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075A - 환기팬 - Google Patents

환기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075A
KR19980042075A KR1019970058087A KR19970058087A KR19980042075A KR 19980042075 A KR19980042075 A KR 19980042075A KR 1019970058087 A KR1019970058087 A KR 1019970058087A KR 19970058087 A KR19970058087 A KR 19970058087A KR 19980042075 A KR19980042075 A KR 19980042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rive source
closing
frame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0636B1 (ko
Inventor
이토요시마사
다카미신야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다이조
가부시키가이샤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다이조, 가부시키가이샤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다이조
Publication of KR19980042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being adapted for mounting in aper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틀의 통기구를 개폐하는 개폐체를 구비한 환기팬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틀의 통기구를 개폐하는 개폐체를 개폐시키는 개폐 기구를 갖는 것에서 욕실 등의 다습환경에서 사용한 경우에 물방울이 생겨도 그것이 개폐기구의 전동구동원의 내부에 침입하는 일이 없도록 하며, 화장틀의 통기구를 개폐하는 개폐체를 개폐시키는 개폐기구의 개폐용 모터(전동구동원)(16)를, 플라스틱으로 만든 구동원 커버(17)에 수납하고 본체틀(3)의 플랜지부(13)의 상부에 부착함으로써 본체틀(3)의 플랜지부(13)의 표면에 물방울이 생겨 그것이 흘러내려도 그 흘러내리는 곳에는 개폐용 모터(16)가 존재하지 않고, 개폐용 모터(16) 부분에는 물방울은 구동원 커버(17)의 표면에 생기고 개폐용 모터(16)의 표면에 생기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기팬
본 발명은 화장(化粧)틀의 통기구를 개폐하는 개폐체를 구비한 환기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일반적으로는, 환기팬의 본체틀은 예를 들어, 원통형상이나 각형상의 통부가 중앙부에 있고 이 통부보다 바깥쪽에 플랜지부가 있으며, 그 통부의 안쪽에 팬모터 및 팬이 부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본체틀에는 상기 플랜지부를 덮는 화장틀이 부착되어 있고 이 화장틀에 상기 팬이 흡입하는 공기가 지나는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환기팬에서는 화장틀의 통기구를 통해 본체틀에 구비된 팬이나 팬모터가 보여 외관이 좋지 않다. 이 때문에, 또한 화장틀의 통기구를 개폐하는 패널이나 복수장의 루버형상 셔터 등의 개폐체가 설치되고, 통상은 이 개폐체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팬이나 팬 모터가 화장틀의 통기구를 통해 보이지 않도록 한 것이 제공되고 있다.
이 경우, 개폐체에 대해 모터나 전자석 등의 전동구동원을 주체로 하는 개폐기구가 구비되고, 이에 의해 운전시에는 개폐체를 개방시켜 공기가 통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폐기구의 전동구동원은 상기 본체틀의 플랜지부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다.
상술한 환기팬은 다습 환경, 예를 들어 욕실에서도 사용된다. 이 경우, 본체틀의 플랜지부의 표면(실내측의 면)이나 개폐기구의 전동구동원의 표면에는 특히 겨울철 등의 저온시, 욕실의 수증기가 차가워짐에 따라 이슬이 맺힌다. 그리고, 그 중, 본체틀의 플랜지부의 표면에 생긴 물방울은 그 플랜지부의 표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흐르고 개폐기구의 전동구동원 부분에 이르러 그 내부로 침입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개폐기구의 전동구동원의 표면에 생긴 물방울이 직접 전동구동원의 내부로 침입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은 욕실 등의 다습환경에서 사용한 경우에 물방울이 생겨도 그것이 개폐기구의 전동구동원의 내부에 침입할 우려가 없는 환기팬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화장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정면도,
도 2는 부착상태로 도시한 전체의 종단측면도,
도 3은 주요부분의 구동원 커버 덮개 개방상태에서의 정면도,
도 4는 주요부분의 구동원 커버 덮개 개방 상태에서의 분해사시도 및
도 5는 개폐 기구의 와이어(조부재)와 조작부재의 연결부분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본체틀 4: 통부
