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4069U - 자동차용 케이블 견인 핸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케이블 견인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4069U
KR19980034069U KR2019960047008U KR19960047008U KR19980034069U KR 19980034069 U KR19980034069 U KR 19980034069U KR 2019960047008 U KR2019960047008 U KR 2019960047008U KR 19960047008 U KR19960047008 U KR 19960047008U KR 19980034069 U KR19980034069 U KR 199800340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il spring
cable
housing
hand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7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광렬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47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4069U/ko
Publication of KR199800340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069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1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movement to or from the flexibl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케이블 견인 핸들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연료 필러 도어, 트링크 리드 등을 운전석에서 열때 캐치 또는 래치를 조작하는 합성수지제 케이블 견인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핸드 본체의 이탈을 방지하고, 작동을 원활하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운전석 근처의 클래쉬 패드 또는 도어 트림 등에 합성수지제 하우징(1)을 설치하여 그 측벽(2)(2')에 핸들 본체(4)의 일단 양측에 형성된 핀(5)(5')을 지지시키고, 핸들 본체(4)의 일측 핀(5)의 대향위치에 돌기(6)를 일체로 형성하여 코일 스프링(7)을 감은 후 그 일단은 핸들 본체(4)에 타단은 하우징(1)의 바닥(3)에 형성된 지지돌기(8)에 지지하며, 핸들 본체(1)의 타단에 브래킷(9)을 설치하여 케이블(10)을 연결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핸들 본체(1)의 바닥중 지지돌기(8)부위와 코일 스프링(7)이 설치된 반대 측벽(2')사이에 보강부(11)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케이블 견인 핸들
본 고안은 자동차용 케이블 견인 핸들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연료 필러 도어, 트링크 리드 등을 운전석에서 열때 캐치 또는 래치를 조작하는 합성수지제 케이블 견인 핸들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는 운전석에 설치된 핸들과 연료 필러 하우징에 설치된 캐치를 케이블로 연결하여 핸들에 의하여 케이블을 견인하므로 캐치와 록커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연료 필러 도어를 열고 있으며, 상기한 핸들은 자동차의 경량화 또는 원가절감등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합성수지로 제조하고 있는 바, 종래의 핸들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 근처의 클래쉬 패드 또는 도어 트림등에 하우징(1)을 설치하여 그 측벽(2)(2')에 핸들 본체(4)의 일단 측에 형성된 핀(5)(5')을 지지시키고, 핸들 본체(4)의 일측 핀(5)의 대향위치에 돌기(6)를 일체로 형성하여 코일 스프링(7)을 감아 설치한 후 그 일단은 핸들 본체(4)에 타단은 하우징(1)의 바닥(3)에 형성된 지지돌기(8)에 지지하며, 핸들 본체(4)의 타단에 브래킷(9)을 설치하여 케이블(10)을 연결한 것으로서, 통상시에는 돌기(6)에 감은 코일 스프링(7)의 탄성에 의하여 핸들 본체(4)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 연료 필러 도어 등을 열 때에는 핸들 본체(4)를 핀(5)(5')을 지점으로 들어올리면 핸들 본체(4)의 타단에 연결된 케이블(10)이 견인되어 연료 필러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서 자동으로 열리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핸들은 핸들 본체(4)의 닫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7)을 핸들 본체(4)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6)에 감아 설치하고, 코일 스프링(7)의 양단은 핸들 본체(4)와 하우징(1)의 바닥(3)중앙에 형성된 지지돌기(8)에 지지되어 있으며 그 측벽(2)(2')과 그 바닥(3)은 두께가 균일하기 때문에 케이블(10)을 견인하기 위하여 핸들 본체(4)의 타단을 들어올릴 때 코일 스프링(7)이 압축되면서 그 양단 지지부가 반력을 일으켜 코일 스프링(7)이 감져있지 않은 핀(5')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므로 측벽(2')부분이 변형되면서 핸들 본체(4)가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핸드 본체의 이탈을 방지하고 작동이 원활한 자동차용 케이블 견인 핸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측벽에 핸들 본체의 일단 양측에 형성된 핀을 지지시키고, 상기 핀 중 일측 핀의 대향 위치에 돌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코일 스프링을 감은 후 그 일단은 핸들 본체에 타단은 하우징의 바닥에 형성된 지지돌기에 지지시키며, 핸들 본체의 타단에 케이블을 연결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핸들 본체의 바닥 중 지지돌기 부위와 코일 스프링이 설치된 반대 측벽 사이에 보강부를 바닥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 1은 케이블 견인 핸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본 고안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대응하는 종래의 것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하우징2,2':측벽
