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231B1 - 환편기의 선침장치 - Google Patents

환편기의 선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231B1
KR101964231B1 KR1020180103633A KR20180103633A KR101964231B1 KR 101964231 B1 KR101964231 B1 KR 101964231B1 KR 1020180103633 A KR1020180103633 A KR 1020180103633A KR 20180103633 A KR20180103633 A KR 20180103633A KR 101964231 B1 KR101964231 B1 KR 101964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actuator
needle
jack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선
Original Assignee
동일편직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일편직기계(주) filed Critical 동일편직기계(주)
Priority to KR1020180103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231B1/ko
Priority to CN201990000981.6U priority patent/CN216514444U/zh
Priority to PCT/KR2019/004354 priority patent/WO20200457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82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needle cams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편기의 선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액츄에이터의 갯수를 줄이고, 리셋캠의 구조를 변경하여 원가가 절감되며, 공간의 활용도가 높음으로 보다 많은 피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환편기의 선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패턴잭을 선택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패턴잭의 선택된 작용을 실린더의 침상에 장착된 편침에 전달하도록 하는 보조잭과, 상기 엑츄에이터에 연동되는 패턴잭이 리셋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 상부에 설치되는 리셋캠과, 상기 리셋캠의 상부에 위치하며, 편환을 형성하기 위해 미스, 턱, 니트 및 양두의 편성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캠통로를 형성하되, 상기 캠통로는 상부와 하부로 구성되고, 상부는 상부캠선단부, 상부상승트랙, 상부변곡점 및 상부하강트랙이 선도를 이루며, 하부는, 하부캠선단부, 하부상승트랙, 하부변곡점 및 하부하강트랙이 선도를 이루도록 하는 제1캠부와, 상기 보조잭의 상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액츄에이터의 선침작용에 의해 승하강하며 상기 편침을 이동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제1캠부의 상측에 상기 슬라이더의 버트가 결합되어 이동되는 상승트랙 및 하강트랙을 구비하는 제2캠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제1액츄에이터 및 제2액츄에이터로 구분되고, 상기 리셋캠에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가 형성되며, 직전피더 리셋캠의 제2돌출부에서 상기 보조잭의 버트가 실린더 밖으로 돌출되어 제1액츄에이터가 보조잭을 다시 선택 할 수 있게 리셋되어 제1캠부로 들어온 보조잭은 상기 제1액츄에이터에 의해 상부캠선단부에서 미스와 턱으로 표현 할 것인지 또는 니트와 양두로 표현 할 것인지 결정되고, 상기 제1엑츄에이터에 의해 상부캠선단부에서 미스와 턱으로 표현될 선택된 보조잭은 하부캠선단부로 이동하고, 제2캠부의 상승트랙에 의해 슬라이더와 보조잭이 연결되어 있음으로 하부상승트랙을 거치면서 리셋캠의 제1돌출부에 의해서 하부캠선단부로 이동된 보조잭이 다시 실린더 밖으로 돌출되어 하부변곡점에서 제2액츄이터에 의해 미스로 결정되면 하부하강트랙을 따라 이동함과 아울러 턱으로 결정되면 일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1엑츄에이터에 의해 상부캠선단부에서 니트와 양두로 표현될 선택되지 않은 보조잭은 상부상승트랙을 따라 상부변곡점에서 제2액츄에이터에 의해 니트로 결정되면 제2캠부의 하강트랙에 의해 슬라이더와 보조잭이 연결되어 있음으로 상부하강트랙을 따라 이동함과 아울러 양두로 결정되면 일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선침위치를 상부변곡점에서 시행함으로 실린더 위 쪽에 있던 바늘을 아래로 정렬시키는 동작과 바늘의 선별동작을 한곳에서 시행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환편기의 선침장치{NEEDLE SELECT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환편기의 선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츄에이터의 갯수를 줄이고, 리셋캠의 구조를 변경하여 원가가 절감되며, 공간의 활용도가 높음으로 보다 많은 피더를 구현함으로 생산성을 향상 할 수 있도록 하는 환편기의 선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편기에서는, 니들실린더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니들홈에 수용되어 슬라이딩 변위 가능한 편침을, 니들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캐리지에 탑재되는 선침장치로 선택하고, 편성용 캠시스템으로 구동하여 편성동작을 하고 있다.