7: 팬 모터 10: 팬
13: 플랜지부 15: 개폐 기구
16: 개폐용 모터(전동 구동원) 17: 구동원 커버
21: 와이어(조부재) 27: 조부재 도출구
28: 경사부 36: 간격
38: 푸쉬 수납부 39: 푸쉬
55: 조작부재 56: 크랭크부
57: 조작암부 62: 화장틀
65: 통기구 67: 시일부재
68: 장식 패널(개폐체) 70: 접촉 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환기팬에는 통부가 있고 이 통부의 바깥쪽에 플랜지부가 있는 본체틀을 구비함과 동시에, 이 본체틀의 통부의 안쪽에 부착된 팬 모터 및 팬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틀의 플랜지부를 덮어 부착되며 상기 팬이 흡입하는 공기가 지나가는 통기구를 갖는 화장틀과, 상기 화장틀의 통기구를 개폐하는 개폐체, 및 이 개폐체를 개폐시키는 전동구동원을 주체로 하는 개폐 기구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그 전동구동원을 플라스틱제의 구동원 커버에 수납하고 상기 본체틀의 플랜지부의 상부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따르면, 욕실 등의 다습환경에서 사용한 경우, 본체틀의 플랜지부의 표면에 물방울이 생겨 그것이 흘러내려도 그 흘러내린 곳에는 개폐기구의 전동 구동원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개폐기구의 전동 구동원 부분에서는 그 전동 구동원이 구동원 커버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물방울은 구동원 커버의 표면에 발생하고 전동 구동원의 표면에 생기는 일은 없다. 이렇게 하여 개폐기구의 전동구동원의 내부에 물방울이 침입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에는 환기팬의 전체 구성을 부착 상태로 도시하고 있고 가옥의 벽(1)에 관통상태로 설치한 통기용 파이프(2)에 본체틀(3)의 통부(4)를 실내측(도면 중 좌측)에서 삽입하고 있다. 이 본체틀(3)의 통부(4)는 예를 들어 원통형상이고 삽입끝 부분의 외부 둘레부에 복수개(1개만 도시)의 판 스프링(5)을 부착부재로 하여 미리 부착되어 있고 이 판 스프링(5)을 파이프(2)의 내부둘레면에 눌러 접촉시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체틀(3)의 통부(4)의 삽입끝 부분의 내부에는 원형 고리형상의 모터 부착부(6)가 복수개의 리브(6a)로 이어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팬모터(7)를 복수개의 나사(8)로 부착하고 있다. 또한, 팬모터(7)의 회전축(9)에는 팬(10)을 부착하고 이 팬(10)을 통부(4) 내에 위치시키고 있다.
한편, 통부(4)의 앞 가장자리부에는 이보다 바깥쪽에 평탄부(11)를 형성하고 또한, 이 평탄부(11)로부터 통부(4)와 평행하게 실외측(도면중 우측)으로 연장되는 단부(1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단부(12)로부터 바깥쪽으로는 플랜지부(13)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부(13)로부터는 통부(4)와 평행으로 실내측으로 연장되는 외부 둘레 벽부(14)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체틀(3)은 통부(4)를 중심으로 평탄부(11), 단부(12), 플랜지부(13), 및 외부 둘레벽부(14)를 갖는 것으로, 예를 들어 플라스틱에 의해 그것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부(11)과 단부(12)는 원형 고리형상이고 플랜지부(13)와 외부 둘레벽부(14)는 사각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틀(3)의 플랜지부(13)의 상부, 그 중에서도 원형 고리형상의 평탄부(11) 및 단부(12) 사이에서 넓어진 우측의 구석부에는 후술하는 개폐체를 개폐시키는 개폐 기구(15)의 전동구동원인 개폐용 모터(16)를, 전기절연재인 플라스틱제의 구동원 커버(17)에 수납하여 부착하고 있다. 이 경우, 개폐용 모터(16)는 상세하게는 메카닉모터라 불리는 것으로, 중도부에 마찰 클러치 등의 토크리미터를 구비한 감속용 기어 트레인이 도 3에 도시한 플라스틱제의 케이스(18)에 일체로 수납되어 있고 그 케이스(18)로부터 돌출한 출력축(19)의 선단부에는 레버(20)를 부착하고 또한, 이 레버(20)의 선단부에는 조부재 예를 들어, 꼬인 금속선 등으로 만들어진 와이어(21)를 부착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구동원 커버(17)는 예를 들어 상자형상의 주체부(22)와 이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23)를 두께가 얇은 셀프 힌지부(24)로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그 주체부(22)에는 부착구멍(25)을 갖는 부착부(26)와, 조부재 도출구(27)를 인접시켜 하부에 형성하고 또한, 그 조부재 도출구(27)를 향해 아래로 기울어진 경사부(28)를 주체부(22)의 전 둘레에 걸친 외부 둘레 리브(29)의 우측 하측부의 내부 및 외부 양면에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경사부(28)는 외부 둘레 리브(29)의 내부면에만 형성해도 좋다.
