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941A -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지인하장치(編地引下裝置) - Google Patents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지인하장치(編地引下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941A
KR19980041941A KR1019970052886A KR19970052886A KR19980041941A KR 19980041941 A KR19980041941 A KR 19980041941A KR 1019970052886 A KR1019970052886 A KR 1019970052886A KR 19970052886 A KR19970052886 A KR 19970052886A KR 19980041941 A KR19980041941 A KR 19980041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tter
lowering
selector
knitting machin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2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1798B1 (ko
Inventor
마사히로 시마
겐지 이코마
요시아키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마사히로 시마
가부시끼가이샤 시마세이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4141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7570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4060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57161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사히로 시마, 가부시끼가이샤 시마세이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마사히로 시마
Publication of KR19980041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0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인하부재와 편지와의 계합을 필요에 따라 차단하며, 인하부재에 의한 상기한 바와 같은 편지편성상의 문제의 발생을 막는 것이 가능한 횡편기의 편지인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침상의 치구부끼리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적어도 전후 한쌍의 배설된 횡편기의 치구부의 하방의 편지 통과경로내에 있는 편지를 포착하여 인하하는 편지인하수단을 설치한 횡편기로서, 편지용 인하수단은 침상의 긴쪽방향으로 인하부재를 복수개 늘어놓아 형성되며, 편지의 인하작용시에는 그 인하부재를 각각 순차적으로 혹은 개별적으로 편지의 인하작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편지인하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편지용 인하수단의 인하부재는, 인하부재본체의 편지에 대면하는 부분에 편지포착면을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그 편지포착면은 하강시에는 편지를 포착하고, 상승시에는 편지를 해방하는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편지포착면을 인하부재 본체에 대해서 돌출방향으로 압압작용하며, 부작용시에 인하부재본체의 측면으로 부터 돌출하지 않는 위치로 격납가능 혹은 돌출량이 적게 되도록 퇴입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지인하장치.

Description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지인하장치(編地引下裝置)
본 발명은, 횡편기의 전후 침상(前後針床)의 치구(齒口)사이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편지인하, 즉 편지끌어내림(編地引下)장치에 관하여, 횡편기를 사용하여 통상(筒狀)의 편지와 같이 전측 편지부분과 후측 편지부분으로 구성된 단면 2층구조를 가지는 편지를 끌어내리기 위한 편지인하장치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는 전후에 대향배설된 적어도 한쌍의 침상(針床)을 가지며, 침상의 치구부하방에는 침상위의 편침으로 편성된 편지를 끌어내리는 인하장치가 설치된다. 이 편지의 인하장치로서, 특히 편지의 전폭에 걸쳐서 균일한 인하를 행하고, 성형편성(成形編成)이나 입체편성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일본) 특공소 57-55815호 공보가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장치는, 치구부 하방의 편지통과경로를 사이에 두고 한 쪽으로 복수의 구동프랩이하, (「인하부재」라 한다)를 병렬해서 설치하고, 다른 한쪽으로 전기구동프렙과 대치시켜 편지접촉면을 설치하며, 인하부재와 편지접촉면과의 사이에서 편지를 파지하는 형태인 것이다. 각 인하부재는, 침상의 종방향으로 뻗친 각각의 요동축의 주위에 한정된 범위에서 요동가능한 스프링 예하중(預荷重)을 받는 파지부로서의 인하부재가 승강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작되고, 인하부재의 하강시에 편성된 편물을 인하부재의 자유연단(自由緣端)과 편물접촉면과의 사이에 파지하면서 이 편물접촉면에 따라 편물을 하방으로 인출한다.
이를 위해 이 장치에서는, 각 인하부재를 구동제어함으로써 유연한 인하가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입체형상의 편물이라도 편물의 전폭에 걸쳐서 소망하는 균일하고도 확실한 인출을 보증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공보의 인하장치에서는, 항상 인하부재가 스프링에 의한 예하중을 받기 때문에 인하부재와 편지접촉면의 사이에 편지가 있든 없든 인하부재가 편지접촉면에 내리누르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하부재가 항상 상기 위치를 취하는 것을, 예를 들면 편지를 침상의 래킹조작이나 코옮김(目移)조작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나 편지의 소정부분에 구멍이 뚫린 구멍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문제가 된다. 또, (일본) 특개평 2-210046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같은 편지통과경로에 따라 승강가능하고 편지의 짜임시작부를 포착하여 하방에 설치된 인하장치에로 주고받는 편출장치를 편기에 설치한 경우에도 편출장치의 통과경로가 확보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고 있다.
그런데, 최근 스웨터 등의 니트의류의 소매나 길(身頃)의 전신, 후신을 편폭의 양단에서 각각을 연결해서 단면 2층 구조의 통상으로 편성함으로써 갓짜낸(編立) 뒤의 봉제과정을 생략함과 동시에 신축성이 풍부한 니트의류를 얻는 무봉제니트라는 생산수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통상으로 편성된 전신과 후진의 형상이나 코스수는 반드시 전후대칭이 아니고 각각에 따라서 전후의 편지를 인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편지를 전후에서 끼워서 인하하는 구조를 가진 인하장치로써는 편지를 충분히 끌어 내릴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하부재와 편지와의 계합을 필요에 따라서 차단하고, 인하부재에 의한 상기와 같은 편지구성상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횡편기의 편지인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하부재에 의한 편지의 포착(捕捉)과 해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횡편기 편지인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지나 편성조건에 맞추어 편지포착면의 편지인하력의 설정을 임의로 행할 수 있는 횡편기의 편지인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상편지(筒狀編地)와 같이 단면 2층상으로 편성되는 편지의 전후의 각 편지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인하를 행하기 위하여 특별히 채용할 수 있는 인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제 1 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편지인하장치를 횡편기에 취부한 횡편기의 일부절결정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A-A선 단면이다.
도 3 은 케이싱의 개폐기구를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4 는 개폐기구 및 인하력 조절기구부분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5 는 개폐기구 및 인하력 조절기구부분의 개략정면도이다.
도 6 은 인하력조절기구를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7 은 인하력조절기구를 포함한 편지인하장치의 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정면도이다.
도 9 는 인하부재의 분해측면도이다.
도 10 은 인입편부분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11 의 도 11-A는 편지포착면의 측면도이고, 도 11-B는 그 확대도, 도 11-C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12 는 편지포착면의 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 은 편지포착면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 의 도 14-A는 돌상 캠의 측면도이고, 도 14-B는 그 정면도이다.
도 15 의 도 15-A는 돌상 레버의 측면도이고, 도 15-B는 돌상 캠 레버의 평면도이고, 도 15-C는 돌상 레버의 정면도이다.
도 16 의 16-A는 압상레버의 측면도이고, 도 16-B는 압상레버의 평면도이고, 도 16-C는 압상레버의 정면도이다.
도 17 의 도 17-A는 편지포착면을 상한근방 위치에서 퇴입시킨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17-B는 편지포착면을 상한근방 위치에서 퇴입시킨 상태의 측면도 정면도이다.
도 18 의 도 18-A는 편지포착면의 기본 스트로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8-B는 편지포착면의 기본 스트로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 의 도 19-A는 편지포착면의 인하량을 조정할 때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9-B는 편지포착면의 인하량을 조정할 때의 작동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0 은 제 2 의 실시형태의 편지인하장치를 횡편기에 취부한 상태를 횡편기의 정면에서 일부 투시하여 나타낸 그림이다.
도 21 은 도 1 의 선 i-i에 있어서의 화살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2 는 인하조 베드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3-A는 인하조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고, 3-B는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3 은 인자조베드에 장착된 각 부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4 는 인하조 베드의 일부를 배면에서 본 그림이다.
도 25 는 편지인하용 캠 캐리지를 나타낸다.
도 26 은 편지인하용 캠 캐리지가 좌방향으로 진행중의 상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7 은 도 24 의 캠 캐리지의 각 위상 A-F에 있어서의 인하조(引下爪)의 진퇴동작을 나타낸 도이다.
도 28 의 도 28-A는 도 24 의 캠 캐리지의 위상 C에 있어서의 인하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며, 도 28-B는 도 24 의 캠 캐리지의 위상 C에 있어서의 인하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횡편기,3침상,
8편지통과경로,16전 편지용인하수단,
17후 편지용인하수단,18개폐기구,
19편지포착면,20인하력 조절기구,
24편성캐리지,47인하부재,
48승강구동수단,49인하력 조절수단,
50인하부재본체51침,
69기재,83탄성부재연결부,
109인하조베드,111본체베드,
117편지인하용 캠 캐리지119구동가이드,
121구동가이드레일,135구동모터
137수용홈,140셀렉터,
140a제 1 셀렉터,140b제 2 셀렉터
173계합부142잠금조
143, 144스토퍼,146, 147, 149베트
150조 잭,151압상아암,
153분기아암,154베트,
155차동부,160인하조,
161조취부부,165단부(段部),
166요동지점,171잠금용 홈,
180조,183코일스프링,
185플레이트187조 가이드플레이트,
188슬릿,190캠 플레이트,
191셀렉터 올림 캠,192셀렉터 내림 캠,
193조 휴지해제 프레서 캠,194조 휴지 프레서 캠,
195, 196조 잭 유지 캠197, 198복귀 캠,
100셀렉터 선택부101, 103가동 프레서 캠,
102, 104고정 프레서 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침상의 치구부끼리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적어도 전후 한쌍 배설된 횡편기의 치구부 하방에 형성되는 편지통과 경로를 사이에 두고 편지를 인하하기 위하여 전후에 배설된 편지인하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지통과 경로내에 있는 편지의 전측 편지만을 포착해서 인하하는 전 편지용인수단과, 후측편지만을 포착해서 인하하는 후 편지용 인하수단과, 각 편지용 인하수단의 인하력을 조절하는 인하력조절기구를 설치하고, 각 편지용 인하수단은 침상의 길이방향으로 인하부재를 복수개 늘어놓아서 형성되며, 편지의 인하작용시에는 그 인하부재를 각각 순차적으로 혹은 개별적으로 편지의 인하작동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횡편기의 전후에 침상에서 통상편성되는 전측편지와 후측편지는, 개별적인 편지인하수단에 의해 각각 인하되기 때문에, 전후의 편지형상등이 다른 경우에도 편지의 인하가 적정하게 행해진다.
또한, 전 편지용 인하수단과 후 편지용 인하수단에 연동해서, 혹은 단독으로 이들의 수단을 접리방향으로 이동조작하는 편지인하장치 개폐기구를 설치한 것도 특징으로 하며, 편지용 인하수단의 인하작용부는, 편지에 대면하는 부분에 편지포착면을 가지는 승강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편지 포착면은 하강시에는 편지를 포착하고, 상승시에는 편지를 개방하는 형상으로 한 것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편지 포착면이 탄성재를 통하여 인하부재 본체에 취부되도록 한다.
