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625B1 -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625B1
KR102573625B1 KR1020180061947A KR20180061947A KR102573625B1 KR 102573625 B1 KR102573625 B1 KR 102573625B1 KR 1020180061947 A KR1020180061947 A KR 1020180061947A KR 20180061947 A KR20180061947 A KR 20180061947A KR 102573625 B1 KR102573625 B1 KR 102573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voltage battery
power
power sensor
detec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6350A (ko
Inventor
박기태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1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62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40Controlling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prime movers, e.g. for transition between prime 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50Control strategies for responding to system failures, e.g. for fault diagnosis, failsafe operation or limp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4Electric currents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6Electric voltages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고전압 배터리 및 저전압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n개의 전장 장치(단, 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구비한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서, 하나의 전장 장치와 고전압 배터리의 사이를 스위칭하는 n개의 스위치; 하나의 전장 장치가 고전압 배터리 또는 저전압 배터리로부터 제공받는 전원 값을 감지하는 n개의 전원 센서; 및 각 전원 센서의 감지 값을 이용하여 각 스위치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Mild hybrid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전압 배터리 및 저전압 배터리 모두에 연결된 전장 장치 중에서 전압 배터리 및 저전압 배터리 사이의 쇼트(short)를 일으킨 전장 장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해당 전장 장치만을 배터리의 연결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날로 치솟는 유가와 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는 자동차 업계로 하여금 차량의 연비 향상과 친환경 차량의 개발을 서두르게 하고 있고,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마일드 하이브리드 기술이 개발되고 상품화된 자동차들이 출시되고 있다.
종래의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엔진과 연결되어 모터와 발전기의 기능을 모두 가지는 모터 발전기와, 고전압 전원을 충전 및 제공하는 고전압 배터리와, 저전압의 전원을 충전 및 제공하는 저전압 배터리와,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을 강하하여 저전압 배터리로 출력하는 DC-DC 컨버터와, 모터 발전기와 고전압 배터리 상호간 전압을 변환하는 인버터와, 전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류를 토대로 인버터 및 모터 발전기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제어 장치 등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최근 들어, 요구 전력의 증대 및 그에 따른 전력 소모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고전압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장 장치(Electric/Electronic Sub Assembly; ESA)의 개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 배터리(HVB)와 다수의 전장 장치(ESA)와의 연결을 단속하는 하나의 메인 스위치(SW)만을 구비되었다. 즉, 종래의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어느 한 전장 장치(ESA)의 고장 발생으로 해당 메인 스위치(SW)의 연결을 차단하는 경우, 고전압 배터리(HVB)에 연결된 모든 전장 장치(ESA1, ESA2, … ESAn)의 동작이 정지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전체 시스템의 구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고전압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장 장치는 고전압 배터리 외에 저전압 배터리에서도 전원을 제공받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전장 장치의 경우, 그 내부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고전압 배터리와 저전압 배터리의 사이가 연결되는 쇼트(short)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만일, 이러한 쇼트가 발생하게 되면, 저전압 배터리의 전압이 상승하는 등의 이상 현상이 발생하므로, 저전압 배터리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전장 장치도 2차적으로 파손되어 시스템의 고장 범위가 더 확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전압 배터리 및 저전압 배터리 모두에 연결된 전장 장치 중에서 전압 배터리 및 저전압 배터리 사이의 쇼트(short)를 일으킨 전장 장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해당 전장 장치만을 배터리의 연결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고전압 배터리 및 저전압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n개의 전장 장치(단, 