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371A - 수평 에스자 보정회로 - Google Patents

수평 에스자 보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371A
KR19980042371A KR1019970059643A KR19970059643A KR19980042371A KR 19980042371 A KR19980042371 A KR 19980042371A KR 1019970059643 A KR1019970059643 A KR 1019970059643A KR 19970059643 A KR19970059643 A KR 19970059643A KR 19980042371 A KR19980042371 A KR 19980042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correction
capacitor
shap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6585B1 (ko
Inventor
아리마겐지
타케무라타케오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313770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64388A/ja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ublication of KR19980042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5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4Deflection circuits ; 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전 수신기, 디스플레이 모니터 등의 음극선관(CRT) 수평 편향회로에 S자보정 콘덴서를 설치한 수평 S자 보정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밀도가 좋은 보정 효과를 얻고, 또한 그 조정에 자유도를 주는 수평 S자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수평 편향회로의 S자보정 콘덴서(CS)의 용량은, 수평 주사의 소정 기간, 예를 들어 전반 및 후반의 수평 주사기간에서 S자보정 콘덴서(CS1및 CS2)를 절환 스위치(SW1및 SW2)로 접속 또는 분리함으로써, 가변적이고, 따라서, S자보정 특성이 조정된다. 즉, 정밀도가 높은 S자보정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직류신호(DA-CTL1및 DA-CTL2)의 값을 조정함으로써, 수평 주사기간의 조정폭을 전반과 후반으로 나누어서, 임의로 제어할 수 있다. 게다가, 수직 파라볼라파를 이용하여, 화면의 수직 위치에 대응한 S자보정폭을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평 에스자 보정회로
본 발명은, 텔레비전 수신기, 디스플레이 모니터 등의 음극선관 수평 편향회로에 S자보정 콘덴서를 설치한 수평 에스(S)자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수평 편향회로의 1실시예로서, HD는 수평 구동신호 발생기, TR은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D는 댐퍼 다이오드, CT는 공진 콘덴서, LDY는 수평 편향코일, CS는 S자보정 콘덴서, FBT는 플라이백 트랜스, +B는 수평 편향회로전압이다. 이 수평 편향회로의 동작에 대해서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화면 전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S자보정 콘덴서(CS)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편향요-크에 흐르는 편향전류는, 도 2(A)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특성을 보이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실제적으로, 댐퍼 다이오드(D)의 저항손실과,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TR)의 온(on)저항손실 및 편향요-크의 실효 저항값 등에 의한 손실 영향으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비직선 특성을 보인다.
이와 같은 특성에 의하여, 화면은 주사의 전반 부분에서 넓어지고, 주사 후반이 될 수록 점차로 줄어든다.
따라서, 화상이 화면 왼쪽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고, 화면 오른쪽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줄어드는 왜곡이 발생한다.
게다가, 브라운관은, 구면아니기 때문에, 외관상으로 비직선성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화상이, 화면의 중앙부에서는 줄어들고, 화면의 주변에서는 늘어나는 왜곡이 발생한다.
이들 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도 1의 수평 편향회로의 인덕턴스 값, 특히, 수평 편향코일(LDY)과 공진하는 S자보정 콘덴서(CS)를 부가하여, S자보정을 시도하고 있다. 이 보정 정도는 왜곡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수평 동기의 2배의 주파수로 공진시키면, 예를 들어, 보정전류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진전류가 된다.
따라서, 상기 보정전류에 의하여, 도 2(C)와 같은, 수평편향 전류특성을 얻을 수 있다. 즉, 수평 편향전류 주사기간의 처음과 끝에서는, 전류경사가 완만해져서, 수평 방향의 진폭이 좁아지고, 주사기간의 중앙부에서는, 전류경사가 급해져서, 수평방 향진폭은 넓어진다.