편침의 편성동작은, 미스(MISS), 턱(TUCK), 니트(KNIT) 및 양두(LINK)가 있다.
미스는, 편침이 상승하지도 않고 새루프도 형성하지 않는 편침의 위치이고, 턱은, 편침이 완정히 상승하지 않고 중간쯤 상승하여 새편사를 공급받되 루프를 형성하지 않고 하강하여 다시 편사를 공급받아 앞의 실과 같이 루프를 형성하는 경우를 말하며, 니트는 편침이 완전히 하강하여 새루프를 만드는 것을 경우이고, 양두는 편침이 완전히 상승하여 위 쪽 실린더로 편침이 이동하여 새루프를 만드는 것을 말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환편기의 선침장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패턴 잭을 선택하는 액츄에이터(1)와, 상기 패턴 잭의 선택된 작용을 실린더(가마)의 침상에 장착된 편침에 전달하도록 하는 보조잭과, 상기 패턴잭이 리셋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1) 상부에 설치되는 리셋캠(2)과, 상기 리셋캠(2)의 상부의 위치하며, 편환을 형성하기 위해 미스, 턱, 니트 및 양두의 편성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캠통로(3a)가 형성되어진 캠부(3)와, 상기 캠통로(3a)에 결합되는 버트(4a)가 형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터(1)의 선침작용에 의해 승하강하며 상기 편침을 이동시키는 잭(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1)는 제1액츄에이터(1a), 제2액츄에이터(1b) 및 제3액츄에이터(1c)로 구성되며, 상기 리셋캠(2)에는 돌출부(2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환편기의 선침장치는 리셋캠(2)의 돌출부(2a)에서 패턴잭(바늘)이 리셋되고(A), 제1액츄에이터(1a)에서 미스(a) 할 것인지 턱(b), 니트(c) 및 양두(d) 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미스(a)로 결정된 바늘은 끝까지 미스(a)가 된다.(A-1)
또한, 제1액츄에이터에서 미스(a)로 선택이 안 된 바늘 중에서 제2액츄에이터에 의해서 턱(b)을 할 것인지 니트(c) 혹은 양두(d)를 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A-2)
또한, 제2액츄에이터에서 턱(b)으로 선택이 안 된 바늘 중에서 제3액츄에이터에 의해서 니트(c)를 할 것인지 양두(d)를 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A-3)
즉, 종래의 환편기의 선침장치는 미스(a), 턱(b), 니트(c) 및 양두(d)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액츄에이터가(1)가 3개가 필요로 하게 된다.
한편, 부호 5는 실린더(가마)에 있던 바늘을 아래 실린더(가마)로 정렬시키는 바늘 정렬부분의 종래 방식 캠 구조이고, 부호 6은 정렬된 바늘이 제3액츄에이터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바늘을 위 실린더(가마)로 보내고 슬라이더를 아래 방향으로 정렬하는 종래 방식의 캠 구조를 나타낸다.
