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463A - 발포 가공가능고무 조성물 및 그의 가황고무 발포성형품 - Google Patents

발포 가공가능고무 조성물 및 그의 가황고무 발포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463A
KR19980042463A KR1019970060227A KR19970060227A KR19980042463A KR 19980042463 A KR19980042463 A KR 19980042463A KR 1019970060227 A KR1019970060227 A KR 1019970060227A KR 19970060227 A KR19970060227 A KR 19970060227A KR 19980042463 A KR19980042463 A KR 19980042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ethylene
rubber composition
weight
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끼 까와사끼
슈이찌 노나까
마사오 꾸니자네
타꾸 꼬다
테쓰오 토조
Original Assignee
사또 아끼오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또 아끼오,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사또 아끼오
Publication of KR19980042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46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08L23/0823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cyclic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6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9Thiocarbam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dithiocarbam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 C08K5/4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with oxygen or nitrogen in the ring
    • C08K5/47Th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4Applications used for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틸렌/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A) 100~150℃의 융점(Tm)을 갖는 결정질폴리올레핀수지(B) 및 발포제(C)를 특정비로 포함하는 발포가공 가능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중합체고무(A)는 에틸렌/α-올레핀 몰비가 60/40~80/20이고, 135℃의 데카린중에서 측정한 극한 점도(η)가 0.7~2dl/g이고, 요드가가 10~50이다.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은 상기 고무조성물을 가황 발포하여 얻을 수 있으며, 고무조성물은 내후성, 내열성, 내오존성 및 전단강도 등의 우수한 가황물성을 갖는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외에도 고무조성물은 전사성형, 사출성형 및 주조성형시에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의 우수한 정밀 성형성과 생산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발포 가공가능고무 조성물 및 그의 가황고무 발포성형품
본 발명은 내열성, 내후성, 내오존성 및 강도 등의 우수한 가황 특성을 갖는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스폰지고무)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전사성형, 사출성형 및 주조성형시 우수한 정밀 성형성과 생산성을 나타내는 발포가공 가능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또한 그 고무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및 에틸렌/α-올레핀/디엔 공중합체는 그들의 주쇄내에 불포화결합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디엔고무보다 우수한 내후성, 내열성 및 내오존성을 나타내며 그들은 자동차산업부품류, 산업고무부품류, 전기절연재류, 토목 및 건축자재류와 고무섬유와 같은 고무제품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고무부품과 제품의 더 좋은 성능과 더 높은 기능의 요구와 더불어 그들의 형상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성형시 예를 들어 전사성형, 사출성형 및 주조성형시에 정밀 성형성과 생산성의 관점에서 보아 더 높은 유동성을 갖는 고무재료가 요망되고 있다.
고무재료로서 지금까지 저분자량 에틸렌/α-올레핀/디엔 공중합체 또는 대량의 프로세스 오일과 혼합한 고분자량 에틸렌/α-올레핀/디엔 공중합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저분자량 에틸렌/α-올레핀/디엔 공중합체의 사용은 물성 특히 성형품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대량의 프로세스오일과 혼합한 고분자량 에틸렌/α-올레핀/디엔 공중합체의 사용은 오일이 스며나오기 때문에 모울드(mold)가 오염되거나 또는 가황이 불충분하게 되어 결국 성형품의 물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내열성, 내후성 내오존성 및 전단강도 등이 우수한 가황물성을 갖는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스폰지고무)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사성형, 사출성형 및 주조성형시에 우수한 정밀 성형성과 생산성을 나타내는 발포가공 가능 고무 조성물과 그 고무조성물의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이 요망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과 연관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열성, 내후성, 내오존성 및 전단강도 등의 우수한 가황물성을 갖는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스폰지고무)을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전사성형, 사출성형 및 주조성형시에 우수한 정밀 성형성과 생산성을 나타내는 발포가공가능 고무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러한 고무조성물의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실시예들에서 성능시험에 사용되는 가황튜브형 스폰지고무의 정면도
도 1b는 튜브형 스폰지고무의 횡단면도
도 2a는 실시예들에서 유동시험에 사용되는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의 상면도
도 2b는 성형품의 수직단면도
본 발명에 의하면 에틸렌/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A) 100중량부, DSC로 측정하여 100~150℃의 융점(Tm)을 갖는 결정질폴리올레핀수지(B) 5~50중량부 및 발포제(C) 0.5~50중량부로 구성되고, 상기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A)가 하기 물성을 갖는 발포가공가능 고무 조성물이 제공된다.