따라서, 편향전류의 비직선성과, 브라운관의 비구면에 의하여 발생한 화상의 왜곡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언급한 상기 종래의 S자보정 회로에서, S자보정 콘덴서는 그 용량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정밀도가 좋은 보정효과를 얻을 수 없고, 또 그 S자보정 콘덴서의 용량 조정의 자유도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 편향회로에 S자보정 콘덴서를 설치한 수평 S자 보정회로에서, 정밀도가 좋은 보정 효과를 얻고, 또한 그 S자보정 콘덴서의 용량 조정에 자유도를 주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수평 편향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
도 2는, 도 1의 회로에 의하여 얻어지는 S자보정 특성을 나타낸 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평 S자 보정회로를 적용한 수평 편향회로의 예를 나타낸 도.
도 4는, 도 3의 회로에 의한 S자보정 특성을 나타낸 도.
도 5는, 도 3의 회로에서 S자보정 콘덴서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을 나타낸 도.
도 6은, 도 3의 타이밍펄스 발생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
도 7은, 도 6의 회로에서 각 파형을 나타낸 도.
도 8은, 도 6의 회로에서 각 파형을 나타낸 도.
도 9는, 도 3의 회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하여, 음극선관 화면을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 : 타이밍펄스 발생부 12 : 파형 정형부
13 : 권선 15, 16 : 직류전압 가산기
17, 18 : 비교기 19 : 반전 앰프
21 : 음극선관 화면 HD : 수평구동신호 발생기
TR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D : 댐퍼 다이오드
CT :공진 콘덴서 LDY :수평 편향코일
CS :S자보정 콘덴서 FBT : 플라이백 트랜스
+B : 수평 편향회로전압 CS1, CS2: 보정용 S자 콘덴서
SW1, SW2: 스위치 CS - CTL1, CS - CTL2: 제어신호
DA - CTL1, DA - CTL2: 제어직류신호
본 발명은, 수평 편향회로에 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S자보정 콘덴서를 설치한 S자 보정회로로서, 수평 주기의 소정 기간에서, 이 S자보정 콘덴서의 용량을 변경할 수 있는 S자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 S자보정 콘덴서는, 종래의 S자 보정회로와 마찬가지로, 수평 편향회로의 인덕턴스 값과 공진함으로써, 수평 편향전류가 S자특성을 가지게 되어, 화상의 왜곡이 경감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 편향 주사기간 중에 S자보정 콘덴서의 용량을 변경함으로써, S자보정을 원하는 특성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보다 정밀도가 높은 S자보정을 할 수 있다.
또, 이 S자보정 콘덴서의 용량변경은, 1수평주기의 전반 및 후반으로 나누어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서는, 용량변경하는 시간의 폭을 가변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때에는, 수평 주사 기간 중의 전반과 후반의 균형이 맞춰진 S자보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음극선관의 수평 편향 기간 중의 비구면 왜곡의 정도는, 음극선관의 수직 방향의 위치에 대응하여 달라진다. 결국, 수평 방향의 좌우끝에서 발생하는 비구면 왜곡의 범위는, 음극선관의 상하단(끝)에서 넓고, 중앙으로 가면서 좁아진다.
본 발명은, 수직 위치마다의 수평 주기제어의 시간 폭을 변화시킴으로서, 음극선관의 비구면 왜곡에 따른 화상의 왜곡을 경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평 S자 보정회로를 채용한 수평 편향회로의 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HD는 수평 구동신호 발생기, TR은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D는 댐퍼 다이오드, CT는 공진 콘덴서, LDY는 수평 편향코일, CS는 S자보정 콘덴서, FBT는 플라이백 트랜스, +B는 수평 편향회로전압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것들로 구성하는 수평 편향회로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것이므로, 그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한 회로에서, S자보정 콘덴서(CS)는, 그 용량을 변경하기 위한 전반(앞) 보정용 S자 콘덴서(CS1) 및 후반(뒤) 보정용 S자형 콘덴서(CS2)와, 이들 콘덴서를 절환 접속하는 스위치(SW1및 SW2)와 병렬로 접속된다. 또한, 방전용 고저항(높은저항;미도시)은, 보정용 S자 콘덴서(CS1및 CS2)에 병렬로 접속된다. 각 스위치(SW1및 SW2)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에 의하여 구성되며, 타이밍펄스 발생부(11)로부터 제어신호(CS - CTL1및 CS - CTL2)에 의해 온·오프한다.