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구비한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서, (1) 하나의 전장 장치와 고전압 배터리의 사이를 스위칭하는 n개의 스위치, (2) 하나의 전장 장치가 고전압 배터리 또는 저전압 배터리로부터 제공받는 전원 값을 감지하는 n개의 전원 센서, (3) 각 전원 센서의 감지 값을 이용하여 각 스위치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제k 전장 장치(단, k는 1 내지 n 중에 어느 하나)에 공급되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는 제k 스위치이고, 제k 전장 장치에 공급되는 고전압 배터리 또는 저전압 배터리의 전원 값을 감지하는 전원 센서는 제k 전원 센서이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각 전원 센서의 감지 값들 중에 쇼트 발생에 해당하는 쇼트 감지 값이 있는 경우, 쇼트 감지 값을 감지한 제m 전원 센서(단, m은 1 내지 n 중에 어느 하나)를 확인하여 제m 스위치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각 전원 센서의 감지 값들 중에 쇼트 감지 값이 있는 경우, 모든 스위치를 모두 오프(off)시킨 후, 각 스위치를 차례로 온(on)시키면서 전원 센서의 감지 값을 확인하되 제m 스위치(단, m은 1 내지 n 중에 어느 하나)를 온(on)시킬 때에 쇼트 감지 값이 발생하면 해당 제m 스위치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제m 스위치 외의 나머지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유지하여 제m 전장 장치 외의 나머지 전장 장치를 계속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시스템 상태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에 제m 전장 장치의 고장을 알리는 제어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시스템이 초기 구동을 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모두 오프(off)된 각 스위치를 차례로 온(on)시키면서 전원 센서의 감지 값을 확인하되 제m 스위치(단, m은 1 내지 n 중에 어느 하나)를 온(on)시킬 때에 쇼트 감지 값이 발생하면 해당 제m 스위치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시스템 상태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에 제m 전장 장치의 고장을 알리거나 모든 전장 장치의 정상을 알리는 제어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센서는 전압 센서 또는 전류 센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고전압 배터리 및 저전압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n개의 전장 장치(단, n은 2 이상의 자연수)와, 하나의 전장 장치와 고전압 배터리의 사이를 스위칭하는 n개의 스위치와, 하나의 전장 장치가 고전압 배터리 또는 저전압 배터리로부터 제공받는 전원 값을 감지하는 n개의 전원 센서를 각각 구비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다. 이때, 제k 전장 장치에 공급되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는 제k 스위치이고, 제k 전장 장치에 공급되는 고전압 배터리 또는 저전압 배터리의 전원 값을 감지하는 전원 센서는 제k 전원 센서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제어 장치가 제어하는 방법은, (a) 전원 센서의 감지 값을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감지 값을 이용하여 각 스위치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 단계는 각 전원 센서의 감지 값들 중에 쇼트 발생에 해당하는 쇼트 감지 값이 있는 경우, 쇼트 감지 값을 감지한 제m 전원 센서(단, m은 1 내지 n 중에 어느 하나)를 확인하여 제m 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각 전원 센서의 감지 값들 중에 쇼트 감지 값이 있는 경우, 모든 스위치를 모두 오프(off)시킨 후, 각 스위치를 차례로 온(on)시키면서 전원 센서의 감지 값을 확인하되 제m 스위치(단, m은 1 내지 n 중에 어느 하나)를 온(on)시킬 때에 쇼트 감지 값이 발생하면 해당 제m 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이 초기 구동을 하는 경우, 상기 (a) 단계는 모두 오프(off)된 각 스위치를 차례로 온(on)시키면서 전원 센서의 감지 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b) 단계는 제m 스위치(단, m은 1 내지 n 중에 어느 하나)를 온(on)시킬 때에 쇼트 감지 값이 발생하면 해당 제m 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c) 제m 전장 장치의 고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고전압 배터리 및 저전압 배터리 모두에 연결된 전장 장치 중에서 전압 배터리 및 저전압 배터리 사이의 쇼트(short)를 일으킨 전장 장치를 감지하여 해당 전장 장치만을 배터리의 연결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쇼트를 일으킨 전자 장치 외의 전자 장치를 사용이 가능하므로 전체 시스템의 구동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저전압 배터리의 이상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저전압 배터리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전장 장치의 2차적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시스템의 고장 범위를 축소시킴으로써 그 수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구동 중 쇼트가 발생한 경우에 전체 스위치를 오프(off)한 후 각 스위치를 차례로 온(on)시키고 시스템 초기 구동 시에 모두 오프(off)된 각 스위치를 차례로 온(on)시킴으로써, 고전압 배터리에 의해 발생되는 순간적인 돌입 전류(in-rush current)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배터리의 수명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에서 제2 전장 장치 및 제n 전장 장치에서 쇼트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스위치 제어부가 수행하는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일정 시간 동안 계속해서 구동 중인 경우에 