(a) 에틸렌과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에틸렌/α-올레핀)의 몰비가 60/40~80/20이고, (b) 135℃의 데카히드로나프탈렌(데카린)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7~2dl/g이고, (c) 요드가가 10~50임
상기 결정질폴리올레핀수지(B)로는 1-부텐 중합체 또는 DSC로 측정하여 135~145℃의 융점을 갖는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좋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고무조성물을 가황 및 발포하여 얻어지는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발포가공가능 고무조성물과 가황고무발포성형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포가공가능 고무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A), 결정질폴리올레핀수지(B) 및 발포제(C)로 구성된다. 고무조성물은 또한 상술한 성분들 이외에 가황제(D), 가황촉진제, 가황조제, 발포조제 등의 고무배합성분들을 함유할 수도 있다.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A)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A)는 에틸렌,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 및 비공액폴리엔으로 된 랜덤공중합체이다.
α-올레핀은 예를 들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트리데센, 1-테트라데센, 1-펜타데센, 1-헥사데센, 1-헵타데센, 1-옥타데센, 1-노나데센 및 1-에이코센 등이 있다. 이들중 프로필렌, 1-부텐, 4-메틸-1-펜텐, 1-헥센 및 1-옥텐이 좋다. 따라서 에틸렌/프로필렌/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 에틸렌/1-부텐/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 에틸렌/4-메틸-1-펜텐-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 에틸렌/1-헥센/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 및 에틸렌/1-옥텐/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A)에서 에틸렌과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의 몰비(에틸렌/α-올레핀)는 60/40~80~20, 바람직하게는 63/37~77/23, 좀더 바람직하게는 65/35~75/25가 좋다.
비공액폴리엔으로서 환상 또는 쇄상 비공액폴리엔을 사용할 수도 있다.
환상 비공액폴리엔은 예를 들어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5-비닐-2-노르보르넨, 노르보르넨 및 메틸테트라히드로휴란 등이 있다. 쇄상 비공액폴리엔은 예를 들어 1,4-헥사디엔, 7-메틸-1,6-옥타디엔, 8-메틸-4-에틸리덴-1,7-노나디엔 및 4-에틸리덴-1,7-운데카디엔 등이 있다.
이들 비공액폴리엔류는 단독 또는 2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공중합체내에서 그의 양은 요드가로 환산하여 10~50, 바람직하게는 15~40, 좀더 바람직하게는 20~30이 좋다.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A)는 135℃의 데카린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7~2dl/g, 바람직하게는 0.8~1.5dl/g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A)를 단독 또는 2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물성을 갖는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A)는 중합체 제조 방법(고교 초사까이사 발행, 309~330페이지)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방법들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결정질폴리올레핀수지(B)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위한 결정질폴리올레핀수지(B)는 DSC(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하여 100~150℃, 바람직하게는 110~145℃, 좀더 바람직하게는 110~140℃의 융점(Tm)을 갖는다.
결정질폴리올레핀수지(B)로는 예를 들어 1-부텐 중합체, 90몰% 이상의 1-부텐 함량을 갖는 1-부텐/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90몰% 이상의 1-부텐 함량을 갖는 1-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1-부텐/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80몰% 이상의 프로필렌 함량을 갖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80% 이상의 프로필렌 함량을 갖는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또는 80몰% 이상의 프로필렌 함량을 갖는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등의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이 있다.
