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409B1 - 횡편기 및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횡편기 및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409B1
KR101867409B1 KR1020160150102A KR20160150102A KR101867409B1 KR 101867409 B1 KR101867409 B1 KR 101867409B1 KR 1020160150102 A KR1020160150102 A KR 1020160150102A KR 20160150102 A KR20160150102 A KR 20160150102A KR 101867409 B1 KR101867409 B1 KR 101867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needle
knitting start
bed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922A (ko
Inventor
다쿠야 미야이
가즈히로 와키무라
마사토 모리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70055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04B15/16Driving devices for reciprocatory ac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편성시작부를 편성시작바늘에 의하여 포착하여 끌어내리면서 편성하는 편성포가 편성폭방향으로 밀리더라도, 편사에 걸리는 장력이 커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편성시작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편성시작장치(12)는, 편성시작베드(14)에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판부(16)와 가로구동기구(17)의 조합을 2개 구비함과 아울러, 이동하지 않는 작동판부(19)를 포함하는 편성시작베드(18)를 더 구비한다. 작동판부(16)의 편성시작바늘(9)에 의하여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끌어내리면서, 니들베드(13)에서의 편성포의 밀림에 의한 이동에 따라 작동판부(16)를 이동시켜서, 편사에 걸리는 장력이 커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편성포 중에서 선행하여 편성하는 부분의 편성시작부를, 이동하지 않는 작동판부(19)의 편성시작바늘(9)을 사용하여 끌어내린 후에, 편성포의 잔부의 위치로 이동하는 작동판부(16)를 이동시켜서 승강시킴으로써, 잔부를 편성할 때에 편성시작부를 끌어내릴 수 있기 때문에, 웨이스트 코스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횡편기 및 편성방법{FLATBED KNITTING MACHINE AND KNITTING METHOD}
본 발명은, 편성포의 편성시작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 및 이와 같은 횡편기를 사용하는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에서는, 니들베드(needle bed)에서 편성포의 편성을 시작할 때에,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 하방에 설치되고 편성시작바늘을 구비하여 승강이동(昇降移動)하는 편성시작베드를 포함하는 편성시작장치가 종래부터 사용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2를 참조). 편성포의 편성을 시작할 때에는, 니들베드갭에서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편성시작베드를 상승시켜서 편성시작바늘을 니들베드갭으로 진출시킴으로써 편성시작부를 편성시작바늘에 의하여 포착한다. 편성포는, 포착된 편성시작부를 편성시작바늘에 의하여 지지하여 편성시작베드를 하강시키면서 편성한다. 이와 같이 편성시작장치에 의하여 편성포에 소정의 텐션(tension)을 걸어 둠으로써 편성포를 편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특허문헌1에는, 1매의 편성시작빗(편성시작베드)에, 슬라이더(slider)의 상단(上端)에 형성되는 훅(hook)을 바늘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돌기로부터 분리할지 수용할지에 의하여 편성시작부의 지지와 해제를 절체(切替)할 수 있는 편성시작바늘을 구비하는 편성시작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는, 복수 매의 편성시작베드에, 편성폭방향이 서로 다른 구간에서 편성시작바늘을 각각 구비하여 두고, 편성포의 일부의 편성을 먼저 시작한 후에, 다른 부분의 편성을 나중에 시작할 수 있는 편성시작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8에, 횡편기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무봉제(無縫製)로 편성할 수 있는 편성포 제품의 일례인 반소매의 니트웨어(knitwear)(1)의 편성을 시작하는 편성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니트웨어(1)는, 옷단(2)측으로부터 편성을 시작하여 몸통(3)을 통모양으로 편성한다. 몸통(3)보다 짧은 소매(4, 5)는, 먼저 웨이스트 코스(waste course)(6, 7)를 부가하도록 편성을 시작한다. 몸통(3)의 양측에서 소매(4, 5)도 각각 통모양으로 편성하고 소매(4, 5)를 몸통(3)측으로 밀면서 접합한다. 횡편기는, 특허문헌1의 편성시작장치와 함께 니들베드갭 하방으로 수하(垂下)되는 편성포를 전후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끌어내리는 인하장치(引下裝置)(8)(예를 들면 특허문헌3을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인하장치(8)는, 편성폭방향에 대하여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어서 개폐할 수 있고, 편성시작베드가 편성시작부를 끌어내리기 위하여 상방에 있는 구간은 열려 있고, 편성시작베드가 내려가서 인하장치(8)를 통과하면, 몸통(3)과 웨이스트 코스(6, 7)의 편성시작부를 편성시작바늘로부터 해제하고, 인하장치(8)를 닫아서 인하장치(8)에 의한 끌어내리기로 이행한다. 소매(4, 5)를 밀 때에는, 웨이스트 코스(6, 7)를 끌어내리는 구간을 열어서 소매(4, 5)가 몸통(3)측으로 이동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9는,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가 특허문헌2와 같이 부분적으로 편성포의 편성이 시작 가능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니들베드의 일부의 구간에 대응하여 편성시작바늘(9)이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는 부분편성시작베드(10)가 소매(4, 5)의 편성을 시작할 때의 편성시작부의 끌어내리기에 이용된다. 도9의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한 편성포의 일부인 몸통(3)을 선행하여 니들베드(13)에서의 편성을 시작한 후에, 잔부(殘部)의 소매(4, 5)를 나중에 부분편성시작베드(10)에서 편성하기 때문에, 도8과 같은 웨이스트 코스(6, 7)는 불필요하게 된다. 도9의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은 소매(4, 5)가 인하장치(8)를 통과하기 전에 밀기를 시작하면, 밀 때에는 소매(4, 5)의 편성시작부는 편성시작바늘(9)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소매(4, 5)의 상부가 몸통(3)측으로 밀려서, 도9의 (3)과 같은 일체화된 니트웨어(1)가 무봉제로 형성된다. 인하장치(8)는, 부분편성시작베드(10)가 존재하는 위치에 걸리는 구간에서는 열려 있고, 몸통(3)을 끌어내리는 구간에서는 닫혀 있다. 인하장치(8)에서 닫혀 있는 구간은, 해칭(hatching)을 하여 나타낸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2-210046호 공보 :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47-49789호 공보 : 일본국 특허 제3757036호 공보
소매의 길이가 짧은 니트웨어(1)의 편성을 시작하면, 도8에서는 웨이스트 코스(6, 7)가 필요하게 되고, 도9에서는, 소매(4, 5)를 몸통(3)측으로 밀 때에, (2)와 같이 부분편성시작베드(10)가 인하장치(8)를 통과할 때까지 하강하지 않고 있는 사태가 될 수 있다. 이 사태에서는, 부분편성시작베드(10)의 편성시작바늘(9)이 소매(4, 5)의 편성시작부를 지지하여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니들베드의 래킹(racking)에 의하여 소매(4, 5)가 몸통(3)측으로 밀리기 때문에, 편사에 걸리는 장력이 커지게 되어, 편사가 늘어나거나 끊어지거나 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복수 매의 편성시작베드에, 편성폭방향이 서로 다른 구간의 편성시작을 하는 편성시작바늘(9)을 각각 구비하여 두는 것만으로는 이러한 사태에는 유효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성시작부를 편성시작바늘에 의하여 포착하여 끌어내리면서 편성하는 편성포가 편성폭방향으로 밀리더라도, 편사에 걸리는 장력이 커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편성시작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편성포의 편성시작부의 지지와 해제를 절체할 수 있는 편성시작바늘이 편성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편성시작베드와,
편성시작베드를 승강이동시키는 세로구동기구와,
편성시작바늘에 의한 편성시작부의 지지와 해제의 절체를 구동하는 지지해제기구를,
니들베드의 하방에 설치되는 편성시작장치로서 구비하는 횡편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편성시작베드는, 편성시작바늘이 나란하게 설치되어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작동판부를 포함하고,
편성시작장치는, 상기 작동판부를 편성시작베드에 대하여 편성폭방향으로 구동하는 가로구동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이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편성시작장치는, 상기 작동판부와 상기 가로구동기구의 조합을 2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편성시작장치는, 상기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판부를 포함하는 편성시작베드와 별도로,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작동판부를 포함하는 편성시작베드를 구비하고,