이 경우, 승강부재는 동일면상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것만으로 편지의 포착과 해제를 행할 수 있고, 래킹 등, 편지에 횡방향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편지를 손상시키는 일없이 편지를 편지포착면에서 떼어낼 수 있다.
편지용 인하수단의 편지포착면은 인하부재 본체에 대해서 돌출방향으로 압압작용되며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인하부재 본체의 편지측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위치에 격납가능하고 혹은 돌출량이 적게 되도록 퇴입가능하게 구성하였다.
이렇게 하면 편지용 인하수단의 작용이 없을 때에는 편지포착면이 편지나, 편출시의 괘지구 등에 닿는 것을 방지한다.
편지포착면이 기재의 표면에 수직 혹은 소정의 각도로써 심어진 복수의 침으로 형성되고, 이 복수의 침의 중간위치 혹은 선단근접부를 비스듬히 하향으로 구부려 구성하였다.
이렇게 하면 편지포착면을 동일면상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것만으로 편지의 포착과 해제가 자동적으로 행하여 진다.
인하부재와 인하력 조절수단을 탄성부재로 연결하고, 인하력 조절수단의 탄성부재 연결부의 위치변화에 의해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변화시켜서 편지포착면의 편지인하력을 변경가능하게 구성하였다. 이렇게 하면, 편지에 맞추어 편지포착면의 편지인하력 설정을 임의로 행할 수 있다.
인하수단은, 침상길이방향과 평행으로 설치된 인하조(爪) 베드와, 그 베드에 다수 형성된 수용홈에 장착된 셀렉터, 인하조 잭, 인하조와 인하조를 하방으로 작용시키는 작용수단과, 인하조 베드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캐리지와 캐리지에 탑재되고, 임의의 상기 인하조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선택수단으로 선택된 인하조를 상승시키는 캠수단을 가지는 캐리지를 그 구성에 포함하도록 하였다.
또한, 인하조를 하방으로 작동시킴과 동시에, 셀렉터와, 인하조와의 계합부에 있어서 각각이 계합함으로써 조의 선단이 편지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조를 편지로부터 해방하고, 그리고 나서 셀렉터와 인하조와의 계합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인하조를 상승시킨 후, 셀렉터를 하강시켜 인하조와의 계합을 해제함으로써 인하조의 조를 편지측으로 요동시켜 편지를 포착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편지의 포착은, 편지를 흡인하는 흡인수단으로 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침상의 치구부끼리를 대향킨 상태에서 적어도 전후 한쌍 배설된 횡편기의 치구부의 하방의 편지통과경로내에 있는 편지를 포착하여 인하하는 편지인하수단을 설치한 횡편기로서, 편지용 인하수단은 침상의 길이방향으로 인하부재를 복수개 늘어놓아 형성되며, 편지의 인하작용시에는 이 인하부재를 각각 순차 혹은 개별적으로 편지의 인하작동이 가능하게 구성한 편지인하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지용 인하수단의 인하부재는, 인하부재 본체의 편지에 대면하는 부분에 편지포착면을 설치하여 구성되며, 그 편지 포착면은 하강시에는 편지를 포착하고, 상승시에는 편지를 해방하는 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편지포착면을 인하부재본체에 대하여 돌출방향으로 압압작용시키고, 작용않을 때 인하부재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위치로 격납가능 혹은 돌출량이 적게 되도록 퇴입가능하게 구성하였다. 이것에 의하면 횡편기의 침상에서 편성된 편지는, 편지인하수단의 각 인하부재의 편지포착면이 하강할 때에 편지를 포착하여 편지를 인하하고, 편지포착면이 상승할 때에 편지를 해방한다. 그리고 편성시에 편지의 인하가 불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필요하다면 인하부재의 편지포착면이 편지로부터 이반하는 위치로 퇴피해서 편지와의 간섭을 차단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편지 포착면이 기재의 표면에 수직 혹은 소정의 각도로써 심어진 복수의 침으로 형성되고, 그 복수의 침의 중간위치 혹은 선단 근접부를 비스듬히 하향으로 구부렸다.
이렇게 하면 편지포착면을 동일면상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것만으로 편지의 포착과 해제가 자동적으로 행하여 진다. 또한 편지포착면이 탄성재를 통하여 인하부재 본체에 취부함으로써 편지가 횡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그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편지장력에 의해 편지 포착부가 편지를 해방하는 방향으로 변위해서 편지를 해방한다.
또한, 상기 인하부재는, 인하수단의 인하력을 조정하는 인하력조절수단과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인하력 조절수단의 탄성부재 연결부의 위치변화에 의해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변화시켜 편지포착면의 편지인하력을 변경가능하게 구성했다.
이렇게 하면, 편지와 편성조건에 맞추어 편지포착면의 편지인하력의 설정을 임의로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각 부분별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 은 횡편기의 일부를 절결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중 부호 1은 횡편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다.
이 횡편기 1은, 편침 2를 침상 3에 진퇴접동 가능하게 수납하고, 그 침상 3을 그 치구부 4가 대향하는 상태로 전후로 배설하고, 치구부 4 사이에 편출시의 편사를 인하시켜 편지가 소정의 길이로 될 때까지 편지에 하향의 장력을 부여하는 편출장치 5와, 이 편출장치 5에 의해서 소정의 길이까지 인하된 편지를 로울러사이에 끼워넣고 인하하는 형식의 인하로울러장치 6 및 그 인하로울러장치 6와 협동하여 혹은 단독으로 편지를 인하하는 편지인하장치 7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편출장치 5, 인하로울러 장치 6 및 편지인하장치 7는, 전후로 대향배설된 전침상(FD, FU)와 후침상(BU, BD)과의 치구부 4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도중의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편지통로경로 8를 사이에 두고 각 침상의 하방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편지인하장치 7에서는, 치구부 4의 하방의 편지통과경로 8를 사이에 두고 전후로 한쌍의 편지인하수단 16, 17을 설치하여 통상으로 편성되는 편지에 대해서도 유리하게 인하를 행할 수 있는 형식의 것으로 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통상편지란, 예를 들면 앞길(前身頃)의 편지를 전 침상, 뒷길의 편지를 후 침상에 부속시켜, 양 편지가 그 양단부에서 연결된 상태에서 편성되는 편지를 의미하고, 한쪽의 인하장치 7가 앞길의 편지만을, 다른 한쪽의 인하장치 7가 뒷길의 편지만을 각각 인하한다. 상기 편출장치 5는 전후의 편침에 대면하도록 등을 맞대고 배설된 한쌍의 훅부재 9와 이 훅부재 9를 인하로울러장치 6의 하방위치에서 전후의 편침의 상방위치까지 상하승강시키는 승강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하로울러장치 6는, 횡편기의 좌우프레임 10, 10 사이에 걸쳐서 추지(樞支)된 전후 한쌍의 축 11에 L자형의 브라켓 12을 마주보게 하여 요동가능하게 추지시켜, 이 브라켓 12의 상단부에 인하로울러 13를 회동가능하게 추지하고, 전후의 인하로울러 13, 13를 회동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회정구동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브라켓 12의 편지통과경로 8측에서 마주보는 단부끼리를 링크플레이트 14로 연접함과 동시에 한쪽의 브라켓 12을 회동레버 15로써 회동시키므로써 전후의 인하로울러 13, 13가 서로 접리하는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편지인하장치 7는, 편지통과경로 8내에 있는 편지의 전측편지만을 포착하여 인하가능한 전 편지용 인하수단 16과 후측편지만을 포착하여 인하가능한 후 편지용 인하수단 17과, 양 편지용 인하수단 16, 17을 편지통과경로 8의 편지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편지인하장치 개폐기구(이하 간단히 개폐기구라 한다) 18과, 양 편지용 인하수단 16, 17의 후술하는 편지포착면 19의 승강 및 그 인하력을 조절하는 인하력 조절기구 20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전 편지용 인하수단 16과 후 편지용 인하수단 17의 각각은 후술하는 평행링크 21에 의해 접리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전후의 케이싱 22, 22에 짜넣어져 있다. 즉 전후의 케이싱 22, 22의 이동은 대면하는 편지 포착면 19, 19 사이를 좁게 한 편지인하작용을 행하는 폐 상태와, 넓게 벌인 편지인하작용을 행하지 않는 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이 된다.
개폐기구 18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편기의 편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제어되는 모터 84와, 이 모터 84의 회전이 치차전도기구 85를 통해서 전달되어 회전구동되는 캠축 86과, 캠축 86에 취부된 개폐캠 25과 이 개폐캠 25에 로울러 26가 접동해서 요동되는 개폐요동브라켓 27과, 개폐요동브라켓 27에 연결된 개폐로드 28에 의해 전측 추지축 30에 추지된 역 L자형의 전측 개폐아암 29과, 편지통과경로 8에 대해서 전측개폐아암 29의 대칭위치에 설치된 역 L자형의 후측 개폐아암 33과, 양 개폐아암 29, 33의 편지통과경로 8층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동플레이트 3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 개폐캠 25은 개폐요동브라켓 27을 그림가운데 반시계회전방향으로 요동시켜서 전후의 케이싱 22, 22을 도 3의 상태와 같이 이간시키는 열림용 캠면과 시계회전방향으로 요동시켜 전후의 케이싱 22, 22 사이를 좁게 하는 닫힘용 캠면으로 이루어진다.
전측개폐아암 29 및 후측개폐아암 33의 각 역 L자형의 코너 부분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후술하는 인하력 조절기구 20의 구동샤프트 70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 87, 87의 출력전도 축 30, 30에 회전가능하게 추지되고 있다.