특허 1: 특허등록번호 10-1209644{등록일자 2012년12월03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위 실린더(가마)의 바늘을 정렬한 후 다시 선별하는 문제)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늘 정렬과 선별을 한 부분에서 실행함으로 공간의 활용도를 높여 보다 많은 피더를 구연함으로 종래 양두환편기의 문제점이었던 생산성문제를 약35% 증가 시키는 데 있으며, 리셋 캠의 구조를 변경하여 액츄에이터의 갯수를 줄여 원가를 줄일 수 있는 환편기의 선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환편기의 선침장치는, 패턴잭을 선택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패턴잭의 선택된 작용을 실린더의 침상에 장착된 편침에 전달하도록 하는 보조잭과, 상기 엑츄에이터에 연동되는 패턴잭이 리셋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 상부에 설치되는 리셋캠과, 상기 리셋캠의 상부에 위치하며, 편환을 형성하기 위해 미스, 턱, 니트 및 양두의 편성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캠통로를 형성하되, 상기 캠통로는 상부와 하부로 구성되고, 상부는 상부캠선단부, 상부상승트랙, 상부변곡점 및 상부하강트랙이 선도를 이루며, 하부는, 하부캠선단부, 하부상승트랙, 하부변곡점 및 하부하강트랙이 선도를 이루도록 하는 제1캠부와, 상기 보조잭의 상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액츄에이터의 선침작용에 의해 승하강하며 상기 편침을 이동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제1캠부의 상측에 상기 슬라이더의 버트가 결합되어 이동되는 상승트랙 및 하강트랙을 구비하는 제2캠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제1액츄에이터 및 제2액츄에이터로 구분되고, 상기 리셋캠에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가 형성되며, 직전피더 리셋캠의 제2돌출부에서 상기 보조잭의 버트가 실린더 밖으로 돌출되어 제1액츄에이터가 보조잭을 다시 선택 할 수 있게 리셋되어 제1캠부로 들어온 보조잭은 상기 제1액츄에이터에 의해 상부캠선단부에서 미스와 턱으로 표현 할 것인지 또는 니트와 양두로 표현 할 것인지 결정되고, 상기 제1엑츄에이터에 의해 상부캠선단부에서 미스와 턱으로 표현될 선택된 보조잭은 하부캠선단부로 이동하고, 제2캠부의 상승트랙에 의해 슬라이더와 보조잭이 연결되어 있음으로 하부상승트랙을 거치면서 리셋캠의 제1돌출부에 의해서 하부캠선단부로 이동된 보조잭이 다시 실린더 밖으로 돌출되어 하부변곡점에서 제2액츄이터에 의해 미스로 결정되면 하부하강트랙을 따라 이동함과 아울러 턱으로 결정되면 일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1엑츄에이터에 의해 상부캠선단부에서 니트와 양두로 표현될 선택되지 않은 보조잭은 상부상승트랙을 따라 상부변곡점에서 제2액츄에이터에 의해 니트로 결정되면 제2캠부의 하강트랙에 의해 슬라이더와 보조잭이 연결되어 있음으로 상부하강트랙을 따라 이동함과 아울러 양두로 결정되면 일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선침위치를 상부변곡점에서 시행함으로 실린더 위 쪽에 있던 바늘을 아래로 정렬시키는 동작과 바늘의 선별동작을 한곳에서 시행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선침장치는, 액츄에이터를 세개에서 두개로 줄이고, 리셋캠의 돌출부를 두개 형성하여 미스, 턱, 니트 및 양두를 표현하도록 함으로서, 원가가 절감되고, 보조잭의 하강 시 선침 동작을 시행함으로 공간의 활용도가 높음으로 보다 많은 피더를 구현함으로 생산성(종래대비 약 35%)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환편기의 선침장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선침장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선침장치에서 액츄에이터와 패턴잭 등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선침장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선침장치에서 액츄에이터와 패턴잭 등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선침장치는, 액츄에이터(10), 리셋캠(20), 제1캠부(30), 잭(40) 및 제2캠부(50)을 포함한다.
상기 액츄에이터(10)는, 패턴잭(12)을 선택하고, 상기 패턴잭(12)의 선택된 작용을 실린더의 침상에 장착된 편침에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10)는 제1액츄에이터(10a) 및 제2액츄에이터(10b)로 구분된다.
상기 리셋캠(20)은, 상기 패턴잭(12)이 리셋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10)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셋캠(20)에 제1돌출부(21) 및 제2돌출부(22)가 형성되며, 패턴잭(12)이 정리(리셋)되어지는 것이다.
