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6966U - 자동차 전장품의 퓨우즈단선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전장품의 퓨우즈단선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6966U
KR19980026966U KR2019960039880U KR19960039880U KR19980026966U KR 19980026966 U KR19980026966 U KR 19980026966U KR 2019960039880 U KR2019960039880 U KR 2019960039880U KR 19960039880 U KR19960039880 U KR 19960039880U KR 19980026966 U KR19980026966 U KR 199800269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fuses
nand gate
blown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9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원철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39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6966U/ko
Publication of KR199800269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96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전장품의 퓨우즈가 단선되면 경고등의 점등을 통해 퓨우즈의 단선을 알림과 동시에 어떤 퓨우즈가 단선되었는지 단선된 퓨우즈의 번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자동차 전장품의 퓨우즈단선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퓨우즈가 용단되면 사용빈도수가 적은 퓨우즈의 경우에는 이상유무를 운전자가 인식할 수 없었고, 차량에 퓨우즈의 용단으로 인한 이상현상 발생시 용단 퓨우즈를 찾는데도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자동차배터리(10)와 부하(14)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퓨우즈(F1∼Fn) 후단에 낸드게이트(16)의 각 입력단이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낸드게이트(16)의 출력단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18)를 매개로 경고등(20)이 연결되는 한편, 상기 각 퓨우즈(F1∼Fn)의 후단에는 용단된 퓨우즈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2)를 매개로 디지탈표시장치(24)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고안임.

Description

자동차 전장품의 퓨우즈단선 경고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 전장품의 퓨우즈단선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분지시켜 다수의 전장품으로 공급함에 있어 각 전장품의 입력측에 설치되는 퓨우즈가 단선되었을 때 경고등의 점등을 통해 퓨우즈의 단선을 알림과 동시에 어떤 퓨우즈가 단선되었는지 단선된 퓨우즈의 개소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자동차 전장품의 퓨우즈단선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크게 그 용도에 따라 엔진 전기장치와 섀시 전기장치로 구분되며, 엔진전기장치로는 실린더에 압축된 혼합 가스에 전기적으로 불꽃을 일으켜 점화시키기 위한 장치인 점화장치와 엔진을 기동하기 위한 기동장치 그리고 엔진이 정상으로 운전될 때 자동차 전장품에 전류를 공급하고 또 그 일부를 자동차배터리에 충전하는 충전장치 등이 있고, 섀시전기장치로는 보안상 중요한 조명장치로서 전조등, 후미등 번호등과 안전장치와 각종의 계기, 경보기 윈드시일드 와이퍼, 방향지시기, 그리고 차 안을 쾌적한 상태로 하기 위한 난방 장치, 냉방장치, 또한 라디오 등이 있다.
이들 모든 전장품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2차 전지인 자동차배터리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자동차배터리는 2차 전지를 채용하여 엔진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재충전하여 사용함으로써 항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시도면 도 1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장품들의 배선상태 일례에 대한 개요도를 도시한 것으로, 부하(14)에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엔진전기장치와 샤시전기장치 등을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전장품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자동차배터리(10)에서 출력되는 전원은 각종 전장품들로 공급될 수 있도록 분지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차배터리(10)의 분지된 전원선로의 시작단과 부하(14) 사이에는 각 부하(14)의 각 전장품의 안전에 필요한 용량의 퓨우즈(F1∼Fn)가 연결되어 있다.
미설명된 부호 12는 이그니션스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그니션스위치(12)의 각 접점에도 다수의 퓨우즈를 통해 각종 전장품이 연결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전장품들은 대개 배터리(10)와 전장품의 연결선로상에 허용전류가 높은 퓨우즈나 상대적으로 허용전류가 낮은 서브 퓨우즈들이 중간에 연결되어 있어서 과부하에 의한 과전류의 유입으로 각 전장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퓨우즈들은 전장품에 과부하로 인해 과대한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규정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퓨우즈가 순간적으로 녹아 끊어져 회로가 차단되도록 이루어진 것이고, 각 전장품의 허용전류를 고려한 용량의 것이 사용된다.
그러나 어떤 전장품에 과전류가 유입되어 그 전장품의 입력측에 설치되어 있는 퓨우즈가 용단되어지면 사용자는 고장 원인이 상기 특정 전장품 자체의 내부고장 때문인지 또는 연결선로상의 퓨우즈용단으로 생긴 고장인지를 쉽게 알 수 없어서 대개 차량정비소로 가서 서비스를 받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전장품 자체의 고장이 아니고 단순히 퓨우즈가 용단되어 작동불량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가 조금만 유의해서 살펴보면 고장원인의 발견과 함께 수리도 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량정비소로 가서 서비스를 받게 되면 시간과 비용의 낭비가 뒤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임의의 전장품이 과전류유입으로 퓨우즈가 용단되어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퓨우즈용단 경고등이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알려줌과 더불어 용단된 퓨우즈의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운전자 등이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전장품의 퓨우즈단선 경고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에 다수 설치되어 있는 전장품의 각 입력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퓨우즈의 각 후단에 퓨우즈 용단시 경고등을 점등시키는 퓨우즈용단 경고수단과 용단위치를 알려주는 퓨우즈용단위치 표시수단을 연결함으로써 임의의 퓨우즈가 용단되면 경고등의 점등을 통해 퓨우즈를 교체하여야 됨을 알려줌과 더불어 용단위치를 표시하여 손쉽게 용단위치를 파악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에서 일반적인 퓨우즈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자동차배터리와 부하간의 배선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차배터리,12 - 이그니션스위치,
14 - 부하,16 - 낸드게이트,
20 - 경고등,22 - 제어부,
24 - 디지탈표시장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자동차배터리(10)와 부하(14)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퓨우즈(F1∼Fn) 후단에 낸드게이트(16)의 각 입력단이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낸드게이트(16)의 출력단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18)를 매개로 경고등(20)이 연결되는 한편, 상기 각 퓨우즈(F1∼Fn)의 후단에는 용단된 퓨우즈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2)를 매개로 디지탈표시장치(24)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예시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퓨우즈단선 경고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각 퓨우즈(F1∼Fn)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는 낸드게이트(16)는 그 입력중 어느 하나라도 로우레벨이 되면 즉 퓨우즈(F1∼Fn)중 어느 하나의 퓨우즈라도 용단되면 낸드게이트(16)의 한 입력단으로는 로우레벨이 입력되고, 그에 따라 낸드게이트(16)는 그의 특성상 출력단으로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낸드게이트(16)에서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면 트랜지스터(16)가 턴온되어 경고등(20)이 점등됨으로써 운전자는 이 경고등(20)의 점등을 인지하게 되면 퓨우즈(F1∼Fn)중 어떤 퓨우즈가 용단되어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퓨우즈(F1)부터 퓨우즈(Fn)까지 모든 퓨우즈에는 사전에 일련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어부(22)에서는 그의 입력단중 어느 하나의 입력단이라도 로우레벨이 되면 그 퓨우즈에 해당되는 번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디지탈표시장치(24)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예컨대 퓨우즈(F1)에 0b10c번이 부여있다고 할 때 퓨우즈(F1)가 단선된 경우 제어부(22)에서는 퓨우즈(F1)로 부터의 입력단이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전환되므로 퓨우즈(F1)가 단선되었음을 알게 된다.
그리하여 제어부(22)에서는 퓨우즈(F1)의 단선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로써 0b10c을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디지탈표시장치(24)로 출력하게 되고, 그에 따라 디지탈표시장치(24)에서는 0b10c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운전자는 0b10c번의 퓨우즈가 용단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수의 퓨우즈가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에서 임의의 퓨우즈가 단선되면 어떤 퓨우즈가 단선되었음을 알리는 경고등의 점등과 함께 단선위치를 알리는 번호가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운전자는 용이하게 퓨우즈의 단선 및 단선된 퓨우즈의 위치를 알 수 있고 그에 따라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배터리(10)와 부하(14)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퓨우즈(F1∼Fn) 후단에 낸드게이트(16)의 각 입력단이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낸드게이트(16)의 출력단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18)를 매개로 경고등(20)이 연결되는 한편, 상기 각 퓨우즈(F1∼Fn)의 후단에는 용단된 퓨우즈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2)를 매개로 디지탈표시장치(24)가 연결되어 있는 자동차 전장품의 퓨우즈단선 경고장치.
KR2019960039880U 1996-11-13 1996-11-13 자동차 전장품의 퓨우즈단선 경고장치 KR199800269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880U KR19980026966U (ko) 1996-11-13 1996-11-13 자동차 전장품의 퓨우즈단선 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880U KR19980026966U (ko) 1996-11-13 1996-11-13 자동차 전장품의 퓨우즈단선 경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966U true KR19980026966U (ko) 1998-08-05