이들중 135~145℃의 융점을 갖는 프로필렌 공중합체와 1-부텐 중합체가 좋고, 1-부텐 중합체가 특히 좋다.
결정질폴리올레핀수지(B)가 프로필렌 (공)중합체일 경우, (공)중합체는 통상 0.1~50g/10min, 바람직하게는 0.5~40g/10min, 좀더 바람직하게는 1~30g/10min의 용융유속(ASTM D1238, 230℃, 2.16kg의 하중)을 갖는다.
결정질 폴리올레핀수지(B)가 1-부텐 (공)중합체일 경우, (공)중합체는 통상 0.05~50g/10min, 바람직하게는 0.1~30g/10min, 좀더 바람직하게는 0.5~20g/10min의 용융유속(ASTM D1238, 190℃, 2.16kg부하)을 갖는다.
결정질폴리올레핀수지(B)는 X-레이 회절계로 측정하여 통상 20% 이상의 결정화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결정질폴리올레핀수지(B)는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A) 100중량부를 기준하여 5~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40중량부, 좀더 바람직하게는 15~30중량부 사용한다. 결정질폴리올레핀수지(B)를 이와 같은 양으로 사용하면 내후성, 내열성, 내오존성 및 전단강도 등의 우수한 가황물성을 갖는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는 고무조성물이 얻어진다. 상기 고무조성물은 전사성형, 사출성형 및 주조성형시에 우수한 정밀 성형성과 생산성을 나타낸다.
발포제(C)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발포제(C)는 예를 들어 중탄산나트륨, 탄산나트륨, 중탄산암모늄염, 탄산암모늄염, 아질산암모늄염, N,N'-디메틸-N,N'-디니트로소테레프탈아미드,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아조디카본아미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시클로헥실니트릴, 아조디아미노벤젠, 바리움 아조디카복실레이트, 벤젠설포닐히드라지드, 톨루엔설포닐히드지라드, p,p'-옥시비스(벤젠설포닐 히드라지드), 디페닐설폰-3,3'-디설포닐히드라지드, 칼슘아지드, 4,4'-디페닐디설포닐아지드 및 p-톨루엔설포닐 아지드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발포제(C)는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A) 100중량부를 기준하여 0.5~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40중량부, 좀더 바람직하게는 2~30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좋다.
기타 성분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A), 폴리올레핀수지(B) 및 발포제(C) 이외에 본 발명에 의한 발포가공가능 고무조성물은 가황제(D), 가황촉진제, 가황조제, 발포조제, 충전제, 연화제, 가소제, 가공조제, 노후바이제, 열안정제, 내후안정제, 정전방지제, 착색제, 윤활제, 중점제 등의 각종 고무배합성분 및 기타 성분을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함유할 수 있다.
가황제(D)로서 황, 황화합물 또는 유기퍼옥사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황을 예를 들어 분말황, 침강황, 교질황, 표면처리황 및 불용성황 등이 있다.
황화합물은 예를 들어 염화황, 이염화황, 고분자량 다황화물 및 모르포린 디설파이드, 알킬페놀 디설파이드, 테트라메틸치우람 디설파이드 및 디펜타메틸렌치우람 테트라설파이드 등의 가황온도에서 활성황을 방출하여 가황할 수 있는 황화합물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황과 황화합물은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A) 100중량부를 기준하여 통상 0.1~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3중량부, 좀더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부 사용한다.
