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0262U - 자동차용 도어 체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0262U
KR19980040262U KR2019960053343U KR19960053343U KR19980040262U KR 19980040262 U KR19980040262 U KR 19980040262U KR 2019960053343 U KR2019960053343 U KR 2019960053343U KR 19960053343 U KR19960053343 U KR 19960053343U KR 19980040262 U KR19980040262 U KR 199800402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er
door
lower carriers
checker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33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삼석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533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0262U/ko
Publication of KR199800402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262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체커에 관한 것으로서, 체커 플레이트의 동작시 체커 플레이트가 상, 하 캐리어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단(55)이 형성된 체커 플레이트(56)를 상, 하 캐리어(53,54)가 가압하여 절도감을 나타내도록 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서 상기한 상, 하 캐리어(53,54)의 최대 확장시에도 일정량 오버랩되어 체커 플레이트(56)를 항상 수납한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서로 맞물리도록 상, 하 캐리어(53,54) 측면에 구성된 겹침부(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체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체커의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조립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일측면도.
제4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에서 도어 체커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제5도는 제4도에서 도어 체커를 도시한 단면도.
제6도는 도어 체커의 최대 확장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겹침부53:상부 캐리어
54:하부 캐리어55:단
56:체커 플레이트
본 고안은 도어 체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는 바디의 필러에 부착되어 있는 도어 힌지로 지지되어 회전 자재하게 되는 바, 상기한 도어는 탑승자가 승차 및 하차가 용이하도록 최대의 개구율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상기한 도어를 탑승자가 열었을 경우 열린 위치에서 정지하여 탑승자가 도어를 잡고 열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승하차하는 불편을 방지해야 한다.
그래서, 상기한 도어의 열린 상태 유지를 위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와 필러(P) 사이에 도어 체커(50)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도어 체커(50)는 도어(D)의 회전시 일정 위치에 정지하도록 도어(D)에 압박력을 주도록 구성되어 도어(D)가 열릴 때 일정 위치가 되면 도어 체커(50)가 도어(D)의 회전을 차단시키면서 도어(D)를 지지하게 된다.
이는 제5도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필러(O)에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51)과, 상기한 브라켓(51)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52)로 결합됨과 아울러 도어(D)에 부착된 상, 하 캐리어(53,54)에 삽입되어 있으며 ㄷ자 형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단(55)이 교번 형성되어 있는 체커 플레이트(56)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상, 하 캐리어(53,54)는 도어(D)에 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케이스(57)에 내재되어 있고, 상기한 케이스(57)와의 사이에 쿠션재(58)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한 상, 하 캐리어(53,54)의 내측 즉, 상, 하 캐리어(53,54)와 체커 플레이트(56)의 사이에 로울러(59)가 삽입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과하는 체커 플레이트(56)의 이탈을 차단하기 위하여 수직부(60)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어 체커는 도어(D)가 개폐될 때 도어(D)와 함께 움직이는 상, 하 캐리어(53,54)가 회전되면서 체커 플레이트(56)가 그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상기한 이동시 체커 플레이트(56)에 형성된 단(55)을 로울러(59)가 압박하면서 도어(D)의 위치를 한정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어(D)를 닫은 상태에서는 상, 하 캐리어(53,54)에 수납된 로울러(59)가 체커 플레이트(56)의 브라켓(51) 위치에 근접되어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한 도어(D)를 열게 되면 상기한 로울러(59)가 이동하면서 확장된다.
이때, 상기한 로울러(59)를 지지하는 상, 하 캐리어(53,54)는 쿠션재(58)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 하 캐리어(53,54)가 확장되면서 체커 플레이트(56)에 보다 많은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더욱 진행되어 로울러(59)가 단(55)에 밀착되면 쿠션재(58)의 탄성에 의해 이 부분에서 압박되어 도어(D)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체커 플레이트(56)의 이동시 캐리어(53,54)의 수직부(60)가 외측을 한정하고 있기 때문에 체커 플레이트(56)가 상, 하 캐리어(53,54)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체커 플레이트가 도어에 설치된 상, 하 캐리어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할 때 최대 확장 위치에서 상기한 수직부가 체커 플레이트를 한정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상, 하 캐리어의 외측으로 체커 플레이트가 이탈되고 이로 인하여 체커 플레이트와 상, 하 캐리어 그리고 케이스의 사이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 하 캐리어 사이의 최대 확장 위치에서는 체커 플레이트의 양측을 제한하는 수직부가 로울러와 체커 플레이트의 접촉면과 동일면이 됨으로써 도어의 회전 운동에서 발생되는 측면 이동력 F에 의해 체커 플레이트가 캐리어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체커 플레이트의 동작시 체커 플레이트가 상, 하 캐리어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단이 형성된 체커 플레이트를 상, 하 캐리어가 가압하여 절도감을 나타내도록 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서 상기한 상, 하 캐리어의 최대 확장시에도 일정량 오버랩되어 체커 플레이트를 항상 수납한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서로 맞물리도록 상, 하 캐리어 측면에 구성된 겹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 그리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와 제1도의 조립 단면도와 제2도의 일측면도로서, 상, 하 캐리어(53,54)의 최대 확장시에도 일정량 오버랩되어 체커 플레이트(56)를 항상 수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 하 캐리어(53,54)에 맞물리는 형상인 겹침부(1)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즉, 상기한 체커 플레이트(56)의 단(55)이 상기한 상, 하 캐리어(53,54)를 최대 크기로 확장시켜도 상기한 겹침부(1)가 일정량 겹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체커 플레이트(56)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도어(D)가 닫힌 상태에서 탑승자가 하차하기 위하여 도어(D)를 열게 되면 상, 하 캐리어(53,54)가 이동하면서 체커 플레이트(56)를 압박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체커 플레이트(56)와 상, 하 캐리어(53,54)의 사이에는 로울러(59)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상, 하 캐리어(53,54)는 상기한 체커 플레이트(56)에 형성된 단(55)에 의해 확장 및 수축을 반복하면서 이동하게 되는 바, 상기한 확장 및 수축시 상, 하 캐리어(53,54)를 지지하고 있는 쿠션재(58)에 의해 탄성을 받아 원위치되는 것이다.