전측개폐아암 29은 그 코너부분과 개폐로드 28의 연결과의 중간부분에 전측의 케이싱 22에 추지되는 인하력조절기구 20의 전측구동샤프트 70의 단부 70a를 추지하며, 후측개폐아암 33의 하단부에 후측케이싱 22에 추지되는 인하력 조절기구 20의 후측구동샤프트 70의 단부 70a를 각각 추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양 케이싱 22, 22의 접리(接離)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평행링크 21은, 전측개폐아암 29의 단부 70a 측부분과 이것에 평행으로 설치된 링크플레이트 38로 전측케이싱 22의 평행링크 21가 형성되고, 후측개폐아암 33부의 단부 70a측부분과 이것에 평행으로 설치된 링크플레이트 39로 전측케이싱 22의 평행링크 21가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상기 인하력조절기구 20는,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횡편기 1의 편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제어신호로써 회전제어되는 모터 84와, 이 모터 84의 회전이 치차전도기구 85를 통하여 전해져 회전구동되는 캠축 86과, 캠축 86에 고정되어 상기 개폐캠 25과 같이 행동하는 인하력조절캠 40과, 이 인하력조절캠 40에 접동로울러 41가 접동해서 요동되는 인하력조절용 브라켓 42과, 중간부가 상기 출력전도축 30에 회동가능하게 추지되어 전후의 각 케이싱 22, 22에 편지통과경로 8를 사이에 두고 대칭위치에 배설된 ⌒자 형상의 전측아암 43 및 후측아암 44과, 후측아암 44의 하단과 상기 인하력조절용 브라켓 42의 상단을 연결하는 길이조정 가능한 연결로드 45와, 편지통과 경로 8측의 양 아암 43, 44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동플레이트 46을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양 아암 43, 44의 하단부분에는 전후의 케이싱 22, 22에 짜넣어진 인하부재 47, 47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 48과, 인하부재 47, 47의 인하력을 설정하는 인하력조절수단 49을 설치하고 있다. (도 7, 도 8 참조)
상기 인하부재 47는 전후의 각 침상 3, 3의 길이방향에 따라 복수로 늘어져 형성되어 있고, 각 인하부재 47 는, 사출성형에 의해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플라스틱제 인하부재본체 50 와, 이 인하부재 본체 50 내에 장착된 편지포착면 형성부재 5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도 9 참조).
인하부재 본체 50 는 그 상반부에 편지포착면형성부재 53 의 수납공간 52 을 형성함과 동시에, 수납공간 52 부분의 한 측면에는 인하장력 조정용 스프링 54의 상단을 계합시킨 스프링받이용 돌기 55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도 7, 도 8 참조)
또한, 이 인하장력 조정용 스프링 54 의 하단은 후술하는 밀어 올리는 압상레버 76 의 압상작용부 76b 에 설치된 스프링받이용 돌기(탄성부재 연결부) 83 에 받쳐 멈추어진다.
인하본체 50 의 아랫쪽의 한 측부내면에 후술하는 솔레노이드 59 의 계합편 60 이 계합하는 계합부 61 이 상하 2단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인하부재본체 50 의 하단부에는 압상로울러 56 가 배설되어 있고, 이 압상로울러 56에 승강구동수단 48 및 인하력조절수단 49 이 작용해서 인하부재본체 50 가 상하승강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편지 포착면형성부재 53는, 비교적 중량이 있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그 표면부분에 편지포착면이 형성된 상태에서 인하부재 본체 50의 수납공간 52 에 수납되며, 이 편지 포착면형성부재 53 는 인하부재본체 50 의 하반부에 장착된 프로텍터 50a 에 의해 제지되고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59 는, 도 7, 8에 나타난 것과 같이 케이싱 22의 편지통과 경로 8측에 고정된 상기 접동용 베어링 58의 이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뒤이어 솔레노이드 59의 작용을 설명한다.
솔레노이드 59는, 제어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ON 및 OFF 로 제어되고, 통상적으로 통전이 단절되어 OFF로 되어 있으며, 솔레노이드 59의 계합편 60이 인하부재 본체 50의 뒤쪽에 설치된 계합부 61에 계합하지 않고, 인하부재본체 50 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된다.
솔레노이드 59가 통전되어 ON으로 되면, 솔레노이드 59의 계합편 60 이 계합방향으로 기울어져 인하부재 본체 50 에 설치된 상하 어느쪽인가의 계합부 61 에 계합되는 상태로 된다.
솔레노이드 59 이 계합편 60 이 하방의 계합부 61 에 계합된 편지포착면 형성부재 53 가 상한근방까지 상승하는 때는 편지포착면 19 이 그 케이싱 22 측에 내려앉는 몰(沒)의 상태로 고정되고, 솔레노이드 59의 계합편 60이 상방의 계합부 61에 계합된 때에는 편지포착면 19이 돌출한 상태로 상하로 승강하지 않는 휴지의 상태로 된다.
이 몰 및 휴지의 상태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하지만, 이와 같이 해서, 솔레노이드 59의 ON 및 OFF에 의해, 인하부재 47의 상하 슬라이드운동에 정지 및 그 정지의 해제가 제어된다.
상기 편지포착면 형성부재 53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그 이면의 네 귀퉁이에 각각 스프링수납용 요부 62가 천설되며, 이 스프링수납용 요부 62에 장착되는 코일스프링 63이 인하부재 본체 50의 수납공간 52의 저부로부터 나오는 스프링받이용 돌기 64에 취부되어져 편지포착면 19은 그 표면이 편지통과경로 8측에 돌출하도록 작용받고 있다.
이와 같이 편지포착면 형성부재 53의 이면의 네귀퉁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 63 에 의해 압출작용 받는 편지포착면 19은, 편성중에 짜임조직을 변경하여 무늬를 형성할 때와 같이 편지의 두께가 증감하거나, 편사의 번수가 변경되거나 하는 경우에도 이 코일스프링 63 의 장력에 의해 편지포착면 19을 편성중의 편지에 적정하게 계합시키거나 해방하거나 하는 작용을 행한다.
또한, 코일스프링 63의 장력으로 압출작용받는 편지포착면 19은, 침상 3의 래킹이나 편지의 코줄임 등에 의해 편지에 횡방향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그 편지포착면 19이 코일 스프링 63에 저항해서 편지가 벗겨지기 쉽게 되는 방향으로 경사되고, 후술한 침 51의 형상과도 서로 어울려 편지를 편지포착면 19으로 부터 해방하는 작용도 한다.
편지포착면 형성부재 53의 이면 중앙부에는 로울러 65가 그 이면과의 사이에 간격을 둔 상태에서 수평으로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전후의 케이싱 22, 22 측으로부터는 상기 로울러 65와 편지포착면 형성부재 53의 이면중앙부와의 공간부분에 밀고 들어간 하향의 갈고리형 인입편 66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갈고리형 인입편 66은,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표면부분에 하향의 훅부분 66a이 돌출형성되며, 그 훅부분 66a의 상단에서부터 이면에 걸쳐서 케이싱 22의 상단 공간부에 끼워맞추어지는 고정편 66b이 형성됨과 동시에, 훅부분 66a과 고정편 66b와의 사이에 케이싱 22의 윗가장자리부분 22a에 당접하여 인입편 66을 안정시키는 고정부 66c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입편 66 의 고정편 66b이 케이싱 22의 상단부에 끼워 맞추어지고, 고정부 66c 가 케이싱 22 이 윗가장자리에 접하는 것에 의해 갈고리형의 인입편 66이 케이싱 22의 상단근접부에 단단히 고정되므로, 인하부재 47가 최상위치 근방까지 상승될 때, 케이싱 22으로부터 돌출되는 하향의 갈고리형의 인입편 66에 의해 이 로울러 65가 케이싱 22측에 밀어 넣어지고,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편지포착면 19이 코일스프링 63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케이싱 22측에 내려앉게 되어 있다.
상기 편지포착면 19 은,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 캔버스지 67에 고무 68 등을 코팅한 가요성을 가지는 기재 69와, 그 기재 69에 촘촘히 심어진 침 51으로 이루어지고, 기재 69로부터 돌출하는 침 51부분은, 기재 69의 표면에 대해서 일단 상향으로 심어지며, 그 중간부를 선단부분이 하방으로 되도록 구부림과 동시에, 침 51의 선단의 윗가장자리를 면취(面取)하고, 선단측면부분을 절삭하여 끝이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편지포착면 19의 침 51을 형성하면, 도 11-B에 나타낸 것처럼 편지의 장력이 침 51에 대하여 상향 (도중 C 방향)에 대해서는 단단히 잡아붙이고, 하향(도중 D방향)의 장력에 대해서는 편지를 저항없이 해방한다.
또한, 도 11-B에서 나타낸 것처럼 편지의 장력이 침 51에 대해서 횡방향(도중 E방향)으로 작용할 때에는, 기재 69의 탄성변형과 침 51의 구부림에 의해 편지를 침 51으로부터 해방한다.
여기서, 침 51은 기재 69의 표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식설(植設)한 후, 중간부를 구부려서 선단이 비스듬히 하향으로 형성되도록 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며, 도 12에 나타낸 것처럼 판상부재로부터 침 51을 뻗어나게 하거나, 도 13에 나타낸 것처럼 판상부재로부터 톱니모양으로 하여 편지포착면 19을 형성하는 침 51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렇게 하면 도 12 및 13과 같이 판상부재로부터 바늘 51부분을 형성하는 경우,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각 케이싱 22, 22에 짜넣은 인하부재 47의 승강 및 그 승강량을 조절하는 인하력조절기구 20 를 설명하면, 인하력조절기구 2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승강구동수단 48과, 인하력조절수단 49으로 이루어진다.
승강구동수단 48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프레임 10의 좌측에 전후 한쌍 설치된 구동모터 87와, 전후의 각 케이싱 22, 22에 각각 설치되고, 단부 70a가 전후의 각 개폐아암 29에 지지된 6각형의 구동샤프트 70와, 구동모터 87의 회전을 출력전도축 30을 통해서 구동샤프트 70에 전달하는 치차전도수단 88과,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각 인하부재 47의 압상로울러 56에 대응하여 구동샤프트 70에 설치된 돌상(突上)캠 71과, 압상로울러 56에 작용하는 돌상레버 73와, 이 돌상레버 73의 중간부분에 설치된 돌상로울러 74를 갖추어 이루어진다.
상기 돌상 캠 71은, 도 14에 표시한 것처럼 6각의 구동샤프트에 70에 끼워맞추는 6각공 71a이 형성된 기단부로부터 하나의 캠산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돌상 캠 71은 인하부재 47의 5개를 1유니트로 하여 각 인하부재 47, 47... 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서로 이웃하는 캠의 산 71b끼리의 위상을 순차적으로 60도씩 늦춘 상태로 6각의 구동샤프트 70에 끼워맞추어져 취부되어 있다.
돌상레버 73는 도 15-A 내지 도 15-C에 나타낸 것처럼 중간에 돌상 캠 71의 캠산 71b이 회동하는 슬릿 89을 설치하고 있고, 이 슬릿 89내에 상기 돌상로울러 74가 회전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또한 돌상레버 73는 기단부 73a가 구동샤프트 70와 평행으로 설치된 추지축 72(도 7, 도 8 참조)에 추지되고, 기단부 73a에는 헤리컬 스프링 75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 기단부 73a로부터 아치형상으로 뻗쳐나온 선단부 73b가 상기 압상로울러 56에 작용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헤리컬 스프링 75은, 인하장력조정용 스프링 54과 함께 편지포착면 19 의 인하력조절에도 작용한다.