황 또는 황화합물을 가황제(D)로서 사용할 때는 가황촉진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가황촉진제는 예를 들어; N-시클로헥실-2-벤조치아졸 설펜아미드, N-옥시디에틸렌-2-벤조치아졸 설펜아미드, N,N'-디이소프로필-2-벤조치아졸 설펜아미드, 2-머캅토벤조치아졸, 2-(2,4-디니트로페닐)머캅토벤조치아졸, 2-(2,6-디에틸-4-모르폴리노치오)벤조치아졸 및 디벤조치아질 디설파이드 등의 치아졸 화합물, 디페닐구아니딘, 트리페닐구아니딘, 디오소니트릴구아니딘, 오소니트릴비구아니드 및 디페닐구아니딘 프탈레이트 등의 구아니딘 화합물, 아세트알데히드-아니린 축합물, 부틸알데히드-이니린 축합물, 헥사메틸렌테트라민 및 아세트알데히드 암모니아 등의 알데히드 아민 화합물 및 알데히드 암모니아 화합물, 2-머캅토이미다졸린 등의 이미다졸릴 화합물, 치오카바닐라이드, 디에틸치오우레아, 디부틸치오우레아, 트리메틸치오우레아 및 디오소토릴치오우레아 등의 치오우레아 화합물, 테트라메틸치우람 모노설파이드, 테트라메틸치우람 디설파이드, 테트라에틸치우람 디설파이드, 테트라부틸치우람 디설파이드 및 펜타메틸렌차우람 테트라설파이드 등의 치우람 화합물, 징크 디메틸디치오카바메이트, 징크 디에틸디치오카바메이트, 징크 디-n-부틸디치오카바메이트, 징크 에틸페닐디치오카바메이트, 징크 부틸페닐디치오카바메이트, 소듐 디메틸디치오카바메이트, 설레늄 디메틸디치오카바메이트 및 텔루리움 디메틸디치오카바메이트 등의 디치오카바민 산염 화합물, 징크 디부틸크산테이트 등의 크산테이트 화합물 및 아연화 등의 기타 화합물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황촉진제를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A) 100중량부를 기준하여 0.1~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15중량부, 좀더 바람직하게는 1~10중량부 사용한다.
그들이 퍼옥사이드 가황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합물인한 유기퍼옥사이드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유기퍼옥사이드는 예를 들어 디큐밀 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t-디부틸 히드로퍼옥사이드, t-부틸큐밀 퍼옥사이드, 벤조일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신-3, 2,5-디메틸-2,5-디(벤조일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모노(t-부틸퍼옥시)헥산 및 α,α'-비스(t-부틸퍼옥시-m-이소프로필)벤젠 등이 있다. 이들중 디큐밀 퍼옥사이드, 디-t-부틸 퍼옥사이드, 및 디-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이 좋다. 이들 유기퍼옥사이드는 단독 또는 2이상 조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기퍼옥사이드를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A) 100중량부를 기준하여 통상 3×10-3~5×10-2몰, 바람직하게는 1×10-3~3×10-2몰 사용한다. 가황품에 필요한 물성에 따라 사용하는 유기퍼옥사이드의 양을 결정하는 것이 좋다.
유기퍼옥사이드를 가황제(D)로서 사용할 때는 가황조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가황조제는 예를 들어 황; p-퀴논디옥심 등의 퀴논디옥심화합물: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레이트 화합물; 디아릴 프탈레이트 및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아릴 화합물; 말레이미드 화합물 및 디비닐벤젠 등이 있다.
가황조제는 유기퍼옥사이드 1몰을 기준하여 0.5~2몰, 바람직하게는 유기퍼옥사이드와 등몰량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발포조제로서 종래의 발포조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강성을 갖는 것 뿐만 아니라 보강성을 갖지 않는 충전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보강성을 갖는 충전재는 인장강도, 전단강도 및 내마모성 등의 가황고무의 기계적 물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한 충전재는 예를 들어 실란결합제 등으로 표면이 처리된 카본블랙, 실리카, 활성탄산칼슘 및 미분말화된 탈크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타입의 카본블랙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보강성을 갖지 않는 충전제는 고무제품의 물성에 그렇게 큰 영향을 주지않고 고무제품의 경도를 개선하거나 또는 코스트를 줄이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그러한 충전재는 예를 들어 탈크, 점토, 및 탄산칼슘 등이 있다.
충전재는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A) 100중량부를 기준하여 통상 250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중량부 이하 사용할 수 있다.
