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231Y1 - 자동차용 댐퍼풀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댐퍼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231Y1
KR200267231Y1 KR20010038359U KR20010038359U KR200267231Y1 KR 200267231 Y1 KR200267231 Y1 KR 200267231Y1 KR 20010038359 U KR20010038359 U KR 20010038359U KR 20010038359 U KR20010038359 U KR 20010038359U KR 200267231 Y1 KR200267231 Y1 KR 2002672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hub
damper
present
damper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38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선
Original Assignee
최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선 filed Critical 최병선
Priority to KR20010038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2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2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2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9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characterised by friction-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16H2055/366Pulleys with means providing resilience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ulle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댐퍼풀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댐퍼풀리는 크랭크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허브, 허브의 외주에 허브의 회전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허브측 요철홈, 허브의 외주에 삽입 설치되는 풀리, 풀리의 내주에 풀리의 회전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풀리측 요철홈, 허브의 외주와 풀리의 내주 사이에 압입 설치되는 댐퍼고무를 구비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댐퍼풀리는 풀리와 허브의 접촉면에 마찰면적의 증대에 의한 마찰력 증대와 회전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풀리와 허브의 서로 접촉하는 면에 상호 어긋나게 형성된 요철홈에 의한 마찰력 증대로 크랭크축으로부터 허브를 거쳐서 풀리로 전달되는 동력을 보다 안정적으로 전달하도록 하고, 또한 이에 의한 댐퍼고무의 설치상태의 안정성 및 효율적인 진동흡수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댐퍼풀리{Damper-pulley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댐퍼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허브와 풀리 사이에 설치되어 허브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완충하는 탄성부재의 압입 설치구조를 개선한 자동차용 댐퍼풀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에 설치되는 크랭크축에는 주기적으로 회전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비틀림 진동 및 굽힘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비틀림 진동 및 굽힘 진동은 크랭크축이 일정 이상의 회전수가 되면 축 자체의 고유 진동과 공진을일으키고, 특히 크랭크축에 격심한 진동이 발생하면 엔진 및 차체로 그 진동이 전달되어 승차감을 나쁘게 할 뿐만 아니라 타이밍 기어나 크랭크축을 파손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크랭크 축 전단의 크랭크 풀리와 조합하여 사용하는데 이를 댐퍼풀리라고 한다.
이 댐퍼풀리는 크랭크축에 외측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허브와 이 허브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에어콘 또는 콤프레셔와 연결된 벨트가 권취되는 풀리와 이 풀리와 허브에 압입되어 설치되는 댐퍼고무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댐퍼풀리로 가해지는 진동은 실린더의 크랭크 회전력이 클수록, 크랭크축이 길수록 또한 강성이 작을수록 더욱 커진다. 특히 자동차의 출력이 커지면 허브와 풀리 사이의 마찰력이 더욱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비록 댐퍼고무가 압입된 상태로 설치되더라도 허브를 통하여 가해진 출력이 커지게 되면 댐퍼고무가 쉽게 손상되거나 압입 상태가 훼손되는 문제점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하는 기술이 국내에서 특허출원(특허공개번호 1998-055130)되었다. 이 종래 출원된 기술에서는 허브의 외주와 풀리의 내주에 원주면을 따라 댐퍼고무의 접지면을 파동형으로 구성하여 그 댐퍼고무의 접촉면적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종래 출원된 기술에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이 댐퍼고무의 접지면에 형성된 파동형태의 요철은 허브와 풀리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록 마찰면적을 확장하였더라도 허브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으로 허브와 풀리사이의 압입 상태가 훼손될 수 있고, 어느 한 면의 압입 상태가 훼손되면 댐퍼고무는 허브 또는 풀리와 함께 헛돌게 되어 제대로 동력전달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유발시킨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허브의 외주와 풀리의 내주에 회전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요철홈을 형성하여 보다 효과적인 진동완충 및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차용 댐퍼풀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과 관련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허브의 외주 양단에 댐퍼고무 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여 허브와 풀리 사이에 개재된 댐퍼고무의 설치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댐퍼풀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풀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 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댐퍼풀리
110...허브
120...댐퍼고무
130...풀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댐퍼풀리는 크랭크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허브; 상기 허브의 외주에 상기 허브의 회전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허브측 요철홈; 상기 허브의 외주에 삽입 설치되는 풀리; 상기 풀리의 내주에 상기 풀리의 회전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풀리측 요철홈; 상기 허브의 외주와 상기 풀리의 내주 사이에 압입 설치되는 댐퍼고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허브의 외주 양단부에는 상기 댐퍼고무 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댐퍼풀리의 이탈을 방지하는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댐퍼풀리(100)는 전체적으로 크랭크축(미도시)에 결합되는 원통형태의 허브(110)와 이 허브(110)의 외주에 결합된 풀리(130) 그리고 허브(110)와 풀리(130) 사이에 압입 설치되는 댐퍼고무(120)로 구현된다.
그리고 허브(110)와 풀리(1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허브(110)는 크랭크축과 결합되도록 중심부분에 키홀(111)이 형성되고, 외주에는 허브(110)의 회전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허브측 요철홈(112)이 형성된다.
