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711B1 -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 - Google Patents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711B1
KR101803711B1 KR1020160149287A KR20160149287A KR101803711B1 KR 101803711 B1 KR101803711 B1 KR 101803711B1 KR 1020160149287 A KR1020160149287 A KR 1020160149287A KR 20160149287 A KR20160149287 A KR 20160149287A KR 101803711 B1 KR101803711 B1 KR 101803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knitting start
plate
elevato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916A (ko
Inventor
레이지 아리키타
다케카즈 시부타
유헤이 오타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70055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0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04B15/16Driving devices for reciprocatory ac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복수의 편성시작판을 구비하더라도 승강가이드는 승강기구에만 설치하면 되는,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홀더(6)는, 복수의 편성시작판(3, 4, 5)을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용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승강기구(7)는, 승강가이드(10)가 설치되고 연결된 편성시작판(4)을 승강가이드(10)에 의한 안내에 의하여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자(11)를 갖는다. 선택기구(8)는, 홀더(6)를 전후로 이동시켜서, 1개의 편성시작판(4)을 선택하여 기판(4a)이 승강기구(7)의 승강자(11)에 연결될 수 있는 위치에 맞춘다. 연결기구(9)는, 승강기구(7)의 승강자(11)가 하강되어 있는 상태에서, 선택된 편성시작판(4)의 기판(4a)과 승강자(11)의 연결 및 연결의 해제를 절체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강가이드(10)는 승강기구(7)에만 설치하면 된다.

Description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SETUP EQUIPMENT FOR FLATBED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에 의하여 편성포의 편성을 시작할 때에 사용되는 복수의 편성시작판을 구비하고, 각 편성시작판에는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포착하여 지지하면서 편성포를 끌어내리는 편성시작바늘이 설치되는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횡편기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 하방에는, 편성포의 편성을 시작할 때에 사용되는 편성시작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편성시작장치에는, 승강(昇降)이 가능한 편성시작판이 설치된다. 편성시작판은, 상방으로 돌출되는 편성시작바늘을 갖고, 니들베드갭까지 상승한 편성시작바늘에 의하여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포착하고, 편성시작부를 지지하여 하강하면서 편성포를 끌어내린다.
편성포에서 편성폭이 서로 다른 부분을 나누어서 편성을 시작하기 위하여, 복수의 편성시작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편성시작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 이 편성시작장치는, 각 편성시작판마다 니들베드갭 하방으로부터 니들베드갭 부근까지 안내하는 승강가이드(昇降guide)를 각각 갖고, 어느 1개의 편성시작판을 진동로드(oscillating rod)에 의하여 선택하여 상승시키는 승강자(昇降子)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하고 있지만, 승강자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승강가이드를 포함하는 승강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 횡편기에서는, 편성된 편성포를 롤러(roller)에 의하여 협지(挾持)하여 감아 내리는 테이크다운 장치(take-down 裝置)도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를 참조). 이 편성시작장치에서는, 단일(單一)의 편성시작판에 편성시작바늘로부터 편성시작부를 해제시키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편성시작판에 의하여 편성포를 감아 내릴 수 있는 위치까지 끌어내리면, 편성시작바늘로부터 편성시작부를 해제하여, 테이크다운 장치에 의한 편성포의 감아 내리기를 이행한다.
: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47-49789호 공보 :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3-77298호 공보
반소매의 스웨터(sweater) 등을 무봉제(無縫製)로 편성하는 경우에, 몸통을 편성하는 편침보다 편성폭의 외측의 편침을 사용하여 양쪽 소매의 편성포를 편성한다. 편성시작장치가 단일의 편성시작판만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양쪽 소매도 몸통과 함께 편성시작부를 형성하여 끌어내릴 필요가 있다. 양쪽 소매를 편성하는 편침에서는, 편성시작부에 계속하여 웨이스트 코스(waste course)의 편성포를 많이 편성한 후에, 실제로 양쪽 소매가 되는 편성포를 편성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1과 같이 편성시작장치가 복수의 편성시작판을 구비하고 있으면, 몸통과 양쪽 소매에 다른 편성시작판을 사용하여 편성시작부를 각각 지지하여 끌어내리면서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고, 몸통의 편성시작 후부터 양쪽 소매의 편성을 시작하여, 몸통과 양쪽 소매에 동일한 편성시작판을 사용하는 경우에 양쪽 소매에서 필요로 하는 웨이스트 코스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의 편성시작장치에서는, 복수의 편성시작판마다 각각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가 필요하고 또한 승강자에도 승강가이드를 포함하는 승강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승강자 및 복수의 승강가이드를 설치하면, 니들베드갭 부근까지 설치 스페이스(設置 space)를 필요로 하고 또한 니들베드갭을 향하여 경사지게 승강시켜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편성시작판을 구비하더라도 승강가이드는 승강기구에만 설치하면 되는,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가 전후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횡편기에서, 니들베드갭의 하방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복수가 배열되고 편성시작바늘이 편성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편성시작판을 갖고, 1개의 편성시작판을 선택하여 편성시작바늘을 니들베드갭으로 상승시켜서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포착하고, 포착된 편성시작부를 지지하여 하강시키는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편성시작판을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용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홀더와,