수행되는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초기 구동 시에 수행되는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수단 및 그에 따른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경우에 따라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마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언급된 구성요소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어”와 같은 표현에 따르는 설명은 인용된 특성, 변수, 또는 값과 같이 제시한 정보들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허용 오차, 측정 오차, 측정 정확도의 한계와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타 요인을 비롯한 변형과 같은 효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한정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 배터리(10), 저전압 배터리(20), 전장 장치(30), 스위치(40), 전원 센서(50) 및 스위치 제어부(60)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출력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전압 배터리(10)와 저전압 배터리(20)는 그 제공 전압이 서로 상대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 고전압 배터리(10)가 저전압 배터리(20) 보다 높은 전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고전압 배터리(10)는 24V 내지 60V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압 배터리(20)는 6V 내지 24V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전압 배터리(10) 및 저전압 배터리(20)는 자신의 현재 상태 정보를 스위치 제어부(6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상태 정보는 제공 전압, 제공 전류, 충전량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전장 장치(30)는 고전압 배터리(10) 및 저전압 배터리(20)에 동시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다양한 전기/전자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n개(단, n은 2 이상의 자연수)(30a, 30b, … 30n)가 구비된다. 이때, 각 전장 장치(30)는 고전압 배터리(10) 및 저전압 배터리(20)로부터 각각의 전압을 입력 받아 이들 전압을 선택적으로 또는 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고전압 배터리(10)에만 연결되거나, 저전압 배터리(20)에만 연결된 전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은 고전압 배터리(10) 및 저전압 배터리(20)에 동시에 연결된 전장 장치(30)이다. 이는 고전압 배터리(10) 및 저전압 배터리(20)에 동시에 연결된 전장 장치(30)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그 내부에서 고전압 배터리(10)와 저전압 배터리(20)를 서로 연결시키는 쇼트(short)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러한 쇼트에 따른 제어를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스위치(40)는 하나의 전장 장치(30)와 고전압 배터리(10)의 사이를 개폐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전장 장치(30)와 동일하게 n개가 구비된다. 즉, 제k 스위치(40k)(단, k는 1 내지 n 중 어느 하나)는 제k 전장 장치(30k)와 고전압 배터리(10)의 사이를 스위칭 한다.
전원 센서(50)는 하나의 전장 장치(30)가 고전압 배터리(10) 또는 저전압 배터리로부터 제공받는 전원 값(이하, “감지 값”이라 지칭함)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전장 장치(30)와 동일하게 n개가 구비된다. 즉, 제k 전원 센서(50k)는 제k 전장 장치(30k)가 고전압 배터리(10) 또는 저전압 배터리로부터 제공받는 전원 값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제k 전원 센서(50k)는 고전압 배터리(10)와 제k 전장 장치(30k)의 사이에 구비되거나, 저전압 배터리(20)와 제k 전장 장치(30k)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전원'은 전압 또는 전류를 지칭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전원 센서(50)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센서이거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일 수 있다.
스위치 제어부(60)는 각 전원 센서(30)가 감지한 감지 값을 각 전원 센서(30)로부터 수신한다. 이후, 스위치 제어부(60)는 수신된 각 감지 값을 이용하여 각 스위치(40)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에서 제2 전장 장치 및 제n 전장 장치에서 쇼트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스위치 제어부(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장 장치(30b) 및 제n 전장 장치(30n)에서 쇼트가 발생한 것을 감지할 경우, 해당 전장 장치(30b, 30n)의 전용 스위치인 제2 스위치(40b) 및 제n 스위치(40n)만을 오프(off)시킨다. 즉, 본 발명은 제2 스위치(40b) 및 제n 스위치(40n)를 제외한 나머지 스위치(40a, …)를 온(on)시킴으로써 그 나머지 전장 장치(40a, …)는 정상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쇼트를 발생시킨 전장 장치(30b, 30n)만을 배터리(10, 20)의 연결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저전압 배터리(20)에만 연결되어 저전압 배터리(20)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동작되는 전장 장치의 2차적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스템의 고장 범위를 축소시켜 시스템의 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전체 시스템의 구동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시스템이 수리 지점까지 임시적 구동될 수 있게 한다.
