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152Y1 - 자동차의 도어체크 링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체크 링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152Y1
KR0126152Y1 KR2019950026457U KR19950026457U KR0126152Y1 KR 0126152 Y1 KR0126152 Y1 KR 0126152Y1 KR 2019950026457 U KR2019950026457 U KR 2019950026457U KR 19950026457 U KR19950026457 U KR 19950026457U KR 0126152 Y1 KR0126152 Y1 KR 01261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heck link
rolls
strap
door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6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984U (ko
Inventor
윤이국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26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152Y1/ko
Publication of KR970013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9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1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1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체크 링크(door check link)에 관한 것으로, 양단에 스톱퍼(11)와 체결호울(12)이 각각 구비되고 중간에는 돌출부(13) 또는 오목부가 형성된 스트랩(14)이 브라켓(15)의 호울내부로 이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스트랩(14)의 양측면에 2개의 로울(16a,16b)이 탄력적으로 밀착 설치되어 이루어진 도어 체크 링크에 있어서, 상기 로울(16a, 16b)의 표면에 PVC 또는 고무 등의 합성수지재로 코팅된 코팅층(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그리스 등의 윤활유를 공급해 주지 않아도 도어 개폐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체크 링크(door check link)
제1도는 일반적인 도어 체크 링크의 설치 상태 및 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체크 링크의 제1도 A-A선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도어 체크 링크의 제1도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체크 링크 11 : 스톱퍼(stopper)
12 : 체결호울 13 : 돌출부
14 : 스트랩(strap) 15 : 브라켓
16a, 16b : 로울 17 : 토션바(torsion bar)
18 : 코팅층 20 : 도어
30 : 차체 필라(pillar)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체크 링크(door check link)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 개폐시 도어 체크 링크의 로울(roll) 사이로 스트랩(strap)이 통과할 때 덜커덩거리는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그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도어 체크 링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에는 소정의 양만큼 다단계로 열린 도어상태를 유지해 주기 위한 도어 체크 링크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에 의해 도어가 어느 한도 이상은 열리지 않게 되어 차체의 손상이 방지되게 되는 한편, 자동차를 경사지게 주차한 경우나 바람이 부는 경우에도 도어가 저절로 움직이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게 되어 자동차에 승하차시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 체크 링크(10)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20)와 차체 필라(30)를 서로 연결하면서 상하 도어힌지 사이의 중간높이로 설치되어 있는데, 그 구조는, 양단에 스톱퍼(11)와 체결호울(12)이 각각 구비되고 중간에는 돌출부(13)(때로는 요홈)가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스트랩(strap)(14)이 브라켓(15)의 호울내부로 이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스트랩(14)의 양측면에 2개의 로울(16'a, 16'b)이 토션바(17)에 의해 탄력적으로 밀착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어 체크 링크(10)는 체결호울(12)에 의해 스트랩(14)의 일단이 차체 필라(30)에 연결되고, 도어(20)의 측부 안쪽에 브라켓(15)이 고정됨으로써 스트랩(14)의 다른 일단은 도어(2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서, 도어를 개폐함에 따라 상기 스트랩(14)은 제3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양 로울(16'a, 16'b)사이로 이동하게 되는데, 스트랩(14)의 중간에 형성된 돌출부(13)가 로울(16'a, 16'b)을 통과하게 될때는 토션바(17)에 의해 로울(16'a, 16'b)의 탄력이 크게 작용하게 되므로, 도어가 일단 열리게 되면 상기 탄력이상의 힘을 가해 주지 않는 한 도어는 저절로 닫히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게 되고, 또 스트랩(14)의 일 선단에 구비된 스톱퍼(11)에 의해 도어는 어느 정도 이상은 더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도어 체크 링크는, 종래에는 그 스트랩(14)과 로울(16'a, 16'b)이 모두 금속재로 되어 있어, 스트랩(14)이 로울(16'a, 16'b)사이로 이동하게 되면 덜커덩거리는 소음이 발생하게 되거나 그 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는데,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로울(16'a, 16'b)과 스트랩(14)의 접촉면에 그리스(grease)등의 윤활유를 급유해 주었다. 그러나 상기의 로울(16'a, 16'b)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표면이 매끈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그리스가 오랫동안 붙어 있지 못하고 쉽게 탈리되거나 마르게 되어, 조만간에 다시 덜커덩거리는 소음이 발생하게 되거나 그 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어 개폐시 도어 체크 링크의 로울 사이로 스트랩이 통과할 때 덜커덩거리는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그 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도어 체크 링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체크 링크는, 양단에 스톱퍼와 체결호울이 각각 구비되고 중간에는 돌출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된 스트랩이 브라켓의 호울내부로 이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스트랩의 양측면에 2개의 로울이 탄력적으로 밀착 설치되어 이루어진 도어 체크 링크에 있어서, 상기 로울의 표면에 PVC 또는 고무 등의 합성수지재로 코팅된 코팅층이 형성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체크 링크에서는, 종래와 같이 그리스 등의 윤활유를 로울의 표면에 공급해 주지 않아도 스트랩의 양 측면을 따라 구동되는 로울의 표면이 PVC 또는 고무 등과 같이 연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개폐시 덜커덩거리는 금속음과 같은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또 그 구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체크 링크를 제1도의 A-A선 단면을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중간에 돌출부(13)가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스트랩(strap)(14)의 양측면을 따라 2개의 로울(16a, 16b)이 밀착되면서 이동가능하도록 토션바(17)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이 로울(16a, 16b)들은 그 표면에 코팅층(18)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에서 코팅층(18)은 PVC등의 합성수지나 또는 고무 등으로 코팅된 것으로, 연질의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로울(16a, 16b)과 스트랩(14) 사이의 접촉면에 종래와 같이 그리스 등을 공급해 주지 않아도 덜커덩거리는 금속음이 발생하지 않고 구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로울(16a, 16b)과 스트랩(14)이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더욱 원할하게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 그 접촉면에 종래와 같이 그리스 등을 공급해 줄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를 위해 상기 코팅충(18)의 재질을 내유성이 강한 재질로 하여 주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어 체크 링크에서는 로울(16a, 16b)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층(18)이 PVC 또는 고무 등과 같이 연질의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그리스 등의 윤활유를 로울의 표면에 공급해 주지 않아도 양 로울(16a, 16b)은 스트랩의 양 측면을 따라 원활하게 구동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도어 체크 링크에서는 도어 개폐시 덜커덩거리는 금속음과 같은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그 구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구체화한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얼마든지 그 형상이나 구조의 변경이 가능할 것인바, 이러한 변경 실시예는 당연히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예컨데, 표면에만 합성수지재로 코팅된 로울(16a, 16b)을 아예 전체를 합성수지재로 성형하여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체크 링크는 그리스 등의 윤활유를 공급해 주지 않아도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게 된 것이다.