연화제로는 고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연화제는 예를 들어 프로세스오일, 윤활유, 파라핀, 액체파라핀, 석유아스팔트, 바세린, 콜타르, 캐스터오일, 린시드오일, 팩티스, 밀납,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바리움스테아레이트, 칼슘스테아레이트, 징크라우레이트, 어택틱폴리프로필렌 및 코우마론-인덴수지류 등이 있다. 이들중 프로세스오일이 특히 좋다.
연화제는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A) 100중량부를 기준하여 통상 150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중량부 이하, 좀더 바람직하게는 70중량부 이하 사용할 수 있다.
고무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에 의한 발포가공가능 고무조성물은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밴버리믹서 등의 믹서로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A), 결정질폴리올레핀수지(B) 및 필요에 따라 충전재, 연화제 및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약 3~10분동안 80~170℃에서 혼련한 다음 개방롤밀 등의 롤밀로 혼련물에 발포제(C), 가황제(D) 및 필요에 따라 소포제, 발포조제 및 가황촉진제 또는 가황조제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5~30분동안 40~80℃의 롤온도에서 더 혼련한 다음 롤링에 의해 고무조성물을 제조한다. 그렇게 제조된 고무조성물은 리본 또는 쉬트형이다.
가황고무 발포성형품
본 발명에 의한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은 본 발명의 상술한 고무조성물의 가황발포성형품이다.
본 발명의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은 하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얻은 고무조성물을 전사성형, 사출성형 및 주조성형에 의해 형성한 다음 성형품을 가황영역에 넣고 가열공기, 유동상, 용융염조, 마이크로웨이브 등에 의해 가열하여 가황 및 발포를 행한다.
[실시예]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더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 실시예들에서는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의 물성을 하기와 같은 시험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1) 비중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가황튜브형스폰지고무의 상부로부터 20mm×20mm의 시료를 천공절취하여 그의 표면을 알콜로 세척한 다음 자동비중기(도요 세이끼 세이사꾸쇼사제 모델 No. M-1)의 소정위치에 세트시킨후 대기중의 시료의 질량과 순수물중의 시료의 질량간의 차로부터 시료의 비중을 측정했다.
(2) 인장강도시험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가황튜브형 스폰지고무의 상부로부터 JIS K6301(1989)에 따라 덤벨시료(dumbbell specimen ; No.3의 형상)를 세로방향으로 천공절취했다.
시료의 인장시험을 JIS K6301-3의 방법에 따라 측정온도 25℃와 응력속도 500mm/min의 조건으로 실행하여 시료의 파괴인장응력(TB)과 파괴인장신도(EB)를 측정했다.
(3) 전단강도시험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가황튜브형 스폰지고무의 상부로부터 길이 120mm, 폭 25mm의 띠형 시료를 세로방향으로 천공절취하여 단날 커터에 의해 일단부로부터 중심선을 따라 길이방향(알맹이 방향)으로 천공된 띠의 전체길이의 1/3길이의 긴구멍을 형성했다. 시료의 두께를 측정한후 긴구멍부분의 양단을 40mm의 척간격에서 인장시험기에 끼운 다음 시료가 찢어질 때까지 당겨서 시료의 전단강도(Tr)를 측정했다.
(4) 영구압축왜시험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가황튜브형 스폰지고무를 절단하여 30mm의 길이를 갖는 시료를 얻은 다음 시료를 스폰지고무의 영구압축왜를 측정하기 위해 모울드내에 넣고 시료(튜브)의 높이 즉, 튜브의 직경이 초기높이(직경)의 50%가 되도록 압축했다. 그후 시료를 갖는 모울드를 200시간동안 70℃의 기어오븐내에서 열처리하였다. 열처리후 모울드를 기어오븐으로부터 꺼내어 30분동안 냉각을 위해 방치했다. 시료(튜브)의 높이를 측정하여 시료의 영구압축왜(CS)를 하기 관계식으로부터 산출했다.
