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4307A - 헤드 레스트 에어 백 - Google Patents

헤드 레스트 에어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4307A
KR19980044307A KR1019960062381A KR19960062381A KR19980044307A KR 19980044307 A KR19980044307 A KR 19980044307A KR 1019960062381 A KR1019960062381 A KR 1019960062381A KR 19960062381 A KR19960062381 A KR 19960062381A KR 19980044307 A KR19980044307 A KR 19980044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ision
head
vehicle
driver
ai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2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형승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62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4307A/ko
Publication of KR19980044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307A/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방 충돌시에 전방부로 젖혀진 탑승자의 몸체가 다시 후방으로 되젖혀지거나, 또는 후방충돌에 의해 머리부분이 헤드 레스트에 부딪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헤드 레스트 에어 백에 관한 것으로, 전방 시이트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헤드 레스트에 운전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치를 제공하여 차체 충돌시에 탑승자의 목부분과 머리부분이 상기 헤드 레스트에 직접적으로 부딪치게 되는 것을 억제 시킴으로써 부상 방지를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돌시 충돌 감지 센서가 자동차의 충돌을 감지하여, 감지된 충돌 신호를 전자 제어 장치로 보내면, 전자 제어 장치가 에어 백 모듈에 전류를 공급하여,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점화 물질을 점화시킴으로써, 가스가 발생되어 펼쳐지게 되는 에어 백으로서, 운전석 시이트의 헤드 레스트 전면부에 장착되어 차체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운전석 전방부의 조향 핸들과 글로부 박스에 장착되어 있는 에어 백과 함께 동시에 작동되어 뒤로 젖혀지는 탑승자의 머리와 목부분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레스트 에어 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헤드 레스트 에어 백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 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방 충돌시에 전방부로 젖혀진 탑승자의 몸체가 다시 후방으로 되젖혀지거나, 또는 후방충돌에 의해 머리부분이 헤드 레스트에 부딪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헤드 레스트 에어 백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에어 백은 자동차 전방에서의 충돌시 전방 시트에 탑승한 운전자와 조수석에 탑승한 사람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조향 핸들과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에 설치되는 글로브 박스에 장착된다. 자동차 전방에 대한 충돌시 충돌 감지 센서가 자동차의 충돌을 감지하여, 감지된 충돌 신호를 전자 제어 장치로 보내면, 전자 제어 장치는 에어 백 모듈에 전류를 공급하여,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점화 물질을 점화시킴으로써, 가스가 발생되어,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1)이 조향핸들(2)의 상방으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의 조향 핸들과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에 설치되는 글로브 박스에 장착된 에어 백은 자동차의 충돌시 운존석 및 조수석에 탑승한 승객이 안전 벨트의 착용에도 불구하고, 자동차의 주행에 따른 관성에 의하여 자동차의 전방부에 부딪쳐 발생할 수 있는 상해의 정도를 감소시켜 승객을 보호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에어 백(1)은, 상술된 바와 같이, 운전석의 조향핸들(2)과 글로브 박스에 장착됨으로써, 전방 충돌시에 운전석 및 조수석의 탑승자가 전방부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및 전방 유리등과 충돌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되지만, 차체의 전방 충돌로 인하여 전방부로 젖혀있던 탑승자의 몸체는 다시 반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되젖혀지게 되는데, 이 때,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서 헤드 레스트(3)에 부딪치게 되어 목과 머리에 심한 부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차량의 후방 충돌시에도 유사하게 발생되며,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 시이트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헤드 레스트에 운전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치를 제공하여 차체 충돌시에 탑승자의 목부분과 머리부분이 상기 헤드 레스트에 직접적으로 부딪치게 되는 것을 억제 시킴으로써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운전석에 장착되어 있는 에어 백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운전석 시이트의 헤드 레스트에 장착되어 있는 에어 백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운전석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4 : 에어 백2 : 조향 핸들
3 : 헤드 레스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돌시 충돌 감지 센서가 자동차의 충돌을 감지하여, 감지된 충돌 신호를 전자 제어 장치로 보내면, 전자 제어 장치가 에어 백 모듈에 전류를 공급하여,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점화 물질을 점화시킴으로써, 가스가 발생되어 펼쳐지게 되는 에어 백으로서, 운전석 시이트의 헤드 레스트 전면부에 장착되어 차체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운전석 전방부의 조향 핸들과 글로부 박스에 장착되어 있는 에어 백과 함께 동시에 작동되어 뒤로 젖혀지는 탑승자의 머리와 목부분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레스트 에어 백을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재차 설명하지 않는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운전석 시이트의 헤드 레스트(3)에 장착되어 있는 에어 백(4)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운전석의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레스트(3)의 전면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백(4)이 장착되어 차체에 외부로 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운전석 전방부의 조향 핸들(2)과 글로부 박스에 장착되어 있는 에어 백(1)과 함께 동시에 작동되어 뒤로 젖혀지는 탑승자의 머리와 목부분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레스트 에어 백에 의하면, 상기 에어 백을 전방 시이트의 헤드 레스트에 제공함으로써, 차체의 전방 충돌시에 전방부에 장착된 에어 백과 함께 2차에 걸쳐 탑승자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또한 상기 헤드 레스트에 부딪치게 되는 운전자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충돌시 충돌 감지 센서가 자동차의 충돌을 감지하여, 감지된 충돌 신호를 전자 제어 장치로 보내면, 전자 제어 장치가 에어 백 모듈에 전류를 공급하여,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점화 물질을 점화시킴으로써, 가스가 발생되어 펼쳐지게 되는 에어 백으로서, 운전석 시이트의 헤드 레스트 전면부에 장착되어 차체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운전석 전방부의 조향 핸들과 글로부 박스에 장착되어 있는 에어 백과 함께 동시에 작동되어 뒤로 젖혀지는 탑승자의 머리와 목부분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레스트 에어 백.
KR1019960062381A 1996-12-06 1996-12-06 헤드 레스트 에어 백 KR19980044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381A KR19980044307A (ko) 1996-12-06 1996-12-06 헤드 레스트 에어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381A KR19980044307A (ko) 1996-12-06 1996-12-06 헤드 레스트 에어 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307A true KR19980044307A (ko) 1998-09-05