즉, 제1돌출부(21)에서 제1액츄에이터(10a)의 패턴잭(12)이 리셋되는 부분이고, 제2돌출부(22)에서 제2액츄에이터(10b)의 패턴잭(12)이 리셋되는 부분이다.
상기 상기 제1캠부(30)는, 상기 리셋캠(20)의 상부의 위치하며, 편환을 형성하기 위해 미스(MISS)(a), 턱(TUCK)(b), 니트(KNIT)(c) 및 양두(LINK)(d)의 편성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캠통로가 형성되어진 것이다.
상기 니트(c)는 아래로 편직하는 것이고, 양두(d)는 위로 편직하는 것이다.
삭제
또한, 상기 캠통로는 상부와 하부로 구성되고, 상부는 상부캠선단부(31a), 상부상승트랙(31b), 상부변곡점(31c) 및 상부하강트랙(31d)이 선도를 이루며, 하부는, 하부캠선단부(31e), 하부상승트랙(31f), 하부변곡점(31g) 및 하부하강트랙(31h)이 선도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는(41))은, 상기 캠통로(31)에 결합되는 버트(bt)가 형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터(10)의 선침작용에 의해 승하강하며 상기 편침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41)은 보조잭(42)이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보조잭(42)은 슬라이더(41)를 받쳐주어 바늘을 동작시키는 잭이고, 캠통로에 결합되는 버트(bt)가 형성된다.
상기 제2캠부(50)는 상기 제1캠부(30)의 상측에 상기 슬라이더의 버트(bt)가 결합되어 이동되는 상승트랙(51) 및 하강트랙(52)을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선침장치는, 직전피더 리셋캠의 제2돌출부에서 상기 보조잭(42)의 버트(bt)가 실린더 밖으로 돌출되어 제1액츄에이터(10a)가 보조잭(42)을 다시 선택 할 수 있게 리셋되어 제1캠부(30)로 들어온 보조잭(42)은 상기 제1액츄에이터(10a)에 의해 상부캠선단부(31a)에서 미스(a)와 턱(b)으로 표현 할 것인지 또는 니트(c)와 양두(d)로 표현 할 것인지 결정된다.(A-1)
상기 제1엑츄에이터(10a)에 의해 선택된 보조잭(42)과 선택되지 않은 보조잭(42)은 다시 리셋캠(20)의 제1돌출부(21)에 의해서 리셋 된다.
또한, 상기 제1엑츄에이터(10a)에 의해 상부캠선단부(31a)에서 미스(a)와 턱(b)으로 표현될 선택된 보조잭(42)은 하부캠선단부(31e)로 이동하고, 제2캠부(50)의 상승트랙(51)에 의해 슬라이더(41)와 보조잭(42)이 연결되어 있음으로 하부상승트랙(31f)을 거치면서 리셋캠(20)의 제1돌출부(21)에 의해서 하부캠선단부(31e)로 이동된 보조잭(42)이 다시 실린더 밖으로 돌출되어 하부변곡점(31g)에서 제2액츄이터(10b)에 의해 미스(a)로 결정되면 하부하강트랙(31h)을 따라 이동함과 아울러 턱(b)으로 결정되면 일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B-1)
또한, 상기 제1엑츄에이터(10a)에 의해 상부캠선단부(31a)에서 니트(c)와 양두(d)로 표현될 선택되지 않은 보조잭(42)은 상부상승트랙(31b)을 따라 상부변곡점(31c)에서 제2액츄에이터(10b)에 의해 니트(c)로 결정되면 제2캠부(50)의 하강트랙(52)에 의해 슬라이더(41)와 보조잭(42)이 연결되어 있음으로 상부하강트랙(31d)을 따라 이동함과 아울러 양두(d)로 결정되면 일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B-2)
참고로, 본 발명은, 선침위치를 상부 변곡점(31c)(보조잭의 하강시작위치)에서 시행함으로 실린더 위 쪽에 있던 바늘을 아래로 정렬시키는 동작과 바늘의 선별동작을 한곳에서 시행 가능하게 됨으로, 공간의 활용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고, 양두기계의 생산성을 약 35% 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 액츄에이터 10a: 제1액츄에이터
10b: 제2액츄에이터
12: 패턴잭 20: 리셋캠
21: 제1돌출부 22: 제2돌출부
30: 제1캠부 31: 캠통로
41: 슬라이더 42: 보조잭
bt: 버트
50: 제2캠부

Claims (3)

  1. 패턴잭을 선택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패턴잭의 선택된 작용을 실린더의 침상에 장착된 편침에 전달하도록 하는 보조잭과,
    상기 엑츄에이터에 연동되는 패턴잭이 리셋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 상부에 설치되는 리셋캠과,
    상기 리셋캠의 상부에 위치하며, 편환을 형성하기 위해 미스, 턱, 니트 및 양두의 편성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캠통로를 형성하되,
    상기 캠통로는 상부와 하부로 구성되고, 상부는 상부캠선단부, 상부상승트랙, 상부변곡점 및 상부하강트랙이 선도를 이루며, 하부는, 하부캠선단부, 하부상승트랙, 하부변곡점 및 하부하강트랙이 선도를 이루도록 하는 제1캠부와,