이후, 스위치 제어부(60)가 오프(off)시킨 스위치(40)에 연결된 전장 장치(30)는 고장이 발생한 장치에 해당하므로, 스위치 제어부(60)는 오프(off)시킨 스위치(40)에 연결된 전장 장치(30)에 대한 정보(이하, “제어 결과”라 지칭함)를 출력 제어부(7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 결과는 특정 전장 장치(30)의 고장을 알리는 정보나, 모든 전장 장치(30)의 정상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스위치(40b) 및 제n 스위치(40n)를 오프(off)시킨 경우, 스위치 제어부(60)는 제2 전장 장치(30b) 및 제n 전장 장치(30n)에 대한 정보, 즉 이들의 고장을 알리는 정보를 출력 제어부(7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출력 제어부(70)는 출력부(미도시)로 시스템의 특정 상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출력 제어부(70)는 스위치 제어부(60)로부터 수신된 제어 결과를 청각 정보, 시각 정보 또는 촉각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 정보로 가공하여 출력부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각 정보를 출력할 경우, 출력부는 스피커(Speaker), 오디오 앰프(Audio Amp.)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각 정보를 출력할 경우,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촉각 정보를 출력할 경우, 출력부는 액츄에이터(Actuator)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스위치 제어부(60)의 구체적인 제어 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스위치 제어부(60)가 수행하는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스위치 제어부(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 내지 S30을 수행할 수 있다.
S10는 각 전원 센서(50)로부터 감지 값을 수신하는 단계이고, S20는 수신된 감지 값을 이용하여 각 스위치(50)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단계이며, S30은 제어 결과를 출력 제어부(70)로 전달하는 단계이다.
S10에서 스위치 제어부(60)는 수신된 감지 값과 함께 해당 감지 값을 송신한 전원 센서(50)에 대한 정보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S20는 각 감지 값에 대한 송신 정보를 포함하므로, 각 감지 값이 쇼트를 나타내는 값(이하, “쇼트 감지 값”이라 지칭함)인지 검출하여 쇼트 감지 값이 검출된 경우, 해당 쇼트 감지 값을 송신한 전원 센서(50)를 확인하여 해당 전원 센서(50)에 관련된 스위치(40)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 제어부(60)는 제2 전원 센서(50b)에서 송신한 감지 값이 쇼트 감지 값에 해당할 경우, 제2 전원 센서(50b)에 연결된 제2 스위치(40b)를 오프(off)시킨다.
한편, 수신된 감지 값과 이를 송신한 전원 센서(50)에 대한 정보가 함께 스위치 제어부(60)에 수신되는 경우, 전원 센서(50)의 구성이 복잡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센서(50)는 자신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단순히 감지 값만을 송신하도록 구성(이하, “단순 구성의 경우”이라 지칭함)될 수 있다. 단순 구성의 경우, 스위치 제어부(60)의 제어 방법의 더 중요해지며, 이하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단순 구성의 경우에 있어서도, 스위치 제어부(60)는, 시스템이 일정 시간 동안 계속해서 구동 중인 경우(이하, “제1 경우”라 지칭)와, 시스템이 초기 구동 중인 경우(예를 들어, ACC ON인 경우)(이하, “제2 경우”라 지칭)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방법으로 S10 및 S20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쇼트 감지 값은 기 설정된 기준 값을 벗어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센서(50)가 저전압 배터리(20)와 전장 장치(30)의 사이에 구비될 경우, 정상적인 감지 값은 24V 이하이어야 한다. 만일, 24V를 초과하는 감지 값이 측정되는 경우, 해당 감지 값은 쇼트 감지 값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일정 시간 동안 계속해서 구동 중인 경우, 즉 제1 경우에 수행되는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제1 경우에서 S10는 S11를 포함하고, S20은 S21 내지 S29를 포함하며, S30은 S31 및 S32를 포함한다.