상기 세로구동기구는, 편성시작베드 중 1개를 승강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해제기구는,
상기 편성시작바늘에 대하여 상기 편성시작부의 지지와 해제를 절체하는 구동을 하는 구동원과,
상기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판부를 포함하는 편성시작베드에 설치되고,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편성시작바늘에 전달하고, 편성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홈과 상기 홈에 결합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전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가로구동기구는, 상기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작동판부를, 니들베드의 래킹에 의한 흔들림에 의하여 이동하는 편성포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니들베드의 하방에, 편성된 편성포를 접촉하는 폐쇄상태에서 끌어내리고, 격리되는 개방상태에서 상기 작동판부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상기 편성폭방향에서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어서 절체할 수 있는 인하장치를 구비하고,
인하장치에서는, 상기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판부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편성시작바늘에 의하여 상기 편성시작부를 끌어내릴 때에, 작동판부가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위치에 걸리는 구간을 개방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작동판부에 편성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작동판부에 대하여 편성시작바늘의 연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작동판부의 상승 시에 니들베드의 하부에 접촉하여 정지하고, 작동판부를 편성시작바늘이 니들베드갭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안내하는 적어도 2개의 센터링 부재와,
작동판부에 대하여 센터링 부재를 편성시작바늘의 연신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성포의 편성시작부의 지지와 해제를 절체할 수 있는 편성시작바늘이 편성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편성시작베드와,
편성시작베드를 승강이동시키는 세로구동기구와,
편성시작바늘에 의한 편성시작부의 지지와 해제의 절체를 구동하는 지지해제기구를,
니들베드의 하방에 설치되는 편성시작장치로서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고,
편성폭방향에 대하여, 몸통을 중간에, 몸통의 양측에서 소매를 각각 독립된 통모양 편성포로서 옷단측으로부터 편성을 시작하고, 소매를 몸통측으로 밀면서 접합하여 니트웨어를 무봉제로 일체적으로 편성하는 편성방법에 있어서,
편성시작장치에는,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편성시작바늘이 나란하게 설치되는 작동판부와,
작동판부를 편성시작베드에 대하여 편성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로구동기구를,
적어도 2개 구비하여 두고,
니트웨어의 몸통의 편성을 시작한 후에, 양쪽 소매의 편성을, 2개의 작동판부의 편성시작바늘에 의하여 편성시작부를 지지하여 편성시작베드를 하강시키면서, 소매를 몸통측으로 밀어서 접합시킬 때에, 니들베드의 래킹에 의한 소매의 이동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로구동기구에 의하여 작동판부를 몸통측으로 이동시켜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편성시작부를 편성시작바늘에 의하여 포착하여 끌어내리면서 편성하는 편성포가 편성폭방향으로 밀리더라도, 가로구동기구가 작동판부를 편성포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이동에 의하여, 편사에 걸리는 장력이 커지지 않도록 하여 편사가 늘어지거나 끊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작동판부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편성포의 일부에 대하여 먼저 편성을 시작한 후에 작동판부를 이동시키고, 편성포의 다른 부분의 편성을 나중에 시작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작동판부를 가로구동기구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구동하여, 각각의 작동판부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니트웨어의 양쪽 소매를 몸통의 편성시작 후에 편성시작하는 경우와 같이, 편성포를 2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서 나중에 편성을 시작하고, 니들베드에서 편성포를 밀 때에 작동판부를 편성포에 추종시켜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작동판부를 인접시켜서, 편성시작바늘에 의하여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지지하여 끌어내리는 구간을 넓힐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편성포 중에서 선행하여 편성을 시작하는 부분에 대하여,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작동판부의 편성시작바늘을 사용하여 편성시작부를 끌어내린 후에, 편성포의 잔부의 위치에 작동판부를 이동시켜서, 잔부의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지지하면서 끌어내릴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편성시작바늘에 의한 편성시작부의 지지와 해제를, 이동하는 작동판부의 외부로부터 구동하기 위한 전달부에, 편성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홈과 상기 홈에 결합되는 볼록부를 포함한다. 홈과 볼록부는 슬라이딩 하기 때문에 작동판부가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작동판부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편성시작바늘에 절체를 위한 구동력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편성포의 편성을 시작하여 편성시작부를 편성시작바늘에 의하여 지지하여 끌어내리면서 니들베드의 래킹에 의한 밀림이 이루어지더라도, 가로구동기구에 의하여 작동판부를, 밀리는 편성포의 이동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편사가 늘어나거나 끊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선행하여 편성한 편성포를 인하장치를 폐쇄상태로 하여 끌어내리면서,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판부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편성시작바늘에 의하여 후속 부분의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지지하여 끌어내리고, 후속 부분을 끌어내리면서 편성포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위치가 인하장치의 폐쇄상태의 구간에 걸리면, 상기 구간을 개방상태로 하여 작동판부를 편성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센터링 부재에 의한 작동판부의 안내에 의하여 편성시작바늘이 니들베드갭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편성시작바늘에 의하여 확실하게 포착하여 끌어내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니들베드의 래킹에 의한 흔들림에 의하여 이동하는 소매를 따라, 소매의 편성시작부를 지지하여 끌어내리는 편성시작바늘이 나란하게 설치되는 작동판부를 몸통측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짧은 소매의 니트웨어에서도, 몸통을 편성시작한 후에 웨이스트 코스 없이 편성시작하고, 소매를 편성시작바늘에 의하여 끌어내리면서 몸통측으로 밀어서 접합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의 횡편기(11)가 구비하는 편성시작장치(12)의 개략적인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의 편성시작장치(12)의 편성시작베드(14)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3은, 도1의 횡편기(11)를 간략화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4는, 도2의 편성시작베드(14)의 전달부(30)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도5는, 편성시작바늘(9)과, 도4의 전달부(30)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6은, 도1의 횡편기(11)에 의하여 편성을 시작하는 니트웨어(1)의 편성방법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7은, 도1의 횡편기(11)에 의하여 편성을 시작하는 니트웨어(41)의 편성방법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8은, 웨이스트 코스(6, 7)를 부가하여 반소매의 니트웨어(1)의 편성을 시작하는, 종래에서의 편성방법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9는, 몸통(3)을 먼저 편성시작하고, 소매(4, 5)를 나중에 편성시작하는, 종래에서의 편성방법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0은, 도2의 작동판부(16)의 일측방에 설치되는 센터링 부재(60)와 스프링(61)의 조합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11은, 도10의 센터링 부재(60)를 구성하는 접촉블록(62) 및 승강재(63)의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12는, 도10의 센터링 부재(60)에 의한 작동판부(16) 상승 시의 안내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13은, 전체 폭의 작동판부(19)의 중앙에 센터링 부재(66)를 설치하는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부분적인 정면도 및 우측면 단면도이다.