이밖에, 구동원 커버(17)의 주체부(22)에는 경사부(28)의 위쪽에 위치하여 아래를 향해 개구하는 리드선 도출구(30)를 형성하고 내부의 좌측 상부 및 우측 하부의 대각위치에 도 4에 도시한 위치 결정 부재로서의 핀(31)을 돌출하여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 주체부(22)의 내부의 우측 상부 및 좌측 하부의 대각선 위치에는 나사구멍(32)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개폐용 모터(16)에 위치 결정 구멍(33)을 좌측 상부 및 우측 하부의 대각 위치에 형성하고 부착구멍(34)을 우측 상부 및 좌측 하부의 대각 위치에 형성하고 있고 그 중, 위치 결정 구멍(33)을 각각 핀(31)에 끼워 위치 결정하면서, 개폐용 모터(16)를 구동원 커버(17)의 주체부(22)에 수납하고 부착구멍(34)을 나사 구멍(32)에 합치시키고 있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고정 수단인 나사(35)(도 3 참조)를 부착 구멍(34)으로부터 나사구멍(32)에 끼워 조이고, 이렇게 하여 구동원 커버(17)의 주체부(22)에 수납한 개폐용 모터(16)를 고정하고 있다. 도 3은 이 개폐용 모터(16)의 고정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구동원 커버(17)의 주체부(22)의 내부 둘레부와 개페용 모터(16)의 외부 둘레부 사이에는 간격(36)이 전 둘레에 유지되고 있다. 즉, 구동원 커버(17)는 주체부(22)의 내부 둘레부와 개폐용 모터(16)의 외부 둘레부 사이에 그 간격(36)이 유지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주체부(22)의 리드선 도출구(30)으로부터는 개폐용 모터(16)의 리드선(37)을 도출시키고 있다. 또한, 주체부(22)의 조부재 도출구(27)에는 푸쉬 수납부(38)를 형성하고 이 푸쉬 수납부(38)를 수납하고 있다. 이 푸쉬(39)는 중심부에 상기 와이어(21)가 삽입되는 삽입 통과구멍(40)을 갖는 원통형상의 것이고 경질재 예를 들어,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한 상태에서 구동원 커버(17)를 주체부(22)에 상기 덮개부(23)에 합쳐, 그 전후를 반전(덮개부(23)가 뒤쪽에 위치하는 상태로 하여)시키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틀(3)의 외부 둘레벽부(14)의 상부 우측에 형성한 고정부인 돌출판(41)의 안쪽에 상부를 위치시키고 있다. 그리고, 또한 그 상태에서 고정 수단인 나사(42)를 주체부(22)의 부착구멍(25)으로부터 덮개부(23)에 형성한 부착구멍(43)(도 3 참조)을 지나 상기 본체틀(3)의 플랜지부(13)의 상부에 형성한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끼워 고정시키고 있고 이렇게 하여 본체틀(3)의 플랜지부(13)의 상부에, 구동원 커버(17)와 함께 개폐용 모터(16)를 부착하고 있다.
또한, 본체틀(3)의 플랜지부(13)의 상부 중에서도 좌측의 구석부에는 단자 커버(44)를 부착하고 있다. 이 단자 커버(44)는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구동원 커버(17)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제이고 상자형상의 주체부와, 이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두께가 얇은 셀프 힌지부로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이고 그 내부에는 상기 팬 모터(7)의 리드선(45)의 선단부에 설치한 접속단자(특히 속결단자: 전선을 끼우는 것만으로 체크하여 접속을 유지하는 것으로, SL단자라고도 함)(46)를 수납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원 커버(17)의 리드선 도출구(30)로부터 도출시켜 접속단자(46)에 접속한 리드선(37)의 선단부를 수납하고 있다.