S11에서, 스위치 제어부(60)는 현재 온(on) 상태인 스위치(40)에 연결된 전원 센서(50)로부터 감지 값을 수신한다.
S21에서, 스위치 제어부(60)는 수신된 각 감지 값의 이상 여부, 즉 각 감지 값을 기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감지 값이 기준 값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한다. 감지 값이 기준 값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스위치 제어부(60)는 쇼트 감지 값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여 S22 내지 S24를 차례로 수행한다. 감지 값이 기준 값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스위치 제어부(60)는 쇼트 감지 값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S11을 수행한다.
S22에서, 스위치 제어부(60)는 모든 스위치(40)를 모두 오프(off)시킨다. 이후, S23에서, 스위치 제어부(60)는 스위치(4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온(on)시킨다. 이후, S24에서, 스위치 제어부(60)는 선택한 스위치(40)를 온(on)시킨 후에 다시 수신되는 전원 센서(50)의 감지 값을 확인하며, 다시 수신된 감지 값의 이상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S24). 이때, 다시 수신된 감지 값이 기준 값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스위치 제어부(60)는 쇼트 감지 값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S25 및 S28를 차례로 수행한다. 다시 수신된 감지 값이 기준 값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스위치 제어부(60)는 쇼트 감지 값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S26을 수행한다.
S25에서, 스위치 제어부(60)는 S23, S27 또는 S29에서 온(on)시킨 스위치(40)를 오프(off)시킨다. 예를 들어, 제m 스위치(단, m은 1 내지 n 중에 어느 하나)(40m)의 온(on)에 따라 쇼트 감지 값이 발생한 경우라면, S25에서, 스위치 제어부(60)는 제m 전장 장치(30m)에서 쇼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m 스위치(40m)를 오프(off)시킨다.
S26 및 S28에서, 스위치 제어부(60)는 모든 스위치(40)를 온(on)시켜서 모든 전장 장치(30)에 대해 쇼트 발생 여부를 확인했는지(이하, “모든 확인 완료”라 지칭함)를 판단한다.
S26 및 S28 결과, 모든 확인 완료에 해당하는 경우, 스위치 제어부(60)는 S31를 수행한다. S26 및 S28 결과, 모든 확인 완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스위치 제어부(60)는 S26 이후로 S27를 수행하며, S28 이후로 S29를 수행한다.
S27 및 S29에서, 스위치 제어부(60)는 아직 온(on)시키지 않은 스위치(40) 중 중 어느 하나를 온(on)시킨 이후, S24를 다시 수행한다.
S31에서, 스위치 제어부(60)는 쇼트 발생에 따라 S25에서 오프(off)시킨 스위치(40)에 연결된 전장 장치(30)의 고장 발생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제어 결과를 출력 제어부(7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S32에서, 출력 제어부(70)는 스위치 제어부(60)로부터 수신된 제어 결과를 청각 정보, 시각 정보 또는 촉각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 정보로 가공하여 출력부로 출력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서는 S32가 시각 정보 형태로 표시되는 것(“고장 전장 장치의 에러 표시 및 차량 정비 메시지 표시”)을 나타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5개의 스위치(40a, 40b, 40c, 40d, 40e)가 있는 경우, 스위치 제어부(60)는 제1 스위치(40a)부터 제5 스위치(40e)까지 차례로 하나씩 온(on)시킨다. 이때, 스위치 제어부(60)는 어느 한 스위치(40)를 온(on)시킬 때 쇼트가 발생하면 해당 스위치를 오프(off)시키고, 쇼트가 발생되지 않으면 해당 스위치(40)의 온(on) 상태를 계속 유지시킨다. 즉, 제1 스위치(40a)부터 제5 스위치(40e)까지 차례로 하나씩 온(on)시키는 과정 중에, 제2 스위치(40b)를 온(on)시킬 때에만 쇼트가 발생한 경우라면, 스위치 제어부(60)는 제2 스위치(40b)에 연결된 제2 전장 장치(30b)에서 쇼트를 일으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든 확인 완료 시에는 제1 스위치(40a), 제3 스위치(40c) 내지 제5 스위치(40e)가 온(on) 상태를 유지하며, 제2 스위치(40b)가 오프(off)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스위치 제어부(60)는 제2 전장 장치(30b)의 고장 발생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제어 결과를 출력 제어부(70)로 전달하여, 출력 제어부(70)가 출력부로 해당 제어 결과를 출력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초기 구동 시에 수행되는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제2 경우에서 S10는 S11' 및 S12'를 포함하고, S20은 S21' 내지 S26'를 포함하며, S30은 S31' 내지 S33'을 포함한다.