이하, 도1부터 도5 및 도10부터 도13에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의 횡편기(橫編機)(11)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나타낸다. 다만 설명의 대상이 되는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다른 도면에 기재되는 참조부호를 붙여서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도6 및 도7에서, 횡편기(11)에 의하여 편성을 시작하는 편성포의 예를 나타낸다. 도8 및 도9에서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1)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의 횡편기(11)가 구비하는 편성시작장치(12)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횡편기(11)는 전후의 니들베드(needle bed)(13)에서 편성포를 편성한다. 편성시작장치(12)는, 전후의 니들베드(13) 사이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 하방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편성시작장치(12)는 편성시작베드(14)와 세로구동기구(15)를 포함한다. 편성시작베드(14)는, 편성포의 편성시작부의 지지와 해제를 절체(切替)할 수 있는 편성시작바늘(9)이 편성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작동판부(作動板部)(16)를 포함한다. 작동판부(16)는, 편성시작베드(14)에 대하여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세로구동기구(15)는 편성시작베드(14)를 승강이동(昇降移動)시킨다. 편성시작베드(14)는, 작동판부(16)를 편성폭방향으로 구동하는 가로구동기구(17)를 더 구비한다.
도2는, 도1의 편성시작장치(12)의 편성시작베드(14)의 구성을 우측부분에 대하여, 평행한 2점쇄선 사이에 나타내는 편성폭방향 및 상하방향의 일부를 각각 단축하여 나타낸다. 편성시작베드(14)의 좌측부분은, 횡편기(11)의 편성폭방향의 중심에 관하여 우측부분과 대칭이 된다. 작동판부(16)의 상부에는, 니들베드(13)의 전체 편성폭의 일부의 구간에 대응하는 편성시작바늘(9)이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작동판부(16)는, 가로이동가이드(14a)를 따라 편성폭방향인 도면의 가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가로방향의 이동을 구동하기 위한 가로구동기구(17)는, 모터(motor)(17a), 웜기어(worm gear)(17b), 종동기어(從動gear)(17c), 풀리(pulley)(17d, 17e), 벨트(belt)(17f)를 포함한다. 구동원으로서의 모터(17a)의 출력축에 부착되는 웜기어(17b)는 종동기어(17c)와 맞물린다. 종동기어(17c)와 동축(同軸)으로 부착된 풀리(17d)와, 편성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對向)하는 풀리(17e)의 사이에 벨트(17f)가 걸리고, 벨트(17f)에 접속부재(接續部材)(17g)를 통하여 작동판부(16)의 하부가 접속되어 있다. 가로구동기구(17)로서는, 볼나사(ball screw)나 랙·피니언(rack·pinion) 등을 이용하여 작동판부(16)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1의 편성시작장치(12)는, 편성시작베드(14)에, 동등한 작동판부(16)와 가로구동기구(17)의 조합을 2개 구비함과 아울러, 편성시작베드(14)의 후방에 별도의 편성시작베드(18)를 더 구비한다. 편성시작베드(14)에는, 단 1개 또는 3개 이상의 작동판부(16)를 구비하더라도 좋다. 편성시작베드(14)에 작동판부(16)를 1개만 구비하는 경우에는, 편성폭의 전체를 이동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편성시작베드(18)는, 니들베드(13)의 전체 폭에 대응하는 범위에 편성시작바늘(9)이 나란하게 설치되며, 편성폭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는 작동판부(19)를 포함한다. 작동판부(19)는, 전체 폭보다 좁은 범위에 편성시작바늘(9)이 나란하게 설치되더라도 좋다. 또 이동하는 작동판부(16)를 복수 구비하는 경우에, 편성시작바늘(9)을 나란하게 설치하는 범위는 다르게 하더라도 좋다. 이동하는 작동판부(16)나 이동하지 않는 작동판부(19)를 포함하는 편성시작베드를, 편성시작베드(14, 18)와는 별도로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편성시작베드(18)는, 편성시작베드(14)의 전후 어느 곳에 있더라도 좋다.
편성시작베드(14, 18)의 하부는, 니들베드(13)의 하방에서, 횡편기(11)의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편성폭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는 홀더(holder)(20)에 수용된다. 홀더(20)는 선택기구(21)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선택기구(選擇機構)(21)는, 세로구동기구(15)가 설치되는 위치에서, 편성시작베드(14, 18)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동하도록 절체한다. 선택기구(21)는, 어느 하나의 편성시작베드(14, 18)를 선택할 수 있으면 어떤 형태라도 좋으며, 세로구동기구(15)에 선택기구(21)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세로구동기구(15)는, 승강가이드(昇降guide)(15a)에 의하여 안내되어 승강되는 승강브래킷(昇降bracket)(15b)을 구비하고, 선택기구(21)에 의하여 선택되는 편성시작베드(14) 또는 편성시작베드(18)를, 승강브래킷(15b)에 의하여 연동시켜서 편성시작바늘(9)이 니들베드갭에서 편성시작부를 포착하여 지지하도록 승강이동시킨다. 편성시작베드(14, 18)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9-3180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각각이 승강가이드(15a) 및 승강브래킷(15b)에 상당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어느 하나가 승강하더라도 좋다. 또한 특허문헌2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편성시작베드(14, 18)의 각각에 승강가이드(15a)에 상당하는 것을 구비하고, 승강브래킷(15b)에 상당하는 것이 어느 하나의 편성시작베드(14, 18)를 선택하여 승강시켜도 좋다.