영구압축왜(%)=[(t0-t1)×100]/(t0-t2)
t0:압축전의 시료의 높이
t1:열처리후 30분동안 냉각후의 시료의 높이
t2:측정모울드내의 50%까지 압축된 시료의 높이
(5) 유동성시험
10g의 배합고무를 10초동안 트랜스퍼 성형기의 모울드 내에서 성형한 다음 3.5분동안 180℃에서 가황 발포했다.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얻어진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을 모울드로부터 꺼낸 다음 발포성형품의 길이(도 2에서 L)를 측정했다.
(6) 탈형의 용이성(ease of demolding)
상술한 트랜스퍼 성형기로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튜브형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외경:20mm, 내경:16mm, 길이:200mm)을 제조했다. 즉 전사성형후 코아를 갖는 발포성형품을 모울드로부터 꺼내어 코아를 인출했다. 튜브를 15초동안 상부에 5kg/20cm의 부하를 걸어서 압축한 후 부하를 제거한 다음 냉각을 위해 방치후 튜브의 높이를 측정했다. 탈형의 용이성을 튜브의 높이로서 평가했다.
[실시예 1]
1.7리터 밴버리믹서(고베세이꼬쇼사제)내에서 하기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공중합체(EPT(1)) 100중량부, 120℃의 융점(DSC로 측정, Tm)과 0.6g/10min의 용융유속(ASTM D 1238, 190℃, 2.16kg의 하중)을 갖는 1-부텐 중합체 20중량부, 아연화 5중량부, 스테아린산 2중량부, SRF 카본블랙(상표명:아사이#50, 아사이카본사제) 80중량부 및 파라핀성 프로세스오일(상표명:다이아나 프로세스오일 PW-380, 이데미쯔코산사제) 40중량부를 5분 동안 145℃에서 혼련 하였다.
EPT(1)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몰비=72/28
극한점도(η)(135℃의 데카린중에서 측정)=1.0dl/g
요드가=22
위에서 얻은 혼련물 247중량부에 2-머캅토벤조치아졸(가황촉진제, 상표명:산셀러, M, 산신가가꾸사제) 0.5중량부, 테트라메칠치우람 디설파이드(가황촉진제, 상표명:산셀러 TT, 산신가가꾸사제) 0.5중량부, 징크 디-n-부틸디치오카바메이트(가황촉진제, 상표명:산셀러 BZ, 산신가가꾸사제) 1.5중량부, 테트라에틸치우람 디설파이드(가황촉진제, 상표명:산셀러 TET, 산신가가꾸사제) 0.5중량부, 황 1.0중량부, 아조디카본아미드(발포제, 상표명:비니포 AC#3, 에이와케미칼공업사제) 7.0중량부 및 우레아형 발포조제(상표명:셀페이트101, 에이와케미칼공업사제) 2.0중량부를 첨가한후 그 혼합물을 8-인치 롤(앞롤과 뒤롤의 온도:50℃)에 의해 8분동안 혼련하여 고무조성물을 제조했다.
그 다음 고무조성물을 10초동안 상술한 트랜스퍼 성형기의 튜브형모울드내에서 주조한후 3.5분 동안 180℃의 모울드온도에서 가황 발포하여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스폰지고무)을 얻었다.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의 물성을 전술한 시험방법으로 측정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했다. 그러나 1-부텐 중합체 대신 138℃의 융점(Tm), 3몰%의 에틸렌함량 및 2몰%의 1-부텐함량을 갖는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공중합체를 사용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했다. 그러나 1-부텐 중합체는 사용하지 않았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1.7리터 밴버리믹서(고베세이꼬쇼사제)내에서 실시예 1에서 사용된 EPT(1) 70중량부, 하기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공중합체(EPT(2)) 30중량부, 120℃의 융점(DSC로 측정, Tm)과, 0.6g/10min의 용융유속(ASTM D 1238, 190℃, 2.16kg의 하중)을 갖는 1-부텐 중합체 20중량부, 아연화 5중량부, 스테아린산 1중량부, SRF-HS 카본블랙(상표명:아사이#50H, 아사이카본사제) 72중량부 및 파라핀성프로세스오일(상표명:다이아나 프로세스오일 PW-380, 이데미쯔코산사제) 72중량부를 5분 동안 140℃에서 혼련 하였다.
