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609U -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609U
KR19980064609U KR2019970009308U KR19970009308U KR19980064609U KR 19980064609 U KR19980064609 U KR 19980064609U KR 2019970009308 U KR2019970009308 U KR 2019970009308U KR 19970009308 U KR19970009308 U KR 19970009308U KR 19980064609 U KR19980064609 U KR 199800646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ulsion shaft
vehicle
shaft
spline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3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대석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700093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4609U/ko
Publication of KR199800646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609U/ko

Links

Landscapes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2분할 되어 스플라인으로 고정된 추진축 어셈블리에서 큰 추력이 작용될 경우에 추력이 작용되는 방향으로 스플라인 축과 스플라인 보스의 결합이 더욱 이루어져 용이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엔진(5)의 동력이 프런트 추진축(32)과 리어 추진축(36)을 통해 구동바퀴(15)에 전달되도록 된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추진축(32)은 외측면에 테이퍼 형상의 치폭을 가진 외치(34)가 형성되고, 상기 리어 추진축(36)은 내측면에 테이퍼 형상의 치폭을 가진 내치(38)가 형성되며, 상기 프런트 추진축의 외치(34)가 상기 리어 추진축의 내치(38)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되는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
본 고안은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분할된 추진축에 있어서 엔진으로부터 큰 추력이 전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추진축의 결합이 해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바퀴로의 원활한 동력전달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구동바퀴에 전달하기 위해 동력손실을 감소시키고 경량으로 강도가 크며, 내구성이 있으며 취급이 용이하도록 된 동력전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엔진(5)의 동력을 구동바퀴에 전달하거나 끊는 클러치 및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구동력을 증감시키는 변속기(8)와, 엔진(5)에서의 동력을 그것과 직교하는 구동축(14)과 구동바퀴(15)에 전달하는 종감속기어(12)와, 상기 변속기(8)와 종감속기어(12)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추진축(2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추진축(20)은 끊임없이 변동하는 엔진(5)의 토크를 받으면서 고속회전을 하므로 비틀림 진동을 일으키기 쉽고, 또 축이 구부러지거나 굽힘진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중공의 탄소강관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축의 단면적이 정해져 있을 때에 길이가 길어지면 위험속도, 즉 회전하는 축에 결합되어 회전체는 일체로 회전하고 있으나 고유 진동수와 축의 회전수가 일치 또는 배수가 되면 공진하여 축의 변형이 무한대로 커지려고 하므로 진폭이 급증하여 위험한 상태에 도달하는 속도가 발생됨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추진축(20)을 2개로 분할하여 연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2분할된 추진축(20)은 프런트 추진축(22)과 리어 추진축(26)으로 나눌 수 있는데, 상기 프런트 추진축(22)의 일단은 변속기(8)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게 되고 타단은 상기 리어 추진축(26)의 일단부에 결합하여 연결되며, 상기 리어 추진축(26)은 타측단이 종감속기어(12)와 결합되어 상기 프런트 추진축(22)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종감속기어(12)에 전달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프런트 추진축(22)과 리어 추진축(26)의 결합에서는 큰 토크를 전달시킬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축과 보스와의 중심축을 정확히 맞출 수 있는 스플라인 결합이 사용되는데, 상기 프런트 추진축(22)의 단부에는 축에 평행으로 다수의 키 홈을 판 스플라인 축(23)이 형성되고, 상기 리어 추진축(26)의 단부에는 이것과 끼워 맞춰지는 키 홈이 파진 보스, 즉 스플라인 보스(27)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프런트 추진축(22)의 스플라인 축(23)이 리어 추진축(26)의 스플라인 보스(27)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 고정되고, 이에 엔진(5)의 동력 전달이 추진축(20)을 통해 구동바퀴(15)로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에서는 2분할 된 추진축의 결합에서 스플라인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 상기 스플라인의 치형은 치폭이 변화없는 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프런트 추진축(22)에서 큰 추력이 발생할 때에 고정된 스플라인 축(23)과 스플라인 보스(26)가 미끄러져 이탈되고, 이에 동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게 되어 차량의 운행에 큰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큰 추력이 작용될 경우에 추력이 작용되는 방향으로 스플라인 축과 스플라인 보스의 결합이 더욱 이루어져 용이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2 : 프런트 추진축33 : 스플라인 축
34 : 외치36 : 리어 추진축
37 : 스플라인 보스38 : 내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행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엔진의 동력이 프런트 추진축과 리어 추진축을 통해 구동바퀴에 전달되도록 된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추진축은 외측면에 테이퍼 형상의 치폭을 가진 외치가 형성되고, 상기 리어 추진축은 내측면에 테이퍼 형상의 치폭을 가진 내치가 형성되며, 상기 프런트 추진축의 외치가 상기 리어 추진축의 내치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되는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도면에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의 요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추진축은 프런트 추진축(32)과 리어 추진축(36)의 연결로 구성되는 바, 상기 프런트 추진축(32)은 단부에 스플라인 축(33)이 형성되고 상기 스플라인 축(33) 면에 형성된 외치(34)는 폭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어 추진축(36)은 단부에 스플라인 보스(37)가 형성되고 상기 스플라인 보스(37) 내면에 형성된 내치(38)는 치폭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동력전달을 위한 추진축의 설치에 있어서 길이변화에 대응하여 프런트 추진축(32)과 리어 추진축(36)이 연결되는 바, 상기 프런트 추진축(32)의 스플라인 축(33)이 상기 리어 추진축(36)의 스플라인 보스(37)에 삽입되고 압착됨으로써 고정시키게 되고, 이로써 2분할 된 추진축(30)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만약 동력전달을 위해 상기 프런트 추진축(32)이 회전되면서 전진 추력이 작용하게 되면 테이퍼 형상인 상기 스플라인 보스의 내치(38)에서 역시 테이퍼 형상인 상기 스플라인 축의 외치(34)는 밀려 들어가지 못하게 되어 2분할 추진축(30)의 이탈 및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중에 2분할 되어 연결된 추진축에 추력이 작용되고 또한 진동 등이 발생되어도 테이퍼 형상의 치로 인해 상기 추진축의 분리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원활한 동력전달을 이룰 수 있게 되고, 이에 차량의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하나의 실시예 만을 설명하였으나,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