3:바닥4:핸들 본체
5,5':핀6:돌기
7:코일 스프링10:케이블
11:보강부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근처의 클래쉬 패드 또는 도어 트림 등에 합성수지제 하우징(1)을 설치하여 그 측벽(2)(2')에 핸들 본체(4)의 일단 양측에 형성된 핀(5)(5')을 지지시키고, 핸들 본체(4)의 일측 핀(5)의 대향위치에 돌기(6)를 일체로 형성하여 코일 스프링(7)을 감은 후 그 일단은 핸들 본체(4)에 타단은 하우징(1)의 바닥(3)에 형성된 지지돌기(8)에 지지하며, 핸들 본체(4)의 타단에 브래킷(9)을 설치하여 케이블(10)을 연결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핸들 본체(4)의 바닥중 지지돌기(8) 부위와 코일 스프링(7)이 설치된 반대 측벽(2')사이에 보강부(11)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핸들 본체(4)의 타단을 핀(5)(5')을 지점으로 들어올려서 케이블(10)을 견인하면 연료 필러 도어 등이 열리고, 핸들 본체(4)를 들어 올릴 때 코일 스프링(7)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핀(5') 부분에 집중 응력이 발생하나 상기 집중응력은 바닥(3)의 지지돌기(8) 부위와 측벽(2') 사이에 형성된 보강부(11)에 의하여 측벽(2') 및 코일 스프링(7)이 설치된 반대측 바닥(3)의 변형이 억제되므로서 하우징(1)에서 핸들 본체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측벽(2') 및 코일 스프링(7)이 설치된 반대측 바닥(3)의 변 형이 없으므로 핀(5)(5')의 중심선이 일치하므로서 작동력이 일정함과 동시에 작동감이 유연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합성수지제 핸들의 하우징에 코일 스프링 설치 반대측의 측벽 및 바닥의 변형을 억제하므로서 하우징에서 핸들 본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 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핸들 본체의 핀의 중심선을 일치시키므로서 작동력이 일정함과 동시에 작동감이 유연한 효과 등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하우징의 측벽에 핸들 본체의 일단 양측에 형성된 핀을 지지시키고, 상기 핀 중 일측 핀의 대향 위치에 돌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코일 스프링을 감은 후 그 일단은 핸들 본체에 타단은 하우징의 바닥에 형성된 지지돌기에 지지시키며, 핸들 본체의 타단에 케이블을 연결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핸들 본체의 바닥 중 지지돌기 부위와 코일 스프링이 설치된 반대 측벽 사이에 보강부를 바닥과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용 케이블 견인 핸들.
KR2019960047008U 1996-12-10 1996-12-10 자동차용 케이블 견인 핸들 KR199800340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008U KR19980034069U (ko) 1996-12-10 1996-12-10 자동차용 케이블 견인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008U KR19980034069U (ko) 1996-12-10 1996-12-10 자동차용 케이블 견인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069U true KR19980034069U (ko) 1998-09-05

Family

ID=5398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7008U KR19980034069U (ko) 1996-12-10 1996-12-10 자동차용 케이블 견인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406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8613A (zh) * 2019-06-20 2019-10-11 中山市顺达客车有限公司 一种气动行李舱门的自动锁止机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8613A (zh) * 2019-06-20 2019-10-11 中山市顺达客车有限公司 一种气动行李舱门的自动锁止机构
CN110318613B (zh) * 2019-06-20 2020-09-25 中山市顺达客车有限公司 一种气动行李舱门的自动锁止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8978B2 (ja) 車両用ハンドル装置及び車両用ハンドル装置取付構造
JP3527398B2 (ja) オープナー装置
KR19980034069U (ko) 자동차용 케이블 견인 핸들
JPS631433B2 (ko)
CN217074029U (zh) 一种加油口盖及汽车
US20050082844A1 (en) Manual releasing mechanism for power locking apparatus
KR200149111Y1 (ko) 자동차의 백도어 열림방지구
KR970003673Y1 (ko) 자동차 트렁크의 리드 열림 위치 고정장치
JP3196545B2 (ja) 自動車用トランクトリム及びその取付方法
JP3968744B2 (ja) ドアアームレスト構造
KR101892175B1 (ko) 자동차용 로드 플로어 매트의 스트랩 고정용 고정 브래킷
JP3438626B2 (ja) スペアタイヤ盗難防止構造
KR0157810B1 (ko) 차량용 트렁크리드 고정구
JPH0646757Y2 (ja) スキーキャリヤにおける磁気ベース部とカバー部材の連結構造
KR0118477Y1 (ko) 자동차의 리어 도어 변형 방지장치
KR200174799Y1 (ko) 밴의 리어도어 록(lock)의 손잡이보호장치
JP4090818B2 (ja) 車両における内装部品のポケット構造
KR0112763Y1 (ko) 연료필러 록크의 후크구조
KR0131769Y1 (ko) 자동차 후드의 열림 상태 고정구조
KR200221163Y1 (ko) 트렁크 리드 고정장치
JPH0450785Y2 (ko)
JP2566840Y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と操作装置との連結装置
KR0115801Y1 (ko) 차량트렁크 잠금장치의 도난방지구조
KR100198844B1 (ko) 트렁크 리드 록 조립체 고정구조
KR0112631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덮개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