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3063A - 식탁겸용식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의자 - Google Patents

식탁겸용식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3063A
KR19980043063A KR1019980018731A KR19980018731A KR19980043063A KR 19980043063 A KR19980043063 A KR 19980043063A KR 1019980018731 A KR1019980018731 A KR 1019980018731A KR 19980018731 A KR19980018731 A KR 19980018731A KR 19980043063 A KR19980043063 A KR 19980043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children
dining table
seat
child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신우
이치열
이정열
안희영
서민석
김진성
김남형
Original Assignee
곽승렬
주식회사 성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승렬, 주식회사 성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곽승렬
Priority to KR1019980018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3063A/ko
Publication of KR19980043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063A/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선진화된 국가의 경우 어린이를 자동차에 동승시켜 운행코자 할 때 어린이의 신체 규격에 맞는 안전벨트(어린이 보호 장구)를 반드시 착용시켜 불의의 교통사고로부터 유아의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운전 문화가 정착되어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어린이 보호 장구를 갖추지 않은 상태에서 어린이를 동승시켜 운행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이유중 첫 번째는 어린이 보호 장구의 필요성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 부족을 들 수 있다. 둘째로는 어린이 보호 장구가 어린이에게 안락함을 주지 못해서 어린이가 앉지 않으려는 경우를 들 수 있겠다. 본 발명은 두 번째 이유를 해소하기 위해, 어린이 보호 장구에 식탁 의자의 기능을 겸함으로서 유아 시기부터 자동차 탑승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자주 사용하도록 하여 사용에 거부감을 줄이고자 한다.

