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564U - 고정걸이가 구비된 자동차의 트렁크 - Google Patents

고정걸이가 구비된 자동차의 트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564U
KR19980045564U KR2019960058706U KR19960058706U KR19980045564U KR 19980045564 U KR19980045564 U KR 19980045564U KR 2019960058706 U KR2019960058706 U KR 2019960058706U KR 19960058706 U KR19960058706 U KR 19960058706U KR 19980045564 U KR19980045564 U KR 199800455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trunk lid
lid
fixed hoo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8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58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5564U/ko
Publication of KR199800455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564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04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for anchoring the trunk lid of a car while carrying oversize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걸이가 구비된 자동차의 트렁크에 관한 것으로, 트렁크 리드 및 이 트렁크 리드의 선단이 맞닿는 트렁크 바닥의 상단에 각각 고정걸이를 설치하여서, 트렁크에 큰 물건을 실어서 트렁크 리드를 제대로 닫지 못하게 되는 경우 및 트렁크 리드를 고정시켜 주는 스트라이커가 고장난 경우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트렁크 리드와 트렁크 바닥과 연결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트렁크 리드의 힌지고장으로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거나 트렁크 내부의 물체가 바깥쪽으로 떨어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고정걸이가 구비된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고정걸이가 구비된 자동차의 트렁크
본 고안은 고정걸이가 구비된 자동차의 트렁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렁크의 선단 안쪽과 이 트렁크 리드가 접하는 트렁크 바닥면의 구배진 상단 안쪽에 각각 걸림고리를 설치하여서, 트렁크 내부의 크기보다 큰 물체를 싣거나 트렁크의 힌지부가 고장난 경우 주행중 트렁크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걸이가 구비된 자동차의 트렁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자동차에서 필요로 하는 물건이나 정비용 공구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물건들을 실어서 주행할 수 있도록 트렁크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트렁크에는 트렁크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트렁크 리드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트렁크 리드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판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일단은 차체의 후방 상단에 힌지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전체 길이에 걸쳐 구배져서 상기 트렁크 바닥의 상단면과 밀차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트렁크 리드의 선단 중앙에는 이것이 상기 트렁크 바닥의 상단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트라이커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스트라이커는 상기 트렁크 바닥의 상단에 설치된 록커에 선택적으로 걸려지게 된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트렁크는 트렁크 내부에 그 길이보다 큰 물건을 싣는 경우 물건의 일부가 트렁크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서 트렁크 리드를 완전하게 닫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주행중 물건이 트렁크의 바깥쪽으로 떨어지면서 다른 차량과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트렁크 리드 및 이 트렁크 리드의 선단이 맞닿는 트렁크 바닥의 상단에 각각 고정걸이를 설치하여서, 트렁크에 큰 물건을 실어서 트렁크 리드를 제대로 닫지 못하게 되는 경우 및 트렁크 리드를 고정시켜 주는 스트라이커가 고장난 경우 와이어 등을 이용하어 트렁크 리드와 트렁크 바닥과 연결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트렁크 리드의 힌지 고장으로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거나 트렁크 내부의 물체가 바깥쪽으로 떨어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고정걸이가 구비된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트렁크11-트렁크 리드
12-고정걸이13-와이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트렁크 리드(11)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트렁크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10) 바닥과 상단과 트렁크 리드(11)의 선단 안쪽에는 각각 고정걸이(1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렁크(10) 바닥 및 트렁크 리드(11)에 설치된 고정걸이(12)는 각각 한쌍씩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1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면 부호 10은 트렁크 바닥을, 11은 트렁크 리드를 각각 나타낸다.
본 고안은 상기 트렁크(10) 및 트렁크 리드(11)에 각각 고정된 스트로커나 록커의 고장 또는 힌지부의 고장으로 트렁크 리드(11)를 닫지 못하거나, 트렁크(10)의 길이보다 큰 물체를 트렁크(10) 내부에 실어서 그 일부가 트렁크(10)의 뒷쪽으로 튀어 나와서 주행중 물건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렁크 리드(11)를 트렁크(10)에 고정시켜서 트렁크 리드(11)가 주행중에도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트렁크(10)의 바닥면 상부와 트렁크 리드(11)의 선단 안쪽에 각각 고정걸이(12)를 설치하고, 와이어(13)를 이용하여 트렁크 리드(11)를 트렁크(10)에 임의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특히, 상기 고정걸이(12)는, 첨부도면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트렁크(10) 및 트렁크 리드(11)에 각각 두개씩 설치하여서, 트렁크(10) 내부에 물건을 싣는 경우 물건이 한쪽으로 쏠리거나 양측에서 고정시켜야 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 물건의 결속력을 더욱 높여 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트렁크 리드의 선단 안쪽 및 이 선단과 맞닿는 트렁크의 바닥 상단에 각각 고정걸이를 설치하여서, 트렁크 리드의 힌지부가 고장난 경우나 트렁크 내부에 큰 물건을 실어서 트렁크 리드를 닫지 못하게 되어 운전자의 운전시야를 좁게하거나 물건이 트렁크로부터 빠져 나와서 후방 차량과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트렁크 리드(11)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트렁크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10) 바닥의 상단과 트렁크 리드(11)의 선단 안쪽에는 각각 고정걸이(1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걸이가 구비된 자동차의 트렁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10) 바닥 및 트렁크 리드(11)에 설치된 고정걸이(12)는 각각 한쌍씩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걸이가 구비된 자동차의 트렁크.
KR2019960058706U 1996-12-27 1996-12-27 고정걸이가 구비된 자동차의 트렁크 KR199800455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706U KR19980045564U (ko) 1996-12-27 1996-12-27 고정걸이가 구비된 자동차의 트렁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706U KR19980045564U (ko) 1996-12-27 1996-12-27 고정걸이가 구비된 자동차의 트렁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564U true KR19980045564U (ko) 1998-09-25