그리고, 돌상 캡 71 및 돌상레버 73 는, 침상 3 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있는 인하부재 47 의 5개를 1유니트로 하여 각 인하부재 47, 47... 에 위상을 60도씩 늦춘 상태에서 6각의 구동샤프트 70에 끼워 맞추어져 취부되어 있으므로, 6각의 구동샤프트 70의 6면 중 5면에는 각각 캠산 71b이 형성된 상태로 되고, 구동샤프트 70의 나머지 1면은 어느쪽의 돌상레버 73 도 요동조작되지 않는, 즉 구동모터 72가 정지하는 휴지면으로 된다.
이 휴지면에서 구동모터 72가 정지되면 모든 인하부재 47는 편지포착면 19이 편지를 중지한 상태로 유지되며, 편지포착면 19에서 편지가 인하하는 상태로 된다.
상기 구동모터 72는, 편지의 편성속도와, 도 18 에 나타낸 편지포착면 형성부재 53의 기본 스토로크 S 와의 관계에 맞추기 위하여 그 회전속도는 변경 및 정지가능하게 되어있다.
예를 들면, 편지의 편성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구동모터 72 는 항상 회전시키지 않고 휴지위치에서 정지시켜 놓거나, 저속으로 회전시키고, 반대로 편지의 편성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구동모터 72를 항상 회전시킨다.
인하력 조절수단 49 은, 인하력 조절기구 20 의 전측아암 43 및 후측아암 44 에서 각각 회동조작되는 압상레버 76 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압상레버 76 는, 도 16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돌상레버 73의 추지축 72 에 추지되는 추지부 76a 로부터 아치형상으로 뻗쳐나온 선단부에 인하부재 47의 압상로울러 56를 밀어올리는 압상작용부 76b가 형성되고, 이 압상작용부 76b의 측면부분에는 스프링받이용 돌기 83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추지부 76a 의 하방에는 인하력조절기구 20 가 조작용 요동샤프트 82 로 조작되는 두 허벅지부 76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용 요동샤프트 82는 도 6 및 도 7 에 나타낸 것처럼 조작축 79에 취부된 조작레버 78의 상단부분에 배설되어 있고, 조작레버 78는, 인하력 조절기구 20의 양 아암 43, 44의 하단부에 형성된 긴 구멍 81에 조작축 79에 취부된 연동레버 77의 단부 접동자 80을 접동가능하게 끼워맞추어 놓았으며, 모터 84를 구동제어하므로써 치차전도기구 85, 캠축 86, 인하력조절캠 40, 인하력조절용 브라캣 42, 연결로드 45를 통하여 전측아암 43과 후측아암 44 이 요동조작되는 경우에 연동레버 77가 조작축 79을 회동조작하도록 되어 있다(도 6 참조).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개폐기구 18에 의한 케이싱 22, 22의 개폐와, 인하력 조절기구 20에 의한 인하부재 47의 인하량의 제어 및 인하력의 조절을 행하지만, 개폐기구 18 의 개폐캠 25과 인하력 조절캠 40 이 동일한 캠축 84 에 취부되어 같이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캠 25, 40의 조합에 의해, 케이싱 22, 22이 개(開)의 상태와 폐(閉)의 상태의 두 양태로 조작되고, 케이싱 22, 22이 폐의 상태인 경우에 인하력조절기구 20 로써 인하부재 47의 인하력이 강, 중, 약 및 휴지의 4단계로 조절된다.
상기 케이싱 22, 22의 개폐와, 케이싱 22, 22 이 폐의 상태시 인하부재 47의 4단계 인하력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하지만, 편지포착면 형성부재 53의 인하량은 돌상레버 73를 통해서 돌상 캠 71의 캠산으로 밀어올려지는 양(도 18에 나타낸 S)를 기본 스트로크로서 설명한다.
케이싱 22의 개의 상태란, 편지포착면 19이 짜넣어진 전후의 케이싱 22, 22 사이의 편지가 통과하는 편지통과경로 8 를 이간한 상태를 말하며, 개폐기구 18 를 이하와 같이 조작한다.
우선, 횡편기 1 의 편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제어되는 모터 84 에 의해 치차전도기구 85, 캠 축 86 을 통하여 개폐캠 25을 회동시켜 개폐요동 브라켓 27을 도 3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전측의 케이싱 22의 전측개폐아암 29이 시계회전방향으로, 후측의 케이싱 22의 후측개폐아암 33이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전후의 케이싱 22, 22은 각각 평행링크 21에 의해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도 2 및 도 3 의 개의 상태로 된다.
그 결과, 평행링크 21의 작동에 의해 전후의 케이싱 22은 그 사이의 편지통과경로 8 가 넓게 벌어지고, 편출장치 5 의 훅부재 9 가 치구부 4 까지 상승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때, 개폐캠 25 과 동행하여 인하력조절캠 40 이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인하력조절용 브라캣 42 은 도 6 의 상태에서 시계회전방향으로 요동하고, 연동레버 77를 통해서 후측의 조작축 79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조작축 79의 회동에 의해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조작용 요동샤프트 82가 압상레버 76의 두 허벅지부 76c의 전측부분을 밀며, 압상레버 76 를 72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시키므로, 압상레버 76의 선단의 작용부 76b가 압상로울러 56를 밀어올려서 편지포착면 형성부재 53를 상한 위치근방까지 상승시킨다.
이 압상작용부 76b에 의한 편지포착면 형성부재 53 의 압상량은 돌상레버 73 를 통해서 돌상 캠 71으로 치켜 올려지는 기본 스트로크 S 보다도 크다.
이에 따라, 편지포착면 형성부재 53의 이면중앙부의 로울러 65가 갈고리모양의 인입편 66 으로 홀더 57 측에 끌어넣어지므로 편지 포착면 19이 코일스프링 63에 대항해서 케이싱 22 측에 잠겨든다. (도 16-A 참조)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 59에 통전하여 계합편 60을 도 16-B에 있어서의 (가)의 상태에서 도 16-B에 있어서의 (나)의 상태로 계합부 61 측으로 기울이면, 계합편 60 이 하단의 계합부 61에 계합되고, 편지포착면 19 이 케이싱 22 측에 잠긴 상태에서 편지포착면 형성부재 53 를 상한위치근방에 보지한 몰의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곳에서, 편지포착면 19 이 케이싱 22 측에 잠겨든 몰의 상태는 편폭외의 인하부재 47 부분에 설정되고, 편지포착면 19 을 케이싱 22 측에 잠겨들게 함으로써, 편지편성에 지장이 오지 않도록 퇴피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침상의 래킹시에 편지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편지의 이동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이동경로에 있는 인하부재 47 부분을 몰의 상태로 하는 수도 있다.
다음에, 전후의 케이싱 22, 22를 폐의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모터 84를 회동시키는 캠축 86에 취부되어진 개폐 캠 52을 개폐요동브라캣 27 이 도 3의 상태로부터 그 선단이 우측으로 요동하도록 회동시킨다.
그러면, 전측의 케이싱 22의 전측 개폐아암 29이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후측의 케이싱 22의 후측개폐아암 33이 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하며, 전후의 케이싱 22, 22는 각각 평행링크 21에 의해 끌어 당겨져 폐의 상태로 된다.
솔레노이드 59에의 통전이 차단되어 계합편 60과 계합부 61 의 계합이 해제된 편지포착면 형성부재 53는 상하승강할 수 있어 편지포착면 19에 의한 편지인하가능한 상태와, 상하승강하지 않는 휴지 상태로 된다.
이 전후의 케이싱 22, 22이 끌어당겨져 폐의 상태에서의 인하부재 47의 편지포착면 19에 의한 편지인하작용을 행하지 않는 상기 휴지는, 솔레노이드 59에 통전하여 계합편 60을 도 16-B에 있어서의 (가)의 상태에서 도 16-B에 있어서의 (나)의 상태로 계합부 61 측으로 기울어져, 계합편 60 이 상단의 계합부 61 에 계합된 상태이며, 이 인하부재 47 의 위치는 기본 스토로크 S의 약간 상방, 즉 인하부재 47의 압상로울러 56가 돌상 캠 71의 캠산(山)의 회전궤적보다 약간 하방의 위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돌상 캠 71이 회동해도 그 캠산으로 인하부재 47가 압상되는 일없이 편지포착면 형성부재 53는 휴지의 상태로 된다. 이 휴지상태는 무늬편(柄編)등으로 편폭내에 있어서 짜지지 않는 부분으로 설정된다.
전후의 케이싱 22, 22이 끌어당겨진 폐의 상태에서의 편지포착면 19 에 의한 편지인하력의 강의 상태를 다음에 설명한다.
편지인하력을 강으로 하기 위해서는, 인하력조절캠 40을 회동시켜 인하력 조절용 요동브라켓 42을 그 선단에 그림중 가장 좌측에 위치하도록 요동시키고, 연결로드 45, 후측아암 44 및 연동레버 77를 통해서 조작축 79을 회동시킨다.
이 조작축 79의 회동으로 조작레버 78의 조작용 요동샤프트 82로 전측의 압상레버 76는 시계회전방향으로, 후측의 압상레버 76는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각각 회동되며, 도 18-A에 나타낸 것처럼 압상레버 76 의 압상작용부 76b를 하강시켜 인하장력 조정용 스프링 54을 늘이며, 스프링 받이돌기 55 에 작용하는 인하장력조정용 스프링 54의 장력을 작용시킨다. 이 강하게 된 장력조정용 스프링 54의 장력과 인하부재 47의 자중에 의해 편지포착면 19에 의한 편지인하력은 강의 상태로 된다.
이 강의 상태는, 예를들면 편폭의 일부만을 되풀이해서 짜고싶은 경우등 특히 커다란 인하력이 필요로 되는 경우 등에 사용되며, 그 경우, 짜지지 않는 다른 부분은 휴지의 상태로 놓여진다.
상기 강의 상태, 즉, 장력조정용 스프링 54 의 장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는 장력조정용 스프링 54의 장력의 범위내에서 그 장력을 무단계로 조정하여 편지포착면 19 에 의해 인하력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후의 케이싱 22, 22이 끌어당겨진 폐의 상태에 있어서의 편지 포착면 19 에 의한 편지인하력을 중 으로 하기 위해서는, 인하력조절캠 40을 회동시켜 인하력조절용 요동브라캣 42 을 그 선단이 도 18 의 강의 상태보다도 우측에, 도 6 보다도 좌측의 위치로 요동시킨다.
그러면, 연결로드 45, 후측 아암 44 및 연동레버 77 를 통해서 도 18-A의 강상태에서 전측의 조작축 79 을 시계회전방향으로, 후측의 조작축 79을 반시계회전방향으로 각각 회동시킨다.