편성시작바늘(9)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시작부의 지지와 해제의 절체는, 니들베드(13)의 하방에 설치되는 지지해제기구(支持解除機構)(22)에 의하여 한다. 지지해제기구(22)는, 승강방향 및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정지되어 있는 구동원(驅動源)(22a)에 있어서의 스윙(swing)하는 레버(22b)에 의하여 편성폭방향의 구동을 한다.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나 솔레노이드(solenoid) 등에 의한 레버(22b)의 스윙은, 하방의 기단(基端)에 대하여 상방의 유단(遊端)을 도면의 좌우가 되는 편성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레버(22b)의 유단의 편성폭방향의 이동은, 와이어(wire)(22c, 22d)를 통하여 편성시작베드(14, 18)의 종동부(從動部)(22e, 22f)에 각각 전달된다. 선택기구(21)에 의하여 선택되는 편성시작베드(14, 18)가 세로구동기구(15)에 의하여 상승되더라도, 와이어(22c, 22d)가 유연하게 변형되어 구동원(22a)에 의한 편성시작바늘(9)의 구동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시작베드(14)에는, 작동판부(16)의 편성시작바늘(9)로, 종동부(22e)에서 받은 구동원(22a)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부(傳達部)(30)가 설치된다. 전달부(30)는, 종동부(22e)에 대한 편성폭방향의 구동을 승강방향의 구동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가로이동부재(30a), 홈캠(groove cam)(30b), 캠팔로워(cam follower)(30c), 연결판(連結板)(30d), 세로이동부재(30e)를 포함한다. 세로이동부재(30e)의 상단(上端)에는, 편성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30f)가 형성된다. 볼록부(30f)는, 작동판부(16)의 하부에 형성되고 볼록부(30f)에 대향(對向)하여 편성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홈(groove)(16a)에 결합된다.
또 작동판부(16)의 양측에는 센터링 부재(centering 部材)(60)를 설치한다. 센터링 부재(60)는, 작동판부(16)의 상승 시에 스프링(61)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상승된다. 센터링 부재(60)의 상승은, 니들베드(13)의 니들베드갭(13a) 부근의 이면(裏面)에 접촉하면 정지된다. 니들베드(13)는, 편침을 수용하는 니들홈을 표면에 갖는다. 센터링 부재(60)가 상승을 정지하더라도, 작동판부(16)는 스프링(61)을 압축시키면서 상승을 계속한다. 이러한 상승을 할 때에 센터링 부재(60)는 작동판부(16)를 안내한다. 이 안내에 의하여, 편성시작바늘(9)이 니들베드갭(13a)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된다. 경량화 등에 의하여 편성시작베드(14)의 강성(剛性)이 낮아지는 경우에는 센터링 부재(6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3부터 도7에 대해서는 센터링 부재(60)에 관한 기재를 생략한다.
도3은, 도1의 횡편기(11)에 대하여 간략화한 측면 구성을, 편성시작베드(14)가 선택되어 작동판부(16)의 편성시작바늘(9)이 니들베드(13) 사이의 니들베드갭(13a)까지 상승되어 있는 상태로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지만, 니들베드갭(13a)에는 편성포의 편성시작부가 형성되어 있다. 편성시작바늘(9)을 편성시작부를 지지할 수 있는 상태로 절환하여, 편성시작베드(14)를 세로구동기구(15)에 의하여 하강시키면, 편성시작바늘(9)은 편성시작부를 포착하고, 포착한 편성시작부를 지지하면서 하강하여, 편성된 편성포를 니들베드갭(13a) 하방으로 끌어내린다. 끌어내려진 편성포의 양측에는 서브롤러(sub roller)(31), 인하장치(引下裝置)(8) 및 배출롤러(排出roller)(32)가 설치되고, 이들은 작동판부(16)가 상승할 때에 전후방향의 간격을 두는 개방상태로 된다. 서브롤러(31), 인하장치(8) 및 배출롤러(32)는, 작동판부(16)가 하강하여 편성시작바늘(9)이 통과하면, 전후방향의 간격이 좁아지는 폐쇄상태로 되어 편성포에 대한 끌어내리기가 가능하게 된다. 인하장치(8)는 편성포에 접촉하는 폐쇄상태로 되면, 표면에 하방을 향한 바늘을 구비하는 포착부재(捕捉部材)(8a)와 가압판(加壓板)(8b)에 의하여 편성포를 협지(挾持)하여 끌어내릴 수 있다. 도면은 격리되는 개방상태를 나타낸다. 다만 포착부재(8a)에 대해서는 파선으로 폐쇄상태도 나타낸다. 인하장치(8)에서는, 포착부재(8a) 및 가압판(8b)을 편성폭방향으로 복수의 구간에 나누어서 설치하고, 개폐를 복수 장소의 구간에서 나누어서 각각 절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인하장치(8)에서는, 편성시작베드(14)의 작동판부(16)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편성시작바늘(9)에 의하여 편성시작부를 끌어내릴 때에, 작동판부(16)가 인하장치(8)보다 하방을 통과할 때까지, 작동판부(16)가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위치에 걸리는 구간을 개방상태로 한다. 또 편성시작장치(12)에 의하여 편성시작부를 끌어내린 후의 편성포의 끌어내리기는, 롤러에 의하여 협지하여 감아 내리는 것과 같은 인하장치에서도, 구간으로 나누어서 롤러 사이의 개폐와 롤러의 회전구동이 가능하면 사용할 수 있다.
