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154B1 - 자동차용 능동형 퓨우즈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능동형 퓨우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154B1
KR100312154B1 KR1019990059364A KR19990059364A KR100312154B1 KR 100312154 B1 KR100312154 B1 KR 100312154B1 KR 1019990059364 A KR1019990059364 A KR 1019990059364A KR 19990059364 A KR19990059364 A KR 19990059364A KR 100312154 B1 KR100312154 B1 KR 100312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load
switch
battery
acti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4929A (ko
Inventor
이관범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59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154B1/ko
Publication of KR20010064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능동형 퓨우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밧데리(1)와 각 부하(5) 사이에 퓨우즈(2)들과 해당 부하의 구동을 단속하기 위한 수개의 스위치(3)들을 각각 직렬 연결시킨 구성을 갖는 차량용 전장품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1)와 스위치(3) 및 부하(5)들 사이에 능동 유니트(4)를 설치하되, 각각의 퓨우즈(2)는 상기 능동 유니트(4)에 내장하고, 상기 퓨우즈(2)들과 부하(5)들 사이에는 전자 스위치(42)를 구비하고 각 부하(5)에 과전류가 흐르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는 반도체 소자(41)를 설치하되, 상기 반도체 소자(41)들의 각 출력단자들은 인스트루먼트판넬상의 메터(6)상에 설치된 표시등(61)에 연결시켜 전선의 쇼트나 과부하가 발생되면 능동 유니트내에 내장되어 반도체 소자의 전자 스위치가 자동 '오프'되어 각종 전장품으로 인가되는 밧데리의 전원전압이 자동 차단되과 동시에 과부하상태가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에 설치되어 있는 메터상에 표시되도록 하여, 퓨우즈의 교환에 따른 불편을 해결할 수 있고, 과부하로 인한 해당 부품을 포함한 차량 자체의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운전자 역시 소정의 전장품에 과전류가 흐를시 이를 즉시 인식하고 소정의 조치를 즉시 취할 수 있고, 전선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략화가 가능토로 하여 생상원가 자체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능동형 퓨우즈{Active fuse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능동형 퓨우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의 각 전장품과 밧데리 사이에 설치되어 전선의 쇼트나 과부하시 단락되는 퓨우즈들을하나의 능동 유니트내에서 반도체 소자와 연결하되 형성하되, 이 반도체 소자내에는 전자 스위치를 구비시켜 전선의 쇼트나 과부하가 발생되면 상기 전자 스위치가 먼저 '오프'되도록 하여 각종 전장품으로 인가되는 밧데리의 전원전압은 자동 차단하고 과부하 신호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에 설치되어 있는 메터상의 표시등에 전달시켜 운전자가 그 상태를 쉽게 인식하도록 발명한 것이다.
대부분의 자동차내에 설치되는 각종 전장품의 전기회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밧데리(1)와 부하(5) 사이에 소정전류 이상에서 단락되는 퓨우즈(2)와, 해당 부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3)가 직렬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해당 스위치(3)가 작동되면 밧데리(1)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상기 퓨우즈(2)와 스위치(3)를 통해 부하(5)에 인가되어 해당 부하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밧데리(1)와 퓨우즈(2) 사이, 또 퓨우즈(2)와 스위치(3) 사이, 또 상기 스위치(3)와 부하 사이 및, 부하(5)와 접지 사이에는 전선이 각각 설치되는데, 이 전선의 길이는 각 차량의 전장품 조건에 따라 서로 상이하며, 정상적으로 부하가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퓨우즈(2)와 스위치(3) 사이, 또는 스위치(3)와 부하 사이 및, 부하(5)와 접지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전선중 어느 한곳에서라도 단락이 발생하여 퓨우즈(2)상에 과부하가 가해지면 상기 퓨우즈는 자동 오픈되어 부하(5)의 작동을 자동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은 과부하로 인해 퓨우즈(2)가 오픈된 후 부하(5)를 재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퓨우즈를 새로운 것으로 교환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 퓨우즈의 작동 불량으로 인해 정해진 전류에서 퓨우즈가 오픈되지 않을경우 이에 대한 2차 대비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란 과전류로 인해 해당 부품을 포함하여 차량 자체에서 화재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선의 쇼트나 과부하가 발생되면 퓨우즈와 