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009B1 - 리어기어 트레인 엔진의 플라이휠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리어기어 트레인 엔진의 플라이휠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009B1
KR100395009B1 KR10-2000-0072798A KR20000072798A KR100395009B1 KR 100395009 B1 KR100395009 B1 KR 100395009B1 KR 20000072798 A KR20000072798 A KR 20000072798A KR 100395009 B1 KR100395009 B1 KR 100395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ywheel
coupling
crankshaft
adapter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3718A (ko
Inventor
황중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2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009B1/ko
Publication of KR20020043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0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0Flywheels
    • F16F15/315Flywheels characterised by their supporting arrangement, e.g. mountings, cages, securing inertia member to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08Prime-movers comprising combustion engines and mechanical or fluid energy storing means
    • B60K6/10Prime-movers comprising combustion engines and mechanical or fluid energy storing means by means of a chargeable mechanical accumulator, e.g. flywheel
    • B60K6/105Prime-movers comprising combustion engines and mechanical or fluid energy storing means by means of a chargeable mechanical accumulator, e.g. flywheel the accumulator being a fly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05Attachment, e.g. to facilitate mounting onto confer adju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 기어 트레인 엔진의 플라이휠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플라이휠이 크랭크축에 직접 휠볼트로서 결합되어있으므로, 휠볼트의 장착갯수 및 장착직경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크랭크축의 직경을 크게 설정해야만 하고, 이와같이 크랭크축의 직경이 커지면 크랭크기어와 트레인기어의 크기 또한 커지면서 차량에의 장착특성이 나빠지고 있으며, 플라이휠의 축력강화를 위해 결합되는 휠볼트의 갯수를 증대시키면, 너무 많은 수의 휠볼트가 결합됨에 따라 정비성이 나빠질뿐만 아니라 기존의 플라이휠 결합구조에서는 크랭크축의 크기가 한정되어있기 때문에 휠볼트의 갯수를 늘리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라이휠을 크랭크축에 결합할때 면적이 넓은 결합면을 갖는 아답터를 크랭크축에 결합한 상태에서 크랭크축의 결합면에 플라이휠을 볼트로서 결합하므로서, 볼트의 결합반경을 넓힐 수 있게되어 플라이휠의 결합력이 향상되고, 엔진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부하측으로 전달하기위한 충분한 토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리어 기어 트레인 엔진의 플라이휠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어기어 트레인 엔진의 플라이휠 결합구조{Fly wheel combination structure of gear train engine}
본 발명은 리어 기어 트레인 엔진의 플라이휠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라이휠을 크랭크축에 결합할때 면적이 넓은 결합면을 갖는 아답터를 크랭크축에 결합한 상태에서 크랭크축의 결합면에 플라이휠을 볼트로서 결합하므로서, 볼트의 결합반경을 넓힐 수 있게되어 플라이휠의 결합력이 향상되고, 엔진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부하측으로 전달하기위한 충분한 토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리어 기어 트레인 엔진의 플라이휠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어 기어 트레인 엔진은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트레인 기어를 이용해서 차량의 후반부에 설치되어있는 크랭크축으로 전달하여 차량이 구동되도록 하고 있다.
도 4 는 종래의 플라이휠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크랭크축(10)의 일측에 크랭크기어(2)가 압입되어있고,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전달을 위한 트레인기어(3)가 상기 크랭크기어(2)에 맞물려 있다.
크랭크축(10)의 타측에는 트랜스미션으로 동력을 전달해주기 위한 플라이휠(13)이 다수의 휠볼트(14)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휠볼트(14)는 복수개가 사용되며, 플라이휠(13)의 전달가능 토크는 "볼트의 축력 ×장착면의 마찰계수×볼트의 갯수×볼트장착반경"에 의해 구해지는데, 종래의 플라이휠(13)에는 고축력을 갖는 휠볼트(14)가 적용되고 있다.