    상기 보조잭의 상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액츄에이터의 선침작용에 의해 승하강하며 상기 편침을 이동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제1캠부의 상측에 상기 슬라이더의 버트가 결합되어 이동되는 상승트랙 및 하강트랙을 구비하는 제2캠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제1액츄에이터 및 제2액츄에이터로 구분되고, 상기 리셋캠에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가 형성되며,
    직전피더 리셋캠의 제2돌출부에서 상기 보조잭의 버트가 실린더 밖으로 돌출되어 제1액츄에이터가 보조잭을 다시 선택 할 수 있게 리셋되어 제1캠부로 들어온 보조잭은 상기 제1액츄에이터에 의해 상부캠선단부에서 미스와 턱으로 표현 할 것인지 또는 니트와 양두로 표현 할 것인지 결정되고,
    상기 제1엑츄에이터에 의해 상부캠선단부에서 미스와 턱으로 표현될 선택된 보조잭은 하부캠선단부로 이동하고, 제2캠부의 상승트랙에 의해 슬라이더와 보조잭이 연결되어 있음으로 하부상승트랙을 거치면서 리셋캠의 제1돌출부에 의해서 하부캠선단부로 이동된 보조잭이 다시 실린더 밖으로 돌출되어 하부변곡점에서 제2액츄이터에 의해 미스로 결정되면 하부하강트랙을 따라 이동함과 아울러 턱으로 결정되면 일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1엑츄에이터에 의해 상부캠선단부에서 니트와 양두로 표현될 선택되지 않은 보조잭은 상부상승트랙을 따라 상부변곡점에서 제2액츄에이터에 의해 니트로 결정되면 제2캠부의 하강트랙에 의해 슬라이더와 보조잭이 연결되어 있음으로 상부하강트랙을 따라 이동함과 아울러 양두로 결정되면 일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선침위치를 상부변곡점에서 시행함으로 실린더 위 쪽에 있던 바늘을 아래로 정렬시키는 동작과 바늘의 선별동작을 한곳에서 시행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의 선침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103633A 2018-08-31 2018-08-31 환편기의 선침장치 KR101964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633A KR101964231B1 (ko) 2018-08-31 2018-08-31 환편기의 선침장치
CN201990000981.6U CN216514444U (zh) 2018-08-31 2019-04-11 圆形编织机的选针装置
PCT/KR2019/004354 WO2020045784A1 (ko) 2018-08-31 2019-04-11 환편기의 선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633A KR101964231B1 (ko) 2018-08-31 2018-08-31 환편기의 선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231B1 true KR101964231B1 (ko) 2019-04-02

Family

ID=6616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633A KR101964231B1 (ko) 2018-08-31 2018-08-31 환편기의 선침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64231B1 (ko)
CN (1) CN216514444U (ko)
WO (1) WO2020045784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597B1 (ko) * 1989-04-25 1997-11-27 가와세 신지 환편기에서의 전자선침장치
KR100347672B1 (ko) * 2000-05-15 2002-08-07 중앙섬유기계 주식회사 컴퓨터가 부착된 양두 성형 환편기
KR20030090293A (ko) * 2002-05-22 2003-11-28 쌍용기계공업주식회사 환편기용 전자식 스트라이핑 구동장치
KR100603688B1 (ko) * 1999-05-17 2006-07-20 가부시키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전자무늬 환편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060112405A (ko) * 2005-04-27 2006-11-01 주식회사 한국로보트 전자 환편기
JP2011149128A (ja) * 2010-01-22 2011-08-04 Gunze Ltd 選針機のジャック制御装置及び丸編機
KR101209644B1 (ko) 2005-12-27 2012-12-0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의 선침장치