EPT(2)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몰비=78/22
극한점도(η)(135℃의 데카린중에서 측정)=3.3dl/g
요드가=12
위에서 얻은 혼련물 270중량부에 2-머캅토벤조치아졸(가황촉진제, 상표명:산셀러, M, 산신가가꾸사제) 0.5중량부, 테트라메틸치우람 디설파이드(가황촉진제, 상표명:산셀러 TT, 산신가가꾸사제) 0.5중량부, 징크 디-n-부틸디치오카바메이트(가황촉진제, 상표명:산셀러 BZ, 산신가가꾸사제) 1.5중량부, 테트라에틸치우람 디설파이드(가황촉진제, 상표명:산셀러 TET, 산신가가꾸사제) 0.5중량부, 황 1.0중량부, 아조디카본아미드(발포제, 상표명:비니포 AC#3, 에이와케미칼공업사제) 7.0중량부 및 우레아형 발포조제(상표명:셀페이스트101, 에이와케미칼공업사제) 2.0중량부를 첨가한후 그 혼합물을 8-인치 롤(앞롤과 뒤롤의 온도:50℃)에 의해 8분동안 혼련하여 고무조성물을 제조했다.
그 다음 고무조성물을 10초동안 상술한 트랜스퍼 성형기의 튜브형모울드내에서 주조한후 3.5분 동안 180℃의 모울드온도에서 가황 발포하여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스폰지고무)을 얻었다.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의 물성을 전술한 시험방법으로 측정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3의 절차를 반복했다. 그러나 1-부텐 중합체는 사용하지 않았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했다. 그러나 1-부텐 중합체 대신 164℃의 융점(Tm)과 10g/10min의 용융유속(ASTM D1238, 230℃, 2.16kg의 하중)을 갖는 프로필렌 중합체를 사용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표 1]
본 발명에 의한 발포가공고무조성물은 내후성, 내열성, 내오존성 및 전단강도 등의 우수한 가황물성을 갖는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그외에도 고무조성물은 전사성형, 사출성형 및 주조성형시에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의 우수한 정밀 성형성과 생산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가황고무 발포성형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우수한 가황물성을 갖는다.

Claims (4)

  1. 에틸렌/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A) 100중량부, DSC로 측정하여 100~150℃의 융점(Tm)을 갖는 결정질폴리올레핀수지(B) 5~50중량부 및 발포제(C) 0.5~50중량부로 구성되고, 상기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폴리엔 공중합체고무(A)가 하기 물성:
    (a) 에틸렌과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에틸렌/α-올레핀)의 몰비가 60/40~80/20이고,
    (b) 135℃의 데카히드로나프탈렌(데카린)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7~2dl/g이고,
    (c) 요드가가 10~50임
    을 갖는 발포가공가능 고무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결정질폴리올레핀수지(B)가 1-부텐 중합체 또는 DSC로 측정하여 135~145℃의 융점을 갖는 프로필렌 공중합체인 발포가공가능 고무조성물.
  3.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조성물은 가황제(D)를 함유하는 발포가공가능 고무조성물.
  4. 제1항 기재의 고무조성물을 가황 및 발포하여 얻은 가황고무 발포성형품.
