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515B1 - 소매의 시작편이 최소화될 수 있는 홀가먼트 편직방법 - Google Patents

소매의 시작편이 최소화될 수 있는 홀가먼트 편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515B1
KR102447515B1 KR1020210032945A KR20210032945A KR102447515B1 KR 102447515 B1 KR102447515 B1 KR 102447515B1 KR 1020210032945 A KR1020210032945 A KR 1020210032945A KR 20210032945 A KR20210032945 A KR 20210032945A KR 102447515 B1 KR102447515 B1 KR 102447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sleeves
starting piece
yar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8197A (ko
Inventor
임대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모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모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모드
Priority to KR1020210032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515B1/ko
Publication of KR20220128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4Sinker heads; Sinker ba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0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가먼트 편직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은, 몸통부(10)의 하부에 제 1시작편(W1)을 편성하면서 인하장치(11)로 편성포를 끌어 내리는 제 1단계(S110)와; 몸통부(10) 하부의 제 1시작편(W1)의 편성이 끝나면 뺌실(드로우 얀;Y1)을 가운데 놓고 제 1시작편과 몸통부(10)를 연결하여 편직하는 제 2단계(S120)와; 몸통부(10)를 편성하면서 양측 소매(12,14) 편직 위치에 도달하면 양 소매(12,14)의 하부에 제 2시작편(W2)을 편직하는 제 3단계(S130)와; 소매(12,14)의 제 2시작편(W2)의 편성이 끝나면 뺌실(드로우 얀;Y2)을 가운데 놓고 제 2시작편(W2)과 소매(12,14)를 연결하여 편직하는 제 4단계(S140)를 포함하며, 그리고 제 2시작편(W2)과 소매(12,14) 편성시 가동싱커(20)에 의하여 편환을 아래로 밀어낼 수 있다.

Description

소매의 시작편이 최소화될 수 있는 홀가먼트 편직방법{Holgarment arrangement method to minimize the start of waste course for sleeve}
본 발명은 홀가먼트 편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매의 길이가 짧은 니트웨어를 편성하는 경우, 양 소매의 하부에 편성되는 시작편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시작편이 대량으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봉제 니트는 1965년 시마세이키사의 무봉제 장갑 편직기를 시작으로 1995년 무봉제 니트웨어 편직기 홀가먼트를 통해 어패럴분야까지 확장되었으며, 국내는 2002년에 처음 도입되었다.
통상적으로 니트웨어는 앞판, 뒷판, 소매 및 부속으로 편직후 재단, 봉제 공정을 거쳐 완성한다.
그러나, 홀가먼트(Whole Garment) 니트웨어는 이와 같이 여러 공정을 거치지 않고 편직기계에서 한 번의 공정으로 니트웨어를 완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홀가먼트 편직공정은, 주로 튜블러(Tubular) 방식으로서, 편직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니들베드가 대향되도록 배치된 편직기에 원사를 셋팅하고, 앞쪽 편성포 및 뒤쪽 편성포에 바늘을 각각 할당하고, 또한 양 소매에도 바늘을 할당한 후 각각의 바늘을 이용하여 하부에서부터 편 통 모양으로 편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횡편기에서는, 니들베드(needle bed)에서 편성포의 편성을 시작할 때 니들베드갭에서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편포 인하장치를 상승시켜서 편포 포착바늘을 니들베드갭으로 진출시킴으로써 편성시작부를 편포 포착바늘에 의하여 포착한다.
편성포는, 포착된 편성시작부를 편포 포착바늘에 의하여 지지하여 편성시작베드를 하강시키면서 편성한다. 이와 같이 편성시작장치에 의하여 편성포에 소정의 텐션(tension)을 걸어 둠으로써 편성포를 편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횡편기를 이용하여 반소매의 니트웨어(knitwear)의 편성을 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트웨어(1)는, 몸통(3)의 하단으로부터 시작편(2) 편성을 시작하여 상승하면서 통모양으로 편성한다.
또한, 몸통(3)보다 짧은 소매(4,5)는 먼저 시작편(waste course;6,7)을 부가하도록 편성을 시작한다. 그리고, 몸통(3)의 양측에서 양 소매(4,5)도 각각 통모양으로 편성하고 양 소매(4,5)를 몸통(3)으로 밀면서 접합한다.
이러한 횡편기는 편성 시작과 함께 니들베드갭 하방으로 수하(垂下)되는 편성포를 전후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끌어내리는 인하장치(8)를 구비하고 있다.