이 각 조작축 79의 회동에 의해, 전측의 조작용 요동샤프트 82를 시계회전방향으로, 후측의 조작용 요동샤프트 82를 반시계회전방향으로 각각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신장상태에 있는 인하장력조정용 스프링 54은 수축되고, 압상레버 76 의 압상작용부 76b를 상승시킴으로써, 인하부재 47에는 인하장력조정스프링 54의 장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편지포착면 19 에 의한 편지인하력은 인하부재 47 의 자중으로 편지를 인하하며, 이 편지 인하력이 중으로 된다. 일반적인 편성은, 이 중의 상태에서 편성된다.
다음, 전후의 케이싱 22, 22 이 끌어당겨진 폐의 상태에 있어서의 편지 포착면 19 에 의한 편지인하력을 약으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중의 상태에서 더욱 전측의 조작축 79을 시계회전방향으로, 후측의 조작축 79을 반시계회전방향으로 각각 회동시켜, 조작용 요동샤프트 82로 헤리컬 스프링 75을 통하여 전측의 돌상레버 73를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후측의 돌상레버 73를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회동시킨다. 그러면 도 19-A에 나타낸 것처럼 돌상레버 73의 선단부 73b가 인하부재 47 의 압상(押上)로울러 56 에 맞닿은 뒤에도 기단부 73a에 설치된 헤리컬 스프링 75이 조작용 요동샤프트 82로 압압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편지포착면 19 에 의한 편지인하력은, 인하부재 47의 자중에서 선단부 73b가 헬리컬스프링 75의 압압분을 뺀 중량으로 되고, 편지인하력이 약으로 된다. 이 약의 상태는, 예를 들면 편지단부처리 등의 공그르기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설정된다.
상기 편지포착면 19의 편지인하력의 강, 중, 약 및 휴지 혹은 상기 편지포착면 19 이 내려앉은 몰의 각 상태의 설정은, 편지의 편성중에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예를들면 일부의 인하부재 47를 편지인하력이 중의 상태에서 편지포착면 19의 몰로 하는 경우, 전후의 케이싱 22을 폐에서 개로 하여 편지포착면 19 을 몰로 하고, 솔레노이드 59 의 계합편 60으로 소망하는 부분의 인하부재 47를 상승시킨 몰의 상태로 유지시켜 전후의 케이싱 22을 개에서 폐로 되돌린다. 그러면, 그 일부의 인하부재 47는 편지인하력을 중의 상태에서 편지포착면 19 이 내려앉은 몰의 상태로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인하로울러장치 6 를 구비한 것에서는 상기의 편지인하력이 중의 상태에서 편지포착면 19 이 잠기는 몰의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 인하로울러장치 6 로 편지를 협지하여 유지시켜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상의 인하장치 7 에서는, 편지통과경로 8 를 끼고 전후에 한쌍의 인하수단을 설치했기 때문에 통상편지를 구성하는 전후의 각 편지의 인하용으로 설치된 인하수단을 하나하나 제어하여 각각의 편지를 인하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스웨터 등을 편성할 때에 전신과 후신의 형상이나 코스수가 서로 다른 경우에도 편지의 인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개폐기구 18에 의해 각 인하수단 16, 17의 편지포착면 19 사이를 넓게 벌이는 개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편출장치 5를 2 기 설치한 경우에도, 편출장치가 승강하기 위한 통과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지만, 편출장치 5가 1기만 배설되는 경우나 편출장치가 배설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기구 18 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편지인하장치는 단면 2층상의 통상편지편성용으로서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전신, 후신 등을 각각의 편지(단층)로서 1매씩 짜내는 것 같은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편지를 통상체로 하지 않고 1매씩 편성하는 것을 주로 하는 횡편기의 경우에는, 편지통과경로를 끼고 어느쪽인가 한쪽에만 인하수단을 설치하고, 다른 쪽에 인하부재의 각 편지압압면에 대면하여 편지압압면의 승강스트로크의 범위를 커버하는 가이드부재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가이드부재는, 편지포착면에서 편지를 포착하는 경우에 편지가 포착면 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규제하여 편지포착면에서 편지를 확실하게 포착하도록 한다.
또, 5개의 인하부재로써 1개씩의 유니트를 구성하고, 각 인하부재를 끝에서 부터 순차적으로 돌상토록 캠산의 위상을 늦추어서 배치하였지만, 유니트를 구성하는 인하부재의 수를 변경하는 것이나 캠산의 구동샤프트에의 취부위치를 변경해서 각 인하부재가 다른 타이밍(예를 들면, 랜덤)으로 작동시키도록 하는 등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20 은 횡편기 1 에 취부된 상태의 편지인하장치 103를 횡편기의 정면에서 일부 투시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21 은 도 20의 선 i-i의 화살방향으로 본 단면도를 나타낸다.
편지인하장치 103 는, 전 편지용인하부 103f와 후 편지용인하부 103b 로 구성되며, 전후의 편지용 인하부 103f, 103b 는, 전후에 대향배설된 전침상(FD, FU), 후침상(BD, BU)의 치구부 5 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1점쇄선으로 나타낸 편지통과경로 8 를 끼고, 각 침상의 하방에 설치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편지포착수단으로서 편지를 거는 훅(hook)부재, 예를 들면, 인하조를 사용하여, 편지 108 의 표면측에서 편지를 걸어서 인하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인하조베드 109 는, 그 배면에 후술하는 인하조 등을 수용하는 다수의 수용홈 137 이 형성된다.
이 베드 109 는, 침상길이방향으로 평행으로 연장되고, 그 양단부를 본체베드(침상 3) 111로부터 튀어나온 역 T자형의 브라켓 113의 돌설부 113a에 나사고정되어 횡편기상에 지지된다.
도중의 부호 115 는, 인하조베드 109의 흔들림중지용으로서 베드중앙부의 2개소를 본체베드 111에 고정하는 브라켓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편지통과경로 8 에 대면하는 측을 정면, 대면하지 않는 측을 배면으로서 설명한다. 전후의 편지용 인하부 103f, 3b는, 각각 동일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후편지용 인하부 103b 에 대해서 이하 설명하기로 하고, 전편지용 인하부 103f의 후편지용 인하부 103b와 대응하는 개소에는 같은 부호를 붙였다.
편지인하용의 캠캐리지 117 는, 인하조베드 109에 장착되는 인하조의 진퇴동작을 조작한다. 이 캐리지 117 는, 인하조베드 109에 고정된 구동가이드레일 121 에 의해 가이드 되며, 인하조베드의 길이방향을 주행자유로운 구동가이드 119에 취부된다. 이 가이드 119의 일단 119a는, 인하조베드 109의 양측단에 설치된 푸울리 123, 125 간에 장설된 타이밍 벨트 127에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며, 구동모터 135의 회전구동이 모터 135의 회전축에 축지되는 푸울리 133, 타이밍벨트 131, 푸울리 129를 거쳐 푸울리 123 에 전달되며, 그 결과, 캠캐리지 117는 인하조베드상을 이동한다.
구동모터 135가 정전 또는 역전구동함으로써 캠캐리지 117 는, 인하조베드 109 의 길이방향을 왕복주행한다.
베드구성
도 22- 도 24 는, 편지인하부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2 는 편지를 포착하는 인하조가 하강(후퇴)하는 위치(도 22-A)와 상승(진출)하는 위치(도 22-B)를 나타내고, 도 23은, 인하조 베드 109에 장착되는 각 부품을 나타낸다.
도 24 는 구동가이드 119를 밖으로 드러냄과 동시에 조 가이드플레이트 187의 일부를 투시한 상태의 편지인하부를 배면에서 본 그림을 나타낸다.
인하조베드 109는 다수의 수용홈 137을 가지며, 각 수용홈 137에는 셀렉터 140, 조잭 150, 인하조 160 이 장착된다. 이 수용홈 137은, 얕은 홈부 137a 와 깊은홈부 137b에서 구성되고, 인하조 160이 수용되는 조베드 109의 상방측이 얕은 홈 137a, 셀렉터 140을 수용하는 하방측이 깊은 홈부 137b으로서 형성된다.
조잭 150 은, 진출시에 선단에 인하조 160 의 단부 165에 닿는 압상 아암 151, 그 후방에 조잭 150 의 본체 152 를 분기하여 분기아암 153을 형성함과 동시에 분기아암 153의 선단배면에 베트 154를 형성한다.
이 베트 154는, 조잭 150이 수용홈내를 후퇴한 위치에서는 깊은홈부 137b내에 숨어보이지 않게 되고, 조잭 150이 진출한 위치에서는 얕은홈부 137a 밖으로 노출된다. 조잭 150은, 수용홈내에서 셀렉터 140와 적층상태로 배치되고, 조잭 150 의 셀렉터 140와의 습접면측에 셀렉터 140의 수용면내에 돌출형성되는 차동부(差動部)155가 형성되어 있다.
셀렉터 140 는, 제 1 셀렉터 140a, 제 2 셀렉터 140b의 2종류가 있고, 그들은 셀렉터꼬리부의 배면에 형성된 베트 147의 형성위치가 다를 뿐으로, 나머지는 동일형상을 가진다.
인하조 베드 109의 좌측단에서 홀수번째의 수용홈에 제 1 셀렉터 140a를, 짝수번째의 수용홈에 제 2 셀렉터 140b를 각각 수용한다. 제 1 셀렉터 140a 는, 편지인하용 캠캐리지 117 가 좌방향진행시에 선택되고, 제 2 셀렉터 140b는, 캠캐리지 117 이 우방향 진행시에 선택된다.
셀렉터 140 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인하조 160 의 개략 형상의 하단부 167를 끼워맞춘 받이부(受部) 141과 인하조베드 109 의 정면에 삭설한 잠금용홈 171의 계합부 173과 계합하는 잠금조 142를 가진다.
또한, 셀렉터 140의 중앙정면측에는, 상하 1조의 스토퍼 143, 144를 소정간격을 사이에 두고 돌설함과 동시에 그 사이에 셀렉터의 요동지지점(搖動支点) 145를 형서한다.
셀렉터 배면에는 위로부터 베트 146, 베트 147, 베트 148 가 각각 형성되고, 수용홈 밖으로 돌출가능하게 되어있다. 제 2 셀렉터 140b에 대해서는 베트 147, 148은 하나의 광폭베트 149 내에 연설된다. 이들 각 베트의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조잭 150의 차동부 155는, 셀렉터 140의 스토퍼 143, 144의 사이에 위치하여 셀렉터 140 가 후술하는 편지인하용 캠캐리지 117에 탑재된 캠수단에 의해 진퇴조작될 때에 조잭 150의 승강을 셀렉터 140의 그것에 대하여 차동량 1 의 만큼 늦춘다.
