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76Y1 - 횡편기(橫編機)의 셀렉터 작동구조 - Google Patents

횡편기(橫編機)의 셀렉터 작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76Y1
KR200200976Y1 KR2019980013492U KR19980013492U KR200200976Y1 KR 200200976 Y1 KR200200976 Y1 KR 200200976Y1 KR 2019980013492 U KR2019980013492 U KR 2019980013492U KR 19980013492 U KR19980013492 U KR 19980013492U KR 200200976 Y1 KR200200976 Y1 KR 2002009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or
cam
butt
needle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148U (ko
Inventor
이근수
Original Assignee
이근수
주식회사현대정밀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수, 주식회사현대정밀공업 filed Critical 이근수
Priority to KR2019980013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76Y1/ko
Publication of KR199900141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1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9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0Needle bars
    • D04B15/22Driving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18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breakage, misplacement, or malfunctioning of knitting instru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체(31a)의 일측면 하부에 다단버트(311)가 구비되고, 이 다단버트(311)의 상부에 제1,2버트(312)(313)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몸체(311)의 상단을 일측으로 연장시켜 그 단부의 바닥을 외측의 하향으로 경사지게 걸림턱(314a)을 돌출시킨 제3버트가 구비된 셀렉터(31)와; 사각판의 상부 양측을 소정각도 절취한 몸체(451)를 구성하고, 이 몸체(451)의 일측 전방에 후향으로 경사지게 절취한 안내면(453)을 형성하며, 몸체(451)의 전방측 상부에 상기 셀렉터(31)의 걸림턱(314a)을 걸어 셀렉터(31)의 상승동작을 안내하는 안내홈(452)을 형성한 셀렉터상승캠(45)과; 상기 셀렉터상승캠(45)이 셀렉터받침캠(44)과 잭작동캠(46)의 사이에 경사진 안내면(453)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2개 1조로 배치되어 캠판(40)에 스크류(S)로 고정되어 셀렉터(31)의 상부가 셀렉터상승캠(45)에 견고하게 걸려 상승 및 하강동작이 안정감있게 안내되도록하는 횡편기의 셀렉터 작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횡편기(橫編機)의 셀렉터 작동구조
본 고안은 바늘로 옷감을 편직하는 횡편기(橫編機)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횡편기는 바늘이 배열된 선침부의 상부로 캐리지가 좌`우 왕복운동을 하여 바늘에 실을 공급하면서 프로그램에 입력된 무늬로 옷감을 편직하는 기계로써, 이러한 횡편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 횡편기는, 실이 텐션을 유지하면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다수의 실패(1a)를 안착시킨 탑텐션부(1)가 구성되고, 탑텐션부(1)로부터 선택된 실을 편직하도록 공급하는 공급부(2)가 구성되며, 그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선침부(3)가 구성된다. 이 선침부(3)는 전`후방 대칭으로 셀렉터와 잭, 그리고 셀렉터와 연동하여 상승하는 잭에 의해 상승 ` 하강하는 바늘이 하부에서 상부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이러한 선침부의 일측에는 셀렉터와 잭을 편직될 무늬와 일치하도록 정열함과 동시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실이 바늘에 걸리도록 안내하는 캐리지(4)가 구성된다.
이러한 횡편기에 있어 종래의 선침부와 캐리지의 구성과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 선침부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종래 캐리지의 저면도로서, 3은 선침부이고, 4은 캐리지이다.
선침부(3)는, 캠에 의해 승강하는 셀렉터(3a)가 구비되고, 이 셀렉터(3a)가 상승할 때 상단에 걸려 연동하도록 셀렉터(3a)의 후방에 잭(3b)이 근접하게 구비되며, 잭(3b)의 후방에 바늘(3c)이 근접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셀렉터(3a)와 잭(3b), 그리고 바늘(3c)은 침판(3d) 에 승강이 가능하도록 안착된다.