Description

식탁겸용식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의자
본 발명은 차량의 시이트 위에 얹어 놓고 유지되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의자와 필요에 따라 식탁 의자에 얹어 어린이용 식탁 의자로서의 사용을 겸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의자의 구조 개량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시트는 자동차 시트 위에만 얹어 사용할 수 있도록 그 사용 용도가 한정되어 있다. 그 이유는 자동차 시트와의 결속 구조 와 기타 유아 안전 의자의 안전 규정에 따른 조건을 충족시켜야 하는 특수 목적의 제품이기 때문이다. 자동차 ③시트면 의 기울기는 대략 15°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린이의 보다 나은 안락함을 추구하기 위하여 통상 ③시트 부의 기울기는 승차된 어린이가 ④등받이 방향으로 편안히 기울어져 있도록 그 기울기가 더하다. 이는 ③시트면의 기울기가 없어야만 편히 식사를 할 수 있는 식탁 의자와는 일치하지 않는 해결 방안이다. 더욱이 유아용 안전 의자 ③시트 부엔 어린이의 성장 단계에 따른 절충 점을 찾아 어린이 가랑이 사이를 지지하는 ⑥안전벨트 (⑥가슴보호대부위)를 설치하는가 하면 ④등받이 방향으로 항상 조여 주어져야 하는 벨트 구조로 인하여 어린이 보호 장치인 안전벨트는 어린이의 안전을 주목적으로 어린이 상체의 구속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여건은 식탁 겸용에 큰 지장을 초래하며 선행 되어야 할 문제 사항이다.
이에 선행되어야 할 기술적 과제를 보면, 첫째 어린이용 식탁 의자 겸용시기존 식탁 의자와의 결합이다. 이는 결합 구조가 간단 해야 한다. 둘째 ⓐ식탁 의자 겸용시 절대적으로 필요한 어린이 상체의 자유로운 움직임이다. 이는 바닥 면에서 500mm위에 위치한 유아의 추락을 방지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셋째 ⓐ식탁 의자겸용시 ③시트 면상의 원활한 공간 확보이다. 넷째 ⓐ식탁 의자 겸용시 ⓑ기존 식탁 테이블을 사용할 수 없는 유아를 위한 ㉮식탁 테이블 확보이다. 다섯째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만족하면서 본래의 용도인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의자를 활용시 어린이에겐 안전과 안락함, 보호자에겐 편리함과 실용성을 만족하는 제품 구조를 충족 시켜야만 한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의자를 본 발명의 식탁용 베이스 어셈블리와 결합하여 설치한 상태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의자 상태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이린이 안전 의자와 식탁 의자를 결합한 단면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식탁 테이블과 자동차용 안전 의자를 결합한 단면도
도 5 - 본 발명에 따른 북미 사양 안전벨트를 도시하는 상태도.
도 6 - 제 2 도의 ⑨의 일부로서 ③시트부 및 ⑩등받이 부의 회전 조작을 위한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도(회전 레버)
도 7 - 제 2 도의 ⑩의 일부로서 ④등받이 부를 조작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도(tilt leve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자동차용 유아 안전 의자, 2. 베이스부, 3. 시트부,
4. 등받이부, 5. 헤드레스트, 6. 시트벨트부,
7. 시트 벨트 연결 고리, 8. 의자 연결 벨트, 9. 회전 작동레버,
10. 등받이 조절 작동레버, 11. 조절버클, 12. 회전레일,
13. 보조베트, 14. 회전축, 15. 벨트연결 좌면부.
이 까닭에 상술한 문제점 해결 및 상술한 과제의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WTO 무역상 기술 장벽(TBT) 통보문(문서 번호G/TBT/Notif. 97.79)에 따르면 미국은 2002년부터 유아용 안전 좌석의 차량 고정시 현재의 안전벨트로 사용 방식을 금지하고 유아용 좌석 하단에 설치된 2개의 고정용 버클과 상단에 설치된 1개의 벨트를 차량 좌석의 3개 고리 틀에 체결 고정하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안전 의자는 미국의 신규 규정을 대응코져 (제 5 도)고정용 버클을 추가했으며 이 버클을 장착할 수 있는 ⑮좌면 부위에 ⓐ식탁 의자와 연결할수 있는 ⑧의자 연결 벨트를 자연스럽게 조합한다. 이때 ⑧의자 연결 벨트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져있는 ⓐ기존 식탁 의자를 미끄럼 없이 감싸 주기위하여 재질을 고무로 사용하였으며 ⑧벨트가 감싸쥐는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하여 ⑪조절 버클을 사용했다. 대부분의 기존 ⓐ식탁 의자는 팔받침 부위가 없고 등받이 부위만 있어 이러한 형식의 결합 구조엔 문제가 없으며 본 ①안전 의자와 어린이의 무게로 인하여 기존 ⓐ식탁 의자에서 이탈될 염려는 없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 둘째로서 식탁 겸용시 어린이 상체의 원할한 활동을 위하여 ⑬보조 벨트를 따로 두며 어린이가 이탈하지 않도록 허리를 감싼다. 이때 기존 ⑥안전벨트는 ④등받이부 뒤로 젖혀 어린이에게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이 까닭에 ③시트면에 위치한 ⑥가슴보호대는 기술 문제 셋째에서 언급한바 와 같이 원할한 공간 확보를 위하여 탈 착이 가능한 ⑥가슴 보호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상술한 기술 과제 넷째로 식탁겸용시 식탁 테이블의 설치다. ③베이스 부에 ㉱파이프 고정홈을 설치 ㉯파이프를 끼워 유아에게 편리한 ㉮식탁 테이블까지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이 조건을 만족하는 본래 용도로서의 적합성이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바 와 같이 ①안전 의자는 ⓐ식탁 의자에 얹힐 경우 제 3 도의 경우와 같이 ③베이스면이 앞으로 기울어져 있어 바닥 면은 수평 감을 유지해 식탁 테이블용으로서 안전감을 준다. 반대로 자동차용 안전 의자로 사용할 때엔 본래 자동차 시트의 15°기울기와 ④등받이 부의 자유로운 각도 조절을 통해 어린이 에게 안락함을 준다. 이때 ④등받이부 조절은 ⑩보턴을 양쪽에서 눌러 제 7 도의 단면과 같이 ㉠철심의 좌우 이동을 통해 회전을 가능케 한다.
[바람직한 사용설명의 자세한 설명]
제 3 도의 단면과 같이 ⓐ기존 식탁 의자에 결합하여 사용할 때엔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우선 고무로 만들어진 ⑧벨트인 만큼 ①시이트 본체가 안전감 있게 고정되도록 ⓐ기존 식탁 의자의 등받이부나 바닥 부위를 선정하여 단단히 조여 주어야 하며 어린이와 ①시이트 본체의 무게로 인하여 ①시이트 본체가 ⓐ기존 식탁 의자에서 벗어나지 않더라도 사용중 양측 방향에서 물리적인 힘을 가할 경우 이탈된 염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①안전 의자의 경우 ⓐ식탁 의자 겸용시에도 만 4 세 까지 적합하며 ㉮식탁 테이블은 15개월 정도까지의 사용이 적합하다. 자동차용 안전 의자 본래의 용도로 사용을 할 때에는 ⑧식탁 의자 결합용 벨트는 뒤로 처지지 않도록 최대한 조여 차량에 부착할 때 간섭이 없도록 한다. 또한 ②베이스부와 ③시이트부를 연결하는 ⑭고정 축의 사이에는 ⑫로울러가 설치되어 ⑨회전 작동 버튼을 이 용 ③시이트부 및 ④등받이 부를 회전 시킨다. 회전은 180°가능하며 90°부위에는 멈춤 장치가 없으므로 차량운행중 ①시이트 본체를 90°회전한 상태로 운행을 하여서는 안된다.
차량운행중 어린이의 안전을 위한 운전 문화를 유지하기 위해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 장치는 필수품으로 간주하여야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실용성, 안전성, 편리성을 겸비한 본 발명품은 일반 가정에 보다 효과적으로 보급한다