승강가이드가 설치되고, 편성시작판을 승강가이드에 의한 안내에 의하여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자를 갖는 승강기구와,
홀더를 전후로 이동시켜서, 1개의 편성시작판을 선택하여 승강기구의 승강자의 위치에 맞추는 선택기구와,
승강기구의 승강자가 홀더에 수용되는 편성시작판의 위치까지 하강되어 있는 상태에서, 편성시작판과 승강자를 연결하는 것 및 편성시작판과 승강자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절체할 수 있는 연결기구를
포함하고,
편성시작판은, 편성폭의 적어도 일부의 구간에 편성시작바늘을 갖고 있지 않은 편성시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이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편성시작판을 2개 갖고,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선택기구에 의한 상기 홀더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하강되어 있는 상태의 승강자를 상기 2개의 편성시작판 사이에서 어느 일방의 편성시작판에 작용시켜서 연결과 연결해제를 절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편성시작판에는, 연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승강자에, 상기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세워서 설치되고, 선택되는 상기 편성시작판의 연결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핀과,
상기 편성시작판에 설치되고, 연결구멍에 삽입되는 핀의 선단에 결합될 수 있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과 연결해제는, 승강자가 상기 하강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결구멍에 대한 핀의 삽입과, 연결구멍으로부터의 핀의 이탈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레버는, 승강자가 상기 하강되어 있는 상태에서, 핀의 선단과의 결합을 빼내어 록을 해제하고, 핀의 선단에 결합하여 편성시작판과 승강자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편성시작판에는, 상기 승강자에 면하는 측으로 개구되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홀더의 이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캠과,
상하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되는 상태에서 사용되고, 상기 승강자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지점에 의하여 지지되어 진동하는 선단부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록부재와,
상하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되는 상태에서 사용되고, 승강자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지점에 의하여 지지되어 진동하는 선단부가 전방으로 연장되는 록부재를,
전방측 및 후방측의 선단부 상호간이 전후의 중간에서 중복되고, 중복되는 부분이 상하로 간격을 두는 상태에서 구비하고,
록부재는,
상하의 선단부가 상기 선택된 편성시작판의 연결홈에 전방 및 후방으로부터 각각 삽입되고,
중복되는 상태의 일방의 선단부는 장공, 타방의 선단부에는 핀이 설치되고, 장공에 핀이 삽입되는 상태에서 결합하고,
상기 선택기구에 의한 홀더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캠에 의한 핀으로의 구동에 의하여 록부재가 진동하여, 선단부의 중복부분의 상하 사이가 열림으로써 연결홈의 상하 사이를 내측으로부터 가압하여 연결 및 록 하고, 선단부의 중복부분의 상하 사이가 닫힘에 의한 가압의 정지에서의 연결 및 록의 해제를 절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편성폭의 적어도 일부의 구간에 편성시작바늘을 갖지 않는 편성시작판은, 상기 구간에, 니들베드에서 니트웨어의 몸통의 편성에 사용하는 편침이 배치되는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구간에 편성시작바늘을 갖지 않는 편성시작판은, 상기 구간보다 편성폭의 외측에서, 니들베드에서 양쪽 소매를 편성하는 편침이 배치되는 범위에 대응하는 구간에 편성시작바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기구가 선택된 편성시작판과 승강자를 연결하면, 편성시작판을 승강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편성시작판을 구비하더라도, 승강가이드는 승강기구에만 설치하면 된다. 편성폭의 적어도 일부의 구간에 편성시작바늘을 갖지 않는 편성시작판은, 당해 구간에서 편성포의 편성을 시작한 후에, 당해 구간 외에서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지지하여 끌어내리기 때문에 승강시킬 때에, 이미 편성되어 있는 편성포에 편성시작바늘이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기구는, 홀더에 수용되는 편성시작판의 위치까지 하강되어 있는 상태의 승강자를 2개의 편성시작판 사이에서 어느 일방의 편성시작판에 작용시켜서 연결과 연결해제를 절체한다. 승강자를 편성폭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는 없어, 선택기구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편성시작판의 연결구멍에 승강자의 핀을 삽입시켜서 연결하고, 삽입된 핀의 선단을 편성시작판에 설치되는 레버에 의하여 결합시켜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록 하기 때문에, 확실하게 승강자에 의하여 편성시작판을 승강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편성시작판에 형성되고, 승강자에 면하는 측으로 개구되는 연결홈에, 승강자에 설치되는 록부재의 선단부를 삽입한다. 록부재를, 선택기구에 의한 홀더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캠에 의하여 구동하여, 선단부와 연결홈의 연결 및 록과, 연결 및 록의 해제를 절체할 수 있다. 편성시작판에는 연결홈을 형성하여 두면 되기 때문에, 편성시작판측에서의 연결 및 록에 관한 구성을 간략화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니트웨어의 몸통의 편성시작부를 먼저 지지하여 끌어내리고, 양쪽 소매의 편성시작부를 나중에 지지하여 끌어내리더라도, 양쪽 소매의 편성시작부를 끌어내리는 편성시작바늘이 먼저 편성되어 있는 몸통의 편성포에 간섭하지 않는다. 반소매 등과 같이 양쪽 소매가 짧은 경우에, 몸통의 편성을 시작한 후에 양쪽 소매의 편성을 시작할 수 있어, 편성시작을 동시에 하는 경우에 필요한 웨이스트 코스가 불필요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로서,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1)의 기본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편성시작장치(1)의 실시예1이 되는 편성시작장치(21)에 대하여, 편성시작판(23)과 승강자(31)의 연결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선택기구(28)와 함께 나타내는 부분적인 단면 정면도이다.