또한 허브(110)의 외주 일단에는 댐퍼고무(120) 측으로 상향 수직 절곡된 제 1절곡부(113)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댐퍼고무(120)가 허브(110)와 풀리(130) 사이로 압입 설치된 후 상향 수직 절곡되는 제 2절곡부(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풀리(130)는 허브(110)의 외주에 설치되는데, 내주에는 풀리(130)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풀리측 요철홈(131)이 마련되고, 외주에는 벨트가 권취되는 권취홈(미부호)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허브(110)와 풀리(130)를 결합할 때에는 먼저 허브(110)의 외주에 댐퍼고무(120)를 끼운 상태에서 풀리(130)의 내주로 허브(110)를 압입 설치하고, 이후 허브(110)의 제 2절곡부(114)를 상향 수직 절곡시킴으로써 허브(110)와 풀리(13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때 압입된 댐퍼고무(120)의 끝단은 제 1절곡부(113)와 제 2절곡부(114)에 의하여 지지되게 된다. 이렇게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허브(110)의 키홀(111)로 크랭크축을 결합하면 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댐퍼풀리의 특징적인 작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댐퍼풀리(100)는 자동차의 엔진으로부터 순간적으로 강한 출력이 가해질 때 확연하게 그 뛰어난 효과를 발휘하는데, 그 상태를 설명하면, 허브(110)의 키홀(111)로 크랭크축이 결합된 상태에서 허브(110)에 회전력이 전달되면 허브(110)의 회전력은 댐퍼고무(120)를 거쳐 풀리(130)에 전달된다.
이때 허브(110)와 풀리(130)의 내주와 외주에 각각 형성된 요철홈(112)(131)은 회전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댐퍼고무(120)의 마찰면적 증대에 의한 충격력 흡수뿐만 아니라 서로 어긋난 상태에 대한 동력전달, 즉 통상적인 기어구조물이 서로 치합된 상태에서와 유사한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허브(110)와 풀리(130)가 서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되게 허브(110)를 통하여 풀리(130)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고, 이때 발생한 진동을 댐퍼고무(120)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완충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댐퍼풀리(100)는 풀리(130)와 허브(110)의 댐퍼고무(120)와 접촉하는 면에 회전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요철홈(112)(131)을 형성하고, 또한 댐퍼고무(120)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하는 절곡부(113)(114)를 형성하고 있는데, 본 고안의 실시예와 달리 요철홈의 형성숫자 또는 크기 및 형상 그리고 절곡부의 형상과 절곡상태 등을 일부 변형하더라도 기본적으로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고 있는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 것이라면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댐퍼풀리는 풀리와 허브의 접촉면에 마찰면적의 증대에 의한 마찰력 증대와 회전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풀리와 허브의 서로 접촉하는 면에 상호 어긋나게 형성된 요철홈에 의한 마찰력 증대로 크랭크축으로부터 허브를 거쳐서 풀리로 전달되는 동력을 보다 안정적으로 전달하도록 하고, 또한 이에 의한 댐퍼고무의 설치상태의 안정성 및 효율적인 진동흡수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크랭크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허브;
    상기 허브의 외주에 상기 허브의 회전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허브측 요철홈;
    상기 허브의 외주에 삽입 설치되는 풀리;
    상기 풀리의 내주에 상기 풀리의 회전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풀리측 요철홈;
    상기 허브의 외주와 상기 풀리의 내주 사이에 압입 설치되는 댐퍼고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댐퍼풀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외주 양단부에는 상기 댐퍼고무 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댐퍼풀리의 이탈을 방지하는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댐퍼풀리.
KR20010038359U 2001-12-12 2001-12-12 자동차용 댐퍼풀리 KR2002672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8359U KR200267231Y1 (ko) 2001-12-12 2001-12-12 자동차용 댐퍼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8359U KR200267231Y1 (ko) 2001-12-12 2001-12-12 자동차용 댐퍼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231Y1 true KR200267231Y1 (ko) 2002-03-12

Family

ID=4171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38359U KR200267231Y1 (ko) 2001-12-12 2001-12-12 자동차용 댐퍼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23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9505A3 (en) * 2008-01-31 2009-10-15 The Gates Corporation Torsional decoupler
WO2009099504A3 (en) * 2008-01-31 2009-10-15 The Gates Corporation Isolator with damp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9505A3 (en) * 2008-01-31 2009-10-15 The Gates Corporation Torsional decoupler
WO2009099504A3 (en) * 2008-01-31 2009-10-15 The Gates Corporation Isolator with damping
RU2443917C1 (ru) * 2008-01-31 2012-02-27 ДЗЕ ГЕЙТС КОРПОРЕЙШН (э Делавэр Ю.Эс.Эй. Корпорейшн) Торсионная разъединительная пружина
US8192312B2 (en) 2008-01-31 2012-06-05 The Gates Corporation Isolator with damp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0849B2 (ja) アイソレータ・デカプラ
JP4738487B2 (ja) 振動吸収アイソレータ
US5788576A (en) Coupling pulley
US20080207364A1 (en) Driving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JP6491238B2 (ja) 相互ロックされた隔離器を備えたねじり振動緩衝器
JP4632044B2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KR200267231Y1 (ko) 자동차용 댐퍼풀리
JP2007232164A (ja) トルク伝達装置
KR20070108670A (ko) 드라이브 샤프트의 다이나믹 댐퍼
JP6513512B2 (ja) 回転変動吸収ダンパ
JP2007100852A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JP2004108528A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KR102429019B1 (ko) 풀리 조립체
JP2006090528A (ja) 回転軸用制振装置
KR20020044218A (ko) 변속기 입력축 댐퍼를 이용한 엔진의 비틀림 진동저감장치
JP2006349057A (ja) 動力伝達装置
JPH0531304Y2 (ko)
JP7390966B2 (ja) 曲げダンパ付きトーショナルダンパ
JP2008002552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JP2001248688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KR20020043710A (ko) 내연기관의 듀얼매스 플라이휠의 비틀림 진동감쇠장치
JPH0531303Y2 (ko)
JP4377288B2 (ja) ダンパ付きプーリ
JP3207482B2 (ja) エンジンの回転体のダンパー装置
KR950007124Y1 (ko) 자동차용 비틀림 진동흡수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