Claims (5)

  1. ①베이스 본체 ⑮좌면 부위에 위치한 ②식탁 의자 연결 벨트 어셈블리와 그 재질이 고무 형태의 특징으로 하는 식탁 의자 겸용을 목적으로하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의자.
  2. 제 1항에 있어 식탁 의자 대용으로 제 3 도와 같은 ⓐ일반 식탁용의자에 ⑧연결 벨트가 ①안전 의자 본체를 연결하여 어린이용 식탁 의자를 목적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의자.
  3. 가슴보호대 및 시트 벨트 구조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어 짐을 특색으로 하여 ⑥안전벨트 부를 탈착 형식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안전 의자.
  4. ②베이스와 ③시트면을 ⑫레일이 달린 ⑭회전축이 제 3 도와 같이 회전 가능토록 연결시키며 ③시트 부와 ④등받이가 ⑭연결축을 기점으로 연결되어 ⑨보턴을 이용하여 회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의자.
  5. 제 5 도와 같이 ㉮식탁테이블 연결이 가능토록 ②베이스 좌면에 ㉱연결핀을 구성하며 연결 재질이 파이프를 특징으로 하는 ㉮식탁 보조 테이블 어셈블리.
KR1019980018731A 1998-05-25 1998-05-25 식탁겸용식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의자 KR19980043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731A KR19980043063A (ko) 1998-05-25 1998-05-25 식탁겸용식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731A KR19980043063A (ko) 1998-05-25 1998-05-25 식탁겸용식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063A true KR19980043063A (ko) 1998-08-17

Family

ID=65892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731A KR19980043063A (ko) 1998-05-25 1998-05-25 식탁겸용식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30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975B1 (ko) * 2012-10-05 2014-06-27 김진성 하드케이스 가방형태의 유아 놀이용 멀티 트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975B1 (ko) * 2012-10-05 2014-06-27 김진성 하드케이스 가방형태의 유아 놀이용 멀티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178B1 (ko) 자동차용어린이안전좌석
JP2558451Y2 (ja) 車両用シート
CA2124045A1 (en) Portable protective cushion arrangement for a toddler's car seat
KR20010015233A (ko) 컨버터블 헤드레스트
GB2256364A (en) Child safety-seat arrangement
JP5584035B2 (ja) 育児器具の座席構造および自動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KR19980043063A (ko) 식탁겸용식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의자
US20060082205A1 (en) Sleeping Aid
JPH10166917A (ja) 自動車用シート
KR200162057Y1 (ko) 자동차용 유아보호 시트
JP3211980B2 (ja) 子供用シート付き自動車用シート
CN219806729U (zh) 一种多功能座椅底座及儿童安全座椅
CN109591664A (zh) 汽车座椅及具有其的车辆
JP2583522Y2 (ja) 車両用回転腰掛
KR102332001B1 (ko) 캠핑카용 운전석 및 조수석 회전구조
JP2595598Y2 (ja) 幼児用シートに切替可能な車輌用シート
KR200299184Y1 (ko) 유아용 안전시트
KR960007636Y1 (ko) 머리받침용 리어 시트백
JPH0617628Y2 (ja) 乳幼児用シート
JP3538086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座席への固定方法
KR0170085B1 (ko) 차랑용 어린이 보호의자
JP2001137081A (ja) 自動車用ベビーベッド
KR200295647Y1 (ko) 유아용 안전의자
JP3132196B2 (ja) 子供用シート付自動車用シート
JP5495610B2 (ja) 育児用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