여기서, 도 4를 이용하여, 도 3의 수평 편향회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또, 타이밍펄스 발생부(11)와 그와 관련된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도 4(A)는 편향요-크에 흐르는 전류파형을 나타내고, 도 4(B)는 제 1신호(CS - CTR1)의 파형을 나타내며, 도 4(C)는 제 2신호(CS - CTR2)의 파형을 나타낸다.
수평 주사기간 전반(앞)의 소정 시간(t1)에서, 제 1신호(CS - CTR1)가 출력되어, 스위치(SW1)가 온이 된다. 후반의 소정 시간(t2)에서, 제 2신호(CS - CTR2)가 출력되어, 스위치(SW2)가 작동된다. 따라서, 수평 주사기간의 전반 시간(t1)에서, S자보정 콘덴서(CS)는 전반 보정용 S자 콘덴서(CS1)와 병렬로 접속된다. 그 후에, 전반 보정용 S자 콘덴서(CS1)는 분리되고, S자보정 콘덴서(CS)만이 접속된다. 후반의 소정 시간(t2)에, S자보정 콘덴서(CS)는 후반 보정용 S자 콘덴서(CS2)와 병렬로 접속된다.
도 5는, S자보정 콘덴서(CS)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시간(t1) 및 시간(t2)의 기간에서, 실선의 특성이 파선의 특성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수평 주사기간에서, 소정 기간마다 S자보정 콘덴서의 용량이 변경되어, 수평 편향코일(LDY)과 공진을 이루는 공진 주파수도 소정 기간마다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부가한 전반 및 후반의 보정용 S자 콘덴서(CS1및CS2)의 각 용량과, 제 1 및 제 2제어신호(CS - CTL1및 CS - CTL2)의 시간 폭을 조정함으로써, S자 콘덴서의 특성이 변화하여, 수평 화상의 왜곡을, 정밀도 좋게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수평 주사기간의 전반과 후반에서 균형 잡힌 S자보정이 가능해진다.
도 3으로 되돌아가면, 타이밍펄스 발생부(11)는,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권선(13)에서 출력된 플라이백 트랜스 펄스가 파형 정형부(12)를 통과한 후 생성된 톱니파와, 음극선관의 회로 중에서 사용되는 수직 파라볼라파와, 마이컴 출력 등의 외부로부터 출력된 제어직류신호(DA - CTL1및 DA - CTL2)를 입력받는다.
도 6에서, 타이밍펄스 발생부(11)는, 제 1 및 제 2직류전압 가산기(15 및 16)와, 제 1 및 제 2비교기(17 및 18)와, 반전 앰프(19)를 구비한다.
제 1직류전압 가산기(15)는, 수직 파라볼라파 및 제 1제어직류신호(DA - CTL1)를 입력받는다. 제 2직류전압 가산기(16)는, 수직 파라볼라파 및 제 2제어직류신호(DA - CTL2)를 입력받는다. 제 1비교기(17)는, 반전 앰프(19)에 의하여 극성이 반전된 톱니파와, 제 1직류전압 가산기(15)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서, 제 1제어신호(CS - CTL1)를 출력한다. 제 2비교기(18)는, 톱니파와, 제 2직류전압 가산기(16)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서, 제 2제어신호(CS - CTL2)를 출력한다.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타이밍펄스 발생부(1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7(A)은 제 2비교기(18)의 입력으로서, 1필드 분의 수직 파라볼라파와 톱니파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여기서, 수직 파라볼라파는, 제 2수직전압 가산기(16)에서 제어직류신호(DA - CTL2)와 가산된다. 또 A로 나타낸 시점은, 음극선관의 수직위치의 상부에서 수직 파라볼라파의 값을 나타내고, B로 나타낸 시점은, 음극선관의 수직 위치의 중앙에서 수직 파라볼라파의 값을 나타내며, C로 나타낸 시점은, 음극선관의 수직 위치의 하부에서 수직 파라볼라파의 값을 나타낸다.