인하조 160 는, 선단부에 조 취부부 161가 형성되며, 별도부품으로서 구성된 조 180의 본체부를 조 취부부의 취부홈(도시하지 않음)에 끼워 맞춘다. 조 180은, 조 선단 180a 편목(編目)내, 즉 코내에 진입하여 편지를 포착할 수 있도록 박판상의 플레이트로 형성한다.
조 취부부 161의 후방의 배면측에 스프링 관삽부 162, 하한 스토퍼 163 이 형성되고, 본체 164의 중앙부분의 배면측에는 상기 조 잭 150의 압상아암 151과 닿는 단부 165, 정면에는 수용홈의 밑벽에 닿는 요동지지점 166 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스프링관삽부 162 에는 코일스프링 83 이 장착된다. 인하조 160 의 하단부 167는, 전기셀렉터의 받이부 41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대략 형상으로 된다. 부호 38 는 조 베드 109에 장착되어, 조베드 109의 수용홈 137 으로부터 셀렉턱 140, 조 잭 150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눌름판을 나타낸다.
인하조 160 의 선단측은, 구동가이드레일 121의 윗가장자리에 취부된 플레이트 185와 이 플레이트 185에 고정되는 인하조 160를 수용가이드하는 다수의 슬릿 188을 형성한 조 가이드 플레이트 187 이 설치된다.
편지통과경로 8를 형성하는 전 편지용인하부 103f와 후 편지용인하부 103b의 조 가이드 플래이트 187 사이의 간격은 10mm 전후로 하며, 슬릿 188으로부터 조 180가 노출하여 편지를 포착한 상태에서 전후의 조가 간섭하지 않는 간격을 마련한다.
인하조 160 의 진퇴동 스트로크는 10mm 정도로 하지만 더한층 스트로크를 크게 해도 좋다. 인하조의 수는 침상의 침의 수와 동수로 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2-10본 건너서 하나, 즉 2-10웨일(wale)의 코에 대해, 하나씩 설치해도 좋다.
캠 캐리지
도 25-A는, 편지인하용 캠 캐리지 117 의 캠배치를 나타낸 투시도를 가리키며, 도 25-B는, 도 25-A의 선 ii-ii에 있어서의 화살표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캠 플레이트 190의 중앙부에 셀렉터 올림캠 191 과 셀렉터 내림캠 192 이 설치된다.
셀렉터올림캠 191은, 셀렉터베트 146와 계합하는 상부 올림캠 191a과 셀렉터베트 148과 계합하는 하부 올림캠 19b 로 구성된다.
하부 올림캠 191b의 정상부에 조 휴지해체 프레서 캠 193을 설치하고, 올림캠 191b의 아래쪽부의 양측에 셀렉터 선택부 100R, 100L을 설치한다. 각 셀렉터 선택부 100R, L에는 가동프레서 캠 101, 103 과 고정프레서 캠 102, 104이 배치된다.
셀렉터 상부올림캠 191a의 정상부에는 조 휴지 프레서 캠 194 이 설치됨과 동시에 셀렉터 내림캠 191b 윗가장자리에 따라 좌우 한쌍의 잭유지 캠 195, 196 이 설치된다. 197, 198 은 캠 플레이트의 양단에 설치된 복구캠을 나타낸다.
상기 캠 가운데 솔레노이드 등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용, 부작용위치로 전환작동되는 가동캠은, 조휴지해제프레서 캠 193과 셀렉터 선택부 100에 설치된 가동프레서 캠 101, 103 및 조 휴지프레서 194 이다.
조 잭 유지 캠 195, 196은 요동식의 프레서로 구성되지만, 그 자체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는 없고, 그림으로 나타낸 장치를 기준으로 해서 상방으로 요동가능하게 되어있는데, 무부하인 때에는 도시하지 않은 작동수단에 의해 기준위치로 복귀시키는 구성을 취한다.
셀렉터 상부올림캠 191a과 내림캠 192의 사이에 형성되는 셀렉터베트 146의 홈캠 107은, 캠플레이트 190 보다도 높은 높이로서 형성된다. 부호 109는 캠사면을 나타낸다.
편지인하용 캠 캐리지 117가 인하조베드 109 상을 왕복이동하고, 셀렉터 선택부 100가 셀렉터 140에 도달하기 전에 복귀 캠 197 또는 198 이 베트 146을 압압함으로써 셀렉터 140를 조 잭 150 의 차동부 55 상에서 요동지지점 45을 중심으로 요동시킨다. 그 결과 셀렉터의 꼬리부에 설치된 베트 147, 148을 수용홈으로부터 노출시켜, 선택부 100에서 선택가능한 돌출위치로 복귀시킨다. (복귀위치)
좌우에 설치된 셀렉터 선택부 100 가운데 셀렉터 선택부 100R는 캐리지가 우행할 때 작동하고, 셀렉터 선택부 100L는 캐리지가 좌행할 때 작동한다. 셀렉터 선택부 100R는, 하단에 배설된 고정프레서 102 와 상단에 배설된 가동(요동 또는 출물) 프레서 101를 가진다. 고정프레서캠 102은 도 3-A에 나타낸 복귀위치에 있는 제 2 셀렉터 140b의 베트 147b를 압압하여 셀렉터 하부올림캡 191b의 작용을 받지 않는 위치로 수용홈내에 내려오게 한다.
가동프레서 캠 101은 복귀위치에 있는 임의의 제 1 셀렉터 140a의 베트 147a에 대해서 작동하고, 그 가동프레서 캠 101의 작용을 받지 않은 셀렉터만이 후속의 셀렉터 하부올림 캠 191b와 계합한다.
마찬가지로 셀렉터 선택부 100L은, 상단에 배설된 고정프레서 캠 104과 하단에 배설된 가동프레서 캠 103을 가지며, 고정프레서 캠 104 은 복귀위치에 있는 제 1 셀렉터 140a의 베트를 압압하여 홈안으로 잠기게 한다. 가동프레서 캠 103은 복귀위치에 있는 제 2 셀렉터 140b의 베트 147b에 대해서 작동하고, 프레서로 압압된 셀렉터는 후속의 셀렉터 올림캠 191 의 작용을 받지 않으며, 셀렉터의 압압작용을 받지 않은 셀렉터만이 셀렉터 올림캠 191에 계합된다.
상기 편지인하용 캠캐리지 117 의 구동제어는, 편성캐리지 114의 편성동작에 관련지어 행하도록 하고, 예를들면 전신측의 편목코스의 형성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전 편지용인하부 103f의 인하용 캠 캐리지 117을 구동시키고, 이 부분에 대응하는 인하조를 작용시켜 전신(前身)을 인하하도록 한다.
예를들면 전신 108f를 좌에서 우로 향하게 하고, 후신 108b를 우에서 좌로 향하게 해서 반시계침 방향으로 편사를 제공하여 옷길을 통상(筒狀)으로 주위를 돌아 편성하는 경우에는, 전신 108f 의 코스편성이 행하여졌을 때에 전 편지인하부 103f의 편지인하용 캠캐리지 117를 우향으로 이동시키며, 짝수번째의 인하조 160를 작동시킨 후, 캠캐리지 117를 좌향으로 반전시키고 홀수번째의 인하조를 작동시켜 편지의 인하를 행한다.
후신 108b의 코스편성이 행하여진 때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조작을 후편지인하부 103b 에서 행한다.
이와 같이 각 편지 108f, 108b의 편목코스가 편성될 때마다 이에 대응하는 인하조 160를 작용시켜 편지의 인하를 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편지의 인하는 인하조 베드 109에 홀수번째와 짝수번째에 장착된 각 인하조가 시간차를 가지고 순차적으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 양쪽조가 동시에 편지를 해방하는 것을 막으며, 편지가 끌어올려지는 불편함은 일어나지 않는다.
전신측의 측정개소를 다른 것보다 많게 코스를 편성하는 경우에는 그 부분에 대응하는 인하조의 작동 회수를 다른 것보다 많게 하여 인하한다.
패턴 1 제 2 셀렉터 인하동작
도 26-도 28 은, 캠캐리지 117 가 좌방향으로 진행할 때의 편지인하용 캠캐리지 117 의 각 위상 A-F 에 있어서의 인하조 160의 진퇴동작을 나타낸다. 이 경우, 선택부 100L에서 짝수번째의 수용홈에 수용된 제 2 셀렉터 140b 가 선택되어 진퇴 제어된다.
(A 위치)
그림중의 A위치에서는, 복귀 캠 197의 작용을 받아 베트 146이 압압됨으로써 셀렉터는 요동지지점 145을 중심으로 요동하고, 베트 149(47b, 48)가 수용홈 137b로 부터 밖으로 돌출된다.
(B 위치)
다음으로 B위치는, 셀렉터가 셀렉터선택부 100L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내며, 가동프레서 103이 제 2 셀렉터 140b의 베트 147b를 압압하지 않는 위치로 요동변위하기 위해 이 위치에서 베트 147b, 148은 홈밖으로 노출된 위치를 유지한다.
가동프레서 캠 103의 요동제어는 셀렉터단위로 행할 수 있고, 선택된 제 2 셀렉터 140b 만이 베트 147b, 148를 홈밖으로 돌출된 위치를 유지하며, 선택되지 않은 제 2 셀렉터 140b는 가동프레서 캠 103 에 의해 압압되어 홈안으로 잠긴다. 이때 모든 제 1 셀렉터 140a는, 고정프레서 캠 104의 작용을 받으므로 베트 147a는 홈안으로 들어간다.
(C 위치)
다음의 C위치는, 상기 B 위치에서 선택되어 홈밖에 남아있는 제 2 셀렉터가 그 베트 147b를 셀렉터 하부올림캠 191b에 계합하여 캠사면의 중간까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위치에서 셀렉터의 받이부 141 가 인하조 160의 하단부 167와 끼워맞추어짐과 동시에 셀렉터 140b의 하부스토퍼 144 가 조잭 150 의 차동부 155에 닿아 조 잭 150을 밀어올리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조 잭의 압상아암 511은 인하조의 단부 165 와 닿아 인하조를 밀어올린다. 셀렉터 140b의 상승에 따라, 받이부 141 의 사면 141a에 의해 인하조 160 의 하단부 167가 받이부내에 안내되어 깊게 끼워진다.
이 끼워짐의 경우, 인하조 160 는 본체 중앙부에 설치된 요동지점 166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침방향으로 요동변위한다.
그 결과, 인하조 160 조 선단은, 편지통과경로 8 에 있는 편지 108의 포착을 해방하고, 조 가이드플레이트 187 의 슬릿 187 내로 잠긴다. 셀렉터 140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의 상승동작은 베트 148와 셀렉터하부올림캠 191b과의 계합에 의해 행해지며, 셀렉터의 베트 146이 상부올림캠 191a과 계합가능한 위치까지 상승된다. 셀렉터 140의 그 후의 상승은 상부올림캠 191a에 의해 행해진다.