또한, 이 단자 커버(44)의 부착도 상기 구동원 커버(17)의 부착과 동일하게 본체틀(3)의 외부 둘레벽부(14)의 상부 좌측에 형성한 고정부인 돌출판(47)의 이면측에 상부를 위치시키는 것과, 하부의 부착부(48)를 고정수단인 나사(49)로 플랜지부(13)에 고정시켜 실시하고 있다.
이 경우, 팬모터(7)의 리드선(45)은 본체틀(3)의 플랜지부(13)의 하부, 그 중에서도 좌측의 구석부에 장착한 연질재로 이루어진 코드푸쉬(50) 상의 도입구멍(51)을 통하여 플랜지부(13)의 이면보다 표면측(실내측)으로 끌어 넣고 있다. 또한, 코드푸쉬(50)로부터는, 이것에 형성된 십자형상으로 잘린 부분(52)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전원 전선을 동일하게 플랜지부(13)의 이면측에서 표면측으로 끌어 넣고 있고 이 끌어 넣어진 전원 전선의 선단부(나선)를 단자커버(44)의 바깥쪽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삽입구를 지나 접속단자(46)에 삽입하여 접속함으로써 전원 전선으로부터 접속단자(46), 리드선(45) 및 리드선(37)을 지나, 팬 모터(7) 및 개폐용 모터(16)에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구동원 커버(17)의 조부재 도출구(27)로부터 도출된 와이어(21)의 선단부는, 상기 개폐기구(15)의 조작부재(55)의 거의 U자형상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크랭크부(56)에 연결되어 있다. 조작부재(55)는 금속선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도중부에는 상기 크랭브부(56) 외에 거의 역 ㄷ 자 형상의 조작암부(57)가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으며, 그밖의 부분을 상기 크랭브부(56) 및 조작암부(57)에 공통의 축부(58)로 하고 있다. 이 축부(58)는 그 한쪽(도 1 중 우측)의 단부를 본체틀(3)의 외부 둘레벽부(14)의 우측 내부에 부착한 지지구(5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쪽(도 1 중 좌측)의 단부를, 본체틀(3)의 통부(4) 앞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지지구멍(60)에 의해 동일하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또한, 이 경우, 본체틀(3)의 평탄부(11)의 우측부에는 오목부(61)를 형성하고 있고 이 오목부(61) 내에 상기 조작부재(55)의 축부(58) 중 크랭크부(56)에 가까운 부분을 위치시킴으로써 축부(58)가 평탄부(11)에 의해 앞쪽(실내측)으로 돌추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조작부재(55)의 조작암부(57)는 통부(4)의 중심부의 전(前)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조작부재(55) 등을 부착한 본체틀(3)의 앞쪽에는 도 2에 도시한 화장틀(62)을 부착하고 있다. 이 화장틀(62)은 플라스틱제로, 본체틀(3)의 플랜지부(13)와 거의 동일한 형상의 평탄부(63)를 주체부로 하고 있고, 이 평탄부(63)의 외부 둘레부에 형성한 외부 둘레 벽부(64)를, 본체틀(3)의 외부 둘레 벽부(14) 바깥쪽에 끼우고, 도시하지 않은 걸어 맞춤 걸이 등의 걸어 맞춤 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본체틀(3)의 플랜지부(13)를 덮고 있다.