함께 능동 유니트내에 내장되어 있는 해당 전자 스위치가 '오프'되어 각종 전장품으로 인가되는 밧데리의 전원전압은 자동 차단하고 과부하 신호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에 설치되어 있는 메터상에 표시하여 퓨우즈의 교환에 따른 불편함과 과부하로 인한 해당 부품을 포함한 차량 자체의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능동 유니트를 통해 각 전장품들을 연결시킬 수 있어 전선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략화가 가능하여 생상원가 자체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능동형 퓨우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밧데리와 각 부하 사이에 퓨우즈들과 해당 부하의 구동을 단속하기 위한 수개의 스위치들을 각각 직렬 연결시켜서 된 차량용 전장품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와 스위치 및 부하들 사이에 능동 유니트를 설치하되, 각각의 퓨우즈는 상기 능동 유니트에 내장하고, 상기 퓨우즈들과 부하들 사이에는 전자 스위치를 구비하고 각 부하에 흐르는 전류가 과전류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는 반도체 소자를 설치하되, 상기 반도체 소자들의 각 출력단자들은 인스트루먼트판넬상의 메터상에 설치된 표시등에 연결시켜 주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전장품과 연결되는 전선이 단락되거나 과부하가 흐르더라도 퓨우즈의 오픈없이 전원전압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어 퓨우즈의 교환에 따른 불편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부하로 인한 해당 부품을 포함한 차량 자체의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운전자 역시 소정의 전장품에 과전류가 흐를시 이를 즉시 인식하고 소정의 조치를 즉시 취할 수 있으며, 또 하나의 능동 유니트를 통해 각 전장품들을 연결시킬 수 있어 전선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략화가 가능하여 생상원가 자체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에 있어서 퓨우즈의 연결 상태도.
도 2도는 본 발명 퓨의즈의 상세 구성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밧데리 2 : 퓨우즈
3 : 스위치 4 : 능동 유니트
5 : 부하 6 : 메터
41 : 반도체 소자 42 : 전자 스위치
61 : 표시등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도는 본 발명 퓨의즈의 상세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밧데리(1)와 각 부하(5) 사이에 퓨우즈(2)들과 해당 부하의 구동을 단속하기 위한 수개의 스위치(3)들을 각각 직렬 연결시킨 구성을 갖는 차량용 전장품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1)와 스위치(3) 및 부하(5)들 사이에 능동 유니트(4)를 설치하되, 각각의 퓨우즈(2)는 상기 능동 유니트(4)에 내장하고, 상기 퓨우즈(2)들과 부하(5)들 사이에는 전자 스위치(42)를 구비하고 각 부하(5)에 과전류가 흐르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는 반도체 소자(41)를 설치하되, 상기 반도체 소자(41)들의 각 출력단자들은 인스트루먼트판넬상의 메터(6)상에 설치된 표시등(61)에 연결시켜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장치에서 주요 구성요소는 밧데리(1)와 각 부하 구동용 스위치(3) 및 부하(5)들 사이에 각 부하들에 대응되는 숫자의 반도체 소자(41)들이 내장된 능동 유니트(4)를 설치하되, 각각의 퓨우즈(2)는 상기 능동 유니트(4)에 내장시킨 것이다.
이때, 상기 반도체 소자(41)들은 각각의 부하(5)에 정해진 전류이상(즉, 과전류)이 흐르는지를 판단하여 각 부하로 공급되는 밧데리(1)의 전원전압을 차단시키기 위한 전자 스위치(42)들을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그의 출력단자는 인스트루먼트판넬상의 메터(6)상에 설치된 표시등(61)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의 부하(5)에 과전류가 흐르면 상기 능동 유니트(4)내의 해당 반도체 소자(41)는 해당 퓨우즈(2)가 오픈되기에 앞서 자체내의 전자 스위치(42)를 오프시켜 해당 부하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함과 동시에 인스트루먼트판넬의 메터(6)상에 설치된 표시등(61)에 소정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소정의 전장품과 연결되는 전선이 단락되거나 과부하가 흐르더라도 해당 퓨우즈가 오픈되지 없이 전원전압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어 퓨우즈의 교환에 따른 불편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부하로 인한 해당 부품을 포함한 차량 자체의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운전자 역시 소정의 전장품에 과전류가 흐를시 이를 즉시 인식하고 소정의 조치를 즉시 취할 수 있으며, 또 하나의 능동 유니트를 통해 각 전장품들을 연결시킬 수 있어 전선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있음은 물론 간략화가 가능하여 생상원가 자체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밧데리와 수개의 스위치 및 부하들 사이에 전자 스위치가 구비된 반도체 소자 및 각 퓨우즈들이 내장되는 능동 유니트를 설치하여 전선의 쇼트나 과부하가 발생되면 능동 유니트내에 내장되어 반도체 소자의 전자 스위치가 자동 '오프'되어 각종 전장품으로 인가되는 밧데리의 