도4는, 도2의 편성시작베드(14)의 전달부(30)의 부분적인 정면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다. 도5는, 편성시작바늘(9)과, 도4의 전달부(30)의 부분적인 측면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다. 도5(a)에서는, 전달부(30)의 주요부분을 작동판부(16)로부터 전방으로 떼어낸 상태에서 나타낸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편성시작바늘(9)에 의한 편성시작부의 지지와 해제를,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판부(16)의 외부로부터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작동판부(16)의 두께의 증대를 방지하여 니들베드갭(13a) 부근에서부터 하방에 이르기까지의 좁은 공간으로의 상승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지지해제기구(22)의 와이어(22c)에 의한 구동에 의하여, 도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달부(30)의 가로이동부재(30a)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 홈캠(30b)도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홈캠(30b)은 좌측으로 내려가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홈캠(30b)에 결합되어 있는 캠팔로워(30c)는 하강한다. 캠팔로워(30c)를 지지하는 연결판(30d)도 하강하고, 연결판(30d)이 부착되어 있는 세로이동부재(30e)도 하강한다. 도5(b), 도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시작바늘(9)에서는, 작동판부(16)에 대하여 승강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slider)(35)에, 작동판부(16)에 고정되는 바늘본체(36)가 조합되어 있다. 슬라이더(35)의 상단에는 편성시작부를 포착할 수 있는 훅(hook)(35a)이 형성되고, 바늘본체(36)의 상단에는 훅수용용 돌기(36a)가 형성된다. 또 이러한 편성시작바늘(9)에서의 편성시작부의 지지와 해제는,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다. 다만 편성시작바늘(9)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5-7105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편성시작바늘은, 선단에 훅을 갖는 것 이외에도 편성시작바늘이 편성시작부를 지지하는 상태와 해제하는 상태를 절체하는 구성이면 좋으며,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로이동부재(30e)의 상단의 볼록부(30f)와 결합하는 홈(16a)을 통하여 작동판부(16)의 구동부재(16b)가 하강하면, 도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시작바늘(9)의 슬라이더(35)가 하강하도록 구동되어, 훅(35a)이 바늘본체(36)의 훅수용용 돌기(36a)로부터 나와서 편성시작부를 포착할 수 있게 된다. 도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이동부재(30a)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 홈캠(30b), 캠팔로워(30c), 연결판(30d) 및 세로이동부재(30e)를 통하여 도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5)가 상승하도록 구동된다. 슬라이더(35)의 훅(35a)은, 바늘본체(36)의 훅수용용 돌기(36a)의 위치까지 상승하여 수용되는 상태가 된다. 훅(35a)에 포착된 후에 지지되어 있는 편성시작부는, 훅수용용 돌기(36a)의 경사를 따라 훅(35a)으로부터 이탈하여 해제된다. 홈(16a)과 볼록부(30f)에 의한 결합에 의하여, 작동판부(16)가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이 결합부분이 슬라이딩(sliding) 하기 때문에, 어느 위치로 이동하더라도 편성시작바늘(9)의 슬라이더(35)와 바늘본체(36)와의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승강방향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 홈(16a)에 상당하는 것을 세로이동부재(30e)에 형성하고, 볼록부(30f)에 상당하는 것을 작동판부(16)에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이동하는 쪽에 볼록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편성폭방향으로 연속하는 볼록부뿐만 아니라, 편성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핀이더라도 좋다. 또한 연결판(30d)와 세로이동부재(30e)는 일체(一體)의 것이더라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방에 정지상태에서 설치되는 지지해제기구(22)의 구동원(22a) 및 레버(22b)에 의하여 편성시작베드(14, 18)를 동시에 구동하고 있기 때문에, 작동판부(16, 19)의 편성시작바늘(9)의 지지와 해제가 동시에 절체된다. 선택기구(21)에 의하여 선택되지 않은 쪽의 편성시작베드(14, 18)의 편성시작바늘(9)에 의해서도 지지와 해제가 절체되지만, 편성시작부를 포착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영향은 없다. 또 구동원(22a)이나 레버(22b)는 크랭크(crank)나 캠(cam) 등 다른 기구에 의하여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구동원(22a)이나 레버(22b)는 어느 일방의 편성시작베드(14, 18)에 탑재할 수도 있다. 또한 각 편성시작베드(14, 18)에 각각 구동원(22a)을 설치하여 가로이동부재(30a)를 직접 구동하더라도 좋다. 또한 작동판부(16, 19)에 구동원(22a)에 상당하는 것을 직접 탑재하더라도 좋다.
도6은, 도1의 횡편기(11)의 편성시작장치(12)의 편성시작바늘(9)에 의하여,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포착하여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일례가 되는 니트웨어(1)의 편성방법을 나타낸다. 인하장치(8)는, 해칭을 한 것이 포착부재(8a) 및 가압판(8b)의 폐쇄상태, 해칭을 하지 않은 것이 개방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6의 (1)은, 니트웨어(1)의 몸통(3)을 인하장치(8)에 의하여 끌어내리고 있는 상태에서, 편성시작베드(14)를 상승시켜서, 작동판부(16)의 편성시작바늘(9)에 의하여 소매(4, 5)의 편성시작부를 끌어내리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몸통(3)은, 인하장치(8)를 개방상태로 하여 두고, 편성시작베드(18)의 작동판부(19)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편성시작바늘(9)에 의하여 옷단(2)측으로부터 선행하여 편성시작부를 끌어내려 둔다. 편성시작베드(18)가 인하장치(8)보다 하강하면, 편성시작바늘(9)로부터 편성시작부를 해제하고, 인하장치(8)를 폐쇄상태로 하여 인하장치(8)에 의하여 편성포를 끌어내린다. 다만 작동판부(16)를 상승시킬 때에는, 인하장치(8)를 통과하는 구간은 개방상태로 한다. 몸통(3)과 소매(4, 5)를 병행하여 편성하는 경우에, 급사(給絲)의 관계에서 몸통(3)과 소매(4, 5)는 간격을 두고 놓아둘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하여, 반소매의 니트웨어(1)의 양쪽 소매(4, 5)를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판부(16)를 사용하여, 몸통(3)으로부터 편성폭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각각 편성을 시작하여 편성시작부를 끌어내린다. 소매(4, 5)의 소매길이가 짧더라도 웨이스트 코스(waste course)는 필요 없다.
도6의 (2) 및 도6의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매(4, 5)를 몸통(3)측으로 밀어서 겨드랑이 부근에서 접합시켜서 무봉제(無縫製)로 일체화시킬 때에는, 니들베드(13)의 래킹(racking)에 의한 흔들림에 의하여 이동하는 편성포를 따라, 가로구동기구(17)에 의하여 작동판부(16)를 편성포와 동일한 방향의 몸통(3)측으로 이동시킨다. 작동판부(16)의 이동량은, 편성포의 이동량과 동등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매(4, 5)를 몸통(3)측으로 미는 방향은, 소매(4)에서는 우측방향, 소매(5)에서는 좌측방향이 되어 서로 다르지만, 2개의 작동판부(16)에 대하여 각각 가로구동기구(17)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판부(16)도 동시에 우측방향 및 좌측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킬 수 있다. 또 가로구동기구(17)를 하나로 하더라도 2개의 작동판부(16)의 구동을 클러치(clutch)를 통하여 하도록 하면, 작동판부(16)를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인하장치(8)에서는, 편성시작베드(14)의 작동판부(16)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편성시작바늘(9)에 의하여 편성시작부를 끌어내릴 때에, 작동판부(16)가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위치에 걸리는 구간에서 인하장치(8)의 포착부재(8a) 및 가압판(8b)을 개방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선행(先行)하여 편성을 시작한 몸통(3)을 인하장치(8)를 폐쇄상태로 하여 끌어내리면서,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판부(16)의 편성시작바늘(9)에 의하여 후속(後續) 부분의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지지하여 끌어내리면서 편성하여 갈 수 있다. 작동판부(16)에 의하여 후속 부분을 이동시킬 때에, 인하장치(8)의 폐쇄상태의 구간에 걸리면, 상기 구간을 개방상태로 하여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작동판부(16)가 몸통(3)측으로 이동하여 몸통(3)의 측방에 접촉되더라도, 몸통(3)이 유연하게 우묵하게 들어가게 할 수 있다. 도6의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매(4, 5)가 인하장치(8)에 걸리면, 편성시작바늘(9)을 해제시켜서, 소매(4, 5)도 몸통(3)과 함께 인하장치(8)에 의하여 끌어내릴 수 있다.