캐리지(4)는, 캠판(4a)의 하부에 셀렉터(3a)의 다단버트(3a-1)를 가압하는 플랙(4b-1)이 다수로 형성된 액츄에이터(4b)가 구비되고, 이 액츄에이터(4b)의 양측에는 캐리지(4)의 이동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몰하는 한 쌍의 셀랙터상승캠(4c)이 구비되며, 이 셀랙터상승캠(4c)과 소정 간격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셀렉터(3a)의 승강을 안내하는 셀렉터작동캠(4d)이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잭(3b)과 바늘(3c)의 승강을 안내하는 잭작동캠(4e)과 바늘작동캠(4f)이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또한 캠판(4a)의 하부와 근접하게 설치되는 캠박스(미도시)에는 액츄에이터(4b) 사이에서 셀렉터(3a)의 하단과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셀렉터(3a)를 지지하는 셀렉터지지캠(4g)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선침부(3)에 캐리지(4)가 탑재되어 좌우 왕복운동을 하면서 편직이 되도록 하는 과정을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각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단계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렉터(3a)가 침판(3d) 으로부터 이탈한 상태에서 하강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고, 이때 캐리지(4)에 구성된 셀랙터상승캠(4c)은 셀렉터(3a)의 하부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2단계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4)에 구성된 액츄에이터(4b)가 작동하여 선택된 플랙(4a-1)이 수평으로 동작하면 셀렉터(3a)에 형성된 다단버트(3a-1)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게 되고 셀렉터(3a)는 침판(3d)으로 삽입된다.
3단계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판(3d) 으로 삽입된 셀렉터(3a)의 하단 전면으로 캐리지(4)의 진행 방향측에 있는 셀랙터상승캠(4c)이 위치하도록 정리한다.
4단계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어터의 플랙(4a-1)이 원 위치로 동작하여 셀렉터(3a)의 하단을 침판(3d)으로부터 인출시킨다.
5단계는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랙터상승캠(4c)을 통과하면서 셀랙터상승캠(4c)은 셀렉터(3a)의 하단 전면에 걸려 셀렉터(3a)를 상승시키게 되고, 상승하는 셀렉터(3a)의 상부에 안착된 잭(3b)은 잭작동캠(4e)을 따라 상승함과 동시에 바늘(3c)은 바늘작동캠(4f)을 따라 상승하여 공급부로부터 실을 공급받아 편직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하는 횡편기에 있어 셀렉터를 승강시키는 종래의 셀렉터 작동구조는 셀렉터(3a)가 편직이 가능하게 정리된 상태에서 셀렉터(3a)를 상승시키는 과정까지 셀렉터지지캠(4g)과 셀랙터상승캠(4c)이 셀렉터(3a)를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함으로서, 셀렉터(3a)의 상승동작을 정확하고 원할하게 안내하지 못하고 오동작이 발생하는 결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셀랙터상승캠(4c)은 방향성을 가지도록 출몰되게 구성하여야 하고 셀렉터지지캠(4g)은 캠판(4a)과 분리된 캠박스(미도시)에 별도로 구성해야 함으로서, 조립구조가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셀렉터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승강 동작을 안내하여 오동작을 방지함과 아울러 구조를 간소화한 횡편기의 셀렉터 작동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셀렉터의 상부가 상승캠에 견고하게 걸려 상승 및 하강동작이 안내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횡편기의 정면도
도 2는 종래 선침부의 측면도
도 3은 종래 캐리지의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선침부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캐리지의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 셀렉터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셀렉터상승캠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 셀랙터와 상승캠의 결합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9는 본 고안 도 8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탑텐션부 2: 공급부
3: 선침부 4: 캐리지
31: 셀렉터 314: 제3버트
314a: 걸림턱 32: 잭
33: 바늘 41: 액츄에이터
42: 셀렉터받침캠 45: 셀렉터상승캠
452: 안내홈 S: 스크류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횡편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선침부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캐리지의 저면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횡편기는, 실이 텐션을 유지하면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다수의 실패(1a)를 안착시킨 탑텐션부(1)가 구성되고, 탑텐션부(1)로부터 선택된 실을 편직하도록 공급하는 공급부(2)가 구성되며, 그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선침부(3)가 구성된다. 이 선침부(3)는 전`후방 대칭으로 셀렉터와 잭, 그리고 셀렉터와 연동하여 상승하는 잭에 의해 상승 ` 하강하는 바늘이 하부에서 상부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이러한 선침부의 일측에는 셀렉터와 잭을 편직될 무늬와 일치하도록 정열함과 동시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실이 바늘에 걸리도록 안내하는 캐리지(4)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침부(3)는, 캠에 의해 승강하는 셀렉터(31)가 구비되고, 이 셀렉터(31)의 수직 상부에는 셀렉터(31)가 상승할 때 상단에 걸려 연동하도록 잭(32)이 구성되며, 잭(32)의 수직 상부에는 셀렉터(31)와 잭(32)을 따라 순차적으로 연동하여 상승하는 바늘(33)이 구비된다. 이러한 셀렉터(31)와 잭(32), 그리고 바늘(33)은 침판(34)에 승강 가능하도록 안착된다.