Family

ID=53983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9880U KR19980026966U (ko) 1996-11-13 1996-11-13 자동차 전장품의 퓨우즈단선 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696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40518A1 (en) Vehicle power supply apparatus
KR19980026966U (ko) 자동차 전장품의 퓨우즈단선 경고장치
JPH08275408A (ja)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の電源バックアップ装置
EP1601554B1 (en) Adr unit
KR100350888B1 (ko) 자동차의과전류경고방법
KR19980039211U (ko) 차량의 퓨즈단선확인장치
KR19980046908A (ko) 카오디오의 퓨우즈용단 알림장치
KR100312154B1 (ko) 자동차용 능동형 퓨우즈
KR19980031104U (ko) 차량의 퓨즈단선표시회로
KR19990024923U (ko) 자동차의 전장부품 이상여부 디스플레이장치
KR100222561B1 (ko) 차량의 전장 보호장치
KR19980047264U (ko) 자동차 퓨즈 단락 검출장치
KR19980017370A (ko) 자동차의 퓨즈 단선 표시회로
KR19980045198U (ko) 자동차의 충돌시 전원차단장치
KR970002511Y1 (ko) 자동차의 퓨즈 점검장치
KR20020055659A (ko) 차량의 퓨즈 페일 감지시스템
KR970006406Y1 (ko) 자동차의 휴즈단락시 경보장치
KR19980014741U (ko) 자동차의 퓨즈단락 경고장치
KR20020039772A (ko) 자동차용 퓨즈 손상 감지회로
KR19980049549U (ko) 자동차 퓨즈 단선 표시 장치
KR19990002876U (ko) 자동차의 퓨즈 단선 경고 장치
KR100566429B1 (ko) 정션박스와 에탁스의 통합장치
KR100471797B1 (ko) 자동차용램프단선경보회로
KR19980025376U (ko) 차량용 전장품의 퓨우즈용단 알림장치
KR19990007381U (ko) 차량용 밧데리 방전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