(C-D 위치까지의 사이)
C 위치에서 D 위치까지의 사이는, 셀렉터 상부올림캠 191a의 작용을 받아서 셀렉터 140는 더욱 상승한다. 이 셀렉터의 상승에 따라, 조 잭 150 과 인하조 160 는 상승된다.
그 결과, 셀렉터의 베트 146가 셀렉터상부올림캠 191a의 정상부에 달하는 때에는 조 잭의 베트 154는 조 잭 유지캠 195을 넘는 위치까지 안내된다(D위치). 이 사이, 코일스프링 183 은 압축변형된다.
(E 위치)
E 위치에 있어서는, 셀렉터 내림캠 192의 작용을 받아서 셀렉터의 베트 146은 하강한다. 그러나, 조 잭 150은, 조 잭 유지 캠 196에 의해 베트 154의 하강을 저지당하기 때문에 셀렉터의 받이부 141와 인하조 160의 하단부 167 와의 끼워 맞춤은 해제된다. 그 결과, 인하조 160는, 반시계침방향으로 요동하고, 조 180는 조 가이드플레이트 187 의 슬릿 188 밖으로 노출되어 편지통과경로 8에 있는 편지를 포착한다.
(E-F 위치)
F위치는, 셀렉터 140 및 조 잭 150 이 원래의 초기위치까지 하강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E위치에서 조 180로 편지를 포착한 후는, 인하조 160는 스프링관삽부 162에 삽입된 코일스프링 183의 탄발력에 의해 편지를 하방으로 인하한다.
도 26에 표시한 기호 S, T, U는 상기한 셀렉터와 조 잭의 각 베트 146, 147, 154의 진퇴궤적은 나타낸다.
패턴 2 제 2 셀렉터 인하휴지(引下休止)
다음에 인하조 160의 조 180를 조 가이드플레이트 187의 슬릿 188 내에 일시휴지시켜, 편지의 인하를 중단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하조 160가 휴지상태에 놓여지는 것은, 인하해야 할 편지가 편지통과경로 8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 같은 경우이며, 예를들면, 전신의 경우에는 V형깃 개구부를 편성하는 경우가 그것에 상당한다. 그 경우에도 위치 A-C까지의 셀렉터의 동작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C 위치에 있어도 도 28-B에 나타낸 것 같이 셀렉터 140b의 베트 146는 휴지프레서 캠 194의 작용을 받아서 수용홈내에 내려진다.
이 경우 셀렉터의 잠금조 42는 베드 109에 삭설된 잠금용 홈 171의 계합부 173에 끼워지므로 인하조 160의 조 180은 슬릿내 188 에 감추어진 요동위치를 유지하며, 편지에 대해서 작용하지 않는다. 셀렉터가 휴지프레서 캠 194를 통과한 후에도 셀렉터 140b와 잠금홈 171의 끼워짐상태는 계속되기 때문에 셀렉터의 베트 146은 수용홈내에 침하한 상태를 유지하며, 후속하는 셀렉터 내림캠 192의 작용을 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캠캐리지 117가 통과한 후에도 셀렉터 140, 조 잭 150 및 인하조 160는 도 28-B의 상태를 유지한다.
패턴 3 제 2 셀렉터 인하휴지해제
다음에 상기와 같이 일단 휴지상태에 놓인 인하조 160의 휴지를 해제하여 편지 108를 포착하게 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도 앞서와 마찬가지로 캠캐리지 117 가 좌방향으로 진행할 때에 행해진다. 이 이전의 코스에서 휴지하게된 셀렉터 140b의 베트 148가 C위치에 도달할 때에 도 2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지해제 프레서 캠 193을 작용시켜 베트 148와 계합시키므로써 셀렉터 140b를 시계침 방향으로 요동변위 시킨다.
이에 따라, 셀렉터 잠금조 142는 잠금용 홈 171의 계합부 173와의 계합이 풀려 셀렉터의 베트 146가 수용홈밖으로 노출된다. 그 결과, 셀렉터의 베트 146은 후속하는 셀렉터 내림캠 192의 작용을 받아서 하강한다. 위치 C이후에 있어서의 동작은 상기 D, E, F 위치와 같고, 위치 E에서 인하조 160의 조 180으로 편지를 포착하여 인하를 행한다.
위에서 제 2 셀렉터 140b에 관한 인하조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제 1 셀렉터 140a에 관계되는 인하조의 작동에 대해서도 편지인하용 캠캐리지 117 의 진행방향이 다를 뿐 동일한 방법으로 행해진다.
제 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상태에서는, 편지인하장치의 편지포착수단은, 편지흡인기구로 구성된다.
이 편지흡인기구는, 편지통과경로에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 로울러사이에, 표면에 다수의 흡인공을 뚫은 앤드리스벨트를 장설하고, 이들 어셈블리를 편지통과 경로에 면하는 측에 개구를 형성한 케이싱내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각 케이싱을 블로어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진공원에 도관을 통해서 연결한다.
각 흡인유니트에 설치된 로울러의 일방은 구동로울러로서 구성되며, 로울러내에 전기모터를 장착한 타이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단일유니트는, 침상의 하방에서 그 길이방향에 따라 편지통과경로를 끼고 다수 설치된다. 각 흡인기구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편지의 편성에 관련지어 제어되며, 편지의 인가를 행한다.
또한, 앞의 실시형태에서는, 편지를 거는 훅부재를 박판상의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조로 구성하였지만, 이것에 대신하여 침을 다수 열지어 심은 브러시모양의 것으로 구성하고, 편지의 웨일/코스방향의 다수의 코(편목)를 침에 의해 훅걸이해도 좋다.
각 인하조의 조작은 조 베드상을 주행하는 캠캐리지에 의해 행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리니어 액츄에이터 등의 구동수단을 각각의 인하조에 개별적으로 연결해서 구동제어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출장치에 의하면 전측편지와 후측편지로 이루어지는 통상편지와 같이 단면 2층상으로 편성되는 편지를 인하하는 경우에 편지통과경로를 사이에 두고 설치된 전측의 편지인하수단이 전측편지에, 후측의 편지인하수단이 후측의 편지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하므로 봉제공정을 생략할 목적으로 무봉제 니트를 행하는 경우에도 편지를 적정한 인하력으로 양호하게 끌어내릴 수 있다.
특히 전 편지용인하수단과 후 편지용인하수단을 동시 작동하여 접리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편지인하장치 개폐기구와, 편지포착면의 인하력을 조절하는 인하력조절기구를 설치하고, 각 편지용 인하수단은 침상의 길이방향으로 인하부재를 복수개 늘어놓아 형성되며, 편지의 인하작용시는 이 인하부재를 각각 순차적으로 혹은 개별적으로 편지의 인하작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에서는, 편지포착면에 의한 작용, 부작용과편지포착면의 인하력의 설정 등을 편지의 종류에 맞추어 조합시켜 최적의 인하력으로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편지의 구멍(hole)부를 형성하는 경우나 편지를 래킹에 의해 횡방향으로 크게 이동하는 경우에도 당해부분에 위치하는 인하부재를 편지로부터 이반시켜 퇴피하게 하면 편지편성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다시금, 편지포착부가 침상길이방향에 걸쳐 다수 배설되고, 각 편지포착부가 선택적으로 혹은 순차적으로 구동제어되도록 했기 때문에 편지의 구멍부를 형성하는 경우와 같이 통상편성되는 전신과 후신의 형상이나 코스수가 같지 않더라도 편지를 최적의 인하력으로 인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지인하장치에 의하면 침상길이방향으로 다수배설된 선택적으로 구동제어 가능한 편지포착부 가운데의 임의의 편지포착부를 필요에 따라 편지와의 계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예를들면 편지에 구멍부를 형성하는 경우나 편지를 래킹에 의해 횡방향으로 크게 이동하는 경우에도 이 부분에 위치하는 인하부재를 편지로부터 이반시켜 퇴피하게 하면 편지편성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편지포착면이 탄성재를 통하여 인하부재본체에 취부함으로써 편지가 횡방향으로 이동할 때라도 편지포착부로부터 편지를 용이하게 해방할 수 있다. 또한 편지나 편성조건에 맞추어 편지포착면의 편지인하력의 설정을 임의로 행할 수 있다.

Claims (14)

  1. 침상의 치구부(齒口部)끼리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적어도 전후 한쌍 배설된 횡편기 치구부의 하방에 형성되는 편지통과경로를 사이에 두고 편지를 끌어내리기 위하여 전후에 배설되는 편지인하장치로서, 상기의 편지통과경로내에 있는 편지의 전측편지만을 포착하여 인하하는 전 편지용인하(引下)수단과, 후측편지만을 포착하여 인하하는 후 편지용 인하수단(引下手段)과, 각 편지용 인하수단의 인하력(引下力)력을 조절하는 인하력조절장치를 설치하고, 각 편지용 인하수단은 침상의 길이방향으로 인하부재를 다수개 늘어놓아 형성되고, 편지의 인하작용시에는 인하부재를 각각 순차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편지의 끌어내림작동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지인하장치(編地引下裝置).
  2. 제 1 항에 있어서, 전 편지용 인하수단과 후 편지용인하수단에 연동하여, 또는 단독으로 이들 수단을 접리이탈방향으로 이동조작하는 편지인하장치 개폐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지인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지용 인하수단의 인하부재는, 인하부재 본체가 편지에 대면하는 부분에 편지포착면을 설치하여 구성되며 이 편지포착면은 하강시에는 편지를 포착하고, 상승시에는 편지를 개방하는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지인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지용 인하수단의 편지포착면은 인하부재본체에 대하여 돌출방향으로 압압작용하게 되고 부작용시에는 인하부재본체의 편지측면으로 부터 돌출되지 않는 위치에 격납가능 혹은 돌출량이 적게 되도록 퇴입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지인하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지포착면이 기재의 표면에 수직 혹은 소정의 각도로써 심어진 다수의 침으로 형성되고, 이 다수개의 침의 중간위치 혹은 선단근접부를 비스듬히 하향하여 구부려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지인하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지포착면이 탄성재를 통하여 인하부재본체에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지인하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하부재와 인하력조절수단을 탄성부재로 연결하고, 인하력조절수단의 탄성부재연결부의 위치변화에 따라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변화시켜서 편지포착면의 편지인하력을 변경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지인하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하작용부는, 침상 길이방향과 평행으로 설치된 인하조(爪)로 형성되고, 인하조의 인하수단은 인하조베드와, 그 베드에 다수형성된 수용홈에 장착된 셀렉터, 인하조 잭(jack), 인하조와, 인하조를 하방으로 작용시키는 작용수단과, 인하조베드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캐리지와, 캐리지에 탑재되고, 임의의 상기 인하조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선택수단으로 선택된 인하조를 상승시키는 캠수단을 가진 캐리지를 그 구성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인하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하조를 하향으로 작용시킴과 동시에, 셀렉터와 인하조의 계합부(係合部)에서 각각이 계합함으로써 조의 선단이 편지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조를 편지로부터 해방하며, 다음에 셀렉터와 인하조의 계합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인하조를 상승시킨 후, 셀렉터를 하강시켜서 인하조와의 계합을 해제함으로써 인하조의 조를 편지측으로 요동시켜 편지를 포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인하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지포착면에 흡인수단을 설치하고, 이 흡인수단에 의해 편지를 흡인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인하장치.