전원전압이 자동 차단됨과 동시에 과부하상태가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에 설치되어 있는 메터상에 표시되도록 하므로써, 퓨우즈의 교환에 따른 불편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부하로 인한 해당 부품을 포함한 차량 자체의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운전자 역시 소정의 전장품에 과전류가 흐를시 이를 즉시 인식하고 소정의 조치를 즉시 취할 수 있으며, 또 하나의 능동 유니트를 통해 각 전장품들을 연결시킬 수 있어 전선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략화가 가능하여 생상원가 자체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밧데리(1)와 각 부하(5) 사이에 퓨우즈(2)들과 해당 부하의 구동을 단속하기 위한 수개의 스위치(3)들을 각각 직렬 연결시킨 구성을 갖는 차량용 전장품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1)와 스위치(3) 및 부하(5)들 사이에 능동 유니트(4)를 설치하되, 각각의 퓨우즈(2)는 상기 능동 유니트(4)에 내장하고, 상기 퓨우즈(2)들과 부하(5)들 사이에는 전자 스위치(42)를 구비하고 각 부하(5)에 과전류가 흐르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는 반도체 소자(41)를 설치하되, 상기 반도체 소자(41)들의 각 출력단자들은 인스트루먼트판넬상의 메터(6)상에 설치된 표시등(61)에 연결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능동형 퓨우즈.
KR1019990059364A 1999-12-20 1999-12-20 자동차용 능동형 퓨우즈 KR100312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364A KR100312154B1 (ko) 1999-12-20 1999-12-20 자동차용 능동형 퓨우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364A KR100312154B1 (ko) 1999-12-20 1999-12-20 자동차용 능동형 퓨우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929A KR20010064929A (ko) 2001-07-11
KR100312154B1 true KR100312154B1 (ko) 2001-11-03

Family

ID=19627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364A KR100312154B1 (ko) 1999-12-20 1999-12-20 자동차용 능동형 퓨우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1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2504B2 (en) 2018-08-31 2022-04-12 Lg Energy Solution, Ltd. Fus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defective mode dete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625B1 (ko) * 2018-05-30 2023-09-01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2504B2 (en) 2018-08-31 2022-04-12 Lg Energy Solution, Ltd. Fus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defective mode de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929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9984A (en) Control and indicator circuit for a dual battery system
US10044180B2 (en) Electronic circuit breaker for an electrical load in an on-board electrical system of a motor vehicle
US6148781A (en) Starting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specially of a motor vehicle, with a redundancy circuit
JP4295389B2 (ja) 過電流状態からの保護及び電気的無負荷検出のための回路並びに方法
AU2006246070B2 (en) Circuit breaker system
US7046073B2 (en) Load drive circuit
KR20060061813A (ko) 자동차용 주파수 변환기
EP1372257B1 (en) Diagnostic device for electric mechanism drive circuits
KR19990083237A (ko) 전자 방향지시기
KR100312154B1 (ko) 자동차용 능동형 퓨우즈
US6813129B2 (en) Self-diagnostic solid state relay for detection of open load circuit
CN111880088A (zh) 继电器双边控制及诊断电路、方法、电池管理系统
JPH10341524A (ja) 車載用信号伝送装置と信号伝送方法及び車載用電力供給制御装置と電力制御方法及び車載ケーブル異常検出装置
JPH10116552A (ja) スイッチング装置
JP3380121B2 (ja) 車両電源分配装置
KR101103278B1 (ko) 자동차용 정션박스
JP2001189650A (ja) 半導体リレー
KR20020052348A (ko) 자동차의 과전류 차단장치
KR100387673B1 (ko) 자동차의릴레이단선알림장치
JP2001145251A (ja) 回路保護装置
KR19990031717U (ko) 릴레이 고장 표시장치
KR100251797B1 (ko) 차륜잠김방지 장치의 전자제어 회로
KR20050029638A (ko) 차량의 릴레이 장치
JP2004518398A (ja) 負荷を分離および接続するための装置
KR200355122Y1 (ko) 차량의 밧데리 방전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