도3은, 도1의 편성시작장치(1)의 실시예1이 되는 편성시작장치(21)에 대하여, 편성시작판(23)과 승강자(31)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단면 정면도이다.
도4는, 도2의 선택기구(28)의 우측면도 및 연결기구(29)의 우측면도이다.
도5는, 도3의 편성시작장치(21)의 평면도이다.
도6은, 편성폭의 전체에 편성시작바늘(2)을 갖는 편성시작판(23)과, 일부의 구간에 편성시작바늘(2)을 갖지 않고 있는 편성시작판(24)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7은, 도4의 선택기구(28)에 상당하는 다른 선택기구(68)의 예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8은, 도1의 편성시작장치(1)의 실시예2가 되는 편성시작장치(51)에 대하여, 편성시작판(53)과 승강자(61)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정면 단면도이다.
도9는, 도8의 편성시작장치(51)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10은, 도8의 편성시작장치(51)의 동작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이하, 도1에서,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의 예로서 편성시작장치(1)의 기본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도1에서는 3개의 편성시작판(3, 4, 5)을 나타내고 있지만, 도2 이후에서는 2개의 편성시작판을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낸다. 도2∼도7에서 실시예1, 도8∼도10에서 실시예2를 각각 설명한다. 실시형태 및 실시예1, 2에서,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설명의 대상이 되는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다른 도면에 기재되는 참조부호를 붙여서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편성시작장치(1)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는 횡편기(橫編機)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 하방에 설치된다.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시작장치(1)는, 편성시작바늘(2)이 상단(上端)에서 편성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편성시작판(3, 4, 5)을 갖고, 1개의, 예를 들면 편성시작판(4)을 선택하여 편성시작바늘(2)을 니들베드갭으로 상승시켜서, 편성포의 편성시작 시에 형성되는 편성시작부를 포착하고, 포착된 편성시작부를 지지하여 하강시킨다. 각 편성시작판(3, 4, 5)은, 편성폭의 양측에 설치되는 기판(基板)(3a, 4a, 5a)과, 기판(3a, 4a, 5a) 사이에서 지지되는 작동판부(作動板部)(3b, 4b, 5b)를 각각 포함한다. 편성시작바늘(2)은 작동판부(3b, 4b, 5b)의 상단에 나란하게 설치된다. 편성시작장치(1)는, 홀더(holder)(6)와, 승강기구(昇降機構)(7)와, 선택기구(選擇機構)(8)와, 연결기구(連結機構)(9)를 포함한다. 편성시작판(3, 4, 5)은, 횡편기의 편성폭인 니들베드의 길이와 동등한 길이를 갖고, 승강기구(7), 선택기구(8) 및 연결기구(9)는 횡편기의 편성폭의 양측에 설치된다.
홀더(6)는, 복수의 편성시작판(3, 4, 5)의 기판(3a, 4a, 5a)을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용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승강기구(7)는, 승강가이드(昇降guide)(10)가 설치되고, 연결된 편성시작판(4)을 승강가이드(10)에 의한 안내에 의하여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자(昇降子)(11)를 갖는다. 선택기구(8)는, 홀더(6)를 전후로 이동시켜서 1개의 편성시작판(4)을 선택하여 승강기구(7)의 승강자(11)에 연결시킬 수 있는 위치에 맞춘다. 연결기구(9)는, 승강기구(7)의 승강자(11)가 하강되어 있는 상태에서, 선택된 편성시작판(4)의 기판(4a)과 승강자(11)를 연결하는 것 및 승강자(11)와 기판(4a)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절체(切替)할 수 있다. 편성시작판(3)은 편성폭의 전체에 편성시작바늘(2)을 갖는다. 편성시작판(4)은, 편성폭의 중간의 구간, 예를 들면 니트웨어(knitwear)의 몸통을 니들베드(needle bed)에서 편성하는 구간을 포함하는 구간에서 편성시작바늘(2)을 갖고, 이 구간에서 편성시작판(5)은 편성시작바늘(2)을 갖지 않는다. 이 편성시작판(5)은, 몸통을 편성하는 구간 외이며 소매를 편성하는 구간에서 편성시작바늘(2)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1)는, 연결기구(9)가, 선택된 편성시작판(3, 4, 5)의 기판(3a, 4a, 5a)과 승강자(11)를 연결하면, 편성시작판(3, 4, 5)을 승강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편성시작판(3, 4, 5)을 구비하더라도 승강가이드(10)는 승강기구(7)에만 설치하면 된다. 편성폭의 적어도 일부의 구간에 편성시작바늘(2)을 갖는 편성시작판(3) 또는 편성시작판(4)을 니트웨어의 몸통의 편성시작 시에 사용한 후에, 편성시작판(5)을 소매의 편성시작 시에 사용하면, 소매 길이가 짧더라도 웨이스트 코스(waste course)가 불필요하여, 편성시작판(5)이 니들베드갭으로 상승할 때에 편성되어 있는 몸통의 편성포에 편성시작바늘(2)이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1)