또한, 상기 화장틀(62)의 평탄부(63) 중앙부에는 벨마우스형상의 통기구(65)를 형성하고 있고 이 통기구(65)의 좌우양측의 가장자리부에는 각각 오목 흠부(欠部)(66)를 형성하고 있고 이 오목 흠부(66)를 상기 조작부재(55)의 축부(58)에 끼우면서 통기구(65)를 본체틀(3)의 통부(4) 내에 위치시키고 있다. 그 결과, 조작부재(55)는 조작암부(57)의 선단부를 제외한 부분과 조작암부(57) 양쪽의 축부(58) 부분이 통기구(65) 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경우, 화장틀(62)의 통기구(65) 주위 부분의 이면측에는 기밀재 예를 들어, 독립 발포의 쿠션재로 이루어진 원형 고리형상의 시일 부재(67)를 접착하고 있고 이것을 본체틀(3)의 평탄부(11)에 눌러 접촉시켜 통부(4)와 화장틀(3) 사이에 상기 시일부재(67)를 끼워 설치하고 있다. 또한, 시일부재(67)는 상술과는 반대로 본체틀(3)의 평탄부(11)에 접착하고 이에 화장틀(62)의 통기구(65) 주위의 부분의 이면측을 눌러 접촉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시일부재(67)가 누른 본체틀(3)의 평탄부(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61) 내에 조작부재(55)의 축부(58)를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축부(58)가 평탄부(11) 보다 앞쪽(실내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므로, 시일부재(67)를 조작부재(55)의 축부(58)에 방해가 되지 않게 본체틀(3)의 평탄부(11)에 일정하게 간격없이 누를 수 있어 후술하는 시일 효과가 보다 확실하게 얻어지게 되어 있다.
화장틀(62)의 전면부에는 장식 패널(68)을 설치하고 있다. 이 장식패널(68)은 플라스틱제이고 화장틀(62)의 전단부의 거의 전면을 덮는 크기의 것이며, 이면측의 거의 전면에 이슬 방지용의 단열재(69)를 접착하고 중심부에 접촉부재(70)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 장식패널(68)은 도시하지 않은 안내부재에 의해 화장틀(62)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전후이동에 의해 상기 화장틀(62)의 통기구(65)를 개폐하는 개폐체로서 기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장식패널(68)과 화장틀(62) 사이에는 평상시에는 장식패널(68)을 화장틀(62)측에 근접시켜 상기 화장틀(62)에 눌러 접촉시킴으로써 화장틀(62)의 통기구(65)를 폐쇄하는 상태로 유지하는 스프링 등의 힘을 가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있고, 그 개폐상태에서 상기 접촉 부재(70)의 후단면에 상기 조작부(55)의 조작암부(57)의 선단부를 위치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개폐기구(15)는 상기 개폐용 모터(6), 레버(20), 와이어(21), 조작부재(55) 및 상술한 스프링 등의 힘을 가하는 수단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한 운전정지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전원 스위치를 온(ON)시키면, 팬모터(7)와 개폐기구(15)의 개폐용 모터(16)가 통전되어 기동된다.
이 중, 개폐용 모터(16)에 의해 출력축(19)이 회전되고 레버(20)가 도 3에 도시한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와이어(21)를 끌어 올린다.
이 때문에, 조작부재(55)가 크랭크부(56)가 와이어(21)에 의해 끌어 올려져 축부(58)를 중심으로 도 2에 화살표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되고 조작암부(57)를 같은 방향으로 선회시킨다. 이에 의해, 장식 패널(68)이 접촉부재(70)를 뒤쪽에서 조작암부(57)에 눌려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등의 힘을 가하는 수단의 가하는 힘에 대향하여 앞쪽으로 이동되고 화장틀(62)로부터 떨어져 상기 화장틀(62)의 통기구(65)를 개방시킨다.
이 때, 장식 패널(68)의 이동은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 기구에 의해 소정 거리로 규제되고 있다. 이 때문에, 레버(20)의 회전은 강제적으로 정지되지만, 그후도 개폐용 모터(16)는 통전된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의 개폐용 모터(16)의 회전은 감속용 기어 트레인 중에 존재한 토크리미터가 예를 들어, 슬립을 일으킴으로써 흡수되는 것이고 이것에 의해, 개폐용 모터(16)의 로크가 방지된다.
한편, 팬 모터(7)에 의해서 팬(10)이 회전하고 이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상기 장식 패널(68)과 화장틀(62) 사이에서 화장틀(62)의 통기구(65)를 지나 통부(4) 내에 흡입되고 파이프(2)를 지나 실외를 배출되는 환기운전이 실시된다.