Family

ID=6647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2381A KR19980044307A (ko) 1996-12-06 1996-12-06 헤드 레스트 에어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43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86870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KR19980044307A (ko) 헤드 레스트 에어 백
KR19980083120A (ko) 하반신 보호용 에어백
KR100517705B1 (ko) 무릎보호용 에어백 시스템
KR200141881Y1 (ko) 자동차의 조수석에 구비된 에어백
KR200152245Y1 (ko) 차량용 프론트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
KR200141880Y1 (ko) 자동차의 에어백
KR0181014B1 (ko) 수동식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
KR200152246Y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
JPH05105021A (ja) 乗員保護装置
JPH05229395A (ja) 乗員保護装置
KR19980035739U (ko) 후방 추돌 충격 저감장치
KR100373636B1 (ko) 에어백이구비된차량용안전벨트
KR19980028516U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00447317B1 (ko) 후방이동용 시트 구조
KR20040072920A (ko) 자동차의 탑승자 보호 장치
KR19980013951U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9990038172U (ko) 에어백이 내장된 어린이용 자동차 보조좌석
KR19980030625U (ko) 자동차의 센터필러에 구비된 에어백
KR19990000436U (ko) 에어백 제어장치
KR19980049939U (ko) 엔진보기류 차내 침입 방지용 에어백 시스템
KR19990027372A (ko) 차량용 에어백
KR19980035597U (ko)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에어 백 시스템
KR19980018063U (ko) 자동차의 루프 에어백
KR19980052388A (ko) 차량승원의 안전을 향상시킨 이중에어백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