엔진의 출력특성이 점차 향상되고 있고, 이에의해 엔진에서 전달되는 높은 동력을 트랜스미션으로 전달하는 플라이휠의 전달토크 또한 향상시켜야만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볼트의 축력, 장착갯수, 장착직경을 모두 증대시켜야만 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플라이휠이 크랭크축에 직접 휠볼트로서 결합되어있으므로, 휠볼트의 장착갯수 및 장착직경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크랭크축의 직경을 크게 설정해야만 하고, 이와같이 크랭크축의 직경이 커지면 크랭크기어와 트레인기어의 크기 또한 커지면서 차량에의 장착특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플라이휠의 축력강화를 위해 결합되는 휠볼트의 갯수를 증대시키면, 너무 많은 수의 휠볼트가 결합됨에 따라 정비성이 나빠질뿐만 아니라 기존의 플라이휠 결합구조에서는 크랭크축의 크기가 한정되어있기 때문에 휠볼트의 갯수를 늘리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라이휠을 크랭크축에 결합할때 면적이 넓은 결합면을 갖는 아답터를 크랭크축에 결합한 상태에서 크랭크축의 결합면에 플라이휠을 볼트로서 결합하므로서, 볼트의 결합반경을 넓힐 수 있게되어 플라이휠의 결합력이 향상되고, 엔진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부하측으로 전달하기위한 충분한 토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리어 기어 트레인 엔진의 플라이휠 결합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크랭크축의 일측에 크랭크기어가 압입되고,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전달을 위한 트레인기어가 상기 크랭크기어에 맞물려있는 리어기어 트레인엔진에 있어서,
크랭크축의 일측에 아답터의 결합을 위해 사다리꼴모양으로 형성되는 결합부와;
플라이휠의 결합을 위해 일측면이 넓게 형성되고, 타측면은 크랭크축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타측면에는 결합부가 삽입되기위한 결합홈이 형성되어있는 아답터와;
상기 아답터의 일측면에 휠볼트로서 결합되는 플라이휠; 로 구성되며, 상기 플라이휠을 아답터에 결합할때 휠볼트가 일측면의 최외각을 통해 결합되도록 하여 휠볼트의 결합반경이 넓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축의 결합부와 아답터의 결합홈은 스플라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플라이휠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A-A선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아답터의 결합상태를 보인 도면.
도 4 는 종래의 플라이휠 결합구조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랭크축 2 : 크랭크기어
3 : 트레인 기어 4 : 결합부
5 : 아답터 6 : 플라이휠
7 : 결합홈 8 : 볼트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 은 크랭크축을 나타내며, 이 크랭크축(1)의 일단(앞쪽)에 크랭크기어(2)가 압입되어 있고, 이 크랭크기어(2)의 외주면상에는 엔진으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전달하는 트레인기어(3)가 맞물려있다.
상기 크랭크축(1)의 타측(후단부)에는 크랭크축(1)의 회전력을 트랜스미션으로 전달하기 위한 플라이휠(6)이 결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크랭크축(1)과 플라이휠(6)의 사이에 별도의 아답터(5)를 개재한다.
상기 크랭크축(1)의 타측에는 아답터(5)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4)를 도 1 과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결합부(4)의 외주면에는 스플라인을 형성한다.
아답터(5)는 크랭크축(1)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일측으로 플라이휠(6)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아답터(5)의 일측면(5b)은 크랭크축(1) 보다 더 넓게 형성하고, 이 일측면(5b)의 중앙과 외주면상에는 각각 휠볼트(8)의 체결을 위한 결합홀(5a)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아답터(5)의 타측면(5c)은 크랭크축(1)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하고, 그 타측면(5c)에는 결합부(4)가 삽입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7)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홈(7)의 내주면에는 결합부(4)에 형성된 스프라인과 결합되기 위한 별도의 스플라인을 형성한다.
즉, 상기 결합부(4)와 결합홈(7)은 스플라인 결합되는 것이다.
아답터(5)는 중앙의 결합홀(5a)로 삽입되는 볼트(8)에 의해 크랭크축(1)과 결합되고, 플라이휠(6)은 아답터(5)의 외주면상에 형성되어있는 결합홀(5a)에 볼트(8)로서 결합된다.
상기 플라이휠(6)을 아답터(5)에 결합할때 플라이휠(6)이 결합되는 아답터(5)의 일측면(5b)의 직경이 크랭크축(1)의 직경보다 월등히 넓어짐에 따라 휠볼트(8)가 결합되는 반경이 종래에 비해 많이 넓어짐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에는 휠볼트가 크랭크축(1)에 직접 결합됨에 따라 그 결합반경이 작은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크랭크축(1) 보다 직경이 넓은 아답터(5)의 일측면(5b) 외주면상에 휠볼트(8)가 결합됨에 따라 그 볼트 장착반경이 넓어지는 것이다.
상기 휠볼트(8)의 장착반경이 넓어짐에 따라 플라이휠(1)의 결합력을 증대시킴은 물론 플라이휠(1)의 전달 토크 또한 향상되어 엔진에서 공급되는 보다 높은 회전력을 트랜스미션으로 전달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 휠볼트(8)의 장착반경을 넓히기 위해 크랭크축의 직경을 크게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크랭크기어(2)와 트레인기어(3)의 외경 또한 축소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기어트레인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플라이휠을 크랭크축에 결합할때 면적이 넓은 결합면을 갖는 아답터를 크랭크축에 결합한 상태에서 크랭크축의 결합면에 플라이휠을 볼트로서 결합하므로서, 볼트의 결합반경을 넓힐 수 있게되어 플라이휠의 결합력이 향상되고, 엔진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부하측으로 전달하기위한 충분한 토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리어 기어 트레인 엔진의 플라이휠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크랭크축(1)의 일측에 크랭크기어(2)가 압입되고,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전달을 위한 트레인기어(3)가 상기 크랭크기어(2)에 맞물려있는 리어기어 트레인엔진에 있어서,
    크랭크축(1)의 일측에 아답터(5)의 결합을 위해 사다리꼴모양으로 형성되는 결합부(4)와;
    플라이휠(6)의 결합을 위해 일측면(5b)이 넓게 형성되고, 타측면(5c)은 크랭크축(1)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타측면(5c)에는 결합부(4)가 삽입되기위한 결합홈(7)이 형성되어있는 아답터(5)와;
    상기 아답터(5)의 일측면(5b)에 휠볼트(8)로서 결합되는 플라이휠(6); 로 구성되며, 상기 플라이휠(6)을 아답터(5)에 결합할때 휠볼트(8)가 일측면(5b)의 최외각을 통해 결합되도록 하여 휠볼트(8)의 결합반경이 넓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기어 트레인 엔진의 플라이휠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1)의 결합부(4)와 아답터(5)의 결합홈(7)은 스플라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기어 트레인 엔진의 플라이휠 결합구조.
