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857Y1 - 길이조절이 가능한 드라이브샤프트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 가능한 드라이브샤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857Y1
KR0135857Y1 KR2019950047117U KR19950047117U KR0135857Y1 KR 0135857 Y1 KR0135857 Y1 KR 0135857Y1 KR 2019950047117 U KR2019950047117 U KR 2019950047117U KR 19950047117 U KR19950047117 U KR 19950047117U KR 0135857 Y1 KR0135857 Y1 KR 01358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rive shaft
hollow shaft
spline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7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424U (ko
Inventor
최선호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7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857Y1/ko
Publication of KR9700424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4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8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8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6Drive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2Shafts; Axles
    • F16C3/023Shafts; Axles made of several parts, e.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윤거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드라이브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일단에 휠이 장착되고 타단에는 변속기나 인터미디에이터축 또는 차동기어박스가 접속되며 중간부에는 중공축부를 구비한 자동차의 드라이브샤프트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샤프트를 그 중공축부에서 분할제작하고 분할된 중공축부의 내주면에는 스플라인홈과 고리상의 결합홈을 형성하고, 양단부 외주면에 스플라인축과 고리상의 결합홈이 형성된 연결축을 마련하여 상기 분할된 드라이브샤프트의 중공축부와 스플라인 및 결합링에 의해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드라이브샤프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길이조절이 가능한 드라이브샤프트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샤프트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드라이브샤프트 2 : 중공축부
3 : 인보드부트 4 : 아우트보드부트
5 : 연결축 6 : 보스
7,8 : 결합홈 9 : 결합링
10 : 스플라인축부 11 : 스플라인부
본 고안은 길이조절가능한 드라이브샤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차량의 윤거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드라이브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드라이브샤프트는 변속기 또는 차동기어로부터 전달되는 엔진의 구동력을 최종적으로 차륜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차종이나 구동방식에 따라 일단에는 변속기출력축이나 인터미디에이터축 또는 차동기어박스의 종감속기어등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자동차의 휠이 장착된다. 이러한 드라이브샤프트는 대략 중간부가 원형의 중공축 형태로 구성되고, 휠이 장착되는 외측에는 주름진 고무재 아우트보드부트가 구비되며, 내측의 변속기 또는 차동기어박스가 접속되는 쪽에는 인보드부트가 구비된다. 이들 부트 내에는 죠인트가 구비되어 동력을 원활하게 전달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자동차의 드라이브샤프트는 그 길이가 차종에 따라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되므로, 어느 한 차종에 맞도록 제작된 드라이브샤프트는 다른 종류의 차종에 사용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신차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윤거가 서로 다른 시험차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이에 맞는 규격의 드라이브샤프트를 제작해야 하므로 그만큼 개발비용이 상승되고, 개발과정이 번거로우며, 개발이 지연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양산차에 있어서도 차종에 따라 드라이브샤프트의 호환성이 결여되어 부품의 규격화나 양산에 저해요인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자동차의 드라이브샤프트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드라이브샤프트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신차개발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양산차에 있어서도 부품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자동차의 드라이브샤프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드라이브샤프트의 중공축부를 분할제작하고 이 부분에 서로 다른 길이의 연결축을 스플라인과 결합링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동력전달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드라이브샤프트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제안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일단에 휠이 장착되고 타단에는 변속기나 인터미디에이터축 또는 차동기어박스가 접속되며 중간부에는 중공축부를 구비한 자동차의 드라이브샤프트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샤프트를 그 중공축부에서 분할제작하고 분할된 중공축부의 내주면에는 스플라인홈과 고리상의 결합홈을 형성하고, 양단부 외주면에 스플라인축과 고리상의 결합홈이 형성된 연결축을 마련하여 상기 분할된 드라이브샤프트의 중공축부와 스플라인 및 스냅링에 의해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드라이브샤프트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가능 드라이브샤프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드라이브샤프트(1)의 양측에는 조인트를 둘러싸서 보호하는 인보드부트(3)와 아우트보드부트(4)가 구비되고, 이들 부트(3,4) 사이에는 조인트에 연결된 중공축부(2)가 연장된다. 중공축부(2)는 그 중간부가 분할형성되어, 별도의 연결축(5)에 의해 상호 연결된 것으로, 이 연결축(5)은 그 양단부 외주면에 스플라인축부(10)와 고리상의 결합홈(8)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연결축(5)의 양단이 결합되는 중공축부(2)의 단부 내주면에는 연결축(5)의 스플라인축부(10)와 결합홈(8)에 대응되도록, 결합홈(7)과 스플라인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중공축부(2)의 결합홈(7)과 스플라인부(11)는 이러한 결합홈(7)과 스플라인부(11)가 형성된 별도의 보스(6)를 상기 각 중공축부(2)의 단부에 용접결합하여 구성된 것으로,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별도의 보스(6)를 용접하지 않고, 상기 중공축부(2)의 단부 내주면에 결합홈(7)과 스플라인부(11)를 직접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중공축부(2)의 단부에 상기 연결축(5)을 결합하면, 상기 스플라인부(11)의 스플라인축부(10)가 상호 결합되어 중공축부(2)의 회전력을 상기 연결축(5)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축부(2)와 연결축(5)에 형성된 결합홈(7,8)에는 상호 결합된 중공축부(2)와 연결축(5)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스냅링(9)이 장착된다.