도2∼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이 되는 편성시작장치(21)의 구성을 각각 우측부분에 대하여 나타낸다. 좌측부분은, 편성폭의 좌우 중앙에 관하여 대칭이 된다. 도2 및 도3은 부분적인 단면 정면도로서 나타내고, 도2에서는 편성시작판(23)을 승강기구(27)에 의하여 최하위치까지 하강시킨 상태, 도3에서는 편성시작판(23)을 승강기구(27)에 의하여 최하위치보다 상승시킨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편성시작장치(21)는, 편성시작판(23, 24), 홀더(26), 승강기구(27), 선택기구(28) 및 연결기구(29)를 포함한다. 편성시작판(23, 24)의 기판(23a, 24a)에는 연결구멍(23c, 24c)이 형성된다. 홀더(26)는 선택기구(28)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부(26c)를 갖는다. 승강기구(27)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27a)와, 클램프(clamp)(27b)를 포함한다. 타이밍 벨트(27a)에는, 클램프(27b)를 통하여 승강자(31)가 접합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는 구동장치에 의하여 타이밍 벨트(27a)를 구동하면, 승강자(31)를 승강가이드(30)를 따라 승강이동시킬 수 있다. 선택기구(28)는, 도3에서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지만, 모터(motor)(28a), 기어(gear)(28b, 28c), 오실레이터(oscillator)(28d) 및 지점(支點)(28e)을 포함한다. 연결기구(29)는 레버(29a) 및 지점(29b)을 포함한다. 레버(29a)는 오목부(29c, 29d)를 갖고 있다. 승강자(31)에는, 편성시작판(23, 24)의 연결구멍(23c, 24c)에 삽입될 수 있는 핀(pin)(31a)이 설치되어 있다.
레버(29a)는, 기판(23a, 24a)에 설치되는 지점(29b)을 통하여 기판(23a, 24a)에 부착되고, 지점(29b)을 중심으로 하여 각변위(角變位)될 수 있다. 레버(29a)에는, 지점(29b)으로부터 도면의 좌측방향 및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암(arm)의 선단 부근에 롤러(roller)(39a, 39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29c, 29d)는, 레버(29a)에 있어서 지점(29b)으로부터 하측방향 및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암의 선단 부근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9d)와 지점(29b)의 중간 부근에는, 레버(29a)를 반시계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spring)(39c)의 우단(右端)이 걸려 있다. 스프링(39c)의 좌단(左端)은 기판(23a, 24a)에 설치되는 핀에 걸려 있다. 편성시작장치(21)를 구성하는 각 부분은, 베이스(base)(40) 또는 횡편기의 프레임(frame)에 의하여 지지된다. 베이스(40)는 횡편기의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된다. 선택기구(28)의 기어(28b)는 모터(28a)의 출력축에 부착되고, 모터(28a), 기어(28c), 오실레이터(28d) 및 지점(28e)은 베이스(40)에 대하여 직립(直立)하도록 부착되는 스탠드(stand)(41)에 의하여 지지된다. 홀더(26)는, 베이스(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전후가이드(前後guide)(42)를 따라 선택기구(28)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홀더(26)에는, 평탄부(26a) 및 돌출부(26b)가 각각 형성되어 롤러(39a, 39b)와 각각 접촉될 수 있다.
도2와 같이 승강자(31) 및 편성시작판(23)이 최하위치, 즉 홀더(26)에 수용되는 편성시작판(23)의 기판(23a)의 위치까지 하강하면, 롤러(39a)가 평탄부(26a)에 접촉된다. 롤러(39a)의 접촉에 의하여, 스프링(39c)에 의한 가압에 저항하여 레버(29a)는 시계방향으로 각변위되고, 오목부(29c, 29d)는 연결구멍(23c)에 삽입되어 있는 핀(31a)의 선단부로부터 떨어진다. 도3과 같이 승강자(31)가 편성시작판(23)을 상승시키면, 롤러(39a)가 평탄부(26a)와 접촉하지 않게 되는 미리 정해진 높이에서, 스프링(39c)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레버(29a)가 반시계방향으로 각변위된다. 이 각변위에 의하여 롤러(39b)가 돌출부(26b)를 통과할 수 있게 되며, 오목부(29c, 29d)가 연결구멍(23c)에 삽입되어 있는 핀(31a)의 선단에 결합한다. 이 결합에 의하여, 편성시작판(23)의 기판(23a)과 승강자(31)의 연결상태가 록(lock) 된다. 편성시작판(24)이 선택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기판(24a)과 승강자(31)의 사이에서, 기판(23a)과 승강자(31)의 사이에서와 마찬가지로 연결이나 록 또는 그들의 해제가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록과 그 해제를 승강자(31)가 최하위치보다 상승한 위치에서 하지만, 이 위치는 편성포의 편성시작부의 끌어내리기에 사용하는 위치보다는 하방이기 때문에, 이 위치에 있는 상태도 승강자(31)가 하강하고 있는 상태에 포함시킨다. 또 록은, 레버(29a)를 스프링(39c)을 가압하여 하고 있지만, 다른 구성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solenoid) 등을 직접 작용시켜서 할 수도 있다.