KR200464663Y1 (ko) * 2011-10-12 2013-01-15 김영수 환편기용 실린더 바늘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2226B2 (ja) * 1992-10-09 2003-11-05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両面丸編機における選針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597B1 (ko) * 1989-04-25 1997-11-27 가와세 신지 환편기에서의 전자선침장치
KR100603688B1 (ko) * 1999-05-17 2006-07-20 가부시키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전자무늬 환편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347672B1 (ko) * 2000-05-15 2002-08-07 중앙섬유기계 주식회사 컴퓨터가 부착된 양두 성형 환편기
KR20030090293A (ko) * 2002-05-22 2003-11-28 쌍용기계공업주식회사 환편기용 전자식 스트라이핑 구동장치
KR20060112405A (ko) * 2005-04-27 2006-11-01 주식회사 한국로보트 전자 환편기
KR101209644B1 (ko) 2005-12-27 2012-12-0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의 선침장치
JP2011149128A (ja) * 2010-01-22 2011-08-04 Gunze Ltd 選針機のジャック制御装置及び丸編機
KR200464663Y1 (ko) * 2011-10-12 2013-01-15 김영수 환편기용 실린더 바늘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5784A1 (ko) 2020-03-05
CN216514444U (zh)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6329C1 (ru) Система вязания перчаточной машины с отбором игл
EP3960920A1 (en) Knitting mechanism for knitting jacquard knitted fabric on circular knitting machine, knitt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sinker for use in the same
KR102226578B1 (ko) 횡편기
EP2025785B1 (en) Knitting method of intersia pattern fabric and weft knitting machine
JP7089126B1 (ja) 円形編み機構造
KR101964231B1 (ko) 환편기의 선침장치
EP3608461B1 (en) Plating knitting method used in flat knitting machine
EP2471984B1 (en) Flat knitting machine
US11136698B2 (en) Weft knitting machine knitting structure with changeable yarn positions
JP4015973B2 (ja) 編糸保持切断方法および装置
KR20100017329A (ko) 급사 전환기에서의 스트라이프 무늬 편성 장치와 그 방법
EP3141645B1 (en) Knitting tool controlling apparatus in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method for knitting jacquard knitted fabric using the same
EP2570535B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provided with compound needle, and slider control method for flatbed knitting machine
US999853A (en) Circular-knitting machine.
JP2004308102A (ja) 硬質で、非弾力性の糸材料からニットウェア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編み機
EP2392710A1 (en) Weft knitting machine
KR102232288B1 (ko)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
WO2022191204A1 (ja) 横編機によるパンチレース編地の編成方法
EP3770312A1 (en) Weft knitting machine capable of changing yarn positions
US3331218A (en) Knitting machine having laterally deflectable needles
KR100318757B1 (ko) 원형 편성기용 컴퓨터 제어방식의 니이들 선택 장치
KR20230168357A (ko) 환편기 구조
JPH0633351A (ja) 丸編機
US1437109A (en) Knitting machine
US2820354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s of the superimposed needle cylinder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