S11'에서, 스위치 제어부(60)는 모두 오프(off)된 스위치(4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온(on)시킨다. 이후, S12'에서, 스위치 제어부(60)는 전원 센서(50)로부터 감지 값을 수신한다.
S21'에서, 스위치 제어부(60)는 수신된 감지 값의 이상 여부, 즉 각 감지 값을 기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감지 값이 기준 값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한다. 수신된 감지 값이 기준 값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스위치 제어부(60)는 쇼트 감지 값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S22' 및 S24'를 차례로 수행한다. 수신된 감지 값이 기준 값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스위치 제어부(60)는 쇼트 감지 값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S23'을 수행한다.
S22'에서, 스위치 제어부(60)는 S12', S25' 또는 S26'에서 온(on)시킨 스위치(40)를 오프(off)시킨다. 예를 들어, 제m 스위치(단, m은 1 내지 n 중에 어느 하나)(40m)의 온(on)에 따라 쇼트 감지 값이 발생한 경우라면, S23'에서, 스위치 제어부(60)는 제m 전장 장치(30m)에서 쇼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m 스위치(40m)를 오프(off)시킨다.
S23' 및 S24'에서, 스위치 제어부(60)는 모든 스위치(40)를 온(on)시켜서 모든 전장 장치(30)에 대해 쇼트 발생 여부를 확인했는지, 즉 모든 확인 완료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S23' 및 S24' 결과, 모든 확인 완료에 해당하는 경우, 스위치 제어부(60)는 S23' 이후로 S33'를 수행하며, S24' 이후로 S31'을 수행한다. S23' 및 S24' 결과, 모든 확인 완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스위치 제어부(60)는 S23' 이후로 S26'을 수행하며, S24' 이후로 S25'를 수행한다.
S25' 및 S26'에서, 스위치 제어부(60)는 아직 온(on)시키지 않은 스위치(40) 중 중 어느 하나를 온(on)시킨 이후, S21'을 다시 수행한다.
S31' 및 S32'는 모든 확인 완료 결과, 어느 한 전장 장치(30) 이상에서 쇼트를 발생시킨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수행되며, 상술한 S31 및 S32와 동일하므로, 이하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S33'은 모든 확인 완료 결과, 어느 전장 장치(30)에서도 쇼트를 발생시키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수행된다. 즉, S33'에서, 스위치 제어부(60)는 이상 없음에 대한 제어 결과를 출력 제어부(70)에 전달한다.