도 7(B)은 ,도 7(A)을 1수평주사값 만큼 확대해서 나타낸 것이다. 단, 수직 파라볼라파에 대해서는, 도 7(A)의 시점(A, C 및 B)의 값을 도시한다. 제 2비교기(18)는, 톱니파의 값이 수직 파라볼라파의 값을 넘었을 때에, 제 2제어신호(CS - CTL2)를 출력한다. 제 2제어신호(CS - CTL2)의 파형은, 도 7(C) 및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고, 수평 주사의 후반의 제어신호가 된다.
음극선관 수직 위치의 중앙부인, 시점(B)에서, 수직 파라볼라파의 값이 커지고, 톱니파의 값이 수직 파라볼라의 값을 넘는 기간은 짧아지므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의 출력기간은 짧아진다. 한편, 음극선관 수직 위치의 상부(A) 및 하부(C)에서는, 수직 파라볼라파의 값은 작아지고, 톱니파의 값이 수직 파라볼라의 값을 넘는 기간은 길어지기 때문에,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의 출력기간은 길어진다.
도 8(A)는, 제 1비교기(17)의 입력으로서, 1필드 분의 수직 파라볼라파와 톱니파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톱니파는, 반전 앰프(19)에 의하여 반전되고, 수직 파라볼라파는, 제 1직류전압 가산기(15)에서 제어직류신호(DA - CTL2)와 가산된다. A', B' 및 C'로 나타내는 시점은, 상기 도 7(A)에서 도시된 시점(A, B 및 C)과 같다.
도 8(B)은, 도 8(A)을 1수평주사값 만큼 확대해서 나타낸 것이다. 제 1비교기(17)는, 상기 제 2비교기(18)와 마찬가지로, 수직 파라볼라파의 값이 톱니파의 값을 넘었을 때에, 신호(CS - CTL1)를 출력한다. 따라서, 출력신호(CS - CTL1)는, 도 8(C) 및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고, 수평 주사기간의 전반에서 제어신호로 된다.
도 9는, 수직 주사기간 중에, 제 1 및 제 2제어신호(CS - CTL1및 CS - CTL2)의 펄스폭을 변화시키는 것에 따른 효과를 나타낸다. 도 9는 음극선관 화면(21)을 도시한 것으로서, 화살표로 나타낸 부분은 수평 주사기간 중의 제어신호(CS - CTL1및 CS - CTL2)의 펄스폭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신호의 펄스폭은, 음극선관 화면(21)의 상하부(PA 및 PC)에서는 넓고, 중앙부에서는 좁아져있다. 음극선관의 수평방향의 좌우단(끝)에서 발생하는 비구면 왜곡의 범위는, 음극선관의 상하끝에서 넓고, 중앙부로 갈수록 좁아지기 때문에, 도시한 것처럼, S자보정을 행하는 펄스폭을, 왜곡의 범위에 맞춰서 변화시킴으로써,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도 6에서, 제어직류신호(DA - CTL1및 DA - CTL2)의 값을,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제어하고, 도 7(B) 및 도 8(B)에 나타낸 수직 파라볼라파의 값을 증감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비교기(17), (18)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펄스폭은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제어직류신호(DA - CTL1및 DA - CTL2)의 값이 조정되어, 결국에는 S자보정 특성이 조정될 수 있다.
지금까지 언급한 것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1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로부터 많은 변화를 유도해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S자보정 콘덴서(CS)를 부가하는 보정용 S자 콘덴서의 수 또는 절환하는 기간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 제어직류신호(DA - CTL1, DA - CTL2) 및 수직 파라볼라파를 이용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임의로 S자보정의 보정폭을 조정할 수 있게 하고, 게다가, 화면의 수직 위치에서 수평 주사 왜곡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들을 생략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직류전압 가산기(15 및 16)를 생략하고, 제어직류신호(DA - CTL1및 DA - CTL2) 또는 수직 파라볼라파의 한 쪽만을 제 1및 제 2비교기(17 및 18)의 한 쪽 입력에 입력하여, 톱니파의 값과 비교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서, 이 톱니파의 값과 비교하는 신호 값을 고정 값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평 편향회로에 S자보정 콘덴서를 설치한 S자 보정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정밀도가 양호한 보정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조정에 자유도를 주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

  1. 음극선관의 수평 편향회로에서 수평 주사를 보정하는 회로에 있어서,
    용량을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된 S자 보정 콘덴서,
    상기 S자 보정 콘덴서의 용량을 절환하는 절환수단과,
    수평 화상 왜곡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절환수단을 절환함으로써, 수평 주기의 소정 기간에서, 상기 S자 보정 콘덴서의 용량을 절환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에스자 보정회로.