그리고, 이 환기 운전 상태로부터 상기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면, 팬 모터(7)와 개폐 기구(15)의 개폐용 모터(16)가 단전되고 팬 모터(7)는 팬(10)의 회전 구동을 정지하고 개폐용 모터(16)는 레버(20)에 의한 와이어(21)의 끌어 올림을 해제하여, 장식 패널(68)이 조작부재(55)의 조작암부(57)에 의한 눌림으로부터 해방되고, 스프링 등의 힘을 가하는 수단의 가하는 힘 그대로 화장틀(62) 측에 근접하여 상기 화장틀(62)에 눌려 통기구(65)를 폐쇄하는 상태로 되돌아 간다.
이와 같이 본 구성으로 형성된 것에서는 통상(운전정지상태)은 장식 패널(68)로 화장틀(62)의 통기구(65)를 폐쇄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체틀(3) 내부의 팬(10)이나 팬 모터(7)가 화장틀(62)의 통기구(65)를 통하여 보이지 않게 할 수 있고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그 때문에 개폐 기구(15)의 개폐용 모터(16)는 플라스틱제의 구동원 커버(17)에 수납하고 본체 틀(3)의 플랜지부(13)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욕실 등의 다습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실내보다 본체틀(3)의 외부 둘레벽부(14)와 화장틀(62)의 외부 둘레벽부(64)가 서로 끼워지는 부분의 간격이나, 화장틀(62)의 통기구(65)를 통해 본체틀(3)의 플랜지부(13)와 화장틀(62)의 평탄부(63) 사이로 수증기가 들어감으로써 본체틀(3)의 플랜지부(13)의 표면에 물방울이 생기고 그것이 흘러내려도 그 흘러내린 곳에는 개폐용 모터(16)가 존재하지 않게 되고, 흘러내린 물방울이 개폐용 모터(16)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개폐용 모터(16)의 부착부보다 더 위쪽의 부분으로부터도 물방울이 흘러내리지만, 그것은 매우 소량이고 개폐용 모터(16)의 내부에 침입할만한 것은 아니다.
또한, 개폐용 모터(16) 부분에서는 이 개폐용 모터(16)가 구동원 커버(17)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물방울은 구동원 커부(17)의 표면에 생기고 개폐용 모터(16)의 표면에 생기는 것은 아니다(만일 생겨도 매우 소량이다). 이렇게 하여 이 경우에도 개폐 모터(16)의 내부에는 물방울이 침입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형성된 것에서는 본체틀(3)의 통부(4)와 화장틀(62) 사이에 시일부재(67)를 끼워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본체틀(3)의 플랜지부(13)와 화장틀(62)의 평탄부(63) 사이에 실내에서 화장틀(62)의 통기구(65)를 지나 수증기가 들어오는 것으로부터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본체틀(3)의 플랜지부(13)의 표면에 물방울이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고 개폐용 모터(16)의 내부에 물방울이 침입하는 것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실외에서 본체틀(3)의 통부(4)를 지나 본체틀(3)의 플랜지부(13)와 화장틀(62)의 평탄부(63) 사이에 차가운 외풍이 들어오는 것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화장틀(62)의 평탄부(62) 이나 외부 둘레 벽부(64)의 외부면에 물방울이 생기는 것도 방지할 수 있고, 그 아래로 떨어지는 것 등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특히 거실용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개폐 기구(15)가 개폐용 모터(16)에 의해 조작되는 와이어(21)를 갖고 이 와이어(21)를 지나는 푸쉬(39)를 플라스틱제의 구동원 커버(17)의 조부재 도출구(27)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와이어(21)는 장식 패널(68)을 개폐시킬 때 에 직접으로는 푸쉬(39)에 미끄럼 접촉하고 구동원 커부(17)의 조부재 도출구(27)에 직접 미끄럼 접촉하는 것이 아니므로, 그 조부재 도출구(27)의 둘레 주위 부분를 마모시켜 그곳으로부터 증기가 들어가기 쉬워지는 것을 피할 수 있고 개폐용 모터(16)의 내부에 물방울이 침입하는 것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원 커버(17)의 내부둘레부와 이것에 수납된 개폐용 모터(16)의 외부 둘레부 사이에는 간격(36)이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만일 구동원 커버(17) 내에 물방울이 생긴 경우의, 모세관 형상에 의한 개폐용 모터(16) 내로의 물방울의 칩임 까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원 커버(17)는 조부재 도출구(27)를 향하여 아래로 기울어진 경사부(28)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상술한 만일 구동원 커버(17)내에 발생한 물방울도 그 경사부를 따라서 흘러내리게 하고 조부재 도출구(27)로부터 구동원 커버(17) 밖으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역시 개폐용 모터(16)의 내부에 물방울이 침임하는 