Family

ID=5399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8706U KR19980045564U (ko) 1996-12-27 1996-12-27 고정걸이가 구비된 자동차의 트렁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556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7051B1 (en) Extended cab pickup truck with cab load container
KR19980045564U (ko) 고정걸이가 구비된 자동차의 트렁크
KR100350900B1 (ko)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KR0182898B1 (ko) 화물차의 사이드게이트 잠금장치
KR200149111Y1 (ko) 자동차의 백도어 열림방지구
JP4542160B2 (ja) ラダー用アタッチメント
KR19980066060U (ko) 트렁크 리드의 고정장치
KR200162561Y1 (ko) 트럭 리어 게이트 잠금장치
JP2507046Y2 (ja) 離脱したテ―ルゲ―トリンクの一時固定構造
KR970003673Y1 (ko) 자동차 트렁크의 리드 열림 위치 고정장치
KR200195830Y1 (ko) 자동차의 러기지 매트 고정장치
KR200181744Y1 (ko) 트렁크 룸 내의 화물 고정 장치
KR0157810B1 (ko) 차량용 트렁크리드 고정구
JP3910367B2 (ja) 車両の乗降用スロープ板取付構造
KR200201922Y1 (ko) 자동차 트렁크리드 개폐구조
KR0155119B1 (ko) 화물실의 화물침입방지구조
JPH09118171A (ja) 荷台のゲート構造
KR19990011108U (ko) 화물차량의 화물칸 게이트 조작장치
KR100233506B1 (ko) 화물차의 적재함 게이트 록크장치
KR19980034069U (ko) 자동차용 케이블 견인 핸들
KR19990021415U (ko) 트럭 적재함의 후크캐치어셈블리
KR19980039318A (ko) 힌지 브라켓 보강재
KR19980034588U (ko) 탈착 및 개폐가 용이한 적재함 게이트의 고정장치
KR19980062945A (ko) 짚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KR19980033332U (ko) 화물차용 콤비램프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