  1. 엔진(5)의 동력이 프런트 추진축(32)과 리어 추진축(36)을 통해 구동바퀴(15)에 전달되도록 된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추진축(32)은 외측면에 테이퍼 형상의 치폭을 가진 외치(34)가 형성되고, 상기 리어 추진축(36)은 내측면에 테이퍼 형상의 치폭을 가진 내치(38)가 형성되며, 상기 프런트 추진축의 외치(34)가 상기 리어 추진축의 내치(38)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
KR2019970009308U 1997-04-30 1997-04-30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 KR199800646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308U KR19980064609U (ko) 1997-04-30 1997-04-30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308U KR19980064609U (ko) 1997-04-30 1997-04-30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609U true KR19980064609U (ko) 1998-11-25

Family

ID=69684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308U KR19980064609U (ko) 1997-04-30 1997-04-30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460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144B1 (ko) * 2010-10-07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모형선 운동시험용 아지무스 추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형선
KR101444422B1 (ko) * 2013-03-06 2014-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클러치 구조체
KR101444425B1 (ko) * 2013-03-06 2014-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클러치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144B1 (ko) * 2010-10-07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모형선 운동시험용 아지무스 추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형선
KR101444422B1 (ko) * 2013-03-06 2014-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클러치 구조체
KR101444425B1 (ko) * 2013-03-06 2014-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클러치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8543B1 (en) Torque transmitting device for mounting a propeller to a propeller shaft of a marine propulsion system
KR19980064609U (ko)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
US7052399B2 (en) Elastomeric coupling for rotating shafts
KR100211694B1 (ko) 자동차의 자재이음용 등속조인트의 결합구조
KR100395009B1 (ko) 리어기어 트레인 엔진의 플라이휠 결합구조
KR200142825Y1 (ko) 자동차의 추진축 구조
KR19980045388A (ko) 자동차의 추진축용 구름 조인트
CN216519279U (zh) 一种拖拉机变速箱的同步器
KR0174237B1 (ko) 자동변속기의 토크 컨버터 조립구조
KR20220159113A (ko) Cfrp 드라이브 샤프트 스플라인 압입부 강건화 구조
KR100428155B1 (ko) 자동차용 등속조인트조립체의 구조
KR200160693Y1 (ko) 프로펠러 샤프트 플랜지 체결 구조
KR0136247Y1 (ko) 차량 변속용 조인트 구조
KR100204773B1 (ko) 자동차의 트리포드 조인트샤프트
KR20010000868U (ko) 자동차의 추진축구조
KR20040056523A (ko) 유니버셜 조인트의 슬립조인트
KR19980044964U (ko) 트리포드조인트의 내륜과 샤프트의 연결구조
KR19980046075A (ko) Tj(tripod joint)의 트러니언 설치구조
KR20220138678A (ko) 스터브 샤프트 및 이를 포함하는 샤프트 결합 구조
KR19980035891U (ko) Tj의 트러니언 이탈방지구조
KR19980040342U (ko) 충격흡수를 위한 자동차 추진축 플렌지 요크 조인트
KR100395055B1 (ko) 프로펠러 샤프트
KR19980044294U (ko) 유니버설 조인트의 요크 결합구조
KR20040063202A (ko) 유니버셜 조인트의 슬립조인트
KR19980040337U (ko) 추진축용 십자형 자재이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