KR10-2000-0072798A 2000-12-04 2000-12-04 리어기어 트레인 엔진의 플라이휠 결합구조 KR100395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798A KR100395009B1 (ko) 2000-12-04 2000-12-04 리어기어 트레인 엔진의 플라이휠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798A KR100395009B1 (ko) 2000-12-04 2000-12-04 리어기어 트레인 엔진의 플라이휠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718A KR20020043718A (ko) 2002-06-12
KR100395009B1 true KR100395009B1 (ko) 2003-08-19

Family

ID=27679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798A KR100395009B1 (ko) 2000-12-04 2000-12-04 리어기어 트레인 엔진의 플라이휠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0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4922B (zh) * 2019-05-06 2024-03-26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热套螺栓紧固式曲轴动力输出组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4760U (ko) * 1976-08-31 1978-03-27
US4411549A (en) * 1980-12-22 1983-10-25 Sheppard Peter H Installation and retainer device for power steering pitman arm
JPS61109943U (ko) * 1984-12-22 1986-07-11
JPS62228732A (ja) * 1986-02-18 1987-10-07 アウトボ−ド・マ−リン・コ−ポレ−シヨン 圧縮嵌合フライホイ−ルを備えた舶用推進装置
JPH04341638A (ja) * 1991-02-08 1992-11-27 Yanmar Diesel Engine Co Ltd 内燃機関のフライホイール取付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4760U (ko) * 1976-08-31 1978-03-27
US4411549A (en) * 1980-12-22 1983-10-25 Sheppard Peter H Installation and retainer device for power steering pitman arm
JPS61109943U (ko) * 1984-12-22 1986-07-11
JPS62228732A (ja) * 1986-02-18 1987-10-07 アウトボ−ド・マ−リン・コ−ポレ−シヨン 圧縮嵌合フライホイ−ルを備えた舶用推進装置
JPH04341638A (ja) * 1991-02-08 1992-11-27 Yanmar Diesel Engine Co Ltd 内燃機関のフライホイール取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718A (ko) 200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5009B1 (ko) 리어기어 트레인 엔진의 플라이휠 결합구조
US4360094A (en) Gear structure for a manual transmission for an automobile
JP2006242243A (ja) 自動変速機とエンジンとの連結構造
KR101241196B1 (ko) 자동차 드라이브 샤프트와 허브 사이에 장착되는슬립방지용 와셔
JP2005289255A (ja) 車両用駆動輪ハブユニット
KR200230045Y1 (ko) 구동샤프트용프랜지
CA2460978C (en) Method of reducing torque shock on a transmission
KR19980064609U (ko) 차량의 추진축 어셈블리
KR20220123786A (ko) 개방공간이 형성된 외부 레이스가 구비되는 액슬 샤프트
KR0136247Y1 (ko) 차량 변속용 조인트 구조
KR0174237B1 (ko) 자동변속기의 토크 컨버터 조립구조
US5547056A (en) Oil dam coupling
KR200267231Y1 (ko) 자동차용 댐퍼풀리
JPH08233063A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結合構造
KR200150744Y1 (ko) 전륜구동차량용 구동축
KR200170043Y1 (ko) 크랭크샤프트와 플라이 휠의 결합구조
KR19980044964U (ko) 트리포드조인트의 내륜과 샤프트의 연결구조
KR100483154B1 (ko) 수동 변속기의 동기장치
KR200175536Y1 (ko)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동력전달장치
KR20220138678A (ko) 스터브 샤프트 및 이를 포함하는 샤프트 결합 구조
KR200258702Y1 (ko) 액슬샤프트와 휠허브의 결합구조
KR100439984B1 (ko) 수동변속기의 래틀링 소음 저감장치
KR0123950Y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
KR20220159113A (ko) Cfrp 드라이브 샤프트 스플라인 압입부 강건화 구조
KR200285199Y1 (ko) 다중재질을 갖는 플라이 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