KR1019970060227A 1996-11-15 1997-11-15 발포 가공가능고무 조성물 및 그의 가황고무 발포성형품 KR199800424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464496 1996-11-15
JP304644 1996-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463A true KR19980042463A (ko) 1998-08-17

Family

ID=1793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227A KR19980042463A (ko) 1996-11-15 1997-11-15 발포 가공가능고무 조성물 및 그의 가황고무 발포성형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62543A (ko)
EP (1) EP0842979A1 (ko)
KR (1) KR19980042463A (ko)
CN (1) CN1102608C (ko)
CA (1) CA22210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391B1 (ko) * 2001-08-11 2004-12-17 박병충 파스텔 톤을 갖는 발포매트의 전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6842B1 (en) 1997-01-29 2003-01-14 Dupont Dow Elastomers L.L.C. Rheology-modified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s and articles fabricated therefrom
TWI230723B (en) * 1999-06-30 2005-04-11 Sumitomo Chemical Co Oil-extended copolymers for sponge
US20040154133A1 (en) * 2002-03-15 2004-08-12 Trostel Specialty Elastomers Group, Inc. Separable apparatus to cushion and dampen vibration and method
US8158689B2 (en) 2005-12-22 2012-04-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ybrid absorbent foam and articles containing it
JP5424893B2 (ja) * 2007-12-05 2014-02-26 三井化学株式会社 ゴム組成物、該組成物の架橋体および発泡体、該組成物からなるゴム成形体ならびにそれらの用途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22815C2 (de) * 1977-05-26 1994-02-17 Mitsui Petrochemical I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eilweise vulkanisierten thermoplastischen Masse
JPH0660255B2 (ja) * 1986-09-16 1994-08-10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無架橋発泡体
JP2814609B2 (ja) * 1988-10-14 1998-10-27 三井化学株式会社 高独立気泡性エチレン・α―オレフィン系ゴム
JP2924087B2 (ja) * 1990-05-24 1999-07-26 三菱化学株式会社 ランダム共重合体の架橋体及び架橋発泡体
TW383314B (en) * 1994-12-20 2000-03-01 Mitsui Petrochemical Ind Ethylene-alpha-olefin-nonconjugated polyene random copolymer, rubbe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random copolymer
US5786403A (en) * 1996-03-04 1998-07-28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Foamable olefi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s and foamed products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391B1 (ko) * 2001-08-11 2004-12-17 박병충 파스텔 톤을 갖는 발포매트의 전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5456A (zh) 1998-06-24
EP0842979A1 (en) 1998-05-20
CN1102608C (zh) 2003-03-05
CA2221081A1 (en) 1998-05-15
US5962543A (en)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4941B1 (ko) 내열고무조성물
KR100713040B1 (ko) 고무 조성물
JP5778379B2 (ja) 押出し成形及び型成形用ゴム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5385660B2 (ja) ゴム組成物およびゴム成形体
JP3766219B2 (ja) スポンジ用ゴム組成物及びその加硫ゴム発泡成形体
JP2001049056A (ja) 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ゴム組成物
JP3692739B2 (ja) 注入スポンジ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の加硫ゴム発泡成形体
KR19980042463A (ko) 발포 가공가능고무 조성물 및 그의 가황고무 발포성형품
JP4562898B2 (ja) 複合成形品およびその用途
JP3773372B2 (ja) スポンジ用熱硬化性ゴム組成物及びその加硫ゴム発泡成形体
JP3929083B2 (ja) 耐熱ゴム組成物
JP4583592B2 (ja) ゴム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3654472B2 (ja) スポンジゴム用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ウェザーストリップスポンジゴムおよび型成形スポンジゴム
JP5675518B2 (ja) 組成物およびその架橋体
JP2010280777A (ja) ゴム組成物およびゴム成形体
JP3773376B2 (ja) スポンジ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の加硫ゴム発泡成形体
JP5204512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2007308723A (ja) 発泡用ゴム組成物及びその発泡成形体
JPH11349716A (ja) 注入スポンジ用ゴム組成物及びその加硫ゴム発泡成形体
JP2002212328A (ja) ゴム発泡成形体
JPH11279290A (ja) リサイクルゴム成形体および製造方法
JP3711621B2 (ja) ゴムロール用エチレン−α−オレフィン系共重合体ゴム組成物
JP2000226464A (ja) 加硫ゴム発泡成形体およびその加硫ゴム発泡成形体用ゴム組成物
JP4536842B2 (ja) 発泡用ゴム組成物及びその発泡成形体
JP2001270957A (ja) スポンジ用ゴム組成物およびスポ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