또한 캐리지(4)는, 캠판(40)의 하부에 셀렉터(31)의 다단버트(311)를 가압하는 플랩(411)이 다수로 형성된 액츄에이터(41)가 구비되고, 이 액츄에이터(41)의 상부에는 셀렉터받침캠(42)이 수평으로 구비되며, 이 셀렉터받침캠(42)의 상부에는 셀렉터누름캠(44)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셀렉터누름캠(44)과 이격된 상부에는 셀렉터상승캠(45)(45')이 구비되며, 이 셀렉터상승캠(45)(45')의 상부에는 잭작동캠(46)과 바늘작동캠(47)이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횡편기의 선침부(3)와 캐리지(4)의 구성에 있어 본 고안은, 셀렉터(31)의 상단이 셀렉터상승캠(45)에 견고하게 걸려 상승 및 하강동작이 안내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셀렉터(3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a)의 일측면 하부에 다단버트(311)가 구비되고, 이 다단버트(311)의 상부에 제1,2버트(312)(313)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몸체(31a)의 상단을 일측으로 연장시켜 그 단부의 바닥을 외측의 하향으로 경사지게 걸림턱(314a)을 돌출시킨 제3버트(314)가 구비된 셀렉터(31)를 구성한다.
또한 셀렉터상승캠(4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판의 상부 양측을 소정각도 절취한 몸체(451)를 구성하고, 이 몸체(451)의 일측 전방에 후향으로 경사지게 절취한 안내면(453)을 형성하며, 몸체(451)의 전방측 상부에 셀렉터(31)의 걸림턱(314a)을 걸어 셀렉터(31)의 상승동작을 안내하는 안내홈(452)을 형성한다. 이러한 셀렉터상승캠(45)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렉터누름캠(44)과 잭작동캠(46)의 사이에 경사진 안내면(453)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2개 1조로 배치하여 캠판(40)에 스크류(S)로 고정시킨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과정을 도 4와 도 5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단계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렉터(31)가 도 5의 ①, ②, ③ 경로에 셀렉터(31)의 제1버트(312)와 제2버트, 그리고 제3버트(314)가 일치된 상태에서 캐리지(4)가 진행할 때 셀렉터하강캠(43)과 셀렉터받침캠(42)의 사이인 경로 ①로 제1버트(312)가 통과되어 셀렉터(31)는 고르게 배열한다. 이때 액츄에이터(41)에 형성된 플랩(411)은 하부에 돌출된 다단버트(311)와 이격된 상태가 되어 셀렉터(31)를 간섭하지 않는다.
2단계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41)의 플랩(411)이 작동하여 셀렉터(31)의 다단버트(311)를 가압한다. 이때 셀렉터(31)는 지지점을 중심으로 하단의 다단버트(311)는 침판(34)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단의 제2,3버트(313)(314)는 침판(34)의 외부로 이탈하여 제2버트(313)는 셀렉터누름캠(44)에 의해 가압되고, 제3버트(314)의 걸림턱(314a)은 셀렉터상승캠(45)의 안내홈(452)에 걸려 상승될 수 있도록 준비한다.
3단계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버트(314)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셀렉터상승캠(45)의 안내홈(452)을 따라 이동하여 셀렉터(31)를 상승시키게 되며, 셀렉터(31)의 상승과 동시에 잭버트(321)가 경로④를 따라 안내되어 잭(32)을 상승시킨다. 이때 셀렉터(31)는 제3버트(314)에 형성된 걸림턱(314a)이 셀렉터상승캠(45)을 따라 견고하게 걸려 안내됨으로서, 이탈하지 않고 안정감을 유지하게 된다.