인하장치(8)는, 편성폭방향에 대하여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어서 개폐할 수 있고, 편성시작베드가 편성시작부를 끌어내리기 위하여 상방에 있는 구간은 열려 있고, 편성시작 베드가 내려가서 인하장치(8)를 통과하면, 몸통(3)과 양 소매(4,5)의 시작편(2,6,7)의 편성시작부를 편성시작바늘로부터 해제하고, 인하장치(8)를 닫아서 끌어내리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홀가먼트 편직방법은 몸통과 양 소매의 하부에 시작편(본 편성을 하기 전에 예비로 편성하는 편조직)을 모두 편성하게 되므로 시작편이 대량으로 발생되어 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편직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출원 제 10-2014-0125731호(명칭:횡편기에서의 편성시작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양 소매의 하부에 편성되는 시작편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시작편이 대량으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동싱커에 의하여 양 소매부를 아래로 가압한 상태에서 편성하므로 별도의 소매용 인하장치를 생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가먼트 편직방법은,
몸통부(10)의 하부에 제 1시작편(W1)을 편성하면서 인하장치로 편성포를 끌어 내리는 제 1단계(S110)와;
몸통부(10) 하부의 제 1시작편(W1)의 편성이 끝나면 뺌실(드로우 얀;draw yarn;Y1)을 가운데 놓고 제 1시작편(W1)과 몸통부(10)를 연결하여 편직하는 제 2단계(S120)와;
몸통부(10)를 편성하면서 양측 소매(12,14) 편직 위치에 도달하면 양 소매(12,14)의 하부에 제 2시작편(W2)을 편직하는 제 3단계(S130)와;
소매(12,14)의 제 2시작편(W2)의 편성이 끝나면 뺌실(드로우 얀;Y2)을 가운데 놓고 제 2시작편(W2)과 소매(12,14)를 연결하여 편직하는 제 4단계(S140)를 포함하며, 그리고
제 2시작편(W2)과 소매(12,14)는 가동싱커(20)에 의하여 편환을 아래로 밀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직 과정을 개선함으로써 소매의 길이가 짧은 니트웨어를 편성하는 경우, 소매부는 가동싱커로 편환을 아래로 밀어주므로 별도의 소매용 인하장치를 생략하여도 양 소매의 하부에 편성되는 시작편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시작편이 대량으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편직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예에 따른 홀가먼트 편직방법에 의하여 몸통 및 양 소매를 편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가먼트 편직방법에 의하여 몸통 및 양 소매를 편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몸통 및 양 소매를 편성하기 위한 가동싱커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동싱커가 구비된 횡편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가먼트 편직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매의 시작편이 생략될 수 있는 홀가먼트 편직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홀가먼트 편직방법은, 고정싱커(21)와 함께 스프링(34)에 의하여 가압되는 가동싱커(20)를 편침(N) 사이에 배치하고 니들갭(32) 하부에는 승하강하는 편성포의 인하장치(11)를 구비한 횡편기로 소매(12,14)길이가 짧은 니트웨어를 편직한다.
이러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은,
몸통부(10)의 하부에 제 1시작편(W1)을 편성하면서 인하장치(11)로 편성포를 끌어 내리는 제 1단계(S110)와;
몸통부(10) 하부의 제 1시작편(W1)의 편성이 끝나면 뺌실(드로우 얀;Y1)을 가운데 놓고 제 1시작편(W1)과 몸통부(10)를 연결하여 편직하는 제 2단계(S120)와;
소매(12,14) 편직 위치에 다가오면 소매(12,14)에 대응하는 제 2시작편(W2)을 편직하는 제 3단계(S130)와;
소매(12,14) 제 2시작편(W2)의 편성이 끝나면 뺌실(드로우 얀;Y2)을 가운데 놓고 제 2시작편(W2)과 소매(12,14)를 연결하여 편직하는 제 4단계(S140)를 포함하며,
위 소매(12,14) 제 2시작편(W2)과 소매(12,14) 편성시 별도의 인하장치(11) 없이 가동싱커(20)에 의해 형성된 편환을 아래로 밀어낸다.
이러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에 있어서,
제 1단계(S110)에서는 횡편기를 이용하여 앞판과 뒷판으로 이루어지는 몸통부(10)를 편성하되, 몸통부(10)의 하부에 제 1시작편(W1)을 먼저 편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니들베드의 좌우로 왕복하면서 몸통부(10)의 제 1시작편(W1)을 편성하되 급사구를 사용하여 양측단부에서 반전하는 개략 "C"자 편성을 한다.