한편, 제1 경우와 제2 경우는 그 제어 결과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제1 경우는 쇼트가 반드시 발생한 경우에 해당하므로, 그 제어 결과에는 S31에서와 같이 특정 전장 장치(30)의 고장을 알리는 정보가 포함된다. 이에 반하여, 제2 경우는 쇼트가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그 제어 결과에는 S31'와 같이 특정 전장 장치(30)의 고장을 알리는 정보나, S33'과 같이 모든 전장 장치(30)의 정상을 알리는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및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HVB: 고전압 배터리 20: 저전압 배터리
30, ESA: 전장 장치 40, SW: 스위치
50: 전원 센서 60: 스위치 제어부
70: 출력 제어부

Claims (13)

  1.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있어서,
    엔진과 연결되어 모터와 발전기의 기능을 모두 가지는 모터 발전기;
    고전압 전원을 충전 및 제공하는 고전압 배터리;
    저전압의 전원을 충전 및 제공하는 저전압 배터리;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을 강하하여 저전압 배터리로 출력하는 DC-DC 컨버터; 및
    모터 발전기와 고전압 배터리 상호간 전압을 변환하는 인버터;
    고전압 배터리 및 저전압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n개의 전장 장치(단, n은 2 이상의 자연수);
    하나의 전장 장치와 고전압 배터리의 사이를 스위칭하는 n개의 스위치;
    하나의 전장 장치가 고전압 배터리 또는 저전압 배터리로부터 제공받는 전원 값을 감지하며, 센서에 대한 정보를 비 송신하되 상기 전원 값에 대한 감지 값을 송신하도록 구현된 n개의 전원 센서; 및
    각 전원 센서의 감지 값을 이용하여 각 스위치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k 전장 장치(단, k는 1 내지 n 중에 어느 하나)에 공급되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는 제k 스위치이고, 제k 전장 장치에 공급되는 고전압 배터리 또는 저전압 배터리의 전원 값을 감지하는 전원 센서는 제k 전원 센서이며,
    상기 제k 전원 센서는 상기 제k 전장 장치의 고장에 따라 상기 제k 전장 장치의 내부에서 상기 고전압 배터리와 상기 저전압 배터리가 서로 연결되는 쇼트가 발생되는 경우에 해당 쇼트 발생에 해당하는 쇼트 감지 값을 감지하며,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각 전원 센서의 감지 값들 중에 쇼트 감지 값이 있는 경우, 쇼트 감지 값을 감지한 제m 전원 센서(단, m은 1 내지 n 중에 어느 하나)를 확인하여 제m 스위치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각 전원 센서의 감지 값들 중에 쇼트 감지 값이 있는 경우, 모든 스위치를 모두 오프(off)시킨 후, 각 스위치를 차례로 온(on)시키면서 전원 센서의 감지 값을 확인하되 상기 제m 스위치를 온(on)시킬 때에 쇼트 감지 값이 발생하면 해당 제m 스위치를 오프(off)시키며,
    시스템이 초기 구동을 하는 경우, 모두 오프(off)된 각 스위치를 차례로 온(on)시키면서 전원 센서의 감지 값을 확인하되 상기 제m 스위치를 온(on)시킬 때에 쇼트 감지 값이 발생하면 해당 제m 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제m 스위치 외의 나머지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유지하여 제m 전장 장치 외의 나머지 전장 장치를 계속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시스템 상태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에 제m 전장 장치의 고장을 알리는 제어 결과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시스템이 초기 구동을 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모두 오프(off)된 각 스위치를 차례로 온(on)시키면서 전원 센서의 감지 값을 확인하되 상기 제m 스위치를 온(on)시킬 때에 쇼트 감지 값이 발생하면 해당 제m 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시스템 상태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에 제m 전장 장치의 고장을 알리거나 모든 전장 장치의 정상을 알리는 제어 결과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센서는 전압 센서 또는 전류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
  9. 엔진과 연결되어 모터와 발전기의 기능을 모두 가지는 모터 발전기와, 고전압 전원을 충전 및 제공하는 고전압 배터리와, 저전압의 전원을 충전 및 제공하는 저전압 배터리와,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을 강하하여 저전압 배터리로 출력하는 DC-DC 컨버터와, 모터 발전기와 고전압 배터리 상호간 전압을 변환하는 인버터와, 고전압 배터리 및 저전압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n개의 전장 장치(단, n은 2 이상의 자연수)와, 하나의 전장 장치와 고전압 배터리의 사이를 스위칭하는 n개의 스위치와, 하나의 전장 장치가 고전압 배터리 또는 저전압 배터리로부터 제공받는 전원 값을 감지하며 센서에 대한 정보를 비 송신하되 상기 전원 값에 대한 감지 값을 송신하도록 구현된 n개의 전원 센서를 각각 구비하되, 제k 전장 장치에 공급되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는 제k 스위치이고, 제k 전장 장치에 공급되는 고전압 배터리 또는 저전압 배터리의 전원 값을 감지하는 전원 센서는 제k 전원 센서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a) 전원 센서의 감지 값을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감지 값을 이용하여 각 스위치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k 전원 센서는 상기 제k 전장 장치의 고장에 따라 상기 제k 전장 장치의 내부에서 상기 고전압 배터리와 상기 저전압 배터리가 서로 연결되는 쇼트가 발생되는 경우에 해당 쇼트 발생에 해당하는 쇼트 감지 값을 감지하며,