도 4(d), (e), (f)에 도시된 4, 5, 6단계는 잭버트(321)가 도 5에 나타난 경로④를 통과하면서 잭작동캠(46)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한다. 이때 바늘(33)은 잭(32)의 상승동작과 바늘작동캠(47)에 의해 경로⑤를 따라 상승 및 하강 작동을 하면서 편직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승된 셀렉터(31)는 상기 작업과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셀렉터하강캠(43)에 안내되어 하강하고, 다음 선별 작업을 위해 상기 1단계(도 4(a))와 같이 고르게 배열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셀렉터의 상부가 셀렉터상승캠에 견고하게 걸려 상승 및 하강동작이 안내되도록 함으로서, 셀렉터가 침판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안정감을 유지할 수 있어 오동작을 방지하고, 셀렉터상승캠을 캠판에 스크류로 체결하여 조립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서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1)

  1. 캠에 의해 승강하는 셀렉터(31)가 구비되고, 그 수직 상부에 셀렉터(31)가 상승할 때 연동하도록 잭(32)이 구성되며, 그 수직 상부에 셀렉터(31)와 잭(32)을 따라 상승하는 바늘(33)이 구비되는 선침부(3)와;
    캠판(40)의 하부에 셀렉터(31)의 다단버트(311)를 가압하는 플랩(411)이 다수로 형성된 액츄에이터(41)가 구비되고, 이 액츄에이터(41)의 상부에 셀렉터받침캠(42)이 수평으로 구비되며, 이 셀렉터받침캠(42)의 상부에 셀렉터누름캠(44)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셀렉터누름캠(44)과 이격된 상부에 잭작동캠(46)과 바늘작동캠(47)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캐리지(4)를 구성한 횡편기에 있어서,
    몸체(31a)의 일측면 하부에 다단버트(311)가 구비되고, 이 다단버트(311)의 상부에 제1,2버트(312)(313)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몸체(31a)의 상단을 일측으로 연장시켜 그 단부의 바닥을 외측의 하향으로 경사지게 걸림턱(314a)을 돌출시킨 제3버트가 구비된 셀렉터(31)와;
    사각판의 상부 양측을 소정각도 절취한 몸체(451)를 구성하고, 이 몸체(451)의 일측 전방에 후향으로 경사지게 절취한 안내면(453)을 형성하며, 몸체(451)의 전방측 상부에 상기 셀렉터(31)의 걸림턱(314a)을 걸어 셀렉터(31)의 상승동작을 안내하는 안내홈(452)을 형성한 셀렉터상승캠(45)이 구성되어 상기 셀렉터누름캠(44)과 잭작동캠(46)의 사이에 안내면(453)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2개 1조로 배치되어 캠판(40)에 스크류(S)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셀렉터 작동구조.
KR2019980013492U 1998-07-22 1998-07-22 횡편기(橫編機)의 셀렉터 작동구조 KR2002009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492U KR200200976Y1 (ko) 1998-07-22 1998-07-22 횡편기(橫編機)의 셀렉터 작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492U KR200200976Y1 (ko) 1998-07-22 1998-07-22 횡편기(橫編機)의 셀렉터 작동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148U KR19990014148U (ko) 1999-04-26
KR200200976Y1 true KR200200976Y1 (ko) 2000-11-01

Family

ID=19536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492U KR200200976Y1 (ko) 1998-07-22 1998-07-22 횡편기(橫編機)의 셀렉터 작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7765A (ko) * 2012-09-19 2014-03-27 쇼와 글로브 가부시키가이샤 편기 및 장갑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7422B2 (ja) * 2020-10-02 2024-05-0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7765A (ko) * 2012-09-19 2014-03-27 쇼와 글로브 가부시키가이샤 편기 및 장갑의 제조 방법
KR102068501B1 (ko) 2012-09-19 2020-01-21 쇼와 글로브 가부시키가이샤 편기 및 장갑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148U (ko) 199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07848B2 (ja) 横編機におけるヤーンフィーダの駆動装置
US6988385B2 (en) Yarn feeder of weft knitting machine and method of feeding yarn for weft knitting machine
KR20080081149A (ko) 횡편기의 선침장치
KR100264766B1 (ko) 양면 환편기에 있어서의 선침 장치
KR100478557B1 (ko) 루프 프레스기를 구비한 횡편기 및 이 횡편기를 사용한 편성방법
KR101022347B1 (ko) 편성포 편성용 캠 장치
EP0533414B1 (en) Flat knitting machine
KR200200976Y1 (ko) 횡편기(橫編機)의 셀렉터 작동구조
CN110678593B (zh) 横机中的添纱编织方法
GB2352455A (en) Computer-controlled jacquard knitting machine
KR100397029B1 (ko) 원형편기에있어서의편직기구제어장치
CN214458635U (zh) 横织机
US6101848A (en) Computer controlled needle selection structure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CN209923558U (zh) 零间纱起底梳
CN213624596U (zh) 一种三路机的密度调节装置
CN220788970U (zh) 一种回针系统、三角机构及横编织机用机头组件
CN220034826U (zh) 一种三工位的电脑针织横编机的三角装置
CN209779135U (zh) 一种紧凑型织领机山板
CN216514444U (zh) 圆形编织机的选针装置
KR100318757B1 (ko) 원형 편성기용 컴퓨터 제어방식의 니이들 선택 장치
CN117265758A (zh) 一种回针系统、三角机构及横编织机用机头组件
KR960014597B1 (ko) 자카드 편기에 있어서 패턴(pattern) 잭크(jack)과 액츄에이터(actuator)를 이용한 응용편조직(닛트, 턱크, 웰트)의 선택방법
JPH111850A (ja) 目移し装置を備えた横編機
CN116479576A (zh) 一种三工位的电脑针织横编机的三角装置
JPS62419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