도7은, 도1의 횡편기(11)의 편성시작장치(12)의 편성시작바늘(9)에 의하여,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포착하여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다른 예가 되는 긴 소매의 니트웨어(41)의 편성방법을 나타낸다. 한편 니트웨어(41)는, 예를 들면 우측소매(42)를 커프스(cuffs)로부터 통모양으로 편성한 후에, 몸통(43)을 옆으로 향하도록 하고 우측방(右側方)을 닫은 상태에서 편성을 시작한다. 몸통(43)은, 전후의 니들베드(13)에서 전후의 편성포로서 나누어서 편성하고, 어깨측을 닫고, 옷단측을 연다. 몸통(43)의 전후의 편성포는, 좌측방(左側方)에서 닫는 처리를 하여 편성을 종료한다. 몸통(43)에서 닫히는 부분의 좌측 상부는 열어 두고, 좌측소매(44)를 통모양의 편성포로서 편성을 시작하여, 선단의 커프스에서 편성을 종료한다. 우측소매(42)의 편성시작부의 끌어내리기를, 편성시작베드(14)의 작동판부(16)의 일방에서 하고, 몸통(43)의 편성시작부의 끌어내리기는, 우측소매(42)의 편성시작부의 끌어내리기에 사용한 작동판부(16)를 이동시켜서, 2개의 작동판부(16)를 배열하여 할 수 있다. 우측소매(42)의 소매길이가 긴 경우에 있어서, 몸통(43)의 편성폭이 1매의 작동판부(16)에 의하여 대응할 수 있는 편성폭보다 크더라도, 2개의 작동판부(16)를 배열함으로써 대응시킬 수 있다. 또 우측소매(42)는, 전체 폭에 대응하는 작동판부(19)의 편성시작바늘(9)의 일부를 사용하여 편성시작부를 포착할 수도 있다.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작동판부(16)는, 위치를 바꾸어서 몇 번이더라도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끌어내릴 수 있기 때문에, 편성시작부에 단차가 있는 편성포나 넓은 폭의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반복의 이동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끌어내릴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판부(16)에 의하여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끌어내리면서, 니들베드(13)에서의 편성포의 이동에 따라 작동판부(16)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편사가 늘어나거나 끊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편성포 중에서 선행하여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편성시작베드(18)의 작동판부(19)를 상승시켜서 지지하면서 끌어내린 후에, 편성포의 잔부(殘部)의 위치로 편성시작베드(14)의 작동판부(16)를 이동시켜서 상승시킴으로써 잔부의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지지하면서 끌어내릴 수 있기 때문에, 웨이스트 코스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도10은, 도2의 작동판부(16)의 우측방향에 설치되는 센터링 부재(60)와 스프링(61)의 조합을 나타낸다. 작동판부(16)의 좌측방향에도 동일한 센터링 부재(60)가 설치된다. 센터링 부재(60)는, 상방의 접촉블록(接觸block)(62)과 하방의 승강재(昇降材)(63)를 조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접촉블록(62)은, 상부에 경사진 접촉부(62a, 62b)를 갖는다. 접촉부(62a, 62b)의 형상은, 니들베드(13)의 이면(裏面)의 형상에 맞추어서, 접촉 시에 어긋남이 제한되면 좋다. 승강재(63)는, 상부의 결합부(63a)에 의하여 접촉블록(62)과 결합한다. 접촉블록(62)과 결합부(63a)의 결합은, 핀(60a)을 압입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시작바늘(9)이 나란하게 설치되는 작동판부(16)의 우측방향에는 승강홈(16c)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홈(16c)은, 승강재(63)를 편성시작바늘(9)의 연신방향(延伸方向)으로 승강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에서 수용한다. 작동판부(16)에서, 승강홈(16c)의 하부에는 스프링수용 오목부(16d)가 형성된다. 스프링수용 오목부(16d)는, 스프링(61)을 수용하고 커버재(cover材)(61a)에 의하여 덮인다. 스프링(61)은 압축변형이 가능한 코일스프링(coil spring)이다. 스프링(61)의 상부에는 승강재(63)의 하부의 가압부(63b)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61)은 승강재(63)를 편성시작바늘(9)의 연신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도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재(63)에서 승강홈(16c)에 수용되어 있는 부분은, 밴드(band)(16e, 16f)에 의하여 덮여 있다. 밴드(16e, 16f)는, 승강홈(16c)이 개구되는 좌측방향으로 승강재(63)가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센터링 부재(60)는, 도10(b)에서는 가로방향이 되는 폭을 작동판부(16)와 동등 이하가 되도록 하여 둔다. 이러한 센터링 부재(60)라면, 도3에 나타내는 개방상태의 인하장치(8)의 전후 사이를, 작동판부(16)의 승강과 동시에 지장 없이 통과할 수 있다.
도11에서는, 도10의 센터링 부재(60)를 구성하는 접촉블록(62)을 (a)에, 승강재(63)를 (b)에 각각 형상을 나타낸다. 접촉블록(62)은 수지(樹脂)를 성형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재(63)는, 금속판에 펀칭가공(punching加工)이나 절삭가공을 실시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재(63)의 결합부(63a)의 외측 형상에 접촉부(62a, 62b)와 동등한 부분을 부가하면, 승강재(63)만으로 센터링 부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12는, 도10의 센터링 부재(60)에 의한 작동판부(16) 상승 시의 안내상태를 나타낸다. 도2의 편성시작베드(14)를 상승시키면, 작동판부(16)의 측방의 센터링 부재(60)에 형성되는 접촉부(62a, 62b)가 니들베드(13)의 이면에 접촉된다. 또 니들베드(13)의 니들베드갭(13a)측에 싱커(sinker)(65)를 고정시켜서 사용하는 경우에, 니들베드(13)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싱커(65)의 고정편(固定片)(65a)에 접촉부(62a, 62b)를 접촉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편(65a)을 갖는 싱커(65)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니들베드(13)의 기판에 접촉부(62a, 62b)를 접촉시키면 된다.