  11. 침상의 치구부끼리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적어도 전후 한쌍 배설된 횡편기치구부의 하방의 편지통과경로내에 있는 편지를 포착하여 끌어내리는 편지인하수단을 설치한 횡편으로서, 편지용 인하수단은 침상의 길이방향으로 인하부재를 다수개 늘어놓아 형성되고, 편지의 인하작용시에는 이 인하부재를 각각 순차적으로 혹은 개별적으로 편지의 인하작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편지인하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지인하수단의 인하부재는, 인하부재본체가 편지에 대면하는 부분에 편지포착면을 설치하여 구성되며, 그 편지포착면은 하강시에는 편지를 포착하고, 상승시에는 편지를 해방하는 형성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편지포착면을 인하부재본체에 대하여 돌출방향으로 압압작용시키고, 작용않을 때에는 인하부재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위치에 격납가능하거나 혹은 돌출량이 적게 되도록 퇴입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지인하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지포착면이 기재의 표면에 수직 혹은 소정의 각도로써 심어진 다수의 침으로 형성되고, 그 다수의 침의 중간위치 혹은 선단근접부를 비스듬히 하향으로 구부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지인하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지포착면이 탄성재를 통하여 인하부재본체에 취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지인하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인하부재는, 인하수단의 인하력을 조정하는 인하력조절수단과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인하력조절수단의 탄성부재연결부의 위치 변화에 의해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변화시켜 편지포착면의 편지인하력을 변경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지인하장치.
KR1019970052886A 1996-11-06 1997-10-15 횡편기에있어서편지인하장치 KR100521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94221 1996-11-06
JP1996-294221 1996-11-06
JP29422196 1996-11-06
JP24141497A JP3757036B2 (ja) 1996-11-06 1997-09-05 横編機における編地引下げ装置。
JP97-241414 1997-09-05
JP1997-241414 1997-09-05
JP1997-240601 1997-09-05
JP97-240601 1997-09-05
JP24060197A JP3457161B2 (ja) 1997-09-05 1997-09-05 横編機における編地引下げ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941A true KR19980041941A (ko) 1998-08-17
KR100521798B1 KR100521798B1 (ko) 2006-01-12

Family

ID=2733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2886A KR100521798B1 (ko) 1996-11-06 1997-10-15 횡편기에있어서편지인하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70904A (ko)
EP (2) EP1323856B1 (ko)
KR (1) KR100521798B1 (ko)
DE (2) DE69732811T2 (ko)
TW (1) TW38980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965A (ko) * 2018-04-04 2019-10-15 저쟝 루이펑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가로 편물기에 사용되는 편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1380A (ja) * 2006-02-10 2007-08-23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編地引き下げ装置
EP2141271B1 (de) * 2008-07-01 2011-08-31 H. Stoll GmbH & Co. KG Flachstrickmaschine mit Gestrickabzugsvorrichtung
CN102115946B (zh) * 2011-03-29 2013-04-03 廖兴华 一种用于针织横机上的防倒卷布装置
US9371603B2 (en) 2013-02-28 2016-06-21 Nike, Inc. Feeder for knitting machine with friction reducing features
US9404206B2 (en) 2013-02-28 2016-08-02 Nike, Inc. Feeder for knitting machine having pushing member
US8899079B2 (en) * 2013-02-28 2014-12-02 Nike, Inc. Independently controlled rollers for take-down assembly of knitting machine
CN103114377B (zh) * 2013-03-11 2014-09-03 桐庐永盛针织机械有限公司 一种全自动双机头2.5针织横机的罗拉组合装置
CN103526448B (zh) * 2013-11-01 2014-12-31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针织横机中的毛刷支架机构
US9529060B2 (en) 2014-01-09 2016-12-27 Allegro Microsystems, Llc Magnetoresistance element with improved response to magnetic fields
CN103966746B (zh) * 2014-04-10 2017-11-07 桐庐永盛针织机械有限公司 全自动双机头四系统针织横机
EP3098339B1 (en) * 2015-05-25 2019-06-26 Shima Seiki Mfg., Ltd. Pull-down device for knitted fabric
WO2016196157A1 (en) 2015-06-05 2016-12-08 Allegro Microsystems, Llc Spin valve magnetoresistance element with improved response to magnetic fields
CN106087234B (zh) * 2016-08-23 2017-11-10 江苏金龙科技股份有限公司 电脑针织横机的内置式收布装置
CN106120135B (zh) * 2016-08-23 2017-10-17 江苏金龙科技股份有限公司 电脑针织横机的外置式收布装置
US10620279B2 (en) 2017-05-19 2020-04-14 Allegro Microsystems, Llc Magnetoresistance element with increased operational range
US11022661B2 (en) 2017-05-19 2021-06-01 Allegro Microsystems, Llc Magnetoresistance element with increased operational range
CN110923934B (zh) * 2019-12-10 2023-11-28 桐乡市强隆机械有限公司 电脑横机的编织物下拉装置
CN113005620B (zh) * 2021-02-25 2022-09-02 佛山市佳虹内衣配件有限公司 一种基于针织机械用保证针织质量的压圈装置
CN112899871A (zh) * 2021-03-29 2021-06-04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针织机械的可调抓爪组件
CN113062038B (zh) * 2021-03-29 2022-04-01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针织机械的牵拉装置
US11719771B1 (en) 2022-06-02 2023-08-08 Allegro Microsystems, Llc Magnetoresistive sensor having seed layer hysteresis suppressio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21365A (fr) * 1964-03-24 1966-09-30 Dubied & Cie Sa E Dispositif attracteur du tricot d'une machine ou d'un métier à tricoter rectilignes
GB1252292A (ko) * 1968-11-02 1971-11-03
DE1813052C3 (de) * 1968-12-06 1975-02-13 H. Stoll & Co, 7410 Reutlingen Flachstrickmaschine zur Herstellung formgerecht gestrickter Warenteile und plastisch gestrickter Formteile
JPS5855047B2 (ja) * 1980-09-09 1983-12-07 株式会社 中山製鋼所 タグの自動取付装置
DE3518778A1 (de) * 1985-05-24 1986-11-27 H. Stoll Gmbh & Co, 7410 Reutlingen Strickbreithaltevorrichtung fuer flachstrickmaschinen
IT1202184B (it) * 1985-09-18 1989-02-02 Emm Emiliana Macch Maglieria Dispositivo per la tesatura verticale del tessuto in una macchina rettilinea automatica per maglieria
DE3626070A1 (de) * 1986-08-01 1988-02-11 Inst Textil & Faserforschung Flachstrickmaschine
JPH02210046A (ja) * 1989-02-08 1990-08-21 Shima Seiki Seisakusho:Kk 横編機における編み出し方法と編み出し装置
US5097684A (en) * 1989-02-08 1992-03-24 Shima Seiki Mfg., Ltd. Apparatus to engage set-up fabric on a flat knitting machine
EP0481354B1 (de) * 1990-10-19 1994-08-03 BASF Aktiengesellschaft Ungesättigte Cyclohexenonoximether
JPH05214645A (ja) * 1991-07-18 1993-08-24 Emm Srl フラット編機等の自動編機における生地の垂直方向引っ張り装置
DE4212793A1 (de) * 1992-04-16 1993-10-21 Stoll & Co H Warenabzugsvorrichtung für Flachstrickmaschinen
IT1278165B1 (it) * 1995-01-23 1997-11-17 Emm Srl Dispositivo perfezionato per la tesatura verticale del tessuto di una macchina automatica per maglieria, in particolare rettiline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965A (ko) * 2018-04-04 2019-10-15 저쟝 루이펑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가로 편물기에 사용되는 편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1422A2 (en) 1998-05-13
EP1323856A1 (en) 2003-07-02
DE69732811T2 (de) 2006-04-06
EP1323856B1 (en) 2005-03-16
US5870904A (en) 1999-02-16
DE69732811D1 (de) 2005-04-21
KR100521798B1 (ko) 2006-01-12
DE69722558T2 (de) 2004-04-29
EP0841422B1 (en) 2003-06-04
TW389801B (en) 2000-05-11
EP0841422A3 (en) 1999-04-21
DE69722558D1 (de) 200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41941A (ko)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지인하장치(編地引下裝置)
KR920007985B1 (ko)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출방법과 편출장치
KR100243957B1 (ko) 셋업장치를 구비한 횡편직기
JP3757036B2 (ja) 横編機における編地引下げ装置。
KR101169326B1 (ko) 환편기의 오토 스트라이퍼 모듈
US7448336B2 (en) Driving arrangement for the drive elements for threading the upper thread into the eye of the needle of a sewing machine
KR100242765B1 (ko) 평반형 자동편물기의 직물수직인장장치(Device for the Vertical Stretching of Fabric in an Automatic Knitting Machine)
KR100924292B1 (ko) 가동싱커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CN116446136B (zh) 一种针织袜生产用高温蒸汽定型机及其生产方法
US4509666A (en) Stocking turning device
US20020116913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level adjustment of the can plate of a spinning can
KR100543064B1 (ko) 실 제어 어셈블리
US637449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borderwires to mattress innersprings
JP3457161B2 (ja) 横編機における編地引下げ装置
JP2014084538A (ja) 横編機の編出し装置およびニットウエアの編出し方法
EP0805885B1 (en) Device for vertical stretching of fabric in an automatic knitting machine, in particular a flat-bed knitting machine
JP2009127140A (ja) 自動横編機
US4103517A (en) Straight knitting machine
US5097684A (en) Apparatus to engage set-up fabric on a flat knitting machine
EP0808386B1 (en) A multi-axial yarn structure forming machine
WO2007000782A1 (en) Device for handling tubular knitted articles, in particular socks and the like
KR101803711B1 (ko)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
JPH10195740A (ja) 編組織体と、その編成方法、編成装置
KR930007307Y1 (ko) 횡편기의 바늘 올림장치
EP0115060A1 (en) A knitwork tensioning device for a kni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