상기한 체커 플레이트(56)의 단(55)에 의해 로울러(58) 즉, 상, 하 캐리어(53,54)가 왕복 운동을 할 때 상, 하 캐리어(53,54)의 측면에 수직 형성된 겹침부(1)가 체커 플레이트(56)를 제한하게 된다.
즉, 상, 하 캐리어(53,54)에 형성되어 있는 겹침부(1) 사이에 겹쳐 있는 부분이 형성됨으로써 체커 플레이트(56)는 항상 상, 하 캐리어(53,54)의 내부에서 차폐되어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체커 플레이트(56)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겹침부(1)는 서로 맞물리는 형상 즉, 요철 형상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상, 하 캐리어(53,54)가 최소 벌어짐 상태가 되도 겹침부(1)가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상, 하 캐리어에 서로 맞물리도록 겹침부를 형성함으로써 체커 플레이트의 이동시 상기한 체커 플레이트가 상, 하 캐리어의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고 이로 인해 체커 플레이트와 케이스 사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단이 형성된 체커 플레이트를 상, 하 캐리어가 가압하여 절도감을 나타내도록 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있어서, 상기한 상, 하 캐리어의 최대 확장시에도 일정량 오버랩되어 체커 플레이트를 항상 수납한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서로 맞물리도록 상, 하 캐리어 측면에 구성된 겹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2019960053343U 1996-12-21 1996-12-21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199800402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343U KR19980040262U (ko) 1996-12-21 1996-12-21 자동차용 도어 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343U KR19980040262U (ko) 1996-12-21 1996-12-21 자동차용 도어 체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262U true KR19980040262U (ko) 1998-09-15

Family

ID=5399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3343U KR19980040262U (ko) 1996-12-21 1996-12-21 자동차용 도어 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026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405A (ko) * 2000-11-01 2002-05-09 이계안 차량의 도어체커 어셈블리용 캐리어
KR100428454B1 (ko) * 2001-07-04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체커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405A (ko) * 2000-11-01 2002-05-09 이계안 차량의 도어체커 어셈블리용 캐리어
KR100428454B1 (ko) * 2001-07-04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체커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4344A (en) Multi-stage door opening device
KR100364271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
EP0357542A1 (en) Vehicle construction of automobile provided with slide door
KR100506923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오버슬램범퍼
KR19980040262U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US6299236B1 (en) Interior lining, and door fitted therewith, comprising a means for limiting the displacement of a window at least in one direction
KR960016478B1 (ko) 자동차용 도어힌지
US4071978A (en) Window arrangement with sliding pane
KR100879107B1 (ko) 자동차 트렁크용 트랜스버스 트림 커버장치
KR100440285B1 (ko) 차량의 슬라이딩도어 안전장치
KR102673162B1 (ko) 슬라이딩 타입의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KR100196186B1 (ko) 트렁크 리드 힌지 조립체
KR200158036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 보강구조
KR100471777B1 (ko) 도어체커의 체커암 형상구조
KR200158289Y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지지구조
KR100342621B1 (ko)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소정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구조
KR0126152Y1 (ko) 자동차의 도어체크 링크
KR100230923B1 (ko)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글래스지지대의 구조
KR960004861Y1 (ko) 자동차 트렁크뚜껑의 과도열림 방지용 정지구
JPH0622580Y2 (ja) 自動車用アウタスライドル−フ装置
KR200143746Y1 (ko) 자동차 도어 다단 개폐장치용 캐리어
KR100203074B1 (ko) 자동차의 슬라이드 도어 고정구조
KR0145572B1 (ko) 사이드 임팩트시 도어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KR100482664B1 (ko)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JPH0796742A (ja) 車両用ド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