도4는, (a)에서 선택기구(28)의 구성, (b)에서 연결기구(29)의 구성을 각각 나타낸다. 선택기구(28)에서는, 모터(28a)의 회전에 의하여 기어(28b, 28c)를 통하여 오실레이터(28d)를 진동시킨다. 오실레이터(28d)는, 하단 부근에 지점(28e)이 설치되고, 팔로워(follower)(28f)를 갖는 기어(28c)의 회전에 의하여, 지점(28e)과 팔로워(28f)의 중간에 형성되는 작동부(作動部)(28g)는 도면의 좌우로 이동된다. 작동부(28g)는, 결합부(26c)를 통하여 홀더(26)를 도면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기구, 예를 들면 랙(rack)과 피니언(pinion)의 조합이나 볼나사(ball screw) 등에 의하여 홀더(26)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연결기구(29)에서는, 홀더(26)의 이동에 따라 승강자(31)의 위치를 편성시작판(23, 24)의 기판(23a, 24a)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도록 상대변화시킬 수 있다. 연결상태에 있어서는, 승강자(31)로부터 전후의 양방향으로 돌출되는 핀(31a)이 일방(一方), 예를 들면 기판(23a)의 연결구멍(23c)에 삽입되어 기판(23a)과 승강자(31)가 연결된다. 기판(23a)에는 레버(29a)가 설치되어 있고, 연결구멍(23c)에 삽입된 핀(31a)의 선단 부근의 소경부분(小徑部分)에 오목부(29c, 29d)를 결합시키면,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을 록 하는 상태가 된다.
도5는, 승강자(31)와 기판(23a)의 연결상태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를 나타낸다. 승강자(31)에 설치되는 핀(31a)은, 기판(24a)측에서는 선단이 연결구멍(24c)으로부터 떨어져 있어 기판(23a)만 승강이동시킬 수 있다. 승강자(31) 및 기판(23a)을 최하위치까지 하강시켜서 홀더(26)를 도면의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기판(24a)을 선택하여 승강자(31)의 핀(31a)을 기판(24a)의 연결구멍(24c)에 삽입시켜서 기판(24a)과 승강자(31)를 연결할 수 있다. 승강자(31)에 의하여 기판(24a)을 상승시키면, 핀(31a)의 선단을 레버(29a)에 의하여 록 하여, 승강자(31)와 기판(24a)의 연결을 록 할 수 있다.
도6은 편성시작판(23, 24)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6의 (a)에 나타내는 편성시작판(23)은 편성폭의 전체에 편성시작바늘(2)을 갖고, 도6의 (b)에 나타내는 편성시작판(24)은 편성폭의 양측에만 편성시작바늘(2)을 갖고, 중간의 구간에는 편성시작바늘(2)을 갖지 않는다. 편성시작판(23, 24)은, 양측의 기판(23a, 24a) 사이에서 작동판부(23b, 24b)가 지지된다. 각 편성시작바늘(2)은, 특허문헌2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바늘본체와 슬라이더(slider)를 갖고, 슬라이더를 바늘본체에 대하여 승강이동시킴으로써 편성시작부의 지지와 해제를 절체할 수 있다. 슬라이더의 구동은, 일본국 특허 제3612113호 공보와 같이 횡편기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구동장치로부터 와이어(wire)(43)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와이어(43)는, 작동판부(23b, 24b)의 가로 슬라이드판(44)을 가로방향으로 구동하고, 방향변환캠(方向變換cam)(45)을 통하여 세로 슬라이드판(46)을 세로방향으로 구동한다. 편성시작판(23)에서는, 세로 슬라이드판(46)에 의하여 편성시작바늘(2)의 슬라이더를 직접 구동한다. 편성시작판(24)에서는, 편성시작바늘(2)을 추가작동판부(追加作動板部)(47)에 나란하게 설치한다. 추가작동판부(47)는, 세로방향으로 이동하여 편성시작바늘(2)의 슬라이더를 구동하는 세로연결판(48)을 갖는다. 세로연결판(48)의 하단은 세로 슬라이드판(46)의 상단에 접속된다. 또 편성시작바늘(2)은, 실시예의 타입 이외의 것이더라도 편성시작부의 지지와 해제를 절체할 수 있으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1의 편성시작장치(21)에서, 편성시작판(23, 24)의 기판(23a, 24a)에는 연결구멍(23c, 24c)이 형성된다. 연결기구(29)는,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승강자(31)에 세워서 설치되고, 선택되는 편성시작판(23, 24)의 연결구멍(23c, 24c)에 삽입될 수 있는 핀(31a)과, 편성시작판(23, 24)의 기판(23a, 24a)에 설치되고 연결구멍(23c, 24c)에 삽입되는 핀(31a)의 선단에 결합될 수 있는 레버(29a)를 포함한다. 연결은, 편성시작판(23, 24)의 연결구멍(23c, 24c)에 핀(31a)을 삽입시켜서 한다. 연결의 록은, 연결구멍(23c, 24c)에 삽입시킨 핀(31a)의 선단측에 레버(29a)를 결합시켜서 한다. 연결이 록 된 상태는, 승강자(31)를 도2와 같이 하강시켜서 핀(31a)의 선단측으로부터 레버(29a)의 결합을 빼내어 록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홀더(26)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핀(31a)을 기판(23a, 24a)의 연결구멍(23c, 24c)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연결기구(29)는, 승강자(31)를 2개의 편성시작판(23, 24) 사이에서 어느 일방의 편성시작판(23, 24)에 작용시켜서 연결과 연결해제를 절체한다. 