상기 스냅링(9)을 결합하기 위하여는, 이 스냅링(9)을 상기 연결축(5)의 결합홈(8)에 결합하고, 이 스냅링(9)을 가압한 후, 상기 연결축(5)의 단부와 함께, 중공축부(2)의 내부로 삽입하면, 이 스냅링(9)은 자체의 탄성에 의해, 상기 중공축부(2)의 결합홈(7) 부위에서 그 지름이 확대되어, 상기 결합홈(7)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이 스냅링(9)이 상기 중공축부(2)의 결합홈(7)과, 연결축(5)의 결합홈(8)에 동시에 결합되어, 중공축부(2)와 결합홈(7)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그 길이나 결합홈(8)의 가공위치를 달리한 연결축(5)을 드라이브샤프트(1)의 중공축부(2)에 결합함으로써 드라이브샤프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결축(5)만을 달리한다면 차종이나 윤거가 다른 차에도 동일한 드라이브샤프트를 적용할 수 있게 되므로, 신차개발단계에서 개발차종이나 윤거에 따라 별도로 드라이브샤프트를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개발효율이나 코스트가 절감된다. 한편, 양산차에 있어서도 부품의 통일화와 호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일단에 휠이 장착되고 타단에는 변속기나 인터미디에이터축 또는 차동기어박스가 접속되며 중간부에는 중공축부를 구비한 자동차의 드라이브샤프트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샤프트의 중공축부는 그 중간부가 분할제작되며, 분할된 중공축부의 단부 내주면에는 스플라인홈과 고리상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양단부 외주면에 스플라인축과 고리상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그 양단이 상기 중공축부의 단부에 끼움결합되는 연결축이 더 구비되며, 이 연결축은 분할된 드라이브샤프트의 중공축부와 스플라인 결합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중공축부와 연결축이 상호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냅링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드라이브샤프트.
KR2019950047117U 1995-12-26 1995-12-26 길이조절이 가능한 드라이브샤프트 KR01358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117U KR0135857Y1 (ko) 1995-12-26 1995-12-26 길이조절이 가능한 드라이브샤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117U KR0135857Y1 (ko) 1995-12-26 1995-12-26 길이조절이 가능한 드라이브샤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424U KR970042424U (ko) 1997-07-29
KR0135857Y1 true KR0135857Y1 (ko) 1999-05-15

Family

ID=19438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7117U KR0135857Y1 (ko) 1995-12-26 1995-12-26 길이조절이 가능한 드라이브샤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8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424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2151B2 (en) Driving axle assembly
CA2193572C (en) Slip yoke assembly for vehicle driveshaft
US20050026706A1 (en) Boot structure fitting for mechanical joint
KR0135857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드라이브샤프트
CA2193569C (en) Slip yoke assembly for vehicle driveshaft
US6158916A (en) Universal joint connector
KR0135856Y1 (ko) 다단계 길이조절가능 드라이브샤프트
US6003238A (en) Method for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of an axially adjustable driveshaft assembly in a vehicle
KR200144460Y1 (ko)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
GB2126178A (en) Four-wheel-drive for motor vehicles
JPH0449376Y2 (ko)
KR100488503B1 (ko) 자동차의 추진축 윤활구조
JPS6320579Y2 (ko)
JPH07248025A (ja) プロペラシャフト
CN113898719B (zh) 定子轴及制动器外毂与定子轴的连接总成
JP4637723B2 (ja) 摺動式等速自在継手
KR100204773B1 (ko) 자동차의 트리포드 조인트샤프트
JPH0640508U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ケースの構造
KR200172657Y1 (ko) 자동차용 추진축의 구조
KR100250287B1 (ko) 자동차용 스피도 미터 기어 슬리이브 어셈블리
JPH028823Y2 (ko)
SU1057337A1 (ru) Привод колес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независимой подвеской
GB2311758A (en) A motor vehicle drive shaft assembly
KR19980039136U (ko) 등속 조인트의 부트 구조
JP2001082441A (ja) ドライブシャ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