것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원전선을 위한 접속 단자(46)도 플라스틱제의 단자 커버(44)에 수납하여 본체틀(3)의 플랜지부(13)의 상부에 부착하고 있으므로, 상기 개폐용 모터(16)와 동일하게 물방울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그것을 필요로 하는 것만 채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가옥의 벽(1)에 설치한 통기용 파이프(2)에 본체틀(3)의 통부(4)를 삽입하여 부착하는 파이프용 팬에 적용하여 설명했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부엌용이나 거실용 등의 환기팬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개폐 기구(15)의 전동구동원으로서는 상술한 모터(16)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석 등도 좋다. 또한, 화장틀(62)의 통기구(65)를 개폐하는 개폐체로서는 상술한 장식 패널(68)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장의 루버형상 셔터 등이어도 좋으며, 개폐기구(15)는 조작부재(55)를 통하지 않고 와이어(조부재)(21)로 개폐체를 직접적으로 끌어 개방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것이고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1의 환기팬에 의하면, 화장틀의 통기구를 개폐하는 개폐체를 개폐시키는 개폐기구의 전동구동원이 본체틀의 플랜지부의 표면에 생기는 물방울이 흘러내리는 곳에 존재하지 않고 전동구동원의 표면에 물방울이 생기는 일도 없으므로, 그 전동원의 내부에 물방울이 침입할 우려를 없앨 수 있다.
청구항 2의 환기팬에 의하면, 본체틀의 플랜지부와 화장틀 사이에 실내에서 화장틀의 통기구를 지나 수증기가 들어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본체틀의 플랜지부의 표면에 물방울이 생기는 것이 어렵고, 개폐기구의 전동구동원의 내부에 물방울이 침입하는 것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실외에서 본체틀의 통부를 지나 본체틀의 플랜지부와 화장틀 사이에 차가운 외풍이 들어가는 것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화장틀의 외부면에 물방울이 생기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 거실용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청구항 3의 환기팬에 의하면, 개폐기구의 조부재가 구동원 커버의 조부재 도출구의 주위의 부분을 마모시켜 그곳으로부터 수증기가 들어가기 쉬어지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전동구동원의 내부에 물방울이 침입하는 것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환기팬에 의하면, 만일 구동원 커버 내에 물방울이 생긴 경우의, 모세관 형상에 의한 전동 구동원 내로의 물방울의 침입까지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환기팬에 의하면, 만일 구동원 커버내로 물방울이 생긴 경우에 그 물방울을 안내하여 조부재 도출구로부터 구동원 커버 밖으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전동 구동원의 내부에 물방울이 침입하는 것을 역시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통부를 가짐과 동시에 이 통부보다 바깥쪽에 플랜지부를 갖는 본체틀,
    상기 본체틀의 통부의 안쪽에 부착된 팬모터 및 팬,
    상기 본체틀의 플랜지부를 덮어 부착하고 상기 팬이 흡입하는 공기가 지나는 통기구를 갖는 화장틀,
    이 화장틀의 통기구를 개폐하는 개페체,및
    상기 개폐체를 개폐시키는 전원 구동원을 주체로 하는 개폐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 구동원을 플라스틱제의 구동원 커버에 수납하고 상기 본체틀의 플랜지부의 상부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팬.
  2.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틀의 통부와 화장틀 사이에 시일부재를 끼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팬.
  3.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기구가 전동구동원에 의해 조작되는 조부재를 갖고, 이 조부재를 지나는 푸쉬를 구동원 커버의 조부재 도출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팬.
  4.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원 커버의 내부 둘레부와 전동 구동원의 외부 둘레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팬.
  5.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 기구가 전동 구동원에 의해 조작되는 조부재를 갖고 구동원 커버가 그 조부재를 도출하는 조부제 도출구를 가짐과 동시에 그 조부재 도출구를 향해서 아래로 기울어진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팬.