승강자(31)를 편성폭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는 없어 선택기구(28)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7은, 도4의 선택기구(28)에 상당하는 다른 선택기구(68)의 예를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도7에서 도4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기구(68)에서는, 도4의 오실레이터(28d)를 변경하여 오실레이션 기어(oscillation gear)(68d)를 사용한다. 모터(28a)는, 기어(28b)를 통하여 오실레이션 기어(68d)가 지점(68e)을 진동중심으로 하여 일정한 각도 범위에서 진동하도록 구동한다. 오실레이션 기어(68d)의 지점(68e)과 톱니산(tooth top)의 사이에는 팔로워(68g)가 설치된다. 팔로워(68g)는, 홀더(26)의 결합부(26c)에 결합되어, 오실레이션 기어(68d)를 진동시키면, 선택기구(28)와 마찬가지로 결합부(26c)를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2)
도8(a) 및 도9는, 도1의 편성시작장치(1)의 실시예2가 되는 편성시작장치(51)의 우측부분에 대하여, 편성시작판(53)과 승강자(61)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좌측부분은 편성폭의 좌우 중앙에 관하여 대칭이 된다. 편성시작장치(51)는, 편성시작판(53, 54), 홀더(56), 승강기구(57), 선택기구(58) 및 연결기구(59)를 포함한다. 편성시작판(53, 54)에 있어서 기판(53a, 54a)을 제외한 다른 부분의 구성은, 도6의 편성시작판(23, 24)과 동등하다. 도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53a)에는,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개구되는 연결홈(53c)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54a)에도 동일한 연결홈(54c)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홈(53c, 54c)의 하방에 캠(56a)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기구(57)는, 승강가이드(30)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자(61)를 포함한다. 선택기구(58)는, 랙(58b)과 피니언(58a)의 조합에 의한 구동에 의하여, 베이스(60)에 의한 지지를 받는 캠(56a)을 도면의 지면(紙面)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베이스(60)는 횡편기의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된다. 캠(56a)에는, 기판(53a, 54a)의 하단이 삽입되는 홈(groove)이 형성되어 있고, 기판(53a, 54a)의 좌단부(左端部)가 홀더(56)의 세로홈에 수용되어 있다. 캠(56a)이 이동하도록 구동되면, 홀더(56)도 기판(53a, 54a)을 통하여 구동되어, 전후가이드(72)로 안내되어 이동한다. 선택기구(58)에 의하여 홀더(56)를 구동시켜서, 캠(56a)을 추종하여 이동시킬 수도 있다. 연결기구(59)는, 캠(56a)에 의한 구동에 의하여 연결홈(53c, 54c)에 대하여 작용하는 록부재(lock部材)(59a, 59b)를 포함한다.
록부재(59a, 59b)는 전후에 배치된다. 전방의 록부재(59a)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되는 상태에서 사용되고, 승강자(61)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지점(59g)에 의하여 지지되어 진동하는 선단부(先端部)(59e)가 후방으로 연장된다. 후방의 록부재(59b)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되는 상태에서 사용되고, 승강자(61)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지점(59h)에 의하여 지지되어 진동하는 선단부(59f)가 전방으로 연장된다. 전방측 및 후방측의 선단부(59e, 59f) 상호간은, 상하로 간격을 두고 전후의 중간에서 각각 중복되는 상태가 된다. 상하의 선단부(59e, 59f)가, 선택된 편성시작판(53, 54)의 연결홈(53c, 54c)에 전방 및 후방으로부터 각각 삽입된다. 중복되는 상태의 선단부(59e)에는 장공(長孔)(59i), 선단부(59f)에는 핀(59j)이 각각 설치되고, 장공(59i)에 핀(59j)이 삽입되는 상태에서 결합한다. 선택기구(58)에 의하여 이동되는 캠(56a)에 의한 핀(59j)의 구동에 의하여 록부재(59a, 59b)가 진동되어, 상방의 선단부(59e, 59f)의 중복부분과 하방의 선단부(59e, 59f)의 중복부분의 상하 사이가 개폐된다. 선단부(59e, 59f)의 중복부분의 상하 사이가 열림으로써, 연결홈(53c, 54c)의 상하 사이가 내측으로부터 가압되어 연결 및 록의 상태가 된다. 선단부(59e, 59f)의 중복부분의 상하 사이가 닫힘에 의한 가압의 정지에 의하여 연결 및 록의 상태가 해제된다. 록의 상태는, 록부재(59a, 59b)의 상하의 끝부 사이에 걸려 있는 스프링(59c, 59d)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유지된다.
도10은, 도8의 편성시작장치(51)의 동작을 좌측방향에서 보았을 때를 나타낸다. 도10에 있어서, (a)는 편성시작판(53)을 선택하여 승강자(61)에 연결 및 록 하고 있는 상태, (b)는 편성시작판(53)의 선택을 정지하여 연결 및 록을 해제한 상태, (c)는 편성시작판(54)의 선택에 가까워진 상태, (d)는 편성시작판(54)을 선택하여 승강자(61)와 연결 및 록 하고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또 선택기구(58) 및 캠(56a)은, (a)에만 표시하고, (b), (c), (d)에서는 캠(56a)의 작용부(56b, 56c)만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다.