그리고, 횡편기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32)의 하부에는 편성시작장치(23)가 구비되고, 편성시작장치(23)에는 승강이 가능한 편성시작판(25)이 구비된다.
이때, 편성시작판(25)은 상부로 돌출되는 편성시작바늘(27)이 배치된다.
이러한 편성시작장치(23)는 편성포의 편성을 시작할 때, 편성시작바늘(27)이 니들베드갭(32)까지 상승하여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포착하고, 하강하면서 편성포를 끌어내린다.
그리고, 편성시작장치(23)는 몸통부(10)와 양 소매(12,14)의 해당 구역에 각각 배치되어 편성을 하게 된다.
또한, 횡편기는 편성시작장치(23)와 함께 니들베드갭(32) 하방으로 수하되는 편성포를 전후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끌어내리는 인하장치(11)를 구비하고 있다.
인하장치(11)는, 편성폭방향에 대하여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어서 개폐할 수 있고, 편성시작베드가 편성시작부를 끌어내리기 위하여 상방에 있는 구간은 열려 있고, 편성시작베드가 내려가서 인하장치(11)를 통과하면, 몸통과 제 1시작편(W1)의 편성시작부를 편성시작바늘(27)로부터 해제하고, 인하장치(11)를 닫아서 끌어내린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제 1시작편(W1)을 일정 높이로 편성한 후 제 2단계(S120)가 진행된다.
제 2단계(S120)에서는 제 1시작편(W1)의 편성이 끝나면 뺌실(드로우 얀;Y1)을 가운데 놓고 제 1시작편과 몸통부(10)를 연결하여 편직한다. 이러한 편직은 횡편기에 의한 통상적인 편성과정을 통하여 가능하다.
그리고, 제 1시작편(W1)과 몸통부(10) 사이에 편직된 뺌실(Y1)은 몸통부(10)와 양 소매(12,14)에 대한 홀가먼트 공정이 완료된 후 이 뺌실(Y1)을 제거함으로써 제 1시작편(W1)을 몸통부(1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제 3단계(S130)에서는 몸통부(10)를 편성하면서 양측 소매(12,14) 편직 위치에 도달하면 양 소매(12,14)의 하부에 제 2시작편(W2)을 편직한다.
제 2시작편(W2)을 편직하는 과정은 제 1시작편(W1)과 동일한 바, 니들베드의 좌우로 왕복하면서 양 소매(12,14)의 제 2시작편(W2)을 편성하되 급사구를 사용하여 양측단부에서 반전하는 개략 "C"자 편성을 한다.
이때, 제 2시작편(W2)은 종래와 같이 몸통부(10) 하부의 제 1시작편(W1)과 동일한 길이로 편성될 필요없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편성된다.
즉, 소매(12,14)의 제 2시작편(W2)은 하부에서 상부로 올라가면서 1코에서 시작하여 1코씩 증가하여 반팔둘레의 코수와 동일하게 될 때까지 층수를 늘여 편직하게 되므로 제 2시작편(W2)의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양 소매(12,14)부 및 제 2시작편(W2)을 편성할 때, 별도의 인하장치(11)에 의하여 하부로 당기는 과정이 요구되지 않는 바, 이는 가동싱커(20)에 의해 편환을 아래로 밀어냄으로써 제 2시작편(W2)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동싱커(20)에 의하여 편환을 아래로 밀어내는 과정을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편기에는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가 나란하게 전후로 배치되며, 그 사이에는 니들 베드갭(32)(needle bed gap)이 형성된다.
그리고, 니들베드갭(32)측 선단에 고정싱커(21) 및 가동싱커(20)가 장착된다. 이러한 싱커는 니들베드로부터 편침(N)의 훅(hook)을 니들베드갭(32)으로 진출시켜서 훅에 편사의 급사 를 받은 편침(N)을 니들베드로 끌어들일 때에, 훅에 의하여 형성되는 니들루프(needle loop)와 함께 싱커루프(sinker loop)를 형성하여 스티치(stitch)의 크기를 결정한다.
고정싱커(21)는 니들베드갭(32)측 선단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며, 가동싱커(20)는 선단이 니들베드갭(32) 내에서 진퇴하도록 스윙(swing)될 수 있는 구조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니들베드(42)의 기판(44) 상부에는 니들 플레이트(46)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니들 플레이트(46)의 사이에는 니들홈(needle groove)이 형성되어 편침(N)이 수용된다.