도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62a, 62b)가 니들베드(13)의 이면에 접촉할 때까지는, 작동판부(16)가 상승하면 스프링(61)을 통하여 가압에 의하여 센터링 부재(60)도 상승한다. 접촉부(62a, 62b)가 니들베드(13)의 이면에 접촉하면, 센터링 부재(60)의 상승은 정지한다. 작동판부(16)는 상승을 계속하여 스프링(61)이 압축된다. 센터링 부재(60)의 승강재(63)는, 전후방향에 관하여 승강홈(16c)의 바닥면과 밴드(16e, 16f)에 의하여 어긋나지 않도록 제한된다. 니들베드(13)의 이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어긋남이 제한되는 센터링 부재(60)는, 도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시작바늘(9)이 니들베드갭(13a)으로부터 중앙선(13c)을 따라 돌출되도록 작동판부(16)를 안내한다. 가로구동기구(17)에 의한 이동에 의하여 작동판부(16)를 승강시키는 위치가 편성폭방향으로 변화하더라도, 센터링 부재(60)에 의한 안내에 의하여 편성시작바늘(9)을 니들베드갭(13a)의 중앙으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니들베드갭(13a)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편성시작바늘(9)은,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확실하게 포착하고, 작동판부(16)의 하강에 의하여 편성시작부를 끌어내릴 수 있다.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시작베드(18)에는, 전체 폭의 작동판부(19)의 중앙에 센터링 부재(66)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판부(19)에는 승강홈(19c)이 형성된다. 승강홈(19c)에는, 센터링 부재(66)가 편성시작바늘(9)의 연신방향으로 승강이동할 수 있는 상태에서 수용된다. 센터링 부재(66)의 하부에는 스프링(67)이 설치된다. 스프링(67)은, 도2의 스프링(61)과 마찬가지로 압축 가능한 코일스프링이며, 센터링 부재(66)를 편성시작바늘(9)의 연신방향으로 가압한다. 도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링 부재(66)의 상부에는 접촉부(66a, 66b)가 형성된다. 이러한 센터링 부재(66)는, 금속판에 펀칭가공이나 절삭가공을 실시하여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센터링 부재(66)는, 도10에 나타내는 센터링 부재(60)의 접촉블록(62)과 승강재(63)의 조합을, 승강재(63)에 상당하는 부분에서만 일체화하고 있다. 센터링 부재(66)에서 승강홈(19c)에 수용되어 있는 부분은, 밴드(19e, 19f)에 의하여 덮여 있다. 센터링 부재(66)에 대한 승강홈(19c) 및 밴드(19e, 19f)는, 도10에 나타내는 승강재(63)에 대한 승강홈(16c) 및 밴드(16e, 16f)와 각각 동일한 작용을 갖는다.
작동판부(19)의 양 측방에는, 도2와 마찬가지로 센터링 부재(60)를 형성할 수 있다. 센터링 부재(66)에 의한 작동판부(19) 상승 시의 안내상태도, 접촉부(66a, 66b)를 니들베드(13)의 이면에 접촉시켜서 도12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 작동판부(19)가 편성폭방향으로 긴 경우에, 센터링 부재(66)는 편성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장소에 설치하도록 하면 좋다. 센터링 부재(66)를 복수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 양측의 센터링 부재(60)는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도2에 나타내는 작동판부(16)에서도, 센터링 부재(66)도 센터링 부재(60)와 병용하더라도 좋고, 또 센터링 부재(66)만을 편성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사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단일의 편성시작베드(18)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전체 폭의 작동판부(19)에 센터링 부재(60, 66)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1, 41 : 니트웨어
3, 43 : 몸통
4, 5 : 소매
8 : 인하장치
8a : 포착부재
9 : 편성시작바늘
11 : 횡편기
12 : 편성시작장치
13 : 니들베드
13a : 니들베드갭
14, 18 : 편성시작베드
15 : 세로구동기구
16, 19 : 작동판부
16a : 홈
17 : 가로구동기구
21 : 선택기구
22 : 지지해제기구
22a : 구동원
30 : 전달부
30f : 볼록부
60, 66 : 센터링 부재
61, 67 : 스프링
62 : 접촉블록
63 : 승강재
62a, 62b, 66a, 66b : 접촉부

Claims (8)

  1.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 하방으로 편성포를 끌어내리는 인하장치(引下裝置)를 구비하고,
    편성포의 편성을 시작할 때에 형성되는 편성시작부의 니들베드갭에서 인하장치까지의 지지와, 인하장치까지 끌어내려진 편성시작부의 해제를 절체(切替)할 수 있는 편성시작바늘을 갖는 편성시작베드와,
    편성시작베드를 승강이동(昇降移動)시키는 세로구동기구와,
    편성시작바늘에 의한 편성시작부의 지지와 해제의 절체를 구동하는 지지해제기구(支持解除機構)를,
    니들베드의 하방에 설치되는 편성시작장치로서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편성시작베드는, 편성시작바늘이 편성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또한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작동판부(作動板部)를 포함하고,
    편성시작장치는,
    상기 작동판부를, 편성시작바늘이 편성시작부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니들베드의 래킹(racking)에 의한 흔들림에 의하여 이동하는 편성포와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하는 가로구동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시작장치는, 상기 작동판부와 상기 가로구동기구의 조합을 2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시작장치는, 상기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판부를 포함하는 편성시작베드와 별도로,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작동판부를 포함하는 편성시작베드를 구비하고,
    상기 세로구동기구는, 편성시작베드 중 1개를 승강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해제기구는,
    상기 편성시작바늘에 대하여 상기 편성시작부의 지지와 해제를 절체하는 구동을 하는 구동원(驅動源)과,
    상기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판부를 포함하는 편성시작베드에 설치되고,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편성시작바늘에 전달하고, 편성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홈(groove)과 상기 홈에 결합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전달부(傳達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베드의 하방에, 편성된 편성포를 접촉하는 폐쇄상태에서 끌어내리고, 격리되는 개방상태에서 상기 작동판부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상기 편성폭방향에서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어서 절체할 수 있는 인하장치(引下裝置)를 구비하고,
    인하장치에서는, 상기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판부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편성시작바늘에 의하여 상기 편성시작부를 끌어내릴 때에, 작동판부가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위치에 걸리는 구간을 개방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작동판부에 편성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작동판부에 대하여 편성시작바늘의 연신방향(延伸方向)으로 이동할 수 있고, 작동판부의 상승 시에 니들베드의 이면(裏面)에 접촉하여 정지하고, 작동판부를 편성시작바늘이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안내하는 적어도 2개의 센터링 부재(centering 部材)와,
    작동판부에 대하여 센터링 부재를 편성시작바늘의 연신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sprin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8. 니들베드갭 하방으로 편성포를 끌어내리는 인하장치를 구비하고,
    편성포의 편성을 시작할 때에 형성되는 편성시작부의 니들베드갭에서 인하장치까지의 지지와, 인하장치까지 끌어내려진 편성시작부의 해제를 절체할 수 있는 편성시작바늘을 갖는 편성시작베드와,
    편성시작베드를 승강이동시키는 세로구동기구와,
    편성시작바늘에 의한 편성시작부의 지지와 해제의 절체를 구동하는 지지해제기구를,
    니들베드의 하방에 설치되는 편성시작장치로서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고,
    편성폭방향에 대하여, 몸통을 중간에, 몸통의 양측에서 소매를 각각 독립된 통모양 편성포로서 옷단측으로부터 편성을 시작하고, 소매를 몸통측으로 밀면서 접합하여 니트웨어(knitwear)를 무봉제(無縫製)로 일체적으로 편성하는 편성방법에 있어서,
    편성시작장치에는,
    편성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편성시작바늘이 나란하게 설치되는 작동판부와,
    편성시작바늘이 편성시작부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니들베드의 래킹에 의한 흔들림에 의하여 이동하는 편성포와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판부를 이동시키는 가로구동기구를
    적어도 2개 구비하여 두고,
    니트웨어의 몸통의 편성을 시작한 후에, 양쪽 소매의 편성을, 2개의 작동판부의 편성시작바늘에 의하여 편성시작부를 지지하여 편성시작베드를 하강시키면서, 소매를 몸통측으로 밀어서 접합시킬 때에, 니들베드의 래킹에 의한 소매의 이동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로구동기구에 의하여 2개의 작동판부를 몸통측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방법.