KR1019970058087A 1996-11-29 1997-11-05 환기팬 KR100270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19854 1996-11-29
JP31985496A JP3571475B2 (ja) 1996-11-29 1996-11-29 換気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075A true KR19980042075A (ko) 1998-08-17
KR100270636B1 KR100270636B1 (ko) 2001-01-15

Family

ID=18114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087A KR100270636B1 (ko) 1996-11-29 1997-11-05 환기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571475B2 (ko)
KR (1) KR100270636B1 (ko)
CN (1) CN1096575C (ko)
TW (1) TW3843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58172C (zh) * 2004-07-13 2009-02-04 广东松下环境系统有限公司 换气扇
JP4675651B2 (ja) * 2005-03-10 2011-04-27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扇
JP2007085687A (ja) * 2005-09-26 2007-04-05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装置
JP4805041B2 (ja) * 2006-07-04 2011-11-02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扇
CN101280785B (zh) * 2007-04-02 2013-05-22 广东松下环境系统有限公司 换气扇开关盒
JP5477061B2 (ja) * 2010-03-08 2014-04-23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扇及びその換気システム
CN102192177B (zh) * 2010-03-15 2013-03-27 广东松下环境系统有限公司 浴室用取暖换气扇
TWI411751B (zh) * 2010-06-09 2013-10-11 Panasonic Eco Sys Guangdong Co Bathroom with heating ventilation fans
JP5442136B2 (ja) * 2010-12-27 2014-03-12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扇
JP5630270B2 (ja) * 2011-01-06 2014-11-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換気用電動式シャッター開閉機構
CN102501743A (zh) * 2011-11-18 2012-06-20 江麓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车内通风换气的通风装置
CN103292410B (zh) * 2012-02-29 2017-02-08 广东松下环境系统有限公司 换气装置
JP5791789B2 (ja) * 2012-04-10 2015-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扇
JP6261405B2 (ja) * 2014-03-19 2018-01-17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扇
WO2017158834A1 (ja) * 2016-03-18 2017-09-21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扇
CN109281854A (zh) * 2017-07-20 2019-01-29 富瑞科技有限公司 建筑物散热罩内置风扇的构造及其制法
CN109028350B (zh) * 2018-07-25 2021-03-12 深圳市中航楼宇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型空调制冷用室外气流排放装置及排放方法
JP2021162166A (ja) * 2020-03-30 2021-10-11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7815A (en) * 1979-12-10 1981-09-08 Henderson Richard E Cover assembly for attic fans
DE3210164C2 (de) * 1982-03-19 1984-09-13 Rohde & Schwarz GmbH & Co KG, 8000 München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Lüfters in einer Gehäusewand eines elektrischen Gerätes
CN2166370Y (zh) * 1993-05-25 1994-05-25 吴顺益 兼具照明、通风的空气循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71475B2 (ja) 2004-09-29
CN1096575C (zh) 2002-12-18
JPH10160215A (ja) 1998-06-19
KR100270636B1 (ko) 2001-01-15
TW384377B (en) 2000-03-11
CN1185545A (zh) 1998-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0636B1 (ko) 환기팬
ATE38281T1 (de) Vorrichtung zur belueftung eines raums mit automatischer veraenderung des aus der kueche entnommenen anteils.
JP5053244B2 (ja) 換気装置
JP6479219B2 (ja) 換気扇
JP5132498B2 (ja) 空気調和装置
JP3118090U (ja) 天井床下換気口
KR100188394B1 (ko)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디퓨저 개폐장치
JP2530935Y2 (ja) ダンパ装置
JPH08338650A (ja) 換気扇
KR200189768Y1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JPS6241139Y2 (ko)
JPH089556Y2 (ja) ダンパ装置
ATE59457T1 (de) Lueftungsgeraet, insbesondere fuer die luftzufuhr in raeume.
KR0120519Y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콘트롤박스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JP2002332994A (ja) 換気扇
KR950000371Y1 (ko) 창문용 셔터의 방충통기 장치
KR100954774B1 (ko) 분리가능한 전면 커버를 구비한 환풍기
KR101745870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레버
JP3056625B2 (ja) 熱交換形換気扇
JPH1038320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H10103752A (ja) ダンパー装置
JP3978986B2 (ja) 空気調和機
SU1642206A1 (ru) Вентил тор оконный
JPS593299Y2 (ja) 吸気装置
JPH0293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