도10(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캠(56a)의 작용부(56b, 56c)가 록부재(59b)에 설치되는 핀(59j)에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록부재(59a, 59b)는 스프링(59c, 59d)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선단부(59e, 59f)의 중복부분의 상하 사이가 열려서, 연결홈(53c)을 내측으로부터 도면의 상하방향으로 가압한다. 이 선단부(59e, 59f)의 중복부분은 편성시작판(54)의 연결홈(54c)으로부터는 빠져 있기 때문에, 승강자(61)를 상승시키면 편성시작판(53)만 연결 및 록의 상태로 상승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10(d)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편성시작판(54)만 연결 및 록의 상태로 상승시킬 수 있다. 또 상방의 작용부(56c)는 전후의 폭이 좁게 되어 있기 때문에, 도10(a) 및 도10(d)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핀(59j)의 상승경로로부터 빠져서, 승강자(61)의 상승에 의하여 핀(59j)도 상승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2에서는, 2개의 편성시작판(53, 54)을 절체하고 있지만, 동일한 연결홈(53c, 54c)을 기판에 갖는 편성시작판이라면, 캠(56a)을 적합하게 함으로써, 3개 이상의 편성시작판을 절체하여 승강자(61)에 연결 및 록 시킬 수도 있다. 또한 각 편성시작판(3, 4, 5 ; 23, 24 ; 53, 54)은, 편성폭의 양측에서 지지하는 기판(3a, 4a, 5a ; 23a, 24a ; 53a, 54a)에 의하여 편성시작바늘(2)이 나란하게 설치되는 작동판부(3b, 4b, 5b ; 23b, 24b ; 53b, 54b)를 지지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기판(3a, 4a, 5a ; 23a, 24a ; 53a, 54a)과 작동판부(3b, 4b, 5b ; 23b, 24b ; 53b, 54b)는 일체화 시킬 수도 있다. 일체화 시키는 경우에, 1장의 사각형 판의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실시예1 및 실시예2의 연결기구(29, 59)는, 승강자(31, 61)를 편성폭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는 없기 때문에, 연결기구를 간략화 할 수 있다. 다만 도1의 편성시작장치(1)에서도, 승강자(11)를 편성폭방향으로 편성시작판의 기판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그 사이에 편성시작판을 수용하는 홀더를 선택기구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편성시작판이 3개 이상이더라도 편성시작판을 선택하면, 승강자를 편성시작판측으로 되돌려서, 선택된 편성시작판을 승강시킬 수 있다.
1, 21, 51 : 편성시작장치
2 : 편성시작바늘
3, 4, 5, 23, 24, 53, 54 : 편성시작판
6, 26, 56 : 홀더
7, 27, 57 : 승강기구
8, 28, 58 : 선택기구
9, 29, 59 : 연결기구
10, 30 : 승강가이드
11, 31, 61 : 승강자
23c, 24c : 연결구멍
29a : 레버
31a, 59j : 핀
39c, 59c, 59d : 스프링
53c, 54c : 연결홈
56a : 캠
59a, 59b : 록부재
59e, 59f : 선단부
59g, 59h : 지점
59i : 장공

Claims (5)

  1.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가 전후로 대향(對向)하도록 배치되는 횡편기(橫編機)에서,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의 하방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복수가 배열되고 편성시작바늘이 편성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편성시작판을 갖고, 1개의 편성시작판을 선택하여 편성시작바늘을 니들베드갭으로 상승시켜서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포착하고, 포착된 편성시작부를 지지하여 하강시키는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편성시작판을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용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홀더(holder)와,
    승강가이드(昇降guide)가 설치되고, 편성시작판을 승강가이드에 의한 안내에 의하여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자(昇降子)를 갖는 승강기구(昇降機構)와,
    홀더를 전후로 이동시켜서, 1개의 편성시작판을 선택하여 승강기구의 승강자의 위치에 맞추는 선택기구(選擇機構)와,
    승강기구의 승강자가 홀더에 수용되는 편성시작판의 위치까지 하강되어 있는 상태에서, 편성시작판과 승강자를 연결하는 것 및 편성시작판과 승강자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절체(切替)할 수 있는 연결기구(連結機構)를
    포함하고,
    편성시작판은, 편성폭의 적어도 일부의 구간에 편성시작바늘을 갖고 있지 않은 편성시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시작판을 2개 갖고,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선택기구에 의한 상기 홀더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하강되어 있는 상태의 승강자를 상기 2개의 편성시작판 사이에서 어느 일방(一方)의 편성시작판에 작용시켜서 연결과 연결해제를 절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시작판에는, 연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승강자에, 상기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세워서 설치되고, 선택되는 상기 편성시작판의 연결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핀(pin)과,
    상기 편성시작판에 설치되고, 연결구멍에 삽입되는 핀의 선단에 결합될 수 있는 레버(lever)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과 연결해제는, 승강자가 상기 하강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결구멍에 대한 핀의 삽입과, 연결구멍으로부터의 핀의 이탈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레버는, 승강자가 상기 하강되어 있는 상태에서, 핀의 선단과의 결합을 빼내어 록(lock)을 해제하고, 핀의 선단에 결합하여 편성시작판과 승강자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시작판에는, 상기 승강자에 면(面)하는 측으로 개구되는 연결홈(連結groove)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홀더의 이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캠(cam)과,
    상하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되는 상태에서 사용되고, 상기 승강자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지점에 의하여 지지되어 진동하는 선단부(先端部)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록부재(lock部材)와,