가동싱커(20)는, 하부에 스윙 피벗 지지부(40)가 돌출 형성되어 스윙 지지부에 지지된다.
또한, 가동싱커(20)는, 선단에 편사 수용부(22) 및 부착 상승 방지부(24)를 구비하는 작용 아암(26)이 형성되고, 후단에 구동 수용부(28)를 구비하는 구동 아암(30)이 형성되고, 작용 아암(26)의 편사 수용부(22)가 니들 베드갭(32)의 하방을 향하는 스윙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4)을 포함한다.
그리고, 싱커잭(36)의 구동부(38)는 가동싱커(20)의 구동 수용부(28)에 접촉한 상태이다.
따라서, 싱커잭(36)이 니들베드갭(32) 방향으로 전진하는 경우, 구동부(38)가 가동싱커(20)의 구동 수용부(28)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편사 수용부(22)를 니들베드갭(32)의 상방을 향하도록 스윙시켜서 개방상태가 된다.
반대로, 싱커잭(36)을 후진하는 경우, 구동 수용부(28)가 구동부(38)로부터 이탈함으로써 가압을 받지 않게 되고, 스프링(34)이 작용 아암(26)을 가압하여 편사 수용부(22)가 니들베드갭(32)의 하방을 향하도록 스윙되는 폐쇄상태가 된다.
이러한 가동싱커(20)의 폐쇄상태에서, 편사 수용부(22)는 편성되어 편침(N)에 결합되는 스티치(stitch)를 가압하여 밀어 내린다.
이와 같이, 가동싱커(20)를 개방 및 폐쇄상태로 절환시킴으로써 편사 수용부가 스티치를 아래로 밀어내릴 수 있는 바, 별도의 인하장치(11) 없이도 제 2시작편(W2)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시작편(W2)는 후공정에서 드로우 얀을 제거함으로써 양 소매(12,14)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겨드랑이 하부에서 몸통부(10)와 양 소매(12,14)를 접속하여 이들을 하나의 큰 통 모양체로 하고, 이후를 겨드랑이 하부까지의 몸통부(10)를 편성한 것과 마찬가지로 단일 급사구를 사용하여 개구부를 급사구의 반전 장소로 하여 C자 모양을 그리도록 하여 편성한다.
이와 같이, 제 3단계(S130)가 완료되면, 뺌실(드로우 얀;Y2)을 가운데 놓고 제 2시작편(W2)과 양 소매(12,14)를 연결하여 편직하는 제 4단계(S140)가 진행된다. 이러한 편직은 횡편기에 의한 통상적인 편성과정을 통하여 가능하다.
그리고, 제 2시작편(W2)과 양 소매(12,14) 사이에 편직된 뺌실은 양 소매(12,14)에 대한 홀가먼트 공정이 완료된 후 이 뺌실(Y2)을 제거함으로써 제 2시작편(W2)을 양 소매(12,14)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Claims (6)

  1. 몸통부(10)의 하부에 제 1시작편(W1)을 편성하면서 인하장치(11)로 편성포를 끌어 내리는 제 1단계(S110)와;
    몸통부(10) 하부의 제 1시작편(W1)의 편성이 끝나면 뺌실(드로우 얀;Y1)을 가운데 놓고 제 1시작편(W1)과 몸통부(10)를 연결하여 편직하는 제 2단계(S120)와;
    몸통부(10)를 편성하면서 양측 소매(12,14) 편직 위치에 도달하면 양 소매(12,14)의 하부에 제 2시작편(W2)을 편직하는 제 3단계(S130)와; 그리고
    소매(12,14)의 제 2시작편(W2)의 편성이 끝나면 뺌실(드로우 얀;Y2)을 가운데 놓고 제 2시작편(W2)과 소매(12,14)를 연결하여 편직하는 제 4단계(S140)를 포함하며,
    제 2시작편(W2)과 소매(12,14) 편성시 가동싱커(20)에 의하여 편환을 아래로 밀어내는 홀가먼트 편직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가동싱커(20)는, 선단에 구비되며 편사 수용부(22) 및 부착 상승 방지부(24)가 구비된 작용 아암(26)과; 후단에 구비되며 구동 수용부(28)를 구비하는 구동 아암(30)과; 작용 아암(26)의 편사 수용부(22)를 니들 베드갭(32)의 하방을 향하는 스윙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4)과; 하부에 구비되며 싱커잭(36)의 구동부(38)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스윙 피벗 지지부(40)를 포함하며,
    싱커잭(36)이 니들베드갭(32) 방향으로 전진하는 경우, 구동부(38)가 가동싱커(20)의 구동 수용부(28)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편사 수용부(22)를 니들베드갭(32)의 상방을 향하도록 스윙시켜서 개방상태가 되고,
    싱커잭(36)을 후진하는 경우, 구동 수용부(28)가 구동부(38)로부터 이탈함으로써 가압을 받지않게 되고 스프링(34)이 작용 아암(26)을 가압하여 편사 수용부(22)가 니들베드갭(32)의 하방을 향하도록 스윙되는 폐쇄상태가 됨으로써 편사 수용부(22)가 편성되어 편침(N)에 결합되는 스티치(stitch)를 가압하여 밀어 내리는 홀가먼트 편직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소매(12,14)의 제 2시작편(W2)은 하부에서 상부로 올라가면서 1코에서 시작하여 1코씩 증가하여 반팔둘레의 코수와 동일하게 될 때까지 층수를 늘여 편직하게 되므로 제 2시작편(W2)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홀가먼트 편직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제 4단계(S140)는 몸통부(10) 하부의 제 1시작편(W1)의 편성이 끝나면 뺌실(드로우 얀;Y1)을 제거함으로써 제 1시작편(W1)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홀가먼트 편직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제 4단계(S140)는 소매(12,14)의 제 2시작편(W2)의 편성이 끝나면 뺌실(드로우 얀;Y2)을 제거함으로써 제 2시작편(W2)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홀가먼트 편직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의 홀가먼트 편직방법으로 편직되는 홀가먼트 편직물.