Claims (1)

  1. 양단에 스톱퍼(11)와 체결호울(12)이 각각 구비되고 중간에는 둘출부(13) 또는 오목부가 형성된 스트랩(14)이 브라켓(15)이 호울내부로 이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스트랩(14)의 양측면에 2개의 로울(16a, 16b)이 탄력적으로 밀착 설치되어 이루어진 도어 체크 링크에 있어서, 상기 로울(16a, 16b)의 표면에 PVC 또는 고무 등의 합성수지재로 코팅된 코팅층(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체크 링크.
KR2019950026457U 1995-09-27 1995-09-27 자동차의 도어체크 링크 KR01261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457U KR0126152Y1 (ko) 1995-09-27 1995-09-27 자동차의 도어체크 링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457U KR0126152Y1 (ko) 1995-09-27 1995-09-27 자동차의 도어체크 링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984U KR970013984U (ko) 1997-04-28
KR0126152Y1 true KR0126152Y1 (ko) 1998-10-15

Family

ID=19424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6457U KR0126152Y1 (ko) 1995-09-27 1995-09-27 자동차의 도어체크 링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15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876B1 (ko) * 2014-03-07 2015-07-13 대동도어 주식회사 도어 체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984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7202A (en) Sealing slideway for a moving sheet, and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window
US20070040392A1 (en) Door checker for automobile
KR0126152Y1 (ko) 자동차의 도어체크 링크
EP0418783B1 (en) Vehicle door check mechanism
US6035488A (en) Vehicle sliding door stopper having concavities formed therein
KR0119199Y1 (ko) 자동차의 도어체크 링크(door check link)
KR960016478B1 (ko) 자동차용 도어힌지
KR100326387B1 (ko) 자동차용 도어 첵커의 구조
KR100197016B1 (ko) 자동차의 도어 체크 링크
KR200141377Y1 (ko) 자동차의 도어첵커 기능을 가지는 도어 힌지
KR100471777B1 (ko) 도어체커의 체커암 형상구조
JPH0649129U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ー
KR0131795Y1 (ko) 자동차의 도어 첵크링크
KR200143352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의 체커 구조
KR200176252Y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댐퍼
KR200149257Y1 (ko) 자동차의 도어체크 구조
KR0129323Y1 (ko) 플랩도어 장착용 러버 힌지 조립체
KR200149444Y1 (ko) 자동차용 도어체커의 메일플레이트
KR100342621B1 (ko)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소정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구조
KR960004861Y1 (ko) 자동차 트렁크뚜껑의 과도열림 방지용 정지구
KR200158569Y1 (ko) 도어체크링크의 유동방지구조
KR200168052Y1 (ko) 자동차의 도어 체크링크
KR19980013904U (ko) 투 피스형 체커 링크
KR980007270U (ko) 승합차용 슬라이드식 도어의 가이드 레일구조
JPH1191360A (ja) 自動車用ドアガラスラ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