    상하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되는 상태에서 사용되고, 승강자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지점에 의하여 지지되어 진동하는 선단부가 전방으로 연장되는 록부재를,
    전방측 및 후방측의 선단부 상호간이 전후의 중간에서 중복되고, 중복되는 부분이 상하로 간격을 두는 상태에서 구비하고,
    록부재는,
    상하의 선단부가 상기 선택된 편성시작판의 연결홈에 전방 및 후방으로부터 각각 삽입되고,
    중복되는 상태의 일방의 선단부는 장공(長孔), 타방(他方)의 선단부에는 핀이 설치되고, 장공에 핀이 삽입되는 상태에서 결합하고,
    상기 선택기구에 의한 홀더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캠에 의한 핀으로의 구동에 의하여 록부재가 진동하여, 선단부의 중복부분의 상하 사이가 열림으로써 연결홈의 상하 사이를 내측으로부터 가압하여 연결 및 록 하고, 선단부의 중복부분의 상하 사이가 닫힘에 의한 가압의 정지에서의 연결 및 록의 해제를 절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폭의 적어도 일부의 구간에 편성시작바늘을 갖지 않는 편성시작판은, 상기 구간에, 니들베드에서 니트웨어(knitwear)의 몸통의 편성에 사용하는 편침이 배치되는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구간에 편성시작바늘을 갖지 않는 편성시작판은, 상기 구간보다 편성폭의 외측에서, 니들베드에서 양쪽 소매를 편성하는 편침이 배치되는 범위에 대응하는 구간에 편성시작바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
KR1020160149287A 2015-11-12 2016-11-10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 KR101803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21693 2015-11-12
JP2015221693A JP6214616B2 (ja) 2015-11-12 2015-11-12 横編機の編出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916A KR20170055916A (ko) 2017-05-22
KR101803711B1 true KR101803711B1 (ko) 2017-12-01

Family

ID=5725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287A KR101803711B1 (ko) 2015-11-12 2016-11-10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168350B1 (ko)
JP (1) JP6214616B2 (ko)
KR (1) KR101803711B1 (ko)
CN (1) CN106702583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4538A (ja) 2012-10-22 2014-05-12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編出し装置およびニットウエアの編出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49789B1 (ko) * 1968-02-21 1972-12-14
JPH02210046A (ja) 1989-02-08 1990-08-21 Shima Seiki Seisakusho:Kk 横編機における編み出し方法と編み出し装置
CN1023906C (zh) * 1989-02-08 1994-03-02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一种起口针
JP3612113B2 (ja) * 1995-07-13 2005-01-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編出し装置
JP3377700B2 (ja) * 1996-11-06 2003-02-1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出し装置を備えた横編機
DE19733867A1 (de) * 1997-08-05 1999-02-11 Schieber Universal Maschf Flachstrickmaschine
CN101654839B (zh) * 2009-09-10 2011-04-27 江苏雪亮电器机械有限公司 电脑针织横编机的起底板结构
CN101654840B (zh) * 2009-09-10 2011-04-27 江苏雪亮电器机械有限公司 电脑针织横编机的起针板升降机构
CN102926118A (zh) * 2012-09-29 2013-02-13 浙江理工大学 针织横机自动起底控制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4538A (ja) 2012-10-22 2014-05-12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編出し装置およびニットウエアの編出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14616B2 (ja) 2017-10-18
EP3168350A1 (en) 2017-05-17
EP3168350B1 (en) 2018-11-07
KR20170055916A (ko) 2017-05-22
CN106702583A (zh) 2017-05-24
JP2017089061A (ja) 2017-05-25
CN106702583B (zh) 201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644B1 (ko) 횡편기의 선침장치
KR101867409B1 (ko) 횡편기 및 편성방법
EP0523916A1 (en) Apparatus for driving yarn feeders built in a flat knitting machine
KR100521798B1 (ko) 횡편기에있어서편지인하장치
EP2894245B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sinker device
KR910016998A (ko) 편물기계
CN101158086B (zh) 端纱插入装置
EP2025785A1 (en) Knitting method of intersia pattern fabric and weft knitting machine
KR101803711B1 (ko)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
KR101065245B1 (ko) 편사의 지지절단 방법 및 장치
EP1514963B1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device
JP2014084538A (ja) 横編機の編出し装置およびニットウエアの編出し方法
JP5745327B2 (ja) 編機
EP1655398A1 (en)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movable sinker
EP2570535A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provided with compound needle, and slider control method for flatbed knitting machine
CN210314701U (zh) 横编机的编织纱保持切断装置
EP3168351B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and knitting method
CN105839283A (zh) 具备可动沉降片的横编机
EP3798339B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JP4374313B2 (ja) 横編機
KR20030023755A (ko) 코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코이동 방법
KR20140006288U (ko) 인타샤 횡편기의 캠 및 캠 조절장치
JPH09279442A (ja) 編出し櫛を有する横編機
KR200200976Y1 (ko) 횡편기(橫編機)의 셀렉터 작동구조
EP4306698A1 (en) Method for knitting punch-lace knitted fabric produced by flat-kni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