립적으로 작동될 때 각 전장품에 흐르는 전류량을 미리 저장시켜 놓고, 주행중에는 현재 작동중인 전장품에 대한 저장 전류량을 독출하여 합산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합산된 저장 전류량에 기본 전류량을 가산하여 기준 전류량을 판단하는 한편, 각 전장품에 흐르는 전류량을 각각 감지하고 이를 합산하여 감지전류량을 검출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기준 전류량과 감지전류량을 비교하여 감지전류량이 기준전류량보다 큰 경우 경고수단을 작동시키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과전류 경고방법.
KR1019960065345A 1996-12-13 1996-12-13 자동차의과전류경고방법 KR100350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345A KR100350888B1 (ko) 1996-12-13 1996-12-13 자동차의과전류경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345A KR100350888B1 (ko) 1996-12-13 1996-12-13 자동차의과전류경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917A KR19980046917A (ko) 1998-09-15
KR100350888B1 true KR100350888B1 (ko) 2002-11-11

Family

ID=37489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345A KR100350888B1 (ko) 1996-12-13 1996-12-13 자동차의과전류경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088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917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87820B2 (ja) 車両の始動性能を判断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110140518A1 (en) Vehicle power supply apparatus
US6376928B1 (en) Electric current distribution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EP0728620B1 (en) Electric junction box and electric current distribution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0350888B1 (ko) 자동차의과전류경고방법
US20060203408A1 (en) Method and system of locating opened over current protection devices
KR200168065Y1 (ko) 전장품의 이상 검출장치
KR101860107B1 (ko) 소형엔진 충전표시장치
JP2012183901A (ja) 車両用電源装置
KR19980046908A (ko) 카오디오의 퓨우즈용단 알림장치
JP2998879B2 (ja) 車載ワイヤハーネスのショート検出装置
KR0139784Y1 (ko) 회로 보호를 위한 선로 모니터 장치
JPH1159293A (ja) 車両用電源装置及び車両用電源システム
JP3729650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故障検出装置
KR19980026966U (ko) 자동차 전장품의 퓨우즈단선 경고장치
KR19980035527U (ko) 자동차의 시스템보호용 정류장치
JPH06255432A (ja) 自動車用ブレーカ
KR100222561B1 (ko) 차량의 전장 보호장치
KR940000312Y1 (ko) 차량용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JP3334840B2 (ja) 車両負荷用電源接断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0039772A (ko) 자동차용 퓨즈 손상 감지회로
KR19980039461U (ko) 자동차의 단선퓨즈 자동진단 장치
KR100197144B1 (ko) 자동차의 등화단선 검출장치
KR19990010489A (ko) 차량용 전원 차단장치
KR200295193Y1 (ko) 축전지경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