    상기 (b) 단계는 각 전원 센서의 감지 값들 중에 쇼트 감지 값이 있는 경우에 쇼트 감지 값을 감지한 제m 전원 센서(단, m은 1 내지 n 중에 어느 하나)를 확인하여 제m 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각 전원 센서의 감지 값들 중에 쇼트 감지 값이 있는 경우, 모든 스위치를 모두 오프(off)시킨 후, 각 스위치를 차례로 온(on)시키면서 전원 센서의 감지 값을 확인하되 상기 제m 스위치를 온(on)시킬 때에 쇼트 감지 값이 발생하면 해당 제m 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시스템이 초기 구동을 하는 경우,
    상기 (a) 단계는 모두 오프(off)된 각 스위치를 차례로 온(on)시키면서 전원 센서의 감지 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m 스위치를 온(on)시킬 때에 쇼트 감지 값이 발생하면 해당 제m 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c) 제m 전장 장치의 고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80061947A 2018-05-30 2018-05-30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573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947A KR102573625B1 (ko) 2018-05-30 2018-05-30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947A KR102573625B1 (ko) 2018-05-30 2018-05-30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350A KR20190136350A (ko) 2019-12-10
KR102573625B1 true KR102573625B1 (ko) 2023-09-01

Family

ID=69002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947A KR102573625B1 (ko) 2018-05-30 2018-05-30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6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2113A (ja) * 2001-08-07 2003-02-21 Yazaki Corp 車両用電気接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5958A (ja) * 1995-03-22 1996-10-11 Toshiba Corp 電源制御装置及びその過電流保護方法
JPH1148881A (ja) * 1997-08-01 1999-02-23 Yazaki Corp 車両のショート位置検出方法及び車両のショート位置検出装置、並びに車両用電源供給装置
KR100312154B1 (ko) * 1999-12-20 2001-11-03 류정열 자동차용 능동형 퓨우즈
KR101886498B1 (ko) * 2016-07-08 2018-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2113A (ja) * 2001-08-07 2003-02-21 Yazaki Corp 車両用電気接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350A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5185B2 (en) AC traction motor fault detection using DC bus leakage hardware
WO2017141686A1 (ja) 車載電源用のスイッチ装置および車載用電源装置
US9002558B2 (en) Abnormality diagnosis apparatus for power control system
CN108604516B (zh) 继电器装置
US9470761B2 (en) Voltage monitoring module and voltage monitoring system
US11104232B2 (en) Safe energy supply device for a vehicle
CN106660502B (zh) 车辆用电源系统
JP4416585B2 (ja) 車両用の電源装置
CN109649216B (zh) 驱动电池的自动连接
KR102113494B1 (ko) 하이브리드 차량들에서의 고 전압 케이블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60156258A1 (en) Power sourc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relay abnormality
US20170125995A1 (en) Electricity storage system
WO2014061137A1 (ja) 電源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源管理方法
US7589492B2 (en) Voltage detecting apparatus for a hybrid electric vehicle
US20160099591A1 (en)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including diagnostic function
US10944262B2 (en) Power supply system
JPH05336601A (ja) 車両用電源電圧切換え装置
JP2010081703A (ja) 車両用電源制御システム
KR20200064935A (ko) 전원 시스템
US20210107376A1 (en) On-board electrica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on-board network
CN111585337A (zh) 供电系统和作业车辆
US11368015B2 (en) Process for testing the operability of a circuit breaker device
US11465514B2 (en) Onboard power supply system
KR102573625B1 (ko)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211726B1 (ko) 차량탑재충전기를 이용한 대형전기차량 충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