KR1020210032945A 2021-03-12 2021-03-12 소매의 시작편이 최소화될 수 있는 홀가먼트 편직방법 KR102447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945A KR102447515B1 (ko) 2021-03-12 2021-03-12 소매의 시작편이 최소화될 수 있는 홀가먼트 편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945A KR102447515B1 (ko) 2021-03-12 2021-03-12 소매의 시작편이 최소화될 수 있는 홀가먼트 편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197A KR20220128197A (ko) 2022-09-20
KR102447515B1 true KR102447515B1 (ko) 2022-09-26

Family

ID=8344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945A KR102447515B1 (ko) 2021-03-12 2021-03-12 소매의 시작편이 최소화될 수 있는 홀가먼트 편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515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34788D1 (de) * 2001-10-05 2010-01-28 Shima Seiki Mf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zwickels sowie strickware mit entsprechendem zwickel
EP1605083B1 (en) * 2003-02-14 2014-06-25 Shima Seiki Mfg., Ltd Method of knitting knitwear
JP5812038B2 (ja) 2013-04-19 2015-11-1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排気構造
JP6223194B2 (ja) * 2014-01-10 2017-11-0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シンカー装置を備えた横編機
JP6316327B2 (ja) * 2015-11-12 2018-04-2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および編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197A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7903B1 (ko)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CN101146942B (zh) 横机中的筒状针织物的编织方法和横机
KR101867409B1 (ko) 횡편기 및 편성방법
RU2001109449A (ru) Способ стачивания мыска носк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226578B1 (ko) 횡편기
JP2000506234A (ja) パターン化されたパイルファブリック及びそれ用のパイルエレメントを製造するためのプロセス及び円形編機
JP4203414B2 (ja) 新規な編み出し構造を有する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US6578389B1 (en) Knitting method for disposing unused yarn edge
KR101347648B1 (ko) 편성포의 편성시작방법
JP5695978B2 (ja) ホールを有する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KR102447515B1 (ko) 소매의 시작편이 최소화될 수 있는 홀가먼트 편직방법
KR101516154B1 (ko)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
JP5057303B2 (ja) 上飾り機構付きミシン
KR101347668B1 (ko) 양말 편성기
JP2014084538A (ja) 横編機の編出し装置およびニットウエアの編出し方法
WO2010073558A1 (ja) 横編機およびその目移し方法
JPS6252063B2 (ko)
EP0841420A2 (en) Method for ladderproofing the last row of a knitted item
JPH0684583B2 (ja) 増目方法及び増目機能を有する横編機用操針カム
JPS59150145A (ja) 編地への編成休止渡り糸の插入方法及び装置
CN115074897B (zh) 由横编机编织的绒头编织物的编织方法
US6308535B1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designed knitwear on circular stocking knitting and knitting machines
JP2021172934A (ja) 横編機によるパイル編地の編成方法
JP2024034491A (ja) パイル編成用横編機およびパイル編成方法
JP2024034119A (ja) 編地の編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