  2. 음극선관의 수평 편향회로에서 수평 주사를 보정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S자보정 콘덴서에 병렬 접속되는 전반 및 후반 보정용 S자 콘덴서와,
    상기 S자보정 콘덴서에 상기 전반 보정용 S자 콘덴서를 병렬로 절환 접속하는 제 1절환수단과,
    상기 S자보정 콘덴서에 상기 후반 보정용 S자형 콘덴서를 병렬로 절환 접속하는 제 2절환수단과,
    수평 화상 왜곡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평 주기의 전반의 소정 기간에서, 상기 제 1절환수단을 온(on)시키고, 수평 주기의 후반의 소정 기간에서, 상기 제 2절환수단을 온(on)시킴으로써, 상기 S자보정 콘덴서의 용량을 절환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에스자 보정회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수직 주기의 기간 중에, 상기 수평 주기의 소정 기간을 변화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에스자 보정회로
KR1019970059643A 1996-11-25 1997-11-13 수평에스자보정회로 KR100266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13770 1996-11-25
JP8313770A JPH10164388A (ja) 1996-11-25 1996-11-25 水平s字補正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371A true KR19980042371A (ko) 1998-08-17
KR100266585B1 KR100266585B1 (ko) 2000-09-15

Family

ID=18045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643A KR100266585B1 (ko) 1996-11-25 1997-11-13 수평에스자보정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66585B1 (ko)
DE (1) DE69735616T2 (ko)
TW (1) TW401681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412B1 (ko) * 2004-12-17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왜곡 보상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0751394B1 (ko) * 2004-12-17 2007-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왜곡 보정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7541754B2 (en) 2004-12-17 2009-06-02 Lg Electronics Inc. Bias circui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658B1 (ko) * 1992-12-01 1995-08-25 대우통신주식회사 수평편향회로의 에스(s)자보정 스위칭회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412B1 (ko) * 2004-12-17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왜곡 보상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0751394B1 (ko) * 2004-12-17 2007-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왜곡 보정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7541754B2 (en) 2004-12-17 2009-06-02 Lg Electronics Inc. Bias circui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01681B (en) 2000-08-11
DE69735616T2 (de) 2007-05-03
KR100266585B1 (ko) 2000-09-15
DE69735616D1 (de)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21519B1 (en)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US4139799A (en) Convergence device for color television receiver
US5194784A (en) Raster correction circuit
US4868464A (e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for television receiver
SU1736352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ормировани корректирующего сигнала в выходном каскаде строчной развертки
JPH10164388A (ja) 水平s字補正回路
KR100266585B1 (ko) 수평에스자보정회로
EP0664644A2 (en) Inner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KR0122947Y1 (ko)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
KR930000855Y1 (ko) 수평선형성 조정회로
JP2643371B2 (ja) 水平偏向出力回路
JP3562272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回路
JP3082423B2 (ja) 水平偏向電流の制御回路およびその回路を備えた水平偏向回路と高電圧・水平偏向一体型回路と糸巻き歪補正回路
JPH11317884A (ja) 水平偏向回路
JPH0879554A (ja) S字補正回路
KR0182919B1 (ko) 수평 편향 s 보정회로
JPH0591361A (ja) 偏向回路
JPS6199475A (ja) マルチ走査形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H1079870A (ja) 水平s字補正回路
JP2992288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3077159B2 (ja)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回路
JPH06303449A (ja)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回路
JPH0591360A (ja) 偏向電流発生回路
JPH08163391A (ja) 垂直偏向回路
JPH0560037U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水平直線性補正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