KR1020160150102A 2015-11-12 2016-11-11 횡편기 및 편성방법 KR101867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21694 2015-11-12
JP2015221694 2015-11-12
JPJP-P-2016-029362 2016-02-18
JP2016029362A JP6316327B2 (ja) 2015-11-12 2016-02-18 横編機および編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922A KR20170055922A (ko) 2017-05-22
KR101867409B1 true KR101867409B1 (ko) 2018-06-14

Family

ID=58817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102A KR101867409B1 (ko) 2015-11-12 2016-11-11 횡편기 및 편성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16327B2 (ko)
KR (1) KR101867409B1 (ko)
CN (1) CN10670258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337B1 (ko) * 2019-03-06 2020-07-06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횡편기를 통해 다양한 두께를 갖는 3차원 직물을 편직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5203A (zh) * 2018-06-06 2018-09-07 常熟市淼泉铸造有限公司 电脑针织横编机的针床座结构
CN110106620B (zh) * 2019-06-05 2023-02-03 中山龙族自动化科技有限公司 新型自动起底板装置
KR102447515B1 (ko) * 2021-03-12 2022-09-26 주식회사 아이디모드 소매의 시작편이 최소화될 수 있는 홀가먼트 편직방법
CN115305627B (zh) * 2022-08-26 2023-11-24 浙江时彩针织有限公司 一种毛衫生产工艺
CN115522316B (zh) * 2022-09-07 2024-05-03 广东金禄科技股份有限公司 新型零间纱智能起底装置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811A (ja) * 1995-07-24 1997-02-04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編地巻下げ装置および編成方法
JPH09279442A (ja) * 1996-04-16 1997-10-28 Shima Seiki Mfg Ltd 編出し櫛を有する横編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49789B1 (ko) 1968-02-21 1972-12-14
IT969283B (it) * 1972-12-11 1974-03-30 Martinelli C Dispositivo per la tesatura auto matica delle cimose o bordi esterni dei teli in via di formazione su macchine rettilinee per maglieria
JPH02210046A (ja) * 1989-02-08 1990-08-21 Shima Seiki Seisakusho:Kk 横編機における編み出し方法と編み出し装置
JP3757036B2 (ja) 1996-11-06 2006-03-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編地引下げ装置。
DE19733867A1 (de) * 1997-08-05 1999-02-11 Schieber Universal Maschf Flachstrickmaschine
JP3408735B2 (ja) * 1997-12-19 2003-05-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目移し機構を備えた横編機
JP2000054247A (ja) * 1998-08-05 2000-02-22 Tsudakoma Corp 横編み機の編み出し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編み出し方法
JP2007231463A (ja) * 2006-03-01 2007-09-13 Shima Seiki Mfg Ltd 編地引下げ装置および編地引下げユニット
CN101182667B (zh) * 2007-07-25 2010-09-22 孙平范 针织横机的起底装置
CN201512653U (zh) * 2009-09-10 2010-06-23 江苏雪亮电器机械有限公司 电脑针织横编机的起底板结构
CN201614455U (zh) * 2009-10-21 2010-10-27 山东众合纺织机械有限公司 高可靠起底板系统
CN201835067U (zh) * 2010-10-28 2011-05-18 茅木泉 针织横机的起底板移动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811A (ja) * 1995-07-24 1997-02-04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編地巻下げ装置および編成方法
JPH09279442A (ja) * 1996-04-16 1997-10-28 Shima Seiki Mfg Ltd 編出し櫛を有する横編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337B1 (ko) * 2019-03-06 2020-07-06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횡편기를 통해 다양한 두께를 갖는 3차원 직물을 편직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95845A (ja) 2017-06-01
JP6316327B2 (ja) 2018-04-25
CN106702582A (zh) 2017-05-24
CN106702582B (zh) 2018-11-23
KR20170055922A (ko) 201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409B1 (ko) 횡편기 및 편성방법
US7207194B2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yarn guide member
US5345789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cement of yarn feeders
US7716954B2 (en) Method for producing tubular knitted fabric and weft-knitting machine
US5040384A (en) Method for setting up a fabric on a flat knitting machine
KR910016998A (ko) 편물기계
JP2014084538A (ja) 横編機の編出し装置およびニットウエアの編出し方法
US4423606A (en) Method for mechanical stitch formation as well as knitting machin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101065245B1 (ko) 편사의 지지절단 방법 및 장치
EP2570535B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provided with compound needle, and slider control method for flatbed knitting machine
EP3168351B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and knitting method
CN210314701U (zh) 横编机的编织纱保持切断装置
EP3054041A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movable sinker
KR101803711B1 (ko) 횡편기의 편성시작장치
KR102544766B1 (ko) 원형 편직기 및 원형 편직기의 바늘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KR102447515B1 (ko) 소매의 시작편이 최소화될 수 있는 홀가먼트 편직방법
JP4374313B2 (ja) 横編機
JPH09279442A (ja) 編出し櫛を有する横編機
EP3798339B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US20220235501A1 (e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for moving the needles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CN211005854U (zh) 一种用于圆针织机的无虚线成圈装置和圆针织机
CZ20032801A3 (cs) Okrouhlý jednolícní pletací stroj pro výrobu plyšové pleteniny
CN102995273A (zh) 横式编织机导纱器
JP2014221958A (ja) 横編機の端糸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