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0337U - 추진축용 십자형 자재이음 - Google Patents

추진축용 십자형 자재이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0337U
KR19980040337U KR2019960053418U KR19960053418U KR19980040337U KR 19980040337 U KR19980040337 U KR 19980040337U KR 2019960053418 U KR2019960053418 U KR 2019960053418U KR 19960053418 U KR19960053418 U KR 19960053418U KR 19980040337 U KR19980040337 U KR 199800403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ross
bearing
bearing bush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3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0089Y1 (ko
Inventor
배인규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53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089Y1/ko
Publication of KR199800403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3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0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16C33/6603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with grease as lubricant
    • F16C33/6622Details of supply and/or removal of the grease, e.g. purging gre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44Needle bearings
    • F16C19/46Needle bearings with one row or nee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6Drive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F16C35/063Fixing them on th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어링 부싱의 내부 측벽에 형성된 돌기 및 요홈에 의해 베어링 부싱의 측벽과 십자축 사이에 더욱 큰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음으로서, 그 확보된 공간을 통해그리스를 충분히 주유할 수 있는 추진축용 십자형 자재이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추진축용 십자형 자재이음
본 고안은 자동차 추진축(propeller shaft)에 장착되는 십자형 자재이음(universal joint)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요크(yoke)의 축공과 결합되는 니들 베어링의 베어링 부싱 내부에 돌기 및 요홈을 이용한 공간을 확보함으로서, 그리스를 충분히 주유할 수 있도록 개선한 자동차 추진축용 십자형 자재이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관 후륜 구동방식의 자동차는 변속기의 출력을 종감속장치에 전달하는 추진축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추진축에는 요철이 심한 노면을 주행할 때, 차륜의 진동으로 변속기 출력축과 종감속장치의 입력축이 이루는 각도 변화에 수시로 대응하도록 하는 십자형 자재이음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십자형 자재이음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십자형상의 십자축(110)과, 그 십자축(110)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결합되도록 2개씩의 축공(121)(131)을 갖는 2개의 요크(120)(130)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십자축(110)은 상기 각 요크(120)(130)의 축공(121)(131)과 결합되는 부위에 니들 베어링(111)이 설치되어 있으며, 니들 베어링(111)에는 베어링 부싱(112)에 씌어져 있다.
이에 따라, 십자축(110)을 중심으로 이에 결합된 각 요크(120)(130)의 종, 횡방향으로의 유동에 의해 변속기 출력축과 종감속장치의 입력축이 이루는 각도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추진축용 십자형 자재이음은 그 유용성도 불구하고 십자축(110)의 윤활구조에 있어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즉, 십자축(110)의 니들베어링(111)에는 추진축의 고속 구동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원활한 절곡변위 및 마모 방지를 위해 니들 그리스가 주입되는데,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니들 베어링(111)에 씌어진 베어링 부싱(112)의 내부에는 협소함으로 니들 베어링(111)의 구동에 필요로 하는 충분한 그리스를 주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베어링 부싱내에 돌기 및 요홈을 통한 공간을 확보하여 그리스를 충분히 주유할 수 있는 자동차 추진축용 십자형 자재이음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추진축용 십자형 자재이음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추진축용 십자형 자재이음의 십자축에 설치된 니들 베어링 및 베어링 부싱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종래 추진축용 십자형 자재이음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십자축 니들 베어링의 윤활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부싱을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십자축11:니들 베어링
12:베어링 부싱12a:돌기
12b:요홈20,30:요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추진축용 십자형 자재이음은 도 3 및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십자축(10), 그 십자축(10)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결합되도록 2개씩의 축공(21)(31)을 갖는 2개의 요크(20)(3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요크(20)(30)의 축공(21)(31)과 결합되는 부위에 니들 베어링(11)이 설치되며, 그 니들 베어링(11)에는 베어링 부싱(12)에 씌어지는 십자형 자재이음에 있어서, 베어링 부싱(12)의 내측벽에 돌기(12a) 및 요홈(12b)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베어링 부싱(12)의 내측벽과 십자축(10)이 접하는 부위에 돌기(12a) 및 요홈(12b)에 의해 공간부가 확보되므로서, 추진축의 고속 구동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원활한 절곡변위 및 마모방지를 위해 니들 베어링(11)에 그리스를 충분히 주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베어링 부싱의 내부 측벽에 형성된 돌기 및 요홈에 의해 베어링 부싱의 측벽과 십자축 사이에 더욱 큰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음으로서, 그 확보된 공간을 통해 그리스를 충분히 주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충분히 주유된 그리스에 의해 리들 베어링 및 베어링 부싱, 십자축의 마모를 줄일 수 있게 됨으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십자축(10), 그 십자축(10)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결합되도록 2개씩의 축공(21)(31)을 갖는 2개의 요크(20)(3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요크(20)(30)의 축공(21)(31)과 결합되는 부위에 니들 베어링(11)이 설치되며, 그 니들 베어링(11)에는 베어링 부싱(12)에 씌어지는 십자형 자재이음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싱(12)의 내측벽에 돌기(12a) 및 요홈(12b)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자재이음.
KR2019960053418U 1996-12-21 1996-12-21 추진축용 십자형 자재이음 KR2001600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418U KR200160089Y1 (ko) 1996-12-21 1996-12-21 추진축용 십자형 자재이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418U KR200160089Y1 (ko) 1996-12-21 1996-12-21 추진축용 십자형 자재이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337U true KR19980040337U (ko) 1998-09-15
KR200160089Y1 KR200160089Y1 (ko) 1999-11-01

Family

ID=1948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3418U KR200160089Y1 (ko) 1996-12-21 1996-12-21 추진축용 십자형 자재이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0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375A (ko) * 1999-11-12 2001-06-15 송재인 2자유도 베어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375A (ko) * 1999-11-12 2001-06-15 송재인 2자유도 베어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0089Y1 (ko) 199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5366A (en) Shaft coupling structure of drive shaft
US5556351A (en) Differential apparatus
KR19980040337U (ko) 추진축용 십자형 자재이음
CN219029532U (zh) 一种方向机单输出轴结构
KR200301928Y1 (ko) 자동차의 조향축용 유니버셜 조인트의 유격 보상구조
CN211259407U (zh) 一种直六沟道等速万向节传动轴总成
KR200324493Y1 (ko) 자동차의 조향축용 유니버셜 조인트의 유격 보상구조
KR100488503B1 (ko) 자동차의 추진축 윤활구조
KR100428155B1 (ko) 자동차용 등속조인트조립체의 구조
KR20090118621A (ko) 자동차용 인터미디에이트 샤프트
KR100204773B1 (ko) 자동차의 트리포드 조인트샤프트
JPH0417880Y2 (ko)
KR19980064609U (ko)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
KR19980043845A (ko)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의 슬라이딩조인트
KR19990029742U (ko) 센터베어링과 지지브라켓의 결합구조
JPS6020834Y2 (ja) フレキシブル軸継手
KR20040056523A (ko) 유니버셜 조인트의 슬립조인트
KR20220159113A (ko) Cfrp 드라이브 샤프트 스플라인 압입부 강건화 구조
KR100742478B1 (ko) 자동차용 등속 조인트의 이너 레이스
KR970004339Y1 (ko) 자동차용 조향기어 박스내에 설치된 랙크피스톤
KR0136247Y1 (ko) 차량 변속용 조인트 구조
KR100250274B1 (ko) 자동차의 변속기 컨트롤 샤프트 어셈블리 장착 구조
KR0135857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드라이브샤프트
KR19980038940U (ko) 자동차의 진동방지형 유니버설 조인